맨위로가기

라세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세미화는 카이랄 분자가 광학 활성을 잃고, 두 거울상 이성질체의 동일한 비율의 혼합물인 라세미체로 변환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치환 반응, 제거 반응, 자유 라디칼 반응 등 다양한 화학 반응을 통해 발생할 수 있으며, SN1 반응과 같은 반응에서 탄소 양이온 또는 카르바니온 중간체를 거치는 경우 주로 일어난다. 라세미화는 물질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키며, 특히 약물의 경우 생체 내에서 발생하여 효능이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라세미화 속도는 아미노산 연대 측정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역 후 변형 - 단백질 카보닐화
  • 번역 후 변형 - 메틸화
    메틸화는 메틸기를 분자에 첨가하는 과정으로, 생물학에서 유전자 발현 조절 등 생명현상에 관여하고 유기화학에서 유기 합성에 활용되며, 다양한 생물종에 존재하는 중요한 생리적 과정이다.
  • 단백질 구조 - 메틸화
    메틸화는 메틸기를 분자에 첨가하는 과정으로, 생물학에서 유전자 발현 조절 등 생명현상에 관여하고 유기화학에서 유기 합성에 활용되며, 다양한 생물종에 존재하는 중요한 생리적 과정이다.
  • 단백질 구조 - 녹색 형광 단백질
    녹색 형광 단백질(GFP)은 해파리에서 발견된 단백질로,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녹색 형광을 방출하며, 자체 발색단 형성 능력과 유전자 조작을 통한 개량형 개발로 생물학 연구에서 리포터 유전자로 널리 사용되지만, 실험 결과 해석 시 주의가 필요하고 대체 기술 또한 개발 중이다.
  • 입체화학 - 배위수
    배위수는 중심 원자에 직접 결합한 이웃 원자의 총 개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배위 화합물의 성질과 원자 배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결정 구조나 리간드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고 실험적 방법이나 계산 화학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 입체화학 - 카이랄성
    카이랄성은 거울상과 겹쳐지지 않는 성질로, 물리학, 화학, 수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자, 결정, 도형 등에서 관찰되며, 특히 화학에서는 거울상 이성질체 관계, 생물학에서는 특정 분자의 생명체 내 흔한 발견, 의약품 개발에서 약효 개선 및 부작용 감소 연구와 관련된다.
라세미화
라세미화
정의광학 활성 화학 화합물이 비활성 형태로 전환되는 과정
관련 용어라세미 혼합물
라세미체
설명라세미화는 키랄 분자의 거울상 이성질체들이 동일한 양으로 존재하는 라세미 혼합물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과정덱스트로회전성 화합물이 레보회전성 화합물로 전환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포함된다.
분자가 키랄성을 잃는 화학 반응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참고 자료Kennepohl D, Farmer S (2019-02-13). 6.7: Optical Activity and Racemic Mixtures. Chemistry LibreTexts.

2. 입체화학

카이랄 분자는 광학적 특성이 다른 두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좌선성 형태((−) 형태)는 광선의 편광면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우선성 형태((+) 형태)는 광선의 편광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16] 3차원 공간에서 회전할 때 중첩되지 않는 두 가지 형태를 거울상 이성질체라고 한다. D/L 표기법은 D-글리세르알데하이드 및 L-글리세르알데하이드에 대한 구조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R'')- 및 (''S'')-는 칸-인골드-프렐로그 순위 규칙에 기반하여 빛의 회전보다는 분자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D 및 L 표기법이 주로 당과 아미노산에 사용되기 때문에 R/S 표기법은 이제 +/−에 사용되는 기본 표기법이다.[17]

두 개의 키랄 아미노산의 거울상 이성질체


라세미화는 하나의 순수한 형태의 거울상 이성질체가 동일한 비율의 두 거울상 이성질체로 전환되어 라세미체를 형성할 때 일어난다. 우선성 및 좌선성 분자의 수가 같을 때 라세미체의 순 광학 활성은 0이다. 거울상 이성질체는 입체중심 주위에 상이한 분자 구조를 갖고 거울상이 아닌 입체 이성질체의 일종인 부분입체 이성질체와 구분되어야 한다.

용액에서 입체화학의 부분적 내지 완전한 라세미화는 SN1 메커니즘의 결과이다. 그러나 치환 반응에서 입체화학 입체배치의 완전한 역전이 발생하면 SN2 반응이 원인이 된다.[18]

3. 물리적 특성

라세미 혼합물은 고체 상태에서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와 다른 밀도, 녹는점, 용해도, 융해열, 굴절률 등을 가질 수 있다.[19] 라세미체의 결정화는 별도의 (+) 및 (−) 형태 또는 단일 라세미 혼합물을 생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액체 및 기체 상태에서 라세미 혼합물은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19]

4. 라세미화의 메커니즘

라세미화는 화학적 상호전환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R'')-3-페닐-2-부탄온이 수산화 나트륨(NaOH) 또는 염화 수소(HCl)를 포함하는 수성 에탄올에 용해되면 라세미체가 형성된다. 이는 입체중심이 평면이 되어 비카이랄이 되는 중간생성물 엔올 형태를 거치기 때문이다.[29] 들어오는 작용기는 평면의 양쪽에서 접근할 수 있으므로, 카이랄 케톤으로 돌아가는 양성자화는 ''R'' 또는 ''S'' 형태를 생성하여 라세미체를 생성할 동일한 확률을 갖는다.

라세미화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 단분자 제거 반응은 탄소 양이온을 통해 진행되지만 카이랄 중심을 초래하지 않는다. 대신 라세미체가 아닌 트랜스/시스(''E''/''Z'') 형태가 생성되는 일련의 기하 이성질체를 생성한다.
  • 자유 라디칼 치환 반응에서 자유 라디칼이 형성될 때 키랄 탄소에서 발생하면 거의 항상 라세미화가 관찰된다.[16]


라세미화 속도(L형에서 L형과 D형의 혼합물로 전환되는 속도)는 회전율이 느린 조직의 생물학적 샘플, 법의학 샘플 및 지질 퇴적물의 화석 연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 기술은 아미노산 연대 측정으로 알려져 있다.

4. 1. SN1 반응과 라세미화

단분자 치환 반응과 같이 자유 탄소 양이온 중간생성물을 통해 진행되는 치환 반응은 치환기의 비입체특이적 첨가를 유도하여 라세미화를 초래한다.[29] 비대칭 탄소를 가진 유기 화합물이 라세미화되는 반응의 대부분은 중간체로서 3배위 상태의 카르보양이온을 거친다. 카르보양이온 중간체를 거치는 SN1형 친핵성 치환 반응에서는 반응 중심에 광학 활성이 있더라도 카르보양이온 중간체 단계에서 평면 3배위가 되므로, 어느 면에서든 친핵체가 공격할 수 있어 치환 생성물의 ee(거울상 이성질체 과잉)는 기질보다 낮아진다. 중간체의 카르보양이온이 자유로우면 ee는 소실된다.[14]

4. 2. 카르보양이온 및 카르바니온 중간체

단분자 치환 반응과 같이 자유 탄소 양이온 중간생성물을 통해 진행되는 치환 반응은 치환기의 비입체특이적 첨가를 유도하여 라세미화를 초래한다.[30] 카르보양이온 중간체를 거치는 SN1형 친핵성 치환 반응에서는 반응 중심에 광학 활성이 있더라도 카르보양이온 중간체 단계에서 평면 3배위가 되므로, 친핵체가 양쪽 면에서 공격할 수 있어 치환 생성물의 광학 순도(ee)는 기질보다 낮아진다. 중간체의 카르보양이온이 자유로우면 광학 순도는 완전히 사라진다. 탈리된 음이온이 용매 우리 안에 머무르거나, SN2형 반응과 함께 일어나는 경우에는 광학 순도가 부분적으로 남는다.

단분자 지방족 친전자성 치환 반응에서 카르바니온이 평면이거나 피라미드 구조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항상은 아니지만 라세미화가 일어난다.[30] 카르바니온 중간체를 거치는 탈리-부가형 치환 반응에서는, 카르바니온이 3배위이면서도 비공유 전자쌍이 배위점을 하나 차지하는 사면체 구조를 가지므로, 라세미화 속도는 카르바니온의 입체 반전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광학 활성인 아미노산에 강염기를 작용시키면, α위의 수소 원자가 제거된 카르바니온으로 바뀌어 그 상태에서 반전이 일어나기 때문에, 다시 수소 원자가 결합된 아미노산에서는 라세미화가 일어난다.

5. 생물학적 중요성

대부분의 생화학 반응은 입체선택적이어서 하나의 입체 이성질체만 반응에 참여하고 다른 하나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생물체는 일반적으로 아미노산의 L형, (주로 포도당)의 D형을 사용한다. 이는 호모키랄성의 한 예이다.[20]

세균D-아미노산을 생성하여 세포벽을 구성하는데, 이는 펩티데이스에 의한 소화를 억제한다. 세균의 D-아미노산은 mRNA 번역 대신 세균의 효소에 의해 합성된다.[20]

5. 1. 의약품과 라세미화

대부분의 생화학 반응은 입체선택적이어서 화합물의 다른 거울상 이성질체가 사람에게 다른 특성과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많은 향정신성 약물들은 이성질체 간에 다른 활성 또는 효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암페타민은 보통 라세미염으로 전환되는 반면 보다 활성이 높은 덱스트로암페타민은 난치성 사례 또는 더 심각한 적응증에 사용된다. 메타돈의 이성질체 중 하나는 오피오이드 작용제로서 활성을 가지며 다른 이성질체는 NMDA 수용체 길항제로서 활성을 갖는다.[21]

의약품의 라세미화는 생체 내에서 일어날 수 있다. 탈리도마이드의 (''R'') 거울상 이성질체는 입덧에 효과적인 반면, (''S'') 거울상 이성질체는 임신 초기 3개월 내 복용시 선천적 기형을 유발한다.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만 사람에게 투여되는 경우 나중에 혈청에서 두 형태 모두 발견될 수 있다.[22] 따라서 이 약물은 가임기 여성이 사용하기에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며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만 그 사용은 엄격하게 통제된다.[23][24] 탈리도마이드는 다발성 골수종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25]

이부프로펜은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로는 항염증제이고, 다른 하나의 이성질체는 생물학적으로 불활성이다. (''S'') 입체 이성질체는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는 항우울제인 시탈로프람(셀렉사)의 (''R'') 거울상 이성질체가 활성인 것보다 훨씬 더 반응성이 크다.[26][20][27] 따라서 약물의 입체배치적 안정성은 제약 연구에서 관심 분야이다.[28]

5. 2. 라세마아제

이성질화 효소의 일종으로, 아미노산이나 카복실산의 라세미화를 촉매하는 효소이다. 아미노산에서는 L체만이 생화학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D체 아미노산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생물도 있으며, 이들은 이성질화 효소로서 라세마아제를 가지고 있다.[20] 그 외, 카복실산을 기질로 하는 라세마아제도 알려져 있다.

6. 광학 활성의 발견

1843년에 루이 파스퇴르포도주에서 발견되는 파라타르타르산(라세미산)에서 광학 활성을 발견했다. 파스퇴르는 편광된 빛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두 가지 거울상 이성질체 결정을 분리할 수 있었다.[26]

7. 아미노산 연대 측정

라세미화 속도는 회전율이 느린 조직의 생물학적 시료, 법의학 시료 및 지질 퇴적물의 화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이 기술은 아미노산 연대 측정법으로 알려져 있다.[1]

일반적으로 아미노산 L체만이 생화학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D체 아미노산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생물도 있으며, 이성질화 효소의 일종으로 라세마아제를 가지고 있다.

라세미화는 생물이 죽은 후에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화석의 연대 측정 등에 사용된다. 생체 시료나 법의학의 연령 추정에도 사용되며, 특히 치아 속의 상아질 중의 D-아스파르트산은 노화와 상관관계가 매우 높아, 법의학의 연령 감정에 이용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6.7: Optical Activity and Racemic Mixtures https://chem.librete[...] 2022-11-16
[2] 논문 The significance of chirality in drug design and development
[3] 서적 Organic chemistry Cengage Learning 2017
[4] 논문 Racemic drugs: racemic mixture, racemic compound, or pseudoracemate? https://sites.ualber[...] 1998
[5] 서적 Fundamentals of Biochemistry: Life at the Molecular Level John Wiley & Sons
[6] 논문 Levoamphetamine and dextroamphetamine: comparative efficacy in the hyperkinetic syndrome. Assessment by target symptoms 1972-12
[7] 논문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thalidomide
[8] 뉴스 Thalidomide Approved to Treat Leprosy, With Other Uses Seen https://www.nytimes.[...] 2012-01-08
[9] 웹사이트 Use of thalidomide in leprosy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04-22
[10] 논문 Thalidomide in multiple myeloma 2006-12
[11]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W. H. Freeman
[12] 논문 "[Escitalopram and citalopram: the unexpected role of the R-enantiomer]"
[13] 서적 Stereochemical Aspects of Drug Action and Disposition
[14] 서적 Introduction to 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Maxwell MacMillan
[15] 서적 Advanced Organic Chemistry: reactions, mechanisms, and structure John Wiley & Sons
[16] 웹인용 6.7: Optical Activity and Racemic Mixtures https://chem.librete[...] 2022-11-16
[17] 논문 The significance of chirality in drug design and development
[18] 서적 Organic chemistry Cengage Learning 2017
[19] 논문 Racemic drugs: racemic mixture, racemic compound, or pseudoracemate? https://sites.ualber[...] 1998
[20] 서적 Fundamentals of Biochemistry: Life at the Molecular Level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1] 논문 Levoamphetamine and dextroamphetamine: comparative efficacy in the hyperkinetic syndrome. Assessment by target symptoms 1972-12
[22] 논문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thalidomide
[23] 뉴스 Thalidomide Approved to Treat Leprosy, With Other Uses Seen https://www.nytimes.[...] 2012-01-08
[24] 웹인용 Use of thalidomide in leprosy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04-22
[25] 논문 Thalidomide in multiple myeloma 2006-12
[26]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 H. Freeman
[27] 논문 "[Escitalopram and citalopram: the unexpected role of the R-enantiomer]"
[28] 서적 Stereochemical Aspects of Drug Action and Disposition
[29] 서적 Introduction to 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Maxwell MacMillan
[30] 서적 Advanced Organic Chemistry: reactions, mechanisms, and structure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