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파엘 에르난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파엘 에르난데스는 푸에르토리코 출신의 작곡가로, 1892년 아구아디야에서 태어나 1965년 사망했다. 그는 12세에 음악을 시작하여 시립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프랑스 무공 훈장을 받았다. 이후 뉴욕에서 트리오 보린카노를 결성하고 쿠바, 멕시코 등지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작곡했다. 대표곡으로는 "라멘토 보린카노", "프레시오사" 등이 있으며, 푸에르토리코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공항, 학교 등이 그의 이름으로 명명되었으며, 사후 국제 라틴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에르토리코의 작곡가 - 노로 모랄레스
    노로 모랄레스는 푸에르토리코 출신의 음악가로, 맘보와 룸바 분야에서 피아니스트이자 밴드 리더로 활동하며 큰 영향을 미쳤고, 브라더스 모랄레스 오케스트라를 결성하여 뉴욕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맘보 음악의 이정표 앨범 발매, 룸바 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며 히트곡을 남겼다.
  • 푸에르토리코의 작곡가 - 루이스 폰시
    푸에르토리코의 가수, 작곡가, 배우인 루이스 폰시는 1998년 데뷔 후 "Despacito"의 세계적인 성공으로 국제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라틴 팝의 대표적인 아이콘이자 세인트 주드 아동 연구 병원 홍보대사로 활동하고 있다.
  •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제임스 M. 케인
    제임스 M. 케인은 미국의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 저널리스트로, 《우편배달부는 두 번 벨을 울린다》, 《이중 배상》 등의 필름 누아르 스타일 소설로 명성을 얻었으며 미국 작가 연맹 설립 운동에도 참여했다.
  •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윌리엄 F. 딘
    윌리엄 F. 딘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중장으로, 남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 포로를 잡는 전공과 대전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명예훈장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 중 북한군 포로로 억류되었다가 석방 후 영웅으로 귀환, 예편 후 샌프란시스코에 안장되었고 제주 4.3 사건 당시 미군정의 역할도 수행했다.
  • 20세기 작곡가 - 에프렘 짐발리스트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지휘자, 음악 교육자인 에프렘 짐발리스트는 레오폴트 아우어의 제자로서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명성을 얻었고 커티스 음악원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며 은퇴 후에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심사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 20세기 작곡가 - 디지 길레스피
    디지 길레스피는 미국의 재즈 트럼펫 연주자, 밴드 리더, 작곡가로서 찰리 파커와 함께 비밥이라는 새로운 재즈 스타일을 창시하고 아프로-쿠반 재즈 발전에도 기여했으며, 구부러진 트럼펫과 볼이 부풀어 오르는 연주 모습으로도 유명하다.
라파엘 에르난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라파엘 에르난데스
라파엘 에르난데스
본명라파엘 에르난데스 마린
출생1892년 10월 24일
출생지아과디야, 푸에르토리코 자치령
사망1965년 12월 11일
사망지산후안, 푸에르토리코
직업작곡가
장르칸시온
볼레로
과라차
라멘토
소속 그룹
과거 소속 그룹369 연대 군악대
페드로 플로레스 (작곡가)
미르타 실바
빅토리아 에르난데스

2. 생애

라파엘 에르난데스는 1892년 10월 24일 푸에르토리코 아과디야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잎담배 만드는 법을 배우며 생계를 유지했고,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12세 때 산후안의 음악 학교에서 공부했다. 14세에 산후안으로 이주하여 시립 오케스트라에서 연주 활동을 시작했으며, 1913년에는 첫 아이를 얻었다.

1917년 미국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에르난데스는 제임스 리스 유럽이 이끄는 미국 육군 제369보병연대 군악대에 합류하여 유럽에서 연주했다. 이 공로로 프랑스 무공 훈장을 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20년대에 뉴욕에 정착한 에르난데스는 트리오 보린카노를 결성하여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 트리오 보린카노에는 페드로 플로레스도 참여했다.

2. 1. 초기 생애 (1892-1917)

라파엘 에르난데스 마린은 1892년 10월 24일, 푸에르토리코 아과디야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마리아 에르난데스 마린과 미겔 앙헬 로사였으나, 그는 어머니의 성만 물려받았다.[2][3] 어릴 때 그는 담배 제조 기술을 배워 약간의 수입을 얻었다. 그는 또한 음악을 사랑하게 되었고, 부모에게 정식 음악 학생이 되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12세가 되던 해 에르난데스는 호세 루엘란 레케니카와 헤수스 피게로아 음악 교수의 지도하에 푸에르토리코 산후안에서 음악을 공부했다. 그는 클라리넷, 튜바, 바이올린, 피아노, 기타를 포함한 많은 악기를 연주하는 법을 배웠다.[4] 14세에 그는 코콜리아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했다. 에르난데스는 산후안으로 이사하여 마누엘 티졸 감독 아래 시립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했다. 1913년, 에르난데스는 아나 본과의 사이에서 첫 아이인 안토니오 에르난데스를 얻었다(사생아).

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오케스트라 유럽 (1917-1919)

1917년, 에르난데스는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음악가로 활동하고 있었는데, 그 해에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재즈 밴드 리더인 제임스 리스 유로프는 라파엘과 헤수스 에르난데스 형제를 포함한 16명의 푸에르토리코인들을 모집하여 미국 육군의 할렘 헬 파이터스(Harlem Hellfighters) 음악대에 합류시켰다. 그는 입대하여 미국 제369보병연대(이전에는 뉴욕 주 방위군 제15보병연대, 1913년 6월 2일 뉴욕시 창설)에 배속되었다.[5] 이 연대는 독일군에게 "할렘 헬 파이터스"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프랑스에서 복무했다. 에르난데스는 오케스트라 유로프와 함께 유럽을 순회했다. 제369연대는 프랑스 대통령으로부터 전장에서의 용맹함을 인정받아 프랑스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5]

2. 3. 쿠바와 멕시코에서의 활동 (1919-1937)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미국으로 돌아온 에르난데스는 길고 강렬한 예술 창작 및 공연 활동을 시작했다. 럭키 로버츠 밴드의 일원으로서 미국 첫 음악 투어를 했다. 이후 쿠바로 이주하여 하바나의 파우스트 극장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6] 1925년[6] 뉴욕으로 이주하여 노래를 쓰기 시작했고 "트리오 보린카노"를 결성했다. 1926년 푸에르토리코 출신 작곡가 페드로 플로레스가 트리오에 합류했다. 에르난데스와 플로레스는 좋은 친구였지만, 곧 각자의 길을 걸으며 예술적으로 경쟁했다. 트리오 해체 후, 에르난데스는 "라 구아라체라"와 "라 고르다 데 오로"로 알려진 가수 미르타 실바를 포함한 "콰르테토 빅토리아"라는 4인조를 결성했다. 두 그룹과 함께 미국과 라틴 아메리카 전역을 여행하며 그의 음악을 연주했다.[7] 1927년 9월 2일, 에르난데스의 여동생 빅토리아는 오빠를 위한 공연 기획사 및 운영 기지 역할을 하는 음악 상점 카사 에르난데스를 열었다.[5] 1929년 트리오 보린켄은 ''린다 키스케야''(원래 ''린다 보린켄'')를 녹음했고, 같은 해에 여동생의 이름을 딴 "콰르테토 빅토리아"(일명 "엘 콰르테토 리코")를 설립했다.[5]

1932년 멕시코로 이주한 에르난데스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멕시코 국립 음악원에 입학하여 음악 지식을 넓혔다. 또한 멕시코 영화 "황금기"에 배우로 참여하고 음악 악보를 구성했다. 그의 아내는 멕시코인이다.[10]

2. 4. "라멘토 보린카노"와 "프레시오사" (1937-1947)

1937년, 에르난데스는 "라멘토 보린카노"를 작곡했다. 같은 해, "프레시오사"도 작곡했다. 1947년, 푸에르토리코로 돌아와 정부 소유 WIPR 라디오의 오케스트라 지휘자가 되었다.[8]

2. 5. 푸에르토리코 귀환과 말년 (1947-1965)

에르난데스는 작가 및 작곡가 협회의 명예 회장이었으며, 푸에르토리코에서 리틀 리그 야구의 창시자이기도 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그에게 "미스터 쿰반체로"라는 칭호를 부여했다.[4]

1965년 12월 11일, 푸에르토리코 국민 은행(Banco Popular)이 그를 기리는 TV 특별 프로그램을 제작한 직후, 에르난데스는 산후안에서 사망했다. 그는 이 프로그램에서 마지막으로 국민들에게 연설했다. 이 특별 프로그램은 모든 TV 채널과 대부분의 섬 라디오 방송국에서 동시 방송되었으며, 2007년 5월 13일에 재방송되었다. 라파엘 에르난데스의 유해는 구 산후안의 산타 마리아 막달레나 데 파시스 묘지에 안장되었다.

3. 유산

푸에르토리코는 공공 건물, 도로, 학교의 이름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여 그의 업적을 기렸다. 아구아디야의 공항은 라파엘 에르난데스 공항으로 명명되었다. 뉴욕, 보스턴, 뉴저지주 뉴어크에는 라파엘 에르난데스의 이름을 딴 학교가 있다. 유명한 푸에르토리코 조각가 토마스 바티스타는 에르난데스의 조각상을 만들었으며, 이 조각상은 푸에르토리코 바야몬에 있다. 그의 작품을 보관하고 있는 푸에르토리코 인터아메리카 대학교는 산후안의 메트로폴리탄 캠퍼스에서 그의 아들 알레한드로 (찰리) 에르난데스가 운영하는 작은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뉴욕시의 에르난데스 하우스 주택 단지는 라파엘 에르난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전 상원의원 루시 아르세의 요청에 따라 토마스 리베라 샤츠의 첫 번째 임기 하에 푸에르토리코 상원은 작곡가의 실물보다 큰 동상과 그의 '''Lamento Borincano'''를 기리는 말을 탄 푸에르토리코 히바로의 동상이 있는 라파엘 에르난데스 광장을 건설했다. 공원은 산후안의 '''파세오 데 라 코바동가'''의 가장 동쪽에 위치해 있다.

푸에르토리코 가수 마크 앤서니는 에르난데스의 "Preciosa"를 녹음하여 2005년 뉴욕시의 매디슨 스퀘어 가든 콘서트에서 이 노래를 불렀다. ''뉴욕 타임스'' 기사에 따르면:

1969년, 푸에르토리코 배우 올란도 로드리게스는 멕시코 배우 훌리안 솔러가 감독한 전기 영화 ''El Jibarito Rafael''에서 에르난데스를 연기했다.[12]

1999년, 에르난데스는 사후에 국제 라틴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3]

2001년 3월 23일, 에르난데스의 예약 사무소이자 운영 기지였던 음악 상점 카사 에르난데스는 "카사 아마데오, 안티구아 카사 에르난데스"로 국립 사적지 등록부에 등재되었다(참조 번호 #01000244).[14]

2017년, 라파엘 에르난데스는 사후에 푸에르토리코 재향 군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5]

4. 대표곡

라멘토 보린카노(1930년), 프레시오사(1937년) 외에도 "Ahora seremos felices" (이제, 우리는 행복할 것입니다), "Campanitas de cristal" (크리스탈 종), "Capullito de Alhelí" (알레리의 봉오리), "Culpable" (유죄), 엘 쿰반체로[8] (또한 레게 애호가들에게 ''"Rockfort Rock"'' 또는 ''"Comanchero" (sic)''로 알려져 있음), "Ese soy yo" (그것은 나), "Perfume de Gardenias" (가데니아의 향수), 실렌시오 (침묵), "Tú no comprendes" (당신은 이해하지 못한다) 등 3000개 이상의 작품이 있다.

그의 많은 작품들은 Cachita 및 "Buchipluma na' ma"와 같이 쿠바 음악 어법에 강하게 기반을 두고 있어 종종 쿠바 작가의 노래로 오인되기도 하였다.

제목원제발표년도
라멘토 보린카노Lamento Borincanoes1930년
알레리의 봉오리Capullito de Alhelíes1931년
침묵Silencioes1932년
엘 쿰반체로El Cumbancheroes1943년
프레시오사Preciosaes1937년


5. 군사 훈장


  • 프랑스 전공 십자 훈장
  • 제1차 세계 대전 승전 메달

참조

[1] 웹사이트 Music of Puerto Rico http://www.musicofpu[...]
[2] 서적 The African American National Biograph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3] 웹사이트 1910 U. S. Federal Census, Tamarindo, Aguadilla, Puerto Rico https://www.familys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910-04-21
[4] 웹사이트 Rafael Hernandez Puerto Rico's Soul http://www.encyclope[...]
[5] 웹사이트 - The Great Slsa Timeline http://www.salsa-mer[...]
[6] 웹사이트 Rafael Hernández-Marín https://en.enciclope[...]
[7] 웹사이트 Hernandez Marin, Rafael http://www.musicofpu[...]
[8] 기타 "El Cumbanchero" Salsa Mp3· http://soundclick.co[...] Berenguer González, Ramón T.
[9] 학술지 Yo soy del son a la salsa 2000
[10] 웹사이트 History of Puerto Rico http://www.solboricu[...]
[11] 뉴스 Latin Singers who Offer 3 Varieties of Heartthrob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5-09-12
[12] 영화 El Jibarito Rafael
[13] 학술지 International Latin Music Hall of Fame http://laritmo.com/m[...] 1998-12-07
[14] 웹사이트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Registration: Casa Amadeo, antigua Casa Hernandez http://www.oprhp.sta[...] New York State Office of Parks, Recreation and Historic Preservation 2000-11
[15] 웹사이트 Salón de la Fama https://www.opv.pr.g[...]
[16] 문서 후에 인원이 늘어 그루포 빅토리아로 이름을 바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