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론리 플래닛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론리 플래닛은 토니 휠러와 모린 휠러 부부가 1970년에 설립한 여행 가이드북 출판사이다. 1972년 신혼여행 중 쓴 일기를 바탕으로 첫 가이드북 "Across Asia on the Cheap"을 자비 출판한 것을 시작으로, 1980~90년대에 걸쳐 전 세계로 사업을 확장했다. BBC에 인수된 후 디지털 플랫폼으로 영역을 넓혔으며, 현재는 레드 벤처스에 매각되어 가이드북, 잡지, 디지털 플랫폼, TV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얀마 여행 보이콧 논란, 바나나 팬케이크 트레일 비판, 바나우이 계단식 논 관련 오류 등 논란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행 가이드북 - 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
    《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는 중세 시대 로마의 역사, 건축물, 유적, 기독교 성지 등에 대한 정보를 담은 가이드북으로, 여러 필사본을 통해 내용이 추가 및 수정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 새로운 저작물의 등장과 19세기 고고학자의 관심을 통해 로마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았다.
  • 1972년 설립된 출판사 - 다케쇼보
    다케쇼보는 1972년에 설립된 일본의 출판사로, 마작 전문지 『월간 킨다이마작』 창간을 시작으로 만화, 잡지, 디지털 미디어, 영상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한다.
론리 플래닛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론리 플래닛 로고
설립일1973년
창립자토니 휠러
모린 휠러
본사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포트밀
유통그랜덤 북 서비스 (영국)
아셰트 북 그룹 (북미)
유나이티드 북 디스트리뷰터스 (호주)
출판물
모바일 앱
비디오
잡지
주제여행 가이드 (전 세계)
소유주레드 벤처스
직원 수400명 (직원), 200명 (작가)
웹사이트lonelyplanet.com
주요 인물필립 폰 보리스 (사장, 2020년 11월 ~ 2023년 5월)
추가 정보
전신없음
후신없음
거래 명칭없음
모기업론리 플래닛 글로벌, Inc.
국가호주
장르없음
자회사없음
매출없음
키워드없음

2. 역사

론리 플래닛은 모린 휠러(모린)와 토니 휠러(토니) 부부가 설립했다. 1972년, 이들은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동방 탐험대의 경로를 따라 유럽과 아시아를 거쳐 오스트레일리아로 육로 여행을 했다.[6][7] 회사 이름은 매슈 무어(매슈 무어)의 노래 가사 중 "lovely planet"을 잘못 들은 "lonely planet"에서 유래했다.[8]

1973년, 론리 플래닛의 첫 번째 책인 ''Across Asia on the Cheap''[9]이 출판되었다. 94페이지 분량의 이 책은 부부가 집에서 직접 집필했으며,[10] 연한 파란색 판지 표지를 가진 스테이플로 엮은 소책자 형태였다.[12] 1975년에는 ''Across Asia on the Cheap: A Complete Guide to Making the Overland Trip''을 집필했다.[13]

론리 플래닛 여행 안내서 시리즈는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확장되어 1981년에는 인도 안내서가 출판되었고,[14] 이후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15] 제프 크로우더(제프 크로우더)는 안내서에 자신의 의견을 자주 삽입하여 론리 플래닛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언론인들은 그의 이름을 따 "Geoffness"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10]

1999년, 론리 플래닛은 여행 안내서 3000만 부를 판매했다. 멜버른 사무실에서는 론리 플래닛 저자들이 리무진을 타고 도착하는 호화로운 행사가 열릴 정도로 회사는 성장했다.[15]

2011년에 출판된 론리 플래닛의 오스트레일리아 여행 가이드 16판


2007년, 휠러 부부와 존 싱글턴은 회사 지분 75%를 BBC 월드와이드에 약 63억파운드에 매각했다.[10] 당시 론리 플래닛은 500종의 서적을 출판하고 텔레비전 제작에도 진출했으나, BBC 월드와이드는 인수 후 어려움을 겪으며 2009년 3월 말까지 3.2억파운드의 손실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0년 3월 말에는 1.9억파운드의 이익을 창출했는데, 이는 디지털 매출 증가, ''론리 플래닛'' 잡지 성장, 인쇄물 외 매출 증가 덕분이었다.

론리 플래닛은 140개의 앱과 론리플래닛닷컴(lonelyplanet.com) (850만 명의 고유 사용자, Thorn Tree 여행 포럼 운영)을 통해 디지털 영향력을 확대했다.[16] 2011년, BBC 월드와이드는 휠러 부부로부터 나머지 25%의 지분을 42.1억파운드 (67.2억호주 달러)에 인수했다.[17]

2006년 풋스크레이(빅토리아주)에 있던 론리 플래닛 본사


2012년, BBC는 론리 플래닛을 매각하려 했고, 2013년 3월 브래드 켈리의 NC2 미디어에 7780만달러(51.5억파운드)에 매각했다. 이는 거의 8000만파운드의 손실이었다.[18] 2020년 12월, NC2 미디어는 레드 벤처스(Red Ventures)에 론리 플래닛을 비공개 금액으로 매각했다.[19] 론리 플래닛 사무실은 더블린, 내슈빌(Nashville, Tennessee), 뉴델리에서 계속 운영되고 있으며, 리파이너리29(Refinery29)의 전 공동 설립자이자 CEO인 필리페 폰 보리스가 회사 대표를 맡고 있다.[20]

2022년, 론리 플래닛은 여행 계획 수립 전문가와 여행자를 연결하는 웹사이트인 엘스웨어(Elsewhere)를 인수했다.[21] 2024년에는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고 간체자 여행 안내서 출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22]

2. 1. 설립과 초기 (1970년대)

1970년, 론리 플래닛의 공동 설립자인 토니 휠러(토니)와 모린 휠러(모린)는 영국 런던의 한 공원에서 만났다. 두 사람은 여행을 취미로 삼고 있었고, 곧 서로에게 호감을 느껴 이듬해 결혼했다. 1972년 7월 4일, 휠러 부부는 런던을 출발하여 유럽, 중동, 아시아를 거쳐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로 가는 신혼여행을 떠났다.[6][7]

시드니에 도착했을 때, 휠러 부부는 유럽 여행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다. 이를 계기로 신혼여행 동안 적어 두었던 일기를 바탕으로 1973년 첫 번째 여행 안내서인 ''Across Asia on the Cheap''을 자비 출판했다.[9] 이 책은 94페이지 분량으로, 휠러 부부가 직접 집필하고 제작했으며, 출시 후 1주일 만에 1,500부가 팔렸다.[10][12]

회사 이름은 매슈 무어(매슈 무어)의 노래 "Space Captain"(스페이스 캡틴)의 가사 중 "lovely planet"을 "lonely planet"으로 잘못 들은 것에서 유래했다. 휠러 부부는 이탈리아 요리 레스토랑에서 스파게티를 먹으며 여행 가이드북의 이름을 고민하던 중, 토니가 "스페이스 캡틴"을 흥얼거리다 "lovely planet"을 "lonely planet"으로 잘못 불렀고, 모린이 이를 지적하면서 "lonely planet"이 더 인상적이라고 판단하여 회사 이름으로 결정하게 되었다.[37]

이후 휠러 부부는 18개월 동안 동남아시아를 여행하고, 1975년에 론리 플래닛의 두 번째 책인 ''South-East Asia on a Shoestring''을 출판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2. 2. 확장과 성장 (1980년대 ~ 1990년대)

론리 플래닛은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여행 안내서 시리즈를 확장해 나갔다. 1981년에는 인도 안내서를 출판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14] 이후 전 세계로 영역을 넓혔다.[15]

이 시기 론리 플래닛의 성장에 큰 기여를 한 인물 중 하나는 제프 크로우더였다.[10] 그는 자신이 집필한 안내서에 개인적인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그의 독특한 스타일은 론리 플래닛의 인기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언론인들은 그의 이름을 따 "Geoffness"라는 용어를 만들어, 훗날 여행 안내서에서 찾아보기 힘든 개성 있는 특징을 표현하기도 했다.[10]

1999년에 이르러 론리 플래닛은 총 3,000만 부의 여행 안내서를 판매하는 놀라운 성과를 기록했다.[15] 회사의 저자들은 수익 배분 혜택을 받았으며, 멜버른 사무실에서는 론리 플래닛 저자들이 리무진을 타고 도착하는 호화로운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15]

2. 3. BBC 인수와 디지털 전환 (2000년대 ~ 2010년대)

2007년, 휠러 부부와 존 싱글턴은 회사 지분 75%를 BBC 월드와이드에 매각했다. 당시 매각 금액은 약 63억파운드로 추산된다.[10] BBC 월드와이드 인수 당시 회사는 500종의 서적을 출판하고 있었고, 텔레비전 제작에도 진출한 상태였다. BBC 월드와이드는 인수 후 어려움을 겪으며 2009년 3월 말까지 3.2억파운드의 손실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0년 3월 말에는 1.9억파운드의 이익을 창출했는데, 이는 디지털 매출이 전년 대비 37% 증가했고, ''론리 플래닛'' 잡지가 성장했으며, 인쇄물 이외의 매출이 2007년 9%에서 22%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론리 플래닛은 140개의 앱을 출시하고, 론리플래닛닷컴(lonelyplanet.com) 웹사이트를 통해 850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했다. 또한, Thorn Tree 여행 포럼을 운영하며 디지털 영향력을 확대했다.[16] 2011년, BBC 월드와이드는 휠러 부부로부터 나머지 25%의 지분을 42.1억파운드 (67.2억호주 달러)에 인수했다.[17]

2. 4. NC2 미디어와 레드 벤처스 (2010년대 ~ 현재)

2012년 BBC는 론리 플래닛을 매각하려 했고, 2013년 3월 브래드 켈리의 NC2 미디어에 7,780만 달러(7780만달러, 5,150만 파운드)에 매각했음을 확인했는데, 이는 거의 8,000만 파운드(8000만파운드)의 손실이었다.[18]

2020년 12월, NC2 미디어는 레드 벤처스(Red Ventures)에 론리 플래닛을 비공개 금액으로 매각했다.[19] 론리 플래닛 사무실은 더블린, 내슈빌(Nashville, Tennessee), 뉴델리에서 계속 운영되고 있다. 리파이너리29(Refinery29)의 전 공동 설립자이자 CEO인 필리페 폰 보리스가 회사의 대표로 임명되었다.[20]

2022년, 론리 플래닛은 여행 계획 수립을 돕는 전문가와 여행자를 직접 연결하는 웹사이트인 엘스웨어(Elsewhere)를 인수했다.[21]

2024년, 론리 플래닛은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고 간체자 여행 안내서 출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22]

3. 제품 및 서비스

론리 플래닛은 가이드북 외에도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1996년 온라인 커뮤니티인 '쏜 트리'[23]를 개설하여 케냐 나이로비의 나이로비 스탠리 호텔에 있는 나이바샤 아카시아 나무(''아카시아 잔토플로에아'')에서 이름을 따왔다.[24] 그러나 쏜 트리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2020년 운영이 중단, 2021년 9월에 폐쇄되었다.[25]

2009년부터는 ''론리 플래닛 트래블러''라는 월간 여행 잡지를 발행하여 여러 국가에서 디지털 버전으로도 제공한다.[26] 자체 텔레비전 제작사를 운영, ''글로브 트레커'', ''론리 플래닛 식스 디그리스'', ''론리 플래닛: 로즈 레스 트래블드''와 같은 TV 프로그램 시리즈를 제작했다.[27]

3. 1. 가이드북

론리 플래닛의 가이드북은 여행지의 역사, 문화, 기후, 언어 등 기본 정보와 지도, 교통, 숙소, 식당 등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15] 특히, 모든 이동 수단, 히치하이크 상황, 도미토리, 유스호스텔, 캠핑 등 저렴한 숙소 정보가 상세하여 개인 여행자에게 유용하다.[15]

론리 플래닛 가이드북은 광고나 제휴 기사 없이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15] 집필자는 여행사, 호텔, 식당 등으로부터 편의나 뇌물을 받을 경우 해고될 수 있다.[15] 이는 이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해 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창립 이래의 방침이다.[15]

1973년 론리 플래닛의 첫 번째 가이드북 ''Across Asia on the Cheap''이 출판되었다.[9][10] 1975년에는 ''South-East Asia on a Shoestring''이 출판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13] 이후 1976년에는 "네팔과 히말라야 트레킹", 1977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유럽", "뉴질랜드"를 출판했다. 1981년 인도 안내서 출판을 시작으로,[14] 전 세계를 대상으로 가이드북을 확장했다.[15] 1999년까지 3000만 부의 여행 안내서를 판매했다.[15] 현재 650종이 넘는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 국가 및 지역별로 출판되고 있다. "남극"이나 유라시아 대륙 횡단 여행자를 위한 "이스탄불에서 카트만두" 등도 시리즈에 포함된다.

영어 외에도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한국어 등 15개 언어판이 있다. 한국어판은 1990년부터 마가진하우스, 2003년부터 미디어 팩토리에 의해 재출판되고 있다. 론리 플래닛은 가이드북 외에도 사진집이나 여행용 회화집 등을 출판하고 있으며, 텔레비전 프로그램 Lonely Planet TV도 제작하고 있다.

다음은 론리 플래닛에서 출판되는 가이드북의 지역 목록이다.

지역국가 및 도시
아프리카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서아프리카, 보츠와나, 나미비아, 에티오피아, 지부티, 케냐,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레위니옹, 세이셸, 모로코,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에스와티니, 케이프타운, 탄자니아, 잠비아, 모잠비크, 말라위
아시아방글라데시, 부탄, 캄보디아, 중앙아시아, 중화인민공화국(베이징, 상하이, 티베트, 홍콩), 인도(라자스탄주, 델리, 아그라, 고아주, 뭄바이, 남인도), 인도네시아(발리), 일본(도쿄, 교토, 오사카), 대한민국(서울특별시), 라오스,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네팔, 필리핀, 싱가포르, 스리랑카, 타이완, 태국(방콕), 베트남
아메리카미국(알래스카주, 보스턴, 캘리포니아주, 시카고, 콜로라도주, 플로리다주, 조지아주, 노스캐롤라이나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랜드캐니언, 그레이트 스모키 산맥 국립공원, 하와이주(오아후섬, 하와이섬, 마우이섬, 카우아이섬), 로스앤젤레스, 마이애미, 뉴잉글랜드, 뉴올리언스, 뉴욕, 필라델피아,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텍사스주, 워싱턴 D.C., 워싱턴주, 오리건주, 옐로스톤 국립공원, 그랜드티턴 국립공원, 요세미티 국립공원, 세쿼이어 국립공원, 킹스캐니언 국립공원, 자이언 국립공원, 브라이스캐니언 국립공원), 캐나다(밴프 국립공원, 재스퍼 국립공원, 글레이셔 국립공원,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캐나디언 로키, 몬트리올, 퀘벡 시티, 노바스코샤주, 뉴브런즈윅주,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밴쿠버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멕시코, 벨리즈, 카리브해의 섬들, 코스타리카,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과테말라, 자메이카, 니카라과, 파나마, 푸에르토리코
유럽오스트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핀란드, 프랑스(파리, 프로방스, 코트다쥐르),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독일(베를린, 뮌헨, 바이에른주, 슈바르츠발트), 영국(잉글랜드(런던, 데번, 콘월), 웨일스, 스코틀랜드(에든버러, 하이랜드)), 그리스(크레타섬), 헝가리, 아이슬란드, 아일랜드(더블린), 이탈리아(로마, 피렌체, 토스카나, 베네치아, 베네토주, 남이탈리아, 나폴리, 폼페이, 아말피 해안, 시칠리아, 사르데냐), 몰타, 몬테네그로, 네덜란드(암스테르담),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불가리아, 러시아(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베리아 횡단철도), 슬로베니아, 스페인(마드리드, 바르셀로나, 안달루시아주, 마요르카섬, 카나리아 제도), 스웨덴, 스위스, 터키(이스탄불), 우크라이나
남아메리카아르헨티나(부에노스아이레스), 볼리비아, 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3. 2. 론리플래닛 매거진

2008년 비비씨(BBC)는 론리플래닛과 함께 여행 잡지인 '''론리플래닛 매거진'''(Lonely Planet Magazine)을 창간했다. 현재 영국, 프랑스, 인도, 브라질, 필리핀, 한국 등 10여개 국가에서 동시 발행되는 글로벌 미디어이다.

2011년 3월 론리플래닛 한국어 번역판 출판권자인 안그라픽스가 '''론리플래닛 매거진 코리아'''를 창간했다.[2]

3. 3. 디지털 플랫폼

론리 플래닛은 140개의 앱과 론리플래닛닷컴(lonelyplanet.com) 웹사이트를 통해 디지털 플랫폼을 운영했다. 론리플래닛닷컴 웹사이트는 850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했으며, 쏜 트리(Thorn Tree) 여행 포럼도 운영했다.[16]

쏜 트리[23]는 1996년에 만들어진 론리 플래닛의 온라인 커뮤니티였다. 이 커뮤니티의 이름은 1902년부터 케냐 나이로비시의 게시판으로 사용되어 온 나이바샤 아카시아 나무(''아카시아 잔토플로에아'')에서 따왔다.[24] 이 나무는 나이로비 스탠리 호텔에 아직도 남아있다. 쏜 트리는 여행 정보를 교환하고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했으나,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운영이 중단되었고, 2021년 9월에 폐쇄되었다.[25]

3. 4. TV 프로그램

론리 플래닛은 자체 텔레비전 제작사를 운영하여 글로브 트레커, ''론리 플래닛 식스 디그리스'', ''론리 플래닛: 로즈 레스 트래블드''와 같은 시리즈를 제작했다.[27] 토비 에이미스와 아샤 길(둘 다 영국 TV 진행자)은 론리 플래닛 식스 디그리스에 참여하였다.

4. 한국에서의 론리플래닛

론리 플래닛은 영어 외에도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등과 함께 한국어판 등 15개 언어판으로 출판된다.[2] 1990년부터 한국어판이 출판되기 시작했다.

4. 1. 한국어판 가이드북

1990년 마가진하우스에서 한국어판을 처음 출판했으며, 2003년부터 미디어 팩토리에서 다시 출판하고 있다.[2]

4. 2. 론리플래닛 매거진 코리아

안그라픽스는 2011년 3월 론리플래닛 한국어 번역판 출판권을 획득하여 '''론리플래닛 매거진 코리아'''를 창간했다.[1]

4. 3. 논란

2010년 1월, BBC와 함께 발간하는 론리플래닛 매거진은 서울을 세계 최악의 도시 3위에 선정했다. 하지만 전체 조사에서 50명도 참여하지 않았고, 2명만 최악의 도시로 뽑은 결과인 만큼 논란이 있다. 현재 해당 페이지는 폐쇄되었다.

5. 논란 및 비판

론리 플래닛은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 왔다. 미얀마(버마) 군사 정부의 관광 캠페인에 대한 보이콧 요구,[28][29] 동남아시아의 '바나나 팬케이크 트레일' 현상 증가에 대한 책임론,[31][32] 필리핀의 바나우이 계단식 논 관련 오류[33]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한, 여행 작가들의 연구 윤리 문제도 제기된 바 있다.[35]

5. 1. 미얀마(버마) 여행 보이콧 논란

1996년, 버마 군사 정부의 "미얀마 방문" 캠페인에 대한 반응으로, 버마의 야당인 민족민주연맹(NLD)과 그 지도자 아웅산 수치는 관광 보이콧을 촉구했다.[28] 론리 플래닛의 미얀마(버마) 여행 안내서 출판은 일부 사람들에게 그 나라 방문을 장려하는 것으로 여겨져 론리 플래닛에 대한 보이콧 요구가 제기되었다.[29] 론리 플래닛은 해당 국가 방문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부각하고 독자들이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주장했다.[30] 2009년, NLD는 이전 입장을 공식적으로 철회하고 "일반 사람들의 복지를 증진하고자 하는" 방문객들을 환영한다고 밝혔다.[28]

5. 2. 바나나 팬케이크 트레일

2010년, 론리 플래닛은 바나나 팬케이크 트레일이라고 불리는 동남아시아의 현상 증가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비난을 받았다.[31][32] 론리 플래닛 안내서에 언급되는 것이 많은 여행객들에게 해당 지역에 대한 영감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5. 3. 바나우이 계단식 논 관련 오류

2019년 3월, 론리 플래닛은 페이스북필리핀의 바나우이 계단식 논이 중국인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잘못된 주장을 담은 동영상을 게시하여 비판을 받았다.[33] 이후 2019년 4월 트위터를 통해 해당 페이스북 동영상이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인정하고 필리핀 책의 다음 판을 업데이트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이미 잘못된 내용을 담고 있는 기존 판은 폐기하지 않겠다고 밝혔다.[34]

5. 4. 여행 작가들의 연구 윤리 문제

2008년 4월, 미국 작가 토마스 콘스탐(Thomas Kohnstamm)은 회고록 ''여행 작가들은 지옥에 갈까요?(Do Travel Writers Go to Hell?)''를 출판했는데, 여기서 그는 론리 플래닛 여행 가이드북을 집필하면서 사용했던 연구의 지름길에 대해 설명했다.[35] 후속 인터뷰에서 그는 한 경우에 대해 자신이 글을 쓴 국가를 방문조차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이후 그의 새 책에 대한 홍보 효과가 커지자 콘스탐은 이 특정 판에서는 5페이지 분량의 역사 섹션만 업데이트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해명했다.[35] 콘스탐의 가이드북을 검토한 후 론리 플래닛 당시 편집자였던 피어스 피카드는 그 책에서 "어떤 부정확성도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35]

참조

[1] 웹사이트 Trade https://www.lonelypl[...]
[2]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1-03-05
[3] 뉴스 BBC gives Lonely Planet guides a home in first major acquisition https://www.independ[...] 2011-03-05
[4] 웹사이트 Lonely Planet co-founder: 'The first book was an accident' http://www.theguardi[...] 2021-10-07
[5] 웹사이트 The Points Guy Owner Red Ventures Buys Lonely Planet https://skift.com/20[...] 2022-07-17
[6] 웹사이트 Asia's overland route https://web.archive.[...] LiveJournal 2011-03-05
[7] 서적 Magic bus: on the hippie trail from Istanbul to India Penguin Books
[8] 서적 Unlikely Destinations: The Lonely Planet Story https://archive.org/[...] Tuttle Publishing|Periplus Editions
[9] 웹사이트 Lonely Planet Publications Pty Ltd. http://www.fundingun[...] fundinguniverse.com 2011-03-05
[10] 뉴스 Journey's end for the guidebook gurus? https://www.theguard[...] 2014-05-26
[11] 뉴스 A Lonely Planet Founder Looks Back https://www.nytimes.[...] 2014-05-26
[12] 웹사이트 Lonely Planet Guides – Book Series List https://www.publishi[...] 2021-02-21
[13] 서적 Across Asia on the Cheap: A Complete Guide to Making the Overland Trip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Publications
[14] 웹사이트 Tony Wheeler's "Lonely Planet" http://www.ricksteve[...] ricksteves.com 2007-11-24
[15] 웹사이트 The 25-Year-Old at the Helm of Lonely Planet http://www.outsideon[...] 2014-05-26
[16] 뉴스 BBC to buy out Lonely Planet https://www.theguard[...] 2014-05-26
[17] 뉴스 BBC takes last slice of Planet http://www.smh.com.a[...] 2011-03-05
[18] 뉴스 U.S. Buyer for BBC's Book Unit on Travel https://www.nytimes.[...] 2014-05-26
[19] 웹사이트 Red Ventures Acquires Lonely Planet https://redventures.[...] 2020-12
[20] 웹사이트 Lonely Planet Buys Local Experts Site Elsewhere for Trip Planning https://skift.com/20[...] 2022-07-16
[21] 웹사이트 Lonely Planet Buys Local Experts Site Elsewhere for Trip Planning https://skift.com/20[...] 2022-11-13
[22] 웹사이트 Lonely Planet Reaches the End of the Road in China https://www.sixthton[...]
[23] 웹사이트 Thorn Tree Travel Forum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1-03-05
[24] 서적 East Afric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5] 웹사이트 LONELY PLANET AXES LEGENDARY THORN TREE TRAVEL COMMUNITY https://www.phocuswi[...] PhocusWire 2021-11-29
[26] 웹사이트 Skift Forum Video: Lonely Planet's CEO on the Future of Travel Content http://skift.com/201[...] 2014-11-03
[27] 뉴스 Lonely Planet: Roads Less Travelled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Channel Australia and New Zealand 2010-08-24
[28] 뉴스 Suu Kyi's party ends opposition to tourism https://web.archive.[...] 2011-05-30
[29] 뉴스 Unions call to boycott Lonely Planet http://www.news.com.[...] 2010-08-24
[30] 웹사이트 Responsible travel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0-08-24
[31] 웹사이트 Madras and The Lonely Planet People http://www.hackwrite[...] hackwriters.com 2010-08-24
[32] 웹사이트 Pictures courtesy of Lonely Planet Publications https://web.archive.[...] chiangmainews.com 2010-08-10
[33] 웹사이트 Lonely Planet corrects 'misleading' post on Banaue Rice Terraces https://web.archive.[...] 2020-04-27
[34] 웹사이트 Lonely Planet admits error in Banaue Rice Terraces video 'misleading' https://newsinfo.inq[...] 2019-04-02
[35] 뉴스 Lonely Planet's bad trip https://web.archive.[...] 2021-02-21
[36] 웹사이트 Guest review: Elena Gomez on Mic Looby's Paradise Updated http://blogs.crikey.[...] Private Media Pty Ltd 2013-09-20
[37] 서적 The Lonely Planet Story Penguin Viking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