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룽징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룽징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동남부에 위치한 현급시로, 백두산 동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냉대 동계 건조 기후를 나타낸다. 1909년 청나라에 의해 연길현으로 설립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간도 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 역할을 했다. 1988년 현급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3개의 가도, 5개의 진, 2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룽징은 항일 독립운동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으며, 윤동주 시인의 모교인 룡정중학교가 위치해 있다. 주요 유적으로는 구 간도 일본 총영사관, 15만 엔 강탈 사건 유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룽징시 - 하이란강
    하이란강은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에 위치한 강이다.
  •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행정 구역 - 둔화시
    둔화시는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하며,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이고,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와 관련된 유적들이 존재하며, 다양한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행정 구역 - 훈춘시
    훈춘시는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속한 현급시로, 두만강을 경계로 북한 및 러시아와 인접하여 지정학적 요충지이며, 고구려 책성부에서 발해 동경용원부로 이어진 역사와 중국 정부의 투자와 개방 정책에 따른 경제 발전, 그리고 국제 협력 중심지 및 국경 관광지로서의 중요성을 지닌다.
  • 지린성의 현급시 - 둔화시
    둔화시는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하며,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이고,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와 관련된 유적들이 존재하며, 다양한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지린성의 현급시 - 훈춘시
    훈춘시는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속한 현급시로, 두만강을 경계로 북한 및 러시아와 인접하여 지정학적 요충지이며, 고구려 책성부에서 발해 동경용원부로 이어진 역사와 중국 정부의 투자와 개방 정책에 따른 경제 발전, 그리고 국제 협력 중심지 및 국경 관광지로서의 중요성을 지닌다.
룽징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좌표42°46′ 북위 129°26′ 동경
해발고도266m
기본 정보
도시 이름룽징시
한자 표기간체: 龙井市
번체: 龍井市
중국어 병음Lóngjǐng Shì
한국어 (조선어) 표기룡정시
중국어 간체 표기龙井
중국어 번체 표기龍井
중국어 병음 (간체)Lóngjǐng
한국어 표기 (한국어)룽징시
로마자 표기 (한국어)Ryongjeong-si
로마자 표기 (북한)Ryongjŏng-si
로마자 표기 (남한)Rungjing-si
행정 구역현급시
소속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소속 성지린성
소속 자치주연변 조선족 자치주
소재지안민 가도
건치1909년
개제1988년
면적 (총)2,208.0km²
도시 면적31.05km²
인구 (총)178,000명 (2017년 기준)
도시 인구117,800명 (2017년 기준)
인구 밀도auto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08:00)
우편번호133400
지역 번호433
공식 웹사이트룽징시 정부 공식 웹사이트
지리 및 환경
총 면적2,592 km²
도시 중심 거리두만강으로부터 142.5km
기타 정보
민속 식품 가공 프로젝트연변 조선족 민속 식품 가공
국가급 자연 보호 구역국가급 자연 보호 구역
박물관룽징 박물관

2. 지리

룽징시는 지린성 동남부, 백두산 동쪽 기슭에 위치하며, 동경 128°54' - 129°48', 북위 42°21' - 43°24'에 걸쳐 있다. 동남쪽으로는 두만강을 경계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142.5km의 국경선을 접하고 있으며, 동북쪽으로는 연길, 도문, 남서쪽으로는 화룡, 북서쪽으로는 안도와 인접해 있다.

북쪽에는 방대령(方台嶺), 서쪽에는 영액령(英額嶺), 남쪽에는 남강산(南崗山)이 있으며,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중앙에 용정분지(龍井盆地)를 형성하고 있다. 최고봉은 1331m, 최저 지점은 해발 101m이다. 시내를 흐르는 주요 하천으로는 두만강과 그 지류인 하이란강(해란강), 그리고 불하통하가 있다. 시 중심부에서 연길공항까지는 13.5km 거리이다.

풍부한 삼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 면적의 68%인 166885ha가 산림으로 덮여 있다. 주요 수종으로는 잣나무, 황벽나무, 물푸레나무, 버드나무, 자작나무, 굴참나무 등이 있으며, 124과 1,072종의 경제적으로 유용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한다.

광물 자원도 풍부하며, 현재 32종의 자원이 확인되었다. 주요 광물로는 규회석, 대리석, 석회석, 현무암, 금, 사금, 구리, 납, 안산암, 규석, 점토, 건축 석재, 광천수, 석탄 등이 있다.

3. 기후

룽징시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쾨펜 기후 분류 ''Dwb'')에 속한다. 겨울은 매우 춥고 건조하며, 여름은 덥고 습한 특징을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6°C이며,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 기온은 -13.1°C, 가장 더운 달인 7월의 평균 기온은 22°C이다.[14][15]

연간 강수량은 572.5mm로, 이 중 절반 이상이 여름철인 6월부터 8월 사이에 집중된다.[14][15]

'''룽징시의 월별 기후 데이터 (1991년~2020년 평균)'''[14][1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6.2°C-1.5°C5.8°C15.1°C21.4°C25.1°C27.4°C27.1°C22.6°C14.9°C3.7°C-4.6°C
일평균 기온 (°C)-13.1°C-8.5°C-0.7°C7.8°C14.2°C18.8°C22°C21.6°C15.5°C7.4°C-2.5°C-10.7°C
평균 최저 기온 (°C)-18.6°C-14.7°C-6.8°C0.9°C7.8°C13.6°C17.6°C17.2°C9.7°C1.1°C-7.7°C-15.8°C
평균 강수량 (mm)5.1mm7.6mm13.5mm30.3mm68.5mm78.8mm132.2mm116.1mm65.2mm29.6mm19.4mm6.2mm
평균 강수일수 (≥ 0.1 mm)3.13.45.78.113.814.214.014.09.56.85.74.2
평균 상대 습도 (%)605553526172798075646261
월평균 일조시간170.1180.4210.8205.0211.7198.8182.6187.9207.5198.8153.0150.7



'''룽징시의 월별 역대 최고/최저 기온 (°C, 1981년~2010년)'''[14][1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역대 최고 기온 (°C)6.8°C15.1°C20.7°C33.1°C33.8°C36.7°C37.1°C37°C32.7°C29.3°C19.4°C11.6°C
역대 최저 기온 (°C)-30.9°C-28.2°C-23.6°C-11.2°C-1.8°C5.4°C8.9°C7.1°C-1.2°C-10.8°C-24.5°C-29.1°C


4. 역사

룽징은 1909년 청나라에 의해 설립된 '''연길현'''을 전신으로 한다. 1906년 8월에는 중국 내 최초의 한민족 근대 학교인 서전서숙이 이곳에 세워졌다.

일제강점기 (1907년~1945년) 동안 룽징은 간도 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 기능했다. 이 시기 간도 일본 총영사관, 조선은행 용정지점 등 일제의 주요 기관들이 설치되었으며, 1919년 용정 3·13운동, 1920년 장엄동 사건, 1932년 민생단 사건한민족독립운동 및 수난과 관련된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이 발생했다. 상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라. 한편, 1927년에는 룽징의 특산물인 사과배가 처음 재배되었고[13], 1934년에는 지명의 유래가 된 우물을 기념하는 '용정지명기원지정천' 비석이 세워졌다.

1945년 8월 해방을 맞아 룽징 시민들은 "소련 적군 환영 위원회"를 조직하고 소련군을 환영했다. 1946년 4월에는 연변 지역 최초의 반간청산(친일 부역자 청산) 투쟁 대회가 룽징에서 열렸다. 이후 연변 지역의 교육 및 의료 기관 정비 과정에서 1947년 연변병원(구 길림성립병원), 1949년 연변대학교 의학부(구 용정 의과전문학교) 등이 설립되었고, 1958년에는 연변농학원이 룽징으로 이전했다. 문화대혁명 시기인 1967년에는 개산둔 지역에서 대규모 무력 충돌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1983년 행정구역 명칭이 '''용정현'''으로 변경되었고, 1988년 현급시로 승격하며 현재의 '''용정시'''가 되었다. 개혁개방 이후 1982년 조선민속박물관이 개관했으며, 1987년 사과배 탄생 기념비, 1993년 윤동주 시비, 1999년 강경애 문학비, 2000년 김창걸 문학비 등이 건립되었다. 1993년부터는 '용정·사과배 축제'가 열리고 있다.

4. 1. 일제강점기 주요 사건

1907년 8월 19일, 일본은 룽징촌(육도구)에 한국통감부 임시 간도 파출소를 설치하여 간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회령과 육도구(룽징) 사이에 이정표를 세웠다. 1909년 11월 2일, 일본은 간도 일본 총영사관을 룽징에 설치하여 통치 기구를 강화했다.

1910년 1월 1일에는 훈춘 해관(세관)의 분관으로 용정분관이 설치되었고, 같은 달 청나라 역시 간도 용정촌 연길분관을 개설했다.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10월 7일 기독교회의 박무림 등이 상정여학교를 창설했고, 1912년 9월 14일에는 기독교 장로교회의 조희림 등이 영신학교를 창설하는 등 교육을 통한 민족 역량 강화 노력이 이어졌다. 1916년에는 룽징에서 회령으로 통하는 도로가 개통되었다.

1917년 3월 20일에는 조선은행 간도 용정촌 출장소가 개설되어 일제의 경제적 침투가 본격화되었다. 같은 해 12월 30일, 시인 윤동주가 룽징 지신진 명동촌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13일, 3.1 운동의 영향으로 용정 3·13운동이 발생하여 만주 지역 동포들의 독립 의지를 보여주었다.

1920년대에는 여러 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 1920년 2월 4일 장로파 교회가 5년제 은진중학교를 창설했고, 1921년 4월에는 천도교회가 동흥중학교를, 5월에는 기독교회가 영신중학교를, 10월 5일에는 대성유교공교회가 용정대성중학교를 창설했다. 한편, 1921년 5월에는 일본 정토종 계열의 광명학원고등학교가 설립되기도 했다. 1921년 7월 1일에는 「동만통신」과 「간도시보」를 합병하여 「간도신보」가 창간되었다.

1920년 10월 30일, 일제는 간도 참변의 와중에 독립군 토벌을 명분으로 장엄동 사건을 일으켜 무고한 민간인을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1922년 8월, 천보산·룽징·개산둔을 잇는 천도경편철도 공사가 착공되었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이 철도는 1923년 10월 1일 두만강에서 룽징촌까지 영업을 시작했다. 1923년 3월, 공산주의자 김사국 등이 동양학원을 열어 마르크스 사상을 전파했으며, 5월 14일에는 조선총독부의 지원으로 일본 조동종 계열의 양본산 간도별원이 설립되어 일제의 종교 정책이 시행되었다.

1925년 10월, 일본은 천조대신(天照大神)을 모시는 간도신사를 건립하여 황민화 정책을 강요했다. 1926년 5월에는 새로운 간도 일본 총영사관 건물이 준공되었다.

1926년 7월, 조선공산당 동만지역국이 성립되었고, 1928년 2월에는 중국공산당 만주성위의 주도로 중국공산당 동만특별지부가 창건되었으며, 10월에는 동만구위가 설치되는 등 항일 운동 세력의 조직화가 이루어졌다.

1930년 10월 6일, 룽징촌에서 일본 경찰관과 중국 병사가 충돌하는 용정촌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일본 경찰 2명이 사망하자, 조선총독은 10월 7일 간도에 응원 경찰 100명을 파견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 사건에 대해 일본 측에 항의했다.

1932년 2월 15일, 룽징의 간도공회당에서 민생단 발기총회 및 창립대회가 개최되었다. 이는 이후 항일 운동 세력 내부에 큰 혼란과 비극을 초래하는 사건의 시작이었다.

1933년 4월 20일, 둔화와 두만강을 잇는 둔도철도가 개통되었다. 1934년에는 룽징국민학교에 임진왜란 당시 가토 기요마사의 침략 행위를 미화하는 소위 “청정공 울량하 공벌 추사비”가 건립되어 식민 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같은 해 룽징 지명의 유래가 된 우물을 기념하는 “용정지명기원지정천” 비석도 세워졌다.

1939년 6월 15일, 동흥중학교와 대성중학교가 합병하여 용정국민고등학교가 되었으며, 9월에는 친일 성향의 동만신문이 발행되었다. 1942년 3월, 만주국 교육부의 지시에 따라 룽징의 은진중학교는 간도성립 제3국민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1945년 6월 14일,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한 시인 윤동주의 묘비가 김석관, 동생 윤일주 등에 의해 룽징의 언덕에 세워졌다.

5. 행정 구역

룽징은 3개의 가도, 5개의 진, 2개의 으로 구성되어 있다.

룡정시정부


룡정시인민정부 정문

5. 1. 가도(街道)


  • 안민 가도(, 安民街道)
  • 룽먼 가도(, 龙门街道)
  • 리완 가도(, 梨园街道)

5. 2. 진(鎭)


  • 조양천진 (朝阳川镇|차오양촨전중국어)
  • 동성용진 (东盛涌镇|둥성융전중국어)
  • 개산툰 진 (开山屯镇|카이산툰전중국어)
  • 라오토우고우 진 (老头沟镇|라오터우거우전중국어)
  • 삼합진 (三合镇|싼허전중국어)
  • 지신진 (智新镇|즈신전중국어)

5. 3. 향(郷)

룽징시에는 다음 2개의 이 있다.

  • 더신 향 (德新乡)
  • 바이진 향 (白金乡)

6. 교육


  • 룡정중학교 (용정중학, 龍井中學|룽징중쉐중국어): 윤동주 시인이 졸업한 학교로 유명하다.
  • 연변농학원: 1958년 연변대학교에서 분리되어 룽징으로 이전했다.
  • 연변농아학교: 1959년 룽징에 설립되었다가, 1965년 민족별로 분리되어 조선족 학교는 화룡현으로 이전했다.

7. 인물


  • 윤동주: 일제강점기의 저항 시인. 1917년 12월 30일 룽징 지신진 명동촌에서 태어났다. 1945년 6월 14일, 그의 묘비가 김석관, 동생 윤일주 등에 의해 용정의 언덕에 세워졌으며, 1993년 5월에는 대표작 「서시」를 새긴 기념비가 한국 동아일보와 해외한민족연구소에 의해 용정중학교 교정에 세워졌다.
  • 문익환: 대한민국의 목사이자 민주화운동가, 통일 운동가. 1918년 룽징 명동촌에서 태어났다.
  • 강경애: 일제강점기의 여성 작가. 1999년 8월 8일 룽징시 피암산 중턱에 강경애 문학비가 세워졌다.
  • 김창걸: 작가. 2000년 8월 3일 룽징 지신향에 한국인의 지원으로 김창걸 문학비 제막식이 열렸다.

8. 문화/관광

룽징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오늘날 룽징의 문화와 관광 자원에 깊이 반영되어 있다. 1906년 중국 내 최초의 한인 근대 학교인 서전서숙이 설립된 것을 시작으로, 상정여학교(1910년), 영신학교(1912년), 은진중학교(1920년), 동흥중학교(1921년), 대성중학교(1921년) 등 민족 교육 기관들이 연이어 문을 열었다. 이는 당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교육을 통해 민족의 역량을 키우려 했던 의지를 보여준다.

룽징은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인물인 시인 윤동주의 고향이기도 하다. 1917년 명동촌에서 태어난 윤동주를 기리기 위해 1945년 그의 묘비가 세워졌고, 1993년에는 그의 모교인 용정중학교(구 대성중학교 터) 교정에 대표작 「서시」를 새긴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또한, 여성 작가 강경애(1999년)와 작가 김창걸(2000년)의 문학비도 세워져 문학적 발자취를 기념하고 있다.

1919년 3월 13일에는 3.1 운동의 영향을 받아 용정 3·13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처럼 룽징 곳곳에는 항일 투쟁의 역사가 깃든 유적들이 남아 있어, 과거를 돌아보고 역사를 배우는 교육의 장이 되고 있다.

문화적으로는 1982년 조선족의 전통 가옥 양식으로 지어진 조선민속박물관이 개관하여 민족 문화를 보존하고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룽징은 1927년에 처음 재배되기 시작한 사과배의 원산지로도 유명하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1987년 기념비가 세워졌고 1993년부터는 '룽징·사과배 축제'가 열리고 있다.[13]

이 외에도 룽징 시내와 주변 지역에는 지명의 유래가 된 우물, 구 간도 일본 총영사관 건물, 15만 엔 강탈 사건 유적, 오삼사건 지휘부 터, 비암산일송정 등 다양한 역사 문화 유적지가 분포하고 있다.

8. 1. 주요 유적지


  • '''지명 유래 우물''': 룽징이라는 지명의 유래가 된 우물이다. 1934년 이기섭의 발기로 "용정지명기원지정천" 비석이 세워졌다.

용정 지명 유래의 우물


용정 지명 유래의 우물 표지판

  • '''구 간도 영사관''': 1909년 일본이 설치한 간도 일본 총영사관 건물이다. 1926년 신축되었으며, 2016년경까지 룽징시 정부 청사로 사용되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후, 이곳 지하실에 룽징시 혁명사 전람관이 개설되기도 했다.
  •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간도지점'''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간도지점

  • '''구 조선은행 용정지점''': 1917년 3월 20일 개설된 조선은행의 간도 용정촌 출장소 건물이다.
  • '''구 율원서점''': 현재 신화서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 '''구 만영관''': 현재 용정극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 용정극장

  • '''서시장''': 시내에서 가장 큰 시장이다. 이 외에 북시장 등도 있다.

맑은 날에는 여기서 모여 화투를 하는 조선족

  • '''15만 엔 강탈 사건 유적''': 1920년 1월 4일, 철혈광복단 단원들이 독립운동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조선은행 회령지점에서 룽징 지점으로 이송되던 현금 15만 엔을 탈취한 사건을 기념하는 비석이다.[13] 용정과 백금의 분기점, 205번 도로변에 위치한다.

용정과 백금의 분기점에 있는 15만 엔 강탈 사건 유적


205번 도로변에 있는 15만 엔 강탈 사건 유적


15만 엔 강탈 사건 유적 전경


15만 엔 강탈 사건 유적 표지판


헌화되어 있는 15만 엔 강탈 사건 유적비


유적비 뒤쪽에서. 삼합진까지


룽징 중심지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

  • '''오삼사건 지휘부 터''': 1930년 5월 30일, 조선족들이 일으킨 반제국주의, 반봉건 투쟁인 오삼(五卅)사건 당시의 사령부 터이다. 15만 엔 강탈 사건 유적비 바로 근처에 있다.

오삼(五卅) 사건 지휘부 터(15만 엔 강탈 사건 유적비 바로 근처에 위치)


오삼(五卅) 사건 지휘부 터 비석 뒷면 개요


오삼(五卅) 사건 지휘부 터 정면에는 개울이 있다.

  • '''3·13반일의사릉''': 1919년 3월 13일 룽징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인 용정 3·13운동 당시 일본군의 발포로 희생된 열사들을 기리는 묘역이다.
  • '''송바위''': 안중근 의사가 사격 연습을 했다고 전해지는 작은 야산이다.
  • '''역사기념관''': 용정중학교 부지 내에 위치하며, 윤동주 시인의 모교인 구 대성중학교 터이기도 하다. 1994년 해외한민족연구소와 동아일보의 협찬으로 대성중학교 건물이 복원되었다.
  • '''비암산일송정'''
  • '''윤동주 생가''': 지신진 명동촌에 위치한 시인 윤동주가 태어난 집이다.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 이곳에서 태어났다.
  • '''망강각''': 삼합진의 고지대에 있는 전망대로, 두만강 너머 북한의 혜산시를 볼 수 있다.
  • '''개산둔 국경''': 개산둔진에 위치한 국경 지대이다. 과거에는 철도로 북한과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삼봉교를 통해 트럭만 오간다.

8. 2. 기타


  • 2008년 여름, 한국방송공사의 예능 프로그램 1박 2일에서 룽징시를 방문하여 촬영한 <백두산을 가다> 편이 방영되었다.
  • 룽징시의 주요 장소 및 유적은 다음과 같다.

:* 용정 지명 유래 우물

:* 구 간도 영사관: 2016년경까지 룽징시 정부 청사로 사용되었다.

:*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간도지점

:* 구 조선은행 룽징지점

:* 구 율원서점 (현 신화서점)

:* 구 만영관 (현 룽징극장)

:* 서시장: 시내 최대 규모의 시장이다. 이 외에 북시장 등 여러 시장이 있다.

:* 15만 엔 강탈 사건 유적: 1920년 1월 4일에 발생한 조선은행권 약탈 사건을 기리는 비석이 있다.

:* 오삼사건 지휘부 터: 1930년 5월 30일에 일어난 조선족의 반제국주의, 반봉건 투쟁 당시 사령부로 사용된 장소이다.

:* 3·13반일의사릉

:* 송바위: 안중근 의사가 사격 연습을 했다고 전해지는 작은 야산이다.

:* 역사기념관: 룽징중학교 부지 내에 위치하며, 과거 대성중학교가 있던 자리이자 시인 윤동주의 모교 터이다.

:* 비암산일송정

:* 윤동주 생가: 지신진 명동촌에 위치한다.

:* 망강각: 삼합진의 고지대에 있는 전망대로, 두만강 너머 북한의 혜산시를 조망할 수 있다.

:* 개산둔 국경: 개산둔진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철도로 북한과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삼봉교를 통해 트럭만 오간다.

9. 교통

시 중심부에서 연길공항까지의 거리는 13.5km이다.

9. 1. 철도

룡정역은 조개선(朝開線중국어)과 화룡선(和龍線중국어)의 접속역이다.

9. 2. 도로

9. 3. 버스


  • 류자이 버스터미널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20-01-11
[2] 웹사이트 城市概况 http://www.longjing.[...] www.longjing.gov.cn 2023-02-11
[3] 웹사이트 城市概况 http://www.longjing.[...] www.longjing.gov.cn 2023-02-11
[4] 웹사이트 城市概况 http://www.longjing.[...] www.longjing.gov.cn 2023-02-11
[5] 웹사이트 延边州龙井朝鲜族民俗食品加工项目 http://www.jl.gov.cn[...] www.jl.gov.cn 2023-02-11
[6] 웹사이트 城市概况 http://www.longjing.[...] www.longjing.gov.cn 2023-02-11
[7] 웹사이트 城市概况 http://www.longjing.[...] www.longjing.gov.cn 2023-02-11
[8] 웹사이트 国家级自然保护区名称 https://www.ipe.org.[...] 公众环境研究中心 Institute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2023-02-05
[9] 웹사이트 博物馆简介 http://www.ljbwg.cn/[...] www.ljbwg.cn 2023-02-11
[10] 웹사이트 延边朝鲜族自治州-行政区划网 www.xzqh.org http://www.xzqh.org/[...] xzqh.org 2011-04-28
[11]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7
[12]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7
[13] 뉴스 アジア1の生産を誇る延辺龍井リンゴ梨 接ぎ木から100周年を祝う https://www.koreawor[...] コリアワールドタイムズ 2021-05-30
[14]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7-07
[15] 웹인용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