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숫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숫자는 고대 로마에서 사용된 기수법으로, 7개의 기본 기호(I, V, X, L, C, D, M)를 조합하여 숫자를 표기한다. 각 기호는 1, 5, 10, 50, 100, 500, 1000을 나타내며, 기호를 합산하거나 작은 수를 큰 수의 왼쪽에 표기하는 감산법을 사용하여 수를 표현한다. 로마 숫자는 0을 표기하는 기호가 없으며, 아라비아 숫자와 달리 자리값 표기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덧셈과 뺄셈은 간단하지만 곱셈과 나눗셈은 복잡하다. 과거에는 분수를 표기하기 위해 12진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현대에는 군주, 교황의 이름, 영화 제작 연도, 시계 시각, 건물 건설 연도 등 특정 분야에서 사용되며, 유니코드 문자 집합에도 로마 숫자를 위한 글자가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수학 - 주판
주판은 기원전 27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문명에서 사용된 수 계산 도구로, 현대에는 전자 계산기 사용 증가로 사용이 줄었으나 교육용 및 시각 장애인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 숫자 - 마야 숫자
마야 숫자는 점과 선을 조합하여 0부터 19까지의 숫자를 나타내고 20진법을 사용하여 그 이상의 수를 표현하는 고대 마야 문명의 수 체계로, 마야 달력과 연관되어 있으며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 숫자 - 이집트 숫자
이집트 숫자는 기원전 3100년경부터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10진법 숫자 체계로, 상형 문자를 이용하여 1부터 100만까지의 숫자를 표기했으며, 단위분수를 표현하는 특수 기호와 0과 유사한 '네페르' 기호, 그리고 숫자에 해당하는 고유한 단어를 사용했다. - 로마자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로마자 - 프락투어
프락투어는 16세기 초 막시밀리안 1세 시대에 디자인된 블랙 레터 서체로, 독일어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민족주의와 낭만주의 부흥 시기 안티콰체와의 논쟁을 겪었고, 현재는 장식적 용도로 사용된다.
로마 숫자 | |
---|---|
개요 | |
종류 | 기수법 |
기원 | 고대 로마 |
사용 문화권 | 고대 로마, 유럽 (일부) |
사용 시기 | 기원전 8세기 ~ 현재 |
표기 문자 | 로마 문자 (I, V, X, L, C, D, M) |
값 | |
I | 1 |
V | 5 |
X | 10 |
L | 50 |
C | 100 |
D | 500 |
M | 1000 |
특징 | |
덧셈 방식 | 큰 수부터 나열하여 더하는 방식 |
뺄셈 방식 | 작은 수가 큰 수 앞에 오면 빼는 방식 (예: IV = 4) |
반복 | 같은 문자를 3번까지만 반복 가능 (예: III = 3, IV = 4) |
활용 | |
연도 표기 | 서적 발행 연도, 영화 제작 연도 등 |
순서 표기 | 장, 절, 페이지 번호, 왕의 칭호 등 |
기타 | 시계 문자판, 건축물 명칭 등 |
주의사항 | |
표기 규칙 | 4는 IIII가 아닌 IV로 표기, 9는 VIIII가 아닌 IX로 표기 |
큰 수 표기 | 1,000 이상의 큰 수는 M 위에 가로줄을 그어 1,000배를 나타냄 |
예시 | |
1904 | MCMIV |
2023 | MMXXIII |
2. 기수 체계
로마 숫자는 다음 7개의 기본 기호를 조합하여 수를 나타낸다.[84]
문자 위에 가로줄(상선)을 그으면 1,000배를 뜻한다. 예를 들어 I 위에 가로줄을 그으면 1000(M)을, V 위에 가로줄을 그으면 5,000을, X 위에 가로줄을 그으면 10,000을 뜻한다.[85]
로마 숫자는 각 10의 거듭제곱에 대해 서로 다른 기호를 사용하며, 아라비아 숫자의 자리값 표기법과 달리 0을 나타내는 기호가 없다. 아라비아 숫자는 자리 유지를 위한 0을 사용하여 동일한 숫자가 10의 다른 거듭제곱을 나타낼 수 있지만, 로마 숫자는 그렇지 않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표기법에 어느 정도 유연성이 있었고, 로마 숫자에 대한 공식적이거나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표준은 존재하지 않았다. 사용법은 고대 로마에서 매우 다양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더욱 혼란스러워졌다. 비교적 최근에 "고전적" 표기법이 복원되어 일부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변형된 형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2] 예를 들어 미국 저작권법에서는 로마 숫자로 표기된 발행 연도를 법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며, 이때 부정확하거나 모호한 숫자는 저작권 주장을 무효화하거나 저작권 기간 종료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81]
로마 숫자는 고대 로마에서 성립하여 중세 후기까지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표기법이다. 16세기 무렵부터 아라비아 숫자 표기가 일반화되었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현대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로마 숫자는 기본적으로 십진법에 기반한다. 수를 1000의 자리, 100의 자리, 10의 자리, 1의 자리 순서로 분해하여 왼쪽부터 차례대로 적는다. 이때 값이 0인 자리는 표기하지 않고 비워둔다. 각 자리마다 다른 기호가 사용되지만, 기호를 조합하는 패턴은 동일하다.
각 자리의 수는 기본 기호들의 합으로 분해되어 큰 숫자부터 순서대로 나열된다. 예를 들어 1부터 4까지는 I를 반복하여 나타내고(I, II, III), 5는 V로 나타내며, 6부터 8까지는 V에 I를 더하는 방식(VI, VII, VIII)으로 표기한다. 이는 10의 자리(X, L 사용), 100의 자리(C, D 사용) 등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또한, 작은 값을 나타내는 기호를 큰 값을 나타내는 기호 왼쪽에 적어 빼기를 나타내는 감산법도 사용된다.
이러한 수들은 감산법 없이 IIII(4), VIIII(9) 등으로 표기할 수도 있었지만, 일반적으로는 감산법을 사용한다. 감산법은 주로 4(IV, XL, CD)와 9(IX, XC, CM)를 간결하게 표기할 때 사용되며, 그 외의 경우(예: 8을 IIX로 표기)나 자릿수 규칙을 어기는 표기(예: 45를 VL, 999를 IM으로 표기)는 일반적이지 않다. (예외는 이형 표기 참조)
이상의 규칙을 바탕으로 1부터 9까지의 수와 그 10배, 100배, 그리고 1000, 2000, 3000은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1 | ×10 | ×100 | ×1000 | |
---|---|---|---|---|
1 | I | X | C | M |
2 | II | XX | CC | MM |
3 | III | XXX | CCC | MMM |
4 | IV | XL | CD | 4000 이상은 아래 큰 숫자 표기법 참조. |
5 | V | L | D | |
6 | VI | LX | DC | |
7 | VII | LXX | DCC | |
8 | VIII | LXXX | DCCC | |
9 | IX | XC | CM |
이 기호들을 조합하여 1부터 3999까지의 값을 표현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일반적인 패턴으로는 4000 이상의 숫자를 나타내기 어렵다. 또한, 로마 숫자에는 '''0을 나타내는 기호가 없다'''. 따라서 0의 값이 들어가는 자릿수는 표기하지 않고 그대로 비워둔다.
로마 숫자는 정수 표기에는 십진법을 사용하지만, 소수 표기에는 십이진법을 적용하기도 했다. 이 경우 1/12 또는 1/144 단위의 소수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소수 3/12(=1/4)는 점 3개(···), 6/12(=1/2)는 S, 9/12(=3/4)는 S와 점 3개(S···) 등으로 표기하는 방식이 있었다.
다음은 로마 숫자로 수를 표기하는 예시이다.
숫자 | 분해 | 로마 숫자 표기 |
---|---|---|
12 | 10 + 2 | X + II = XII |
24 | 20 + 4 | XX + IV = XXIV |
42 | 40 + 2 | XL + II = XLII |
49 | 40 + 9 | XL + IX = XLIX |
89 | 50 + 30 + 9 | L + XXX + IX = LXXXIX |
299 | 200 + 90 + 9 | CC + XC + IX = CCXCIX |
302 | 300 + 2 | CCC + II = CCCII (10의 자리는 0이므로 표기하지 않음) |
493 | 400 + 90 + 3 | CD + XC + III = CDXCIII |
1960 | 1000 + 900 + 50 + 10 | M + CM + L + X = MCMLX (1의 자리는 0이므로 표기하지 않음) |
3999 | 3000 + 900 + 90 + 9 | MMM + CM + XC + IX = MMMCMXCIX |
라틴어에서는 수가 단독으로 쓰일 때와 접두사로 쓰일 때 부르는 방식이 달랐다. 다음의 표는 1에서 12까지의 수 이름이다.[86]
로마 숫자는 기본적으로 기호를 더해서 값을 나타내는 가법적 기수법이다.[87] 예를 들어, I 세 개는 III (3)이 되고, LV는 L (50)과 V (5)를 더해 55를 나타낸다. 로마 숫자에는 0을 나타내는 기호가 없다.
손으로 쓸 때는 대문자 로마 숫자의 위아래 세리프를 연결하여 쓰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V"는 위쪽 세리프를 연결하여 역삼각형(▽)처럼 쓰기도 한다. 소문자 로마 숫자는 보통 세리프 없이 쓴다.
3. 이름
숫자 값 수 이름 접두사 I 1 unus|우누스la uni|우니la II 2 duo|두오la bi/duo|비/두오la III 3 tres/tria|트레스/트리아la tri|트리la IV 4 quatuor|콰투오르la quadri/quint|콰드리/퀸트la V 5 quinque|퀸퀘la quintal|퀸탈la VI 6 sex|섹스la sex(t)/se|섹스(트)/세la VII 7 septem|셉템la sept|셉트la VIII 8 octo|옥토la oct|옥트la IX 9 novem|노벰la nonus/novem|노누스/노벰la X 10 decem|데쳄la dec(a)/de|데크(데카)/데la XI 11 undecim|운데침la undec/unde|운테크/운데la XII 12 duodecim|두오데침la duodec/duode|두오데크/두오데la
50은 quinquaginta|퀸콰진타la, 100은 centum|첸툼la, 1000은 mille|밀레la라고 불렀다.[86] 라틴어의 수 이름은 오늘날에도 유럽의 각 언어에서 흔하게 쓰인다. 예를 들어 12월에 해당하는 영어 December영어는 로마 달력의 열 번째 달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 것이다. 1,000년을 단위로 하는 밀레니엄 역시 로마 숫자의 명칭에서 비롯된 것이다.
4. 표기법
시간이 지나면서 표기를 간결하게 하기 위해 뺄셈 표기법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는 V(5), X(10), C(100)와 같은 큰 수 앞에 I와 같은 작은 수를 놓아, 큰 수에서 작은 수를 뺀 값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4는 초기에 IIII로 쓰였으나 나중에는 IV (V(5) - I(1))로 널리 쓰이게 되었다.[88][89] 마찬가지로 9는 IX (X(10) - I(1))로 표기한다. 이러한 뺄셈 표기법은 40 (XL), 90 (XC), 400 (CD), 900 (CM) 등에도 적용된다.[6]
로마 숫자는 각 10의 거듭제곱마다 다른 기호를 사용하며, 아라비아 숫자의 자리값 표기법과 달리 0을 나타내는 기호가 없다. 이 때문에 표기 방식에 어느 정도 유연성이 있었고, 고대 로마 시대부터 사용 방식이 매우 다양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더욱 혼란스러워지기도 했다. 공식적이거나 보편적으로 인정된 표준 표기법은 존재하지 않았다.[2] 현대에는 비교적 표준화된 표기법이 주로 사용되지만, 여전히 다양한 변형 표기가 나타나기도 한다.[2] 때로는 미국 저작권법의 사례처럼 로마 숫자가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표현으로 간주될 수도 있어, 부정확하거나 모호한 표기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3]
4. 1. 표준 표기법
로마 숫자는 기본적으로 기호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조합되는 가법적 기수법(加法的 記數法)이다.[87] 예를 들어 I가 세 개면 III (3)이고, 55는 L (50) + V (5) = LV (55)와 같이 표기된다. 로마 숫자에는 0에 대한 표기 방법이 없다.
시간이 지나면서 더 간결한 표기를 위해 뺄셈 표기법이 개발되었다. 뺄셈 표기법은 V(5), X(10), C(100)와 같은 큰 수 앞에 I와 같은 작은 수를 놓아 큰 수에서 작은 수를 뺀 값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초기에는 4를 IIII로 널리 썼으나 이후에는 IV가 널리 사용되었다. 이 경우 IV는 V(5) - I(1) = 4를 의미한다.[88][89] 뺄셈 표기법은 40(XL), 90(XC), 400(CD), 900(CM)에도 사용된다.[5][6] 이것들이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유일한 뺄셈 형식이다.
로마 숫자는 십진법에 기반한다. 수를 10의 거듭제곱 단위, 즉 1000의 자리, 100의 자리, 10의 자리, 1의 자리로 분해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적는다. 각 자리에 해당하는 로마 숫자를 조합하며, 값이 0인 자리는 표기하지 않고 비워둔다. 다음 표는 각 십진법 자릿수를 로마 숫자로 표기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보여준다.[4]
천 단위 | 백 단위 | 십 단위 | 일 단위 | |
---|---|---|---|---|
1 | M | C | X | I |
2 | MM | CC | XX | II |
3 | MMM | CCC | XXX | III |
4 | CD | XL | IV | |
5 | D | L | V | |
6 | DC | LX | VI | |
7 | DCC | LXX | VII | |
8 | DCCC | LXXX | VIII | |
9 | CM | XC | IX |
둘 이상의 십진법 자릿수를 포함하는 숫자는 각 자리에 해당하는 로마 숫자를 가장 높은 자리부터 가장 낮은 자리 순서로 나열하여 구성한다.
- 39 = XXX (30) + IX (9) = '''XXXIX'''
- 246 = CC (200) + XL (40) + VI (6) = '''CCXLVI'''
- 789 = DCC (700) + LXXX (80) + IX (9) = '''DCCLXXXIX'''
- 2,421 = MM (2000) + CD (400) + XX (20) + I (1) = '''MMCDXXI'''
값이 0인 자리는 표기하지 않는다.
- 160 = C (100) + LX (60) = '''CLX'''
- 207 = CC (200) + VII (7) = '''CCVII'''
- 1,009 = M (1000) + IX (9) = '''MIX'''
- 1,066 = M (1000) + LX (60) + VI (6) = '''MLXVI'''[7][8]
이 방식으로 표기할 수 있는 가장 큰 숫자는 3,999 ('''MMMCMXCIX''')이다. 이는 오늘날 연도 표기 등 로마 숫자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는 충분하다.
- 1776 = M (1000) + DCC (700) + LXX (70) + VI (6) = '''MDCCLXXVI''' (자유의 여신상이 들고 있는 책에 쓰인 날짜).
- 1918 = M (1000) + CM (900) + X (10) + VIII (8) = '''MCMXVIII''' (스페인 독감 유행 첫 해)
- 1944 = M (1000) + CM (900) + XL (40) + IV (4) = '''MCMXLIV''' (1954년 영화 ''파리를 마지막으로 본 날''의 저작권 표기 오류)[3]
고대 로마에서 성립하여 중세 후기까지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표기법이지만, 이를 규정하는 공식적인 혹은 널리 알려진 표준 표기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4. 2. 이형 표기
표준적인 로마 숫자 표기법 외에도 다양한 변형 표기법이 존재한다.[87] 원래 로마 숫자는 시간이 흐르면서 표기법이 변해왔고, 엄격하게 통일된 규칙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 덧셈 표기법의 지속적 사용 ===
뺄셈 표기법 (IV, IX, XL, XC, CD, CM)이 표준으로 자리 잡았지만, 덧셈 표기법 역시 오랫동안 함께 사용되었다.
- 4와 9의 표기: 로마 시대부터 4를 IV, 9를 IX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5] 4를 IIII,[10] 9를 VIIII[9]로 표기하는 덧셈 방식도 꾸준히 사용되었다. 이는 24를 XXIIII,[10] 74를 LXXIIII[11] 등으로 표기하는 복합 숫자에서도 나타난다.
- 40, 90, 400, 900의 표기: 40을 XXXX,[13] 90을 LXXXX,[13] 400을 CCCC,[12] 900을 DCCCC[14]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 표기법 혼용: 하나의 문서나 비문, 심지어 같은 숫자 안에서도 덧셈 표기법과 뺄셈 표기법이 혼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콜로세움의 문 번호는 4를 IIII로 일관되게 사용했지만, 40은 XL로 표기하여 44번 문은 XLIIII로 표시되었다.[15][16]
- 5와 50의 변형: 묘비 등에서는 5를 V 대신 IIIII, 50을 L 대신 XXXXX로 쓰기도 했으며, 드물게 6을 IIIIII, 60을 XXXXXX로 표기한 사례도 있다.[17][18]
- 시계 문자반: 현대의 시계 문자반에서도 4시를 IIII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14세기 웰스 대성당 시계[19][20][21] 등 초기 시계에서부터 나타나는 전통이다. 하지만 빅 벤처럼 4시를 IV로 표기하는 시계도 있어[20] 절대적인 규칙은 아니다. IIII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나(예: 유피테르(IVPITER)의 첫 두 글자를 피하기 위해,[22] VIII과의 시각적 균형 등) 정설은 없다.
- 1900년대 표기: 20세기 초 기념물에서는 1900년대 연도를 MCM 대신 다른 방식으로 표기하기도 했다. 런던의 제독 개선문에는 1910년이 MDCCCCX로,[23] 세인트루이스 미술관에는 1903년이 MDCDIII로 새겨져 있다.[23]

=== 다른 뺄셈 표기법 ===
표준적인 뺄셈 표기법 외에 다른 형태의 뺄셈 표기도 역사적으로 사용되었다.
- IIX (8): 8을 VIII 대신 IIX로 표기한 사례가 있다. 특히 제18군단 소속 군인들은 자신들의 군단 번호(18)를 XIIX로 표기했는데,[24][25] 이는 백부장 마르쿠스 켈리우스(기원전 45년경 – 서기 9년)의 묘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공식 로마 달력인 파스티에서도 다음 칼렌데스까지 남은 18일을 XIIX로, 2월의 28일을 XXIIX로 표기한 예가 있다.[26]
- 기타 뺄셈 표기: 17을 IIIXX,[27] 18을 IIXX,[28] 97을 IIIC,[29] 98을 IIC,[30][31] 99를 IC[32]로 표기한 사례도 발견된다. 이는 라틴어 숫자 표현 방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8은 duodeviginti|두오데비긴티la("20에서 2를 뺀 수"), 98은 duodecentum|두오데켄툼la("100에서 2를 뺀 수"), 99는 undecentum|운데켄툼la("100에서 1을 뺀 수")으로 불렸기 때문이다.[33] 하지만 17(septendecim|셉텐데킴la, "10+7")이나 97(nonaginta septem|노나긴타 셉템la, "90+7")에는 이 설명이 맞지 않는다.
- Microsoft Excel: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의 `ROMAN()` 함수는 "Form" 설정에 따라 499를 표준적인 CDXCIX 외에도 LDVLIV, XDIX, VDIV, ID 등 더욱 간결한(?) 뺄셈 형태로 표현하는 옵션을 제공한다.[34]
=== 기타 비표준 변형 ===


그 외에도 다양한 가산, 곱셈 방식이나 구어 표현을 반영한 변형 표기들이 존재한다. 일부는 당대에도 오류로 간주되었을 수 있다.
- IIXX (22): 제22 데이오타리아 군단 관련자들은 22를 XXII 대신 IIXX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라틴어로 22번째를 뜻하는 일반적인 표현 vice(n)sima secunda|비케(ㄴ)시마 세쿤다la 대신 duo et vice(n)sima|두오 에트 비케(ㄴ)시마la("2와 20번째")라고 말하는 방식 때문일 수 있다.[36] 한 고대 석공은 IIXX를 18로 오해하고 XVIII로 "수정"하기도 했다.[36]
- 연도 표기: 1000년 이후의 연도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표기한 예가 있다. 1613년을 XVIXIII("16, 13")로,[37] 1519년을 XVCXIX("15, 100, 19" - 프랑스어 ''quinze-cent-dix-neuf''와 유사)로 쓴 경우이다.[37]
- 지역별 표현 반영: 15세기 이후 프랑스어 문서에서는 99를 IIIIXXXIX ("네 스무(80) + 19")로 표기한 예가 있는데, 이는 프랑스어 quatre-vingt-dix-neuf|카트르뱅디뇌프프랑스어("네-스물-열-아홉")를 반영한다.[37] 영어 문서에서도 77을 iiixxxvii ("세 스코어(60) + 17")로 표기한 사례가 있다.[38]
- 중세 회계 표기: 1301년 중세 회계 문서에서는 13,573을 XIII. M. V. C. III. XX. XIII ("13×1000 + 5×100 + 3×20 + 13")으로 표기했다.[39]
- 오류 또는 무지: 45를 XLV 대신 VXL로 쓰는 등 일반적인 패턴에서 벗어난 표기는 단순한 실수이거나 작성자가 로마 숫자 체계를 잘 몰랐기 때문일 수 있다.
=== 기타 이표기 ===
- 80을 R, 2000을 Z로 표기한 사례도 있다.
- 분수를 표기하기 위한 기호도 있었다. 예를 들어 1/2은 S, 1/12은 • (점) 등으로 표기했다.
14세기 영어 요리책인 The Forme of Cury|더 폼 오브 큐리영어에서는 4를 IIII, 9를 IX로 표기하면서도 IV 표기도 혼용하는 등, 로마 숫자의 표기법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5. 연산
로마 숫자의 덧셈과 뺄셈은 기호의 가감으로 이루어져 비교적 용이하지만, 위치 기수법이 적용되지 않아 곱셈과 나눗셈은 무척 어려운 편이다.[90]
덧셈의 경우, 주어진 모든 기호를 합하여 표기하면 된다. 예를 들어 CXXII (122)와 LXI (61)를 더하면, 모든 기호를 합쳐 CLXXXIII (183)으로 쓴다. XX (20)와 XXXVI (36)를 더하는 경우, 먼저 모든 기호를 XXXXXVI와 같이 나열한 뒤, XXXXX를 L로 치환하여 LVI (56)으로 표기한다.[90]
뺄셈의 경우, 처음 수에서 빼는 수의 기호만큼 지우면 된다. 예를 들어 LXVIII (68)에서 XII (12)를 빼려면, LXVIII에서 XII를 지우고 남은 기호 LVI (56)을 얻는다. XVII (17)에서 IX (9)를 빼는 경우처럼 복잡할 때는, X에서 IX를 빼면 I이 남고, 여기에 원래 있던 VII를 더하여 VIII (8)을 구한다. 고대 로마에서는 음의 정수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작은 수에서 큰 수를 빼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겼다.[90]
로마 숫자의 곱셈은 직관적으로 결과를 알기 어렵다. 다음의 곱셈표를 이용하면 계산이 용이해진다.[90]
× | I | V | X | L | C | D |
---|---|---|---|---|---|---|
I | I | V | X | L | C | D |
V | V | XXV | L | CCL | D | MMD |
X | X | L | C | D | M | 5000 |
L | L | CCL | D | MMD | 5000 | 25000 |
C | C | D | M | 5000 | 10000 | 50000 |
D | D | MMD | 5000 | 25000 | 50000 | 250000 |
- ''참고: 위 표에서 5000 이상의 값은 실제 로마 숫자 표기(윗줄 사용 등) 대신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함.''
위 표를 이용하여 XXI (21) 곱하기 XVII (17)을 분배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
: (분배법칙 또는 곱셈표 이용: XXI * V = (10+10+1)*5 = 50+50+5 = 105 = CV)
:
: (기호 합치기: CCX + CV = CCCXV, XXI + XXI = XXXXII)
: (기호 정리: XXXX = XL 이 아닌 XXXX 그대로 더함. CCCXV + XXXXII = CCCXXXXXVII = CCCLVII)
로마 숫자 기수법에서 나눗셈은 나누어지는 수에서 나누는 수를 계속해서 빼는 감산법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XXXIX ÷ VIII (39 ÷ 8)의 계산은 XXXIX에서 VIII을 최대한 여러 번 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XXXIX = VIII + VIII + VIII + VIII + VII 와 같이 VIII을 네 번 뺄 수 있고 나머지 VII이 남으므로, 몫은 IV (4)이고 나머지는 VII (7)이다.[90]
6. 역사
로마 숫자는 고대 도시 국가 로마 및 그 제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현존하는 초기 사례가 부족하여 그 기원은 명확하지 않으며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로마가 건국되기 이전(기원전 850년~750년경) 이탈리아 반도 중북부에는 에트루리아인들이 발전된 문명을 이루고 있었고, 로마 문화의 여러 요소가 에트루리아에서 비롯되었다고 여겨진다.
로마 숫자의 기원은 에트루리아 숫자 체계에서 찾을 수 있다. 에트루리아인들은 계산 막대와 그 위에 표시하는 기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19세기까지 달마티아 지역에서도 사용된 방식과 유사하다.[91] 로마 숫자 I는 알파벳 I가 아니라 이 계산 막대의 기호에서 유래했다. 에트루리아인들은 1부터 4까지는 세로 막대(𐌠)를 반복하고, 5는 꺽쇠 모양(𐌡, V와 유사), 10은 두 꺽쇠를 합친 모양(𐌢, X와 유사) 등으로 표시했다. 50은 𐌣, 100은 𐌟 기호를 사용했다. 에트루리아 숫자는 기본적으로 로마 숫자처럼 큰 값에서 작은 값 순서로 기호를 나열하여 수를 나타냈다. 예를 들어 87은 50 + 10 + 10 + 10 + 5 + 1 + 1, 즉 𐌣𐌢𐌢𐌢𐌡𐌠𐌠로 표기했다(에트루리아어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썼으므로 실제로는 𐌠𐌠𐌡𐌢𐌢𐌢𐌣 순서로 나타났을 것이다).[58] 에트루리아인들도 뺄셈 표기법을 사용했지만, 로마와는 방식이 달랐다(예: 17 = 𐌠𐌠𐌠𐌢𐌢, 즉 20-3).[58]
초기 로마 숫자 I(1), X(10), C(100)는 에트루리아 기호 𐌠, 𐌢, 𐌟에서 직접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V(5)와 L(50)의 기호는 에트루리아의 𐌡과 𐌣에서 V와 ↆ로 변화했다. 50을 나타내는 ↆ는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 형태로 변형되었고, 이후 모양이 비슷한 로마자 L로 대체되었다.[65] 100을 나타내는 기호 𐌟는 ↃIC 등 다양한 형태로 쓰이다가 C로 축약되었는데, '백'을 뜻하는 라틴어 CENTUM|켄툼la의 첫 글자가 C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500(D)과 1000(M)의 기호 역시 초기 형태(예: 1000 = Ⓧ, ⊗, ⊕, Φ 등)에서 변화를 거쳐 각각 D와 M으로 정착했다.[65][22] (각 기호의 구체적인 생성 원리에 대해서는 #로마 숫자 생성 원리 참조)
서기 72~80년에 건설된 콜로세움의 입구 번호(예: XXIII(23)부터 LIIII(54)까지)[60][61]는 로마 제국 시대에 이미 오늘날 알려진 형태의 로마 숫자가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뺄셈 표기법 사용은 일관되지 않아서, 40은 XL로 표기했지만 4는 IV 대신 IIII를 사용했다(예: 44번 입구는 XLIIII).[61]
로마 숫자 체계는 위치 기수법이 아니므로 자릿값을 나타내는 0이 없었다. 숫자 0 자체(1-1의 결과)를 나타내는 기호도 없었으나, 중세 시대 이후 '없음'을 뜻하는 라틴어 nulla|눌라la가 0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는 서기 525년 필사본에서 nulla|눌라la를 사용했다.[41][42] 약 725년경에는 베다 또는 그의 동료가 윤일수 표에서 0을 나타내기 위해 nulla|눌라la 또는 nihil|니힐la('무'를 의미)의 첫 글자인 N을 사용했다.[43] 이 N 표기는 이후 역사적인 약제사 시스템 측정 방식에 남아 20세기까지 처방전 등에서 사용되었다.[44]
중세에 소문자가 개발되면서 로마 숫자도 소문자(i, ii, iii, iv 등)로 표기되기 시작했다. 또한 중세부터 르네상스 시기에는 숫자의 마지막 i를 j로 쓰는 관습이 생겨 iii 대신 iij와 같이 표기하기도 했다.[92][62] 이는 위조나 오독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62]
중세 시대 문서나 비문에는 표준 로마 숫자 외에 추가적인 기호나 약자들이 사용되기도 했는데, 이를 "중세 로마 숫자"라고 부른다. 일부는 표준 기호 대신 다른 문자를 사용하거나(예: V 대신 A), 복합 숫자를 하나의 기호로 줄여 썼다(예: XI 대신 O). 이러한 기호들은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63]
- 표에 제시된 중세 약어 외에도 다양한 기호들이 존재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연대기 시(chronogram)가 유행했는데, 이는 특정 연도를 나타내는 로마 숫자(I, V, X, L, C, D, M)를 포함하는 문구나 시구를 만들어 그 숫자 값의 합으로 연도를 알아맞히는 방식이었다.
6. 1. 로마 숫자 생성 원리
로마 숫자의 생성 원리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 일부 숫자, 예를 들어 I(1)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지만, V(5), L(50), D(500) 등은 왜 해당 기호를 사용하는지 그 유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로마 숫자 5는 라틴어 수사 quinque|퀸퀘la의 첫 글자 Q가 아닌 V로 표시된다.로마 숫자 생성 원리에 대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다음과 같다.
=== 개요 ===
로마 숫자 중 I(1), V(5), X(10), L(50)은 에트루리아인(Etrusci)들의 숫자 표시 방법에서 유래했다는 점에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의한다. 고대 로마 문화는 이탈리아 북부 토스카나 지방의 에트루리아 문명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로마 숫자 표기법도 그중 하나이다.[58]
반면, C(100), D(500), M(1,000)의 기원에 대해서는 에트루리아 전통을 계승했다는 주장과 그리스 문자(Alphabetum Graecum)를 차용했다는 주장이 나뉜다.
=== I~L (1~50) : 에트루리아식 표기법 ===
초기 로마 숫자 I부터 L까지는 에트루리아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 '''I, II, III (또는 IV)''': 숫자를 세는 손가락 모양을 본떴다는 설이 유력하며, 이는 에트루리아 숫자 기호 𐌠(1)에서 직접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58]
- '''V(5)와 X(10)''': 두 가지 주요 주장이 있다.
- '''V → X 주장''': V는 손가락 5개를 편 모양을 단순화했거나(엄지와 검지를 벌린 모습이라는 설도 있음), X는 V 두 개를 위아래로 합쳐(V + V) 만들었다는 주장이다.
- '''X → V 주장''': 막대기나 손가락을 교차해 10을 나타내는 X를 먼저 만들고, 10의 절반인 5를 나타내기 위해 X의 윗부분(V)을 사용했다는 주장이다. 에트루리아 숫자에서는 𐌢가 10을 나타냈다.[58] 로마 숫자 V는 에트루리아 숫자 𐌡(5)가 변형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65]
- '''L(50)''': 원래 50을 나타내던 기호는 V 가운데에 I를 겹친 모양(ᗐ)이었다. 이 모양이 펼쳐져 T를 거꾸로 한 모양(⊥)으로 변했다가, 왼쪽 부분이 떨어져 나가면서 L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에트루리아 숫자 𐌣(50)이 ↆ를 거쳐 ⊥ 형태로 변형되었고, 최종적으로 로마 문자 L과 동일시되었다는 설명도 있다.[65]
=== C(100), D(500), M(1,000) ===
C, D, M의 기원에 대해서는 에트루리아 기원설과 그리스 알파벳 차용설이 존재한다.
==== 에트루리아 기원설 ====
- '''C(100)''': 원래 100은 X에 I를 겹친 모양(Ж)이었으나, 이것이 >I< 또는 ƆIC 형태로 변형되었다. 이후 100을 의미하는 라틴어 수사 centum|켄툼la의 첫 글자와 모양을 맞추기 위해 C만 남게 되었다는 주장이다. 에트루리아 숫자 𐌟(100)이 ↃIC 형태로 쓰이다가 C로 축약되었다는 설도 있으며,[65] 'C'가 CENTUMla의 첫 글자라는 점이 이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 '''M(1,000)''': 원래 1,000은 X(10) 주위에 원이나 상자를 그린 모양(Ⓧ, ⊗, ⊕)으로 표시했다. 이 모양이 ↀ 또는 CIƆ 형태로 변화하고, 다시 양 끝이 퍼지면서 m과 유사한 모양이 되었다가, 1,000을 뜻하는 라틴어 수사 mille|밀레la의 첫 글자를 따 M으로 정착했다는 주장이다.[65]
- '''D(500)''': 1,000을 표시하던 ↀ 또는 CIƆ 모양을 반으로 나눈 모양(IƆ)이 D로 변형되었다는 주장이다. 즉, 1,000의 절반이 500이므로 기호도 절반을 사용했다는 것이다.[22]
폴 카이저(Paul Keyser)는 기본적인 숫자 기호가 I, X, 𐌟(C), Φ(M)였고, 중간 기호 V, ↆ(L), D는 각각 X, 𐌟, Φ의 절반을 취해 파생되었다고 주장한다.[59]
==== 그리스 알파벳 차용설 ====
- '''M(1,000)''': 그리스 알파벳 Φ(phi)를 빌려와 CIƆ를 거쳐 M으로 변했다는 주장이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1000의 기호가 Φ와 부분적으로 동일시되기도 했다.[65]
- '''D(500)''': 1,000을 나타내는 CIƆ(Φ에서 유래)의 절반인 IƆ가 D로 변했다는 주장이다.
- '''C(100)''': 그리스 알파벳 θ(theta)를 빌려 사용했다는 주장이다. θ에서 가운데 줄을 빼고 남은 원을 반으로 나누어 C가 되었다고 설명하지만, 변형 과정을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스어 차용설은 왜 특정 그리스 문자를 특정 숫자에 대응시켰는지에 대한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로마 숫자의 정확한 기원은 현존하는 자료 부족으로 불분명하며 여러 가설이 공존한다. 하지만 초기 로마 숫자가 에트루리아 숫자 체계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는 점은 비교적 분명해 보인다.[58][65]
7. 큰 숫자 표기
일반적인 로마 숫자 표기법으로는 1부터 3999까지의 숫자만 표현할 수 있어, 4000 이상의 큰 숫자를 나타내기 어렵다. 로마인들은 이러한 큰 숫자를 표기하기 위해 주로 두 가지 방식, 즉 apostrophus|아포스트로푸스la와 vinculum|빈쿨룸la을 사용했다.
=== 아포스트로푸스 (Apostrophus) ===
apostrophus|아포스트로푸스la 방식은[47] 에트루리아 문자 사용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방식에서는 500을 IↃ로, 1,000을 CIↃ로 표기한다.[22] C와 Ↄ를 괄호처럼 사용하여 천 단위를 묶는 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다.
CIↃ (1,000)를 기준으로, 양쪽에 C와 Ↄ를 추가할 때마다 값이 10배씩 증가한다. 예를 들어, CCIↃↃ는 10,000을, CCCIↃↃↃ는 100,000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IↃ (500)의 오른쪽에 Ↄ를 추가할 때마다 값이 10배씩 증가하여, IↃↃ는 5,000을, IↃↃↃ는 50,000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CCCIↃↃↃ (100,000)보다 큰 숫자는 이 방식으로 잘 사용되지 않았다.[65]
값 | 표기 (유니코드) |
---|---|
500 | IↃ |
1,000 | CIↃ |
5,000 | IↃↃ |
10,000 | CCIↃↃ |
50,000 | IↃↃↃ |
100,000 | CCCIↃↃↃ |
때로는 이 표기들을 축약하기도 했다. CIↃ (1,000)는 ↀ로, IↃↃ (5,000)는 ↁ로, CCIↃↃ (10,000)는 ↂ로, IↃↃↃ (50,000)는 ↇ로, CCCIↃↃↃ (100,000)는 ↈ로 줄여 썼다.[48] IↃ (500)가 현대의 D로, CIↃ (1,000)가 M으로 발전하는 데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존 윌리스가 무한대 기호(∞)를 도입할 때, 당시 큰 수를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되던 1,000의 아포스트로푸스 표기 ↀ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 빈쿨룸 (Vinculum) ===
빈쿨룸(Vinculum) 방식은 기존의 로마 숫자 위에 선(윗줄, overline)을 추가하여 그 값을 1,000배 하는 방식이다. 유니코드 문자를 사용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IV̅ = 4 × 1,000 = 4,000
- XXV̅ = 25 × 1,000 = 25,000
이 방식은 후기 공화국 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49] 로마 제국 시대에는 1,000을 나타내는 아포스트로푸스 기호 ↀ 대신 빈쿨룸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M이 1,000을 의미하게 된 것은 중세 시대에 이르러서였다.)[50][51] 빈쿨룸은 중세 시대에도 계속 사용되었으며, 이때는 titulus|티툴루스la라는 이름으로 더 널리 알려졌다.[52] 현대에 편집된 고전 및 중세 라틴어 텍스트에서도 빈쿨룸 표기를 찾아볼 수 있다.[53][55]
빈쿨룸을 확장하여, 숫자 좌우에 세로선을 추가하고 위에 윗줄을 긋거나(세 면이 닫힌 상자 형태), 때로는 두 개의 세로선과 윗줄을 사용하여 값을 100,000배 하기도 했다.[54][49] 예를 들어, 1,332,000 보폭 (1,332 로마 마일)은 세로선과 윗줄이 있는 XIII (13 × 100,000 = 1,300,000)과 윗줄이 있는 XXXII (32 × 1,000 = 32,000)를 합쳐 표기했다.[55] (여기서 'p.'는 보폭을 의미하는 라틴어 passus|파수스la의 약자이다.)
다만, 단순히 숫자를 다른 내용과 구분하기 위해 숫자 위에 윗줄을 긋는 경우도 있었으므로, 1,000배를 의미하는 빈쿨룸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 두 가지 용법은 안토니누스 방벽과 같이 동일한 시기의 로마 비문에서도 함께 발견된다.[56][57]
두 방식은 16세기 수동 매뉴얼에서 볼 수 있듯이 혼합되어 사용되기도 했다.
8. 분수 표기
로마 숫자는 정수를 표기할 때는 십진법을 기반으로 하지만, 분수를 나타낼 때는 주로 12진법 체계를 사용했다. 12는 10보다 약수가 많아(12 = 22 × 3, 10 = 2 × 5), 1/3이나 1/4 같은 분수를 표현하기에 더 편리했기 때문이다.
분수 표기의 기본 단위는 as|아스la였으며, 1/2을 나타내는 기본 기호는 '''S''' (semis|세미스la, '반'이라는 뜻)였다. '''S'''는 7과 1/2을 '''VIIS'''로 표기하는 것처럼 정수 뒤에 붙여 사용되기도 했다.[45] 오늘날에는 약제사 시스템에서 드물게 사용된다(주로 '''SS''' 형태).[44] '''S'''는 십진법의 5/10가 아닌 12진법의 6/12를 의미했다.
1/2보다 작은 분수는 '12분의 1'을 뜻하는 uncia|운키아la를 단위로 하여 점('''·''')으로 표시했다. '운키아'는 영어 단어 ''inch''(인치)와 ''ounce''(온스)의 어원이 되었다. 점은 1/12부터 5/12까지 개수를 늘려가며 표기했다. 예를 들어, 1/12은 '''·''', 2/12는 '''··''', 5/12는 '''·····''' 와 같이 나타냈다.
7/12부터 11/12까지의 분수는 '''S'''에 운키아 점('''·''')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표기했다. 이는 정수 6('''VI'''), 7('''VII'''), 8('''VIII''')을 '''V'''에 '''I'''를 덧붙여 표기하는 방식과 유사하다.[46] 예를 들어 7/12는 '''S·''', 11/12는 '''S·····''' 와 같이 표기했다. 점의 배열 방식은 다양했으며, 반드시 일렬로 늘어놓지는 않았다. 5/12를 나타내는 다섯 개의 점은 주사위의 5 눈처럼 배열(⁙)되기도 했는데, 이는 해당 분수 및 동전의 이름인 퀸쿵스(quincunx)에서 유래했다.
sextans|섹스탄스la(1/6)나 quadrans|쿼드란스la(1/4) 같은 라틴어 분수 명칭은 영어 단어 육분의(sextant)와 사분원(quadrant)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1/12부터 12/12까지 각 분수는 로마 시대에 고유한 이름이 있었으며, 이는 관련된 동전의 이름과 일치했다.
분수 | 로마 숫자 표기 | 이름 (주격 및 속격 단수) | 의미 |
---|---|---|---|
1/12 | · | 운키아, unciaela | "온스" |
2/12 = 1/6 | ·· 또는 : | 섹스탄스, sextantisla | "6분의 1" |
3/12 = 1/4 | ··· 또는 ∴ | 쿼드란스, quadrantisla | "4분의 1" |
4/12 = 1/3 | ···· 또는 ∷ | 트리엔스, trientisla | "3분의 1" |
5/12 | ····· 또는 ⁙ | 퀸쿵스, quincuncisla | "5 온스" (quinque unciaela → quincunxla) |
6/12 = 1/2 | S | 세미스, semissisla | "반" |
7/12 | S· | 셉툰스, septuncisla | "7 온스" (septem unciaela → septunxla) |
8/12 = 2/3 | S·· 또는 S: | 베스, bessisla | "두 배" (아스의 2/3를 의미) |
9/12 = 3/4 | S··· 또는 S∴ | 도드란스, dodrantisla 또는 노눈키움, nonunciila | "4분의 1 미만" (de-quadransla → dodransla) 또는 "9번째 온스" (nona unciala → nonunciumla) |
10/12 = 5/6 | S···· 또는 S∷ | 덱스탄스, dextantisla 또는 데쿤스, decuncisla | "6분의 1 미만" (de-sextansla → dextansla) 또는 "10 온스" (decem unciaela → decunxla) |
11/12 | S····· 또는 S⁙ | 데운스, deuncisla | "1 온스 미만" (de-unciala → deunxla) |
12/12 = 1 | I | 아스, assisla | "단위" |
그 외 더 작은 단위를 나타내는 로마 분수 표기법도 존재했다.
분수 | 로마 숫자 기호 | 이름 (주격 및 속격 단수) | 의미 |
---|---|---|---|
1/1728 = 12−3 | 𐆕 | 실리쿠아, siliquaela | |
1/288 | ℈ | 스크리풀룸, scripulila | "스크루플" |
1/144 = 12−2 | 디미디아 섹스툴라, dimidiae sextulaela | "섹스툴라의 절반" | |
1/72 | Ƨ | 섹스툴라, sextulaela | "운키아의 1/6" |
1/48 | Ↄ | 시실리쿠스, sicilicila | |
1/36 | ƧƧ | 비나에 섹스툴라에, binarum sextularumla (예외적으로, 복수형이다.) | "두 개의 섹스툴라" (듀엘라, duellaela) |
1/24 | Σ 또는 𐆒 또는 Є | 세문키아, semunciaela | "1/2 운키아" (semi-la + unciala) |
1/8 | Σ· 또는 𐆒· 또는 Є· | 세스쿤키아, sescunciaela | "1과 1/2 운키아" (sesqui-la + unciala) |
9. 현대적 사용
- 군주와 교황의 이름: 엘리자베스 2세 여왕, 교황 베네딕토 16세와 같이 이름 뒤에 붙는 재위 번호에 사용된다. 보통 서수로 읽으며(예: II는 '2세'), 이러한 전통은 중세 시대 유럽에서 시작되어 헨리 8세 통치기 영국에서 널리 퍼졌다. 일부 군주(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4세,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 영국 국왕 윌리엄 4세 등)는 화폐에 IV 대신 IIII를 사용하기도 했다.
- 세대별 접미사: 주로 미국에서 같은 이름을 쓰는 가족 구성원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예: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4세). 이 역시 서수로 읽는다.
- 프랑스 공화력: 프랑스 혁명 시기 도입된 달력으로, I년(1792년)부터 XIV년(1805년)까지 연도를 로마 숫자로 표기했다.
- 예술 작품의 제작 연도: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제작 연도를 작품 내에 로마 숫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으며, 외부 자료에서는 보통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영국 방송 협회(BBC)는 프로그램 엔딩 크레딧에 제작 연도를 로마 숫자로 표시하며(예: MMXIII는 2013년), 1980년대까지 영화 저작권 표기에도 자주 사용되었다(예: 1983년 게임 엘리베이터 액션의 저작권 표기 "© TAITO CORP. MCMLXXXIII").
- 시계 문자반: 시각 표시에 사용되며, 특히 숫자 4를 전통적으로 IV 대신 IIII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 건물 건립 연도: 건물 정면이나 초석에 건립 연도를 로마 숫자로 새기기도 한다.
- 출판물: 책의 서문, 서론, 부록 등의 페이지 번호나 책의 권, 장 번호, 연극의 막 번호(예: 막 III, 2장)에 사용된다.
- 작품 속편: 일부 영화(''록키 2''), 비디오 게임(''그랜드 테프트 오토 V'', ''미스트 III: 엑자일''), 컴퓨터 게임(『드래곤 퀘스트 II 악령의 신들』, 『파이널 판타지 III』) 등의 속편 제목에 사용된다.
- 개요: 개요 작성 시 계층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 반복 행사: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예: 제XXI회 동계 올림픽, 제XXX회 올림픽), NFL의 슈퍼볼(예: 슈퍼볼 XLII, 단, 슈퍼볼 50은 예외[68]), WWE의 레슬매니아(예: 레슬매니아 XXX) 등 연례 행사의 회차 표기에 사용된다.
특정 전문 분야에서도 로마 숫자가 활용된다.
- 우주 항공학: 타이탄 I, 타이탄 II, 타이탄 III, 새턴 I, 새턴 V와 같이 미국 로켓 모델의 변형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 천문학: 행성의 자연 위성 이름 뒤에 로마 숫자를 붙여 구분한다(예: 토성의 위성 타이탄은 토성 VI).[69]
- 화학: 과거 주기율표 족 표기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아라비아 숫자가 공식적이다.[70] 양이온의 산화수나 얼음과 같은 물질의 결정 구조 명명에도 사용된다. 산화 구리(II)처럼 화합물 명칭에도 사용된다.[82]
- 교육: 학년을 나타낼 때 사용하기도 한다(예: 학년 IX는 9학년). 한국의 고등학교 수학 과목명(수학 I, 수학 II)이나 대학 입시 유형 구분에도 사용된다.
- 곤충학: 13년 및 17년 주기 매미의 각 부화 세대를 로마 숫자로 식별한다.
- 법률: 영숫자 개요의 일부로 법전을 구성하거나, 1963년까지 영국 의회 법안 중 지역 법안(소문자 로마 숫자) 번호 표기에 사용되었다.[71]
- 수학: 삼각법, 통계학, 미적분학 등에서 그래프의 사분면을 I, II, III, IV로 명명하여 데이터 숫자와의 혼동을 피한다.
- 군사: 군단과 같은 상위 부대 단위를 표기하여 다른 제대(사단, 군 등)와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예: 미국 제18공수군단, 나치 독일 제III기갑군단). 일본 육상자위대의 제14여단, 제15여단 등도 부대 마크에 로마 숫자를 사용한다.
- 음악: 악장 번호, 화성 기능 분석, 바이올린 등 현악기의 개별 현 번호(높은 숫자가 낮은 현) 표기에 사용된다.
- 약학: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 약제사의 측정법에서 SS(1/2), N(0) 등과 함께 사용되었다.[44][72]
- 사진술: 존 시스템에서 밝기 수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0 포함).
- 지진학: 지진의 메르칼리 진도 계급 등급 표기에 사용된다.
- 스포츠: 럭비 유니언이나 크리켓 등에서 국가나 클럽을 대표하는 최상위 팀(1st XV)이나 하위 팀(3rd XI)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일본 공영 경마에서는 확정된 착순이나 경주 등급(예: GI) 표시에 사용된다.
- 타로: 메이저 아르카나 카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0 포함).
- 신학: 구약성경의 그리스어 번역본인 70인역을 LXX로 표기한다.
그 외에 아일랜드에서는 1980년대 후반까지 우표 프랭킹에 월을 로마 숫자로 표시했으며, 현재도 문서에서 날짜 형식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월 표기에 사용하기도 한다.
9. 1. 유럽 언어에서의 현대적 사용
영어권 국가에서는 드물거나 사용하지 않는 로마 숫자 용법 중 일부는 유럽 대륙의 일부 지역이나 영어가 아닌 다른 유럽 언어 사용자(예: 라틴 아메리카) 사이에서 비교적 흔하게 사용된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세기 표기: 대문자 또는 소문자 로마 숫자는 로망스어에서 세기를 나타내는 데 널리 쓰인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의 xviiie siècle|엑스비트엠 시에클프랑스어[73]와 스페인어의 siglo xviii|시글로 엑스비트엠es는 모두 "18세기"를 의미한다. 일부 슬라브어권(예: 러시아어 XVIII век|베셈나차티 베크ru, 폴란드어 wiek XVIII|비에크 오셈나스티pl[74])과 튀르크어권(예: 아제르바이잔어 XVIII əsr|온 세키진지 애스르az)에서도 로마 숫자를 선호한다. 반면, 튀르키예어(18. yüzyıl|온 세키진지 유즈이을tr), 대부분의 게르만어, 일부 중앙 유럽 슬라브어(예: 체코어 18. století|오숨나츠테 스톨레티cs)에서는 아라비아 숫자 뒤에 마침표를 찍어 서수를 나타내는 방식("18.")을 사용한다.

- 날짜 표기: 공식 서신, 공문서, 묘비 등에서 월을 로마 숫자로, 일은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여 날짜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4.VI.1789" 또는 "VI.4.1789"는 모두 1789년 6월 4일을 의미한다.

- 요일 표기: 상점 창문이나 문에 부착된 영업시간 안내판[75]이나 대중교통 시간표에서 요일을 로마 숫자로 나타내기도 한다. 보통 한 주의 시작인 월요일을 I로 표기하고 일요일을 VII로 나타낸다. 영업시간 안내판은 보통 왼쪽 열에 로마 숫자로 요일을, 오른쪽 열에 영업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표시한다. 왼쪽 예시의 경우, 평일(I-V)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토요일(VI)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영업하며, 일요일(VII)에는 휴무이다. (표는 24시간제 사용)
- 층수 표기: 건물 층수를 로마 숫자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76][77] 예를 들어 암스테르담 시내의 아파트는 "138-III"과 같이 아라비아 숫자(건물 번호)와 로마 숫자(층수)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1층 아파트는 보통 138-huis|혼더르트아흐텐데르티흐-하위스nl로 표시된다.

- 기타:
- 이탈리아에서는 시외 도로의 이정표에 로마 숫자를 사용하며, 주요 도로와 고속도로에서는 I부터 IX까지의 로마 숫자로 100미터 단위의 세부 구간을 표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IX/17" 표시는 17.9km 지점을 나타낸다.
- 일부 로망스어 사용 국가에서는 국회 회기를 로마 숫자로 지칭한다. 예를 들어, 2018년 이탈리아 총선으로 구성된 이탈리아 의회(2018-2022)는 '이탈리아 공화국 제18대 의회'(XVIII Legislatura della Repubblica Italiana) 또는 간단히 '제18대 의회'(XVIII Legislatura)라고 불린다.
유럽에서 로마 숫자를 사용하지 않는 대표적인 예외는 그리스이다. 그리스에서는 로마 숫자가 사용될 법한 맥락에서 보통 그리스 숫자(그리스 문자에 기반)를 사용한다.
10. 문자 코드
유니코드 문자 집합에는 로마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글자가 U+2160부터 U+2183 사이에 할당되어 있다.[94] 예를 들어 MCMLXXXVIII은 유니코드 문자를 사용하여 ⅯⅭⅯⅬⅩⅩⅩⅧ 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유니코드 표준의 'Number Forms' 블록(U+2160부터 U+2188)에는 여러 로마 숫자 기호가 포함되어 있다.[78] 이 범위에는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뿐만 아니라, 1부터 12까지의 숫자를 나타내는 미리 조합된 문자(예: Ⅻ)도 포함된다. 이는 특히 세로쓰기 텍스트에서 여러 글자로 이루어진 로마 숫자(예: VIII)를 하나의 문자로 표현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그러나 유니코드 표준은 호환성을 위해 이러한 특수 로마 숫자 코드 포인트를 포함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적절한 라틴 문자의 연속으로 로마 숫자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한다.[79] 이 블록에는 큰 숫자를 위한 apostrophusla 기호, L(50)의 고대 변형, 클라우디우스 문자 '역 C' 등도 포함되어 있다.[80]
대한민국의 정보 교환용 부호 표준인 KS X 1001(완성형)에서는 코드 A5B0부터 A5B9 사이에 Ⅰ, Ⅱ, Ⅲ 등 1부터 10까지의 로마 숫자 문양이 포함되어 있다.[95]
윈도우 환경에서는 메모장이나 웹 브라우저 등의 입력창에서 자음 'ㅈ'을 입력한 뒤 한자 키를 누르면 특수 문자 목록에 로마 숫자가 나타나 입력할 수 있다.[96]
참조
[1]
뉴스
Public clocks do a number on Roman numerals
https://www.washingt[...]
2011-11-04
[2]
웹사이트
What is the proper way to style Roman numerals for the 1990s?
http://www.straightd[...]
1990-02-23
[3]
웹사이트
Guide to Roman Numerals
https://chart.copyri[...]
[4]
서적
Essential Math and Calculations for Pharmacy Technicia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3
[5]
서적
The Number Sense : How the Mind Creates Mathema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6]
간행물
Numbers, Representations of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0
[7]
서적
Number Smart Quest for Mastery: Teacher's Edition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2009
[8]
서적
Python Cookbook
https://archive.org/[...]
O'Reilly Media Inc.
2002
[9]
Wikisource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Book II, Section 4
[10]
서적
De campanis commentarius
Guillelmo Faciotti
1612
[11]
문서
Gerard Ter Borch (1673): ''[[:File:Cornelis de Graeff (1650-1678).png|Portrait of Cornelis de Graef]]''. Date on painting: "Out. XXIIII Jaer. // M. DC. LXXIIII".
[12]
Wikisource
Naturalis Historia, Book III
[13]
서적
Grammatica Hebræa, cum uberrima praxi in usum tironum ... Editio tertia
T. Astley
1731
[14]
서적
Conclusiones sive Theses DCCCC
http://www.esoterica[...]
1486
[15]
웹사이트
360:12 tables, 24 chairs, and plenty of chalk
https://threesixty36[...]
2011-01-02
[16]
웹사이트
Paul Lewis
http://www.web40571.[...]
2021-11-13
[17]
간행물
numbers, Roma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8]
서적
The Revised Latin Primer
Longmans, Green & Co.
1923
[19]
서적
Time & Timekeepers
Macmillan
1947
[20]
서적
Wonders of Numbers: Adventures in Mathematics, Mind, and Mean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1]
서적
More of the straight dope
https://archive.org/[...]
Ballantine Books
1988
[22]
서적
Asimov on Numbers
http://www.arvindgup[...]
Pocket Books, a division of Simon & Schuster, Inc
1966
[23]
웹사이트
Gallery: Museum's North Entrance (1910)
http://www.slam.org/[...]
Saint Louis Art Museum
2014-01-10
[24]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Rome
Facts On File
2004
[25]
서적
A manual of Roman coins
1968
[26]
서적
Inscriptiones Italiae
Istituto Poligrafico dello Stato
1963
[27]
서적
Acta publica inter invictissimos gloriosissimosque&c. ... et Ferdinandum II. Romanorum Imperatores...
https://books.google[...]
Ian-Friderici Weissii
1621
[28]
서적
Vera Ac Germana Detecto Clandestinarvm Deliberationvm
https://archive.org/[...]
1621
[29]
서적
Als Ihre Königl. Majestät in Pohlen und ...
https://books.google[...]
1699
[30]
서적
Mvndvs ante mvndvm sive De Chao Orbis Primordio
https://books.google[...]
1698
[31]
서적
Saxonia Nvmismatica: Das ist: Die Historie Des Durchlauchtigsten...
https://books.google[...]
1700
[32]
서적
Opera Geographica et Historica
https://books.google[...]
J. M. Sustermann
1698
[33]
서적
Latin grammar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1879
[34]
웹사이트
ROMAN function
https://support.micr[...]
[35]
서적
L' Atre périlleux et Yvain, le chevalier au lion .
https://gallica.bnf.[...]
1301–1350
[36]
학위논문
Legio XX Valeria Victrix: A Prosographical and Historical Study
http://eprints.notti[...]
University of Nottingham
2005
[37]
학술저널
II. Analectes historiques, neuvième série (nos CCLXI-CCLXXXIV)
https://www.persee.f[...]
1862
[38]
서적
Registrum Annalium Collegii Mertonensis 1483–1521
https://books.google[...]
Oxford Historical Society
1923
[39]
백과사전
Recueil des historiens des Gaules et de la France. Par Martin Bouquet: Contenant la deuxieme livraison des monumens des regnes de saint Louis, de Philippe le Hardi, de Philippe le bel, de Louis X, de Philippe V et de Charles IV ... Jusqu'en MCCCXXVIII. Tome Vingt-Deuxième
https://books.google[...]
1865
[40]
웹사이트
Our Brand Story
http://spcardmona.co[...]
SPC Ardmona
2014-03-11
[41]
서적
Bede: The Reckoning of Tim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4
[42]
서적
Byrhtferth's Enchiridion
Early English Text Society
1995
[43]
서적
Opera Didascalica
[44]
서적
Manual for Pharmacy Technicians
2010
[45]
웹사이트
RIB 2208. Distance Slab of the Sixth Legion
https://romaninscrip[...]
2020-11-11
[46]
학술저널
Literary Evidence for Roman Arithmetic with Fractions
http://dmaher.org/Pu[...]
2011
[47]
웹사이트
Definition of Apostrophus
https://www.merriam-[...]
[48]
서적
The Universal History of Numbers: From Prehistory to the Invention of the Computer
John Wiley & Sons
2000
[49]
서적
Mathematics and measurement
British Museum Publications
1987
[50]
서적
Numerical Notation: A Comparative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51]
서적
Illustrated Introduction to Latin Epi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52]
서적
Numerical Notation: A Comparative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53]
서적
De Institutione Arithmetica, libri duo
https://archive.org/[...]
B.G.Teubner
2023-01-18
[54]
서적
Numerical Notation: A Comparative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55]
서적
Natural Histo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61
[56]
웹사이트
RIB 2208. Distance Slab of the Twentieth Legion
https://romaninscrip[...]
2020-11-09
[57]
웹사이트
RIB 2171. Building Inscription of the Second and Twentieth Legions
https://romaninscrip[...]
2020-11-09
[58]
학술저널
Nombre, chiffre, lettre: Formes et réformes. Des notations chiffrées de l'étrusque
https://www.cairn.in[...]
2009
[59]
학술저널
The Origin of the Latin Numerals 1 to 1000
1988
[60]
서적
The Colosseum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61]
서적
Rome: An Oxford Archaeological Guide (First e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62]
간행물
Materia Medica: Pharmacology, Therapeutics and Prescription Writing for Students and Practitioners, 2nd ed
https://archive.org/[...]
W.B. Saunders
1919
[63]
서적
Dictionary of Latin Abbreviations
1912
[64]
웹사이트
Example of superscript 'o' used as an ordinal indicator
http://agad.archiwa.[...]
2014-01-25
[65]
웹사이트
Proposal to Add Additional Ancient Roman Characters to UCS
http://std.dkuug.dk/[...]
[66]
서적
Fremmedordbog
Berlingske Ordbøger
1962
[67]
서적
Illustrated Introduction to Latin Epigraph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10-03
[68]
웹사이트
NFL won't use Roman numerals for Super Bowl 50
https://www.nfl.com/[...]
National Football League
2014-11-05
[69]
웹사이트
Planetary Satellite Discovery Circumstances
https://ssd.jpl.nasa[...]
NASA
2022-01-07
[70]
학술저널
New Notations in the Periodic Table
http://www.iupac.org[...]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12-03-24
[71]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Private and Personal Acts
https://www.legislat[...]
2024-07-22
[72]
서적
Essential Math and Calculations for Pharmacy Technicia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3
[73]
서적
Lexique des règles typographiques en usage à l'imprimerie nationale
Imprimerie nationale
2011-03
[74]
웹사이트
cyfry arabskie a zapis wieku
https://poradnia-jez[...]
University of Łódź
[75]
웹사이트
Beginners latin
http://www.nationala[...]
2013-12-01
[76]
웹사이트
Roman Arithmetic
http://turner.facult[...]
Southwestern Adventist University
2013-12-01
[77]
웹사이트
Roman Numerals History
http://romannumerals[...]
2013-12-01
[78]
웹사이트
Unicode Number Forms
https://www.unicode.[...]
[79]
웹사이트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6.0 – Electronic edition
https://www.unicode.[...]
Unicode, Inc.
2011
[80]
웹사이트
Roman symbol
https://symbolonly.c[...]
[81]
웹사이트
Guide to Roman Numerals
https://chart.copyri[...]
2021-11-29
[82]
웹사이트
언제 쓰는? 로마 숫자 - 말 매거진
http://www.asahi.com[...]
아사히 신문사
2012-10-01
[83]
문서
UnicodeコンソーシアムにあるMac OS Japaneseとの変換テーブル
https://www.unicode.[...]
[84]
문서
Alphabetic symbols for larger numbers, such as Q for 500,000, have also been used to various degrees of standardization.Gordon, Arthur E. (1982). Illustrated Introduction to Latin Epigraph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5]
서적
수의 비밀
이지북
2001
[86]
웹사이트
Numerical Prefixes
http://phrontistery.[...]
[87]
서적
재미있는 수학여행 1
김영사
2007
[88]
서적
Number Smart Quest for Mastery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2009
[89]
서적
Python Cookbook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2002
[90]
웹사이트
Roman Arithmetic
http://turner.facult[...]
swau.edu
[91]
서적
The Universal History of Numbers: From Prehistory to the Invention of the Computer
John Wiley & Sons
2000
[92]
간행물
Course in Pharmaceutical and Chemical Arithmetic, 3rd ed.
Burt-Terry-Wilson
1906
[93]
서적
Medieval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94]
문서
Unicode Data
http://www.unicode.o[...]
[95]
문서
ksx1001
http://examples.orei[...]
[96]
웹사이트
특수 문자를 문서에 쉽게 입력하는 방법(문자표)
http://arch7.net/23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