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까이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까이성은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성으로, 면적은 6,364.25km²이다.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10월부터 3월까지 건조하고 추운 기후, 4월부터 9월까지는 열대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홍강을 비롯한 많은 강이 흐르며, 베트남 최고봉인 판시판 산이 위치해 있다. 라오까이성은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농업, 임업, 국경 무역,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20개 이상의 소수 민족이 거주하며, 특히 사파는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까이성 - 사빠
사파는 베트남 북서부에 위치한 프랑스 식민지 시대 휴양지이자 현재 주요 관광지로, 히말라야 산맥의 동쪽 끝자락인 호앙리엔선 산맥에 위치하며 다양한 소수 민족이 거주하고, 호앙리엔 국립공원을 포함하여 생물학적 가치가 높다. - 베트남 서북부 지방 - 호아빈성
호아빈성은 베트남 북서부에 위치한 성으로 므엉족을 비롯한 다양한 민족이 고유한 문화를 이루며 살아가고, 농업, 임업, 수산업이 주요 산업이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문화 유적지를 바탕으로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 베트남 서북부 지방 - 선라성
선라성은 베트남 북서부에 위치한 성으로, 과거 코브라 왕국에 속했으며 프랑스 식민 시대 행정 구역 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다양한 민족과 문화 유산을 보유하며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최근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 라오까이성의 지리 - 바오옌현
바오옌현은 베트남 라오까이성에 위치한 현으로, 포랑 시진에 현청이 있으며 1개의 시진과 17개의 사로 구성되어 있고 포랑 지역은 연평균 최저 기온 20.3°C, 평균 기온 23.0°C, 평균 최고 기온 27.7°C이며, 연간 강수량은 1625.6mm이다. - 라오까이성의 지리 - 바오탕현
바오탕현은 라오까이성에 위치하며 리 왕조 시대에 설립되어 오랜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현으로, 폴루 시진을 현청 소재지로 3개의 시진과 11개의 사로 구성되어 있다.
라오까이성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라오까이 |
종류 | 성 |
위치 | 서북부 |
수도 | 라오까이 |
면적 | 6364.25 km² |
인구 (2023년) | 781,103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도시 인구 | 181,019명 |
소수 민족 | 베트남인(킨족): 33.78% 몽족: 25.08% 타이족: 14.83% 자오족: 14.24% 자이족: 4.53% 기타: 7.54% |
GDP | 43조6340억 동 18억9500만 달러 |
인간 개발 지수 (HDI) (2020년) | 0.687 (47위) |
시간대 | ICT (+7) |
지역 번호 | 214 |
ISO 코드 | VN-02 |
우편 번호 | 31xx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행정 | |
행정 구역 | 1개의 시, 7개의 군, 1개의 읍 |
인민위원회 의장 | 응우옌 반 빈 (Nguyễn Văn Vịnh) |
인민위원회 위원장 | 찐 쑤언 쯔엉 (Trịnh Xuân Trường)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라오까이 성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라오까이성은 베트남 북부에 위치하며, 면적은 6364.25km2이다.[1] 하장성, 옌바이성, 라이쩌우성과 경계를 접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과 국경선을 맞대고 있다.[11] 성도인 라오까이시는 홍강과 그 지류인 남티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 허커우와 마주보고 있어 국경 교역이 활발하며, 하노이와 쿤밍을 잇는 쿤허선 국제열차가 이곳을 통과하여 중국으로 향한다.
이 지역은 산악 지형이 특징이다. 성 북서부에는 베트남 최고봉인 판시빵 산(해발 3143m)이 솟아 있으며, 겨울철에는 눈으로 덮이기도 한다. 이 산은 호앙리엔선 산맥과 호앙리엔 국립공원 내에 위치한다.[11] 사파 산맥은 성의 서쪽 부분을 형성한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개발된 사파는 고산 지대에 위치한 마을로, 서늘한 기후 덕분에 피서지로 알려져 있으며, 흐몽족 등 다양한 소수 민족 마을을 방문하는 트레킹 기지로도 유명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라오까이성에는 100개가 넘는 강이 흐르며, 주요 수자원으로는 베트남 북부에서 가장 중요한 강인 홍강이 있다. 홍강은 중국에서 발원하여 라오까이성을 따라 약 130km를 흐른 뒤 하노이를 거쳐 통킹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그 외 주요 강으로는 차이강과 남티강이 있다. 성의 대부분은 울창한 숲으로 덮여 있다.[11] 지하수 자원은 약 44억 4800만 입방미터로 추정되며, 4개의 광천수가 존재한다.[12]
2. 1. 기후
이 성은 대부분 산악 지형으로, 10월부터 3월까지 건조하고 추운 기후를 보이며, 열대 몬순은 4월부터 9월까지 지속되는 우기이다. 연평균 기온은 23°C이다. 일반적으로 저지대 지역의 기온은 18°C에서 28°C 사이이고, 고지대 지역은 20°C에서 22°C 사이이다. 그러나 사파 타운에서는 기온이 0°C 이하로 떨어지며 눈이 내리기도 한다. 안개와 서리는 이 성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5][11]
2. 2. 토양
라오까이성에는 10개의 주요 토양군이 30개 범주로 나뉘어 있으며, 이는 다시 10개의 토지군으로 구분된다. 주요 토지군은 다음과 같다.[12]- 충적군: 홍강을 따라 분포하며, 전체 토지 면적의 1.47%를 차지한다. 식량 작물과 수목 재배에 적합하다.[12]
- 산화토: 토지 면적의 40%를 차지하며, 일반적으로 붉은 갈색을 띤다. 해발 900m 미만 지역에 분포하며, 연작 및 상업 작물에 적합한 비옥한 토양이다.[12]
- 적황색 토양: 사파, 므엉크엉, 박하, 밧삿 지역의 토지 면적 30%를 덮고 있다. 약용 식물, 과수 및 채소 재배에 적합하다.[12]
- 부식토: 사파 지역을 중심으로 토지 면적의 11.42%를 차지하며, 혼합림이 울창하게 덮여 있다.[12]
- 변색된 산화토: 토지 면적의 2%를 차지하며, 벼농사로 인해 변색되었다. 박하와 사파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계단식 논 풍경을 형성한다.[12]
2. 3. 광물 자원
이 성은 풍부한 광물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30가지 종류의 광물이 확인되었고 매장량도 풍부하다. 주요 유가 광물 매장량은 다음과 같다: 구리 (5300만ton), 몰리브덴 (1500만ton), 인회석 및 철 (25억ton). 이 성에는 다양한 광물을 채굴하는 150개의 광산이 있다.[12]3. 역사
라오까이는 고대부터 역사적인 무역 거점으로 알려져 왔다. 이곳에서는 중국인, 베트남인, 그리고 이 지역의 소수 민족들이 지역의 지배권을 두고 경쟁했다. 1463년, 레 왕조는 라오까이를 가장 북쪽 지역의 수도로 삼았고, 당시에는 흥호아라고 불렀다. 1889년 프랑스 식민 통치하에 들어가면서 행정 도시이자 군사 기지 역할을 했다. 19세기 초에는 하노이에서 이곳까지 첫 번째 철도가 건설되었는데, 완공까지 7년이 걸렸고 이 과정에서 징집된 베트남인 노동자 25,000명이 희생되었다.[17]
1978년 말, 베트남은 크메르 루주 정권의 지속적인 국경 공격과 학살에 대응하여 캄보디아를 침공했다. 크메르 루주의 동맹국이었던 중국은 캄보디아에서 베트남군을 철수시키고 "베트남에게 교훈을 주겠다"는 명분으로 1979년 북베트남을 침공했다. 이 공격은 20만에서 60만 명에 이르는 인민해방군 병력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북서부의 파소(옛 폰토)에서부터 까오방, 랑선까지의 영토를 점령했다. 당시 베트남군의 주력 부대는 캄보디아에 주둔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군은 주로 베트남 민병대와 지역 국경 부대를 상대로 전투를 벌였고 상당한 사상자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도시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중국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하노이로 가는 길이 열렸다'며 '징벌 임무를 완수했다'고 주장하며 완전 철수를 결정했다. 그러나 중국 국경으로 돌아가는 길에 인민해방군은 지역의 기반 시설과 가옥을 파괴하고 가축을 포함한 장비와 자원을 약탈하여, 이미 전쟁으로 불안정했던 베트남 최북단 지방의 경제를 더욱 약화시켰다. 인민해방군은 3월 16일에 완전히 철수했다. 전쟁 후 양측 모두 승리를 선언했는데, 중국은 '임무가 성공적'이었다고 주장했고 베트남은 중국의 침공을 성공적으로 격퇴했다고 주장했다. 이 침공 이후 중국과의 국경은 수년간 폐쇄되었으며, 라오까이시는 중국군에 의해 크게 파괴되었다. 또한 전쟁 중 매설된 지뢰로 인해 중국과의 국경 지대에서는 계속해서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18][19]
홍강을 따라 위치한 라오까이의 국경 도시이자 성도는 현재 중국과의 무역으로 번영하며 백만장자 커뮤니티가 있는 번화한 도시로 성장했다. 2006년부터 라오까이는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2020년까지 공항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17][20]
4.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
(1k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