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종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종옥은 일제강점기 함경남도 성진군(현 김책시) 출신의 북한 정치인이다. 하얼빈공업대학 졸업 후 항일 빨치산 운동에 참여했으며, 해방 후 조선공업기술연맹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북한 정권 수립 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산업성 과장, 부총리, 총리, 국가 부주석 등을 지내며 김일성 시대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1980년 조선로동당 당대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출되어 북한 권력 서열 5위에 올랐으며, 1998년 은퇴 후 1999년 사망하여 평양 신미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부수반 - 김영주 (1920년)
김영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동생이자 김정일의 삼촌이며, 한때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고, 7·4 남북 공동 성명 당시 북측 대표, 국가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부수반 - 김일 (1910년)
김일(1910년)은 일제 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후 고위직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김일성 휘하에서 활동하며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하고 남북 관계 개선에도 노력하는 등 북한 현대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하얼빈 공업대학 동문 - 박창암
박창암은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군인, 언론인, 사학자로 활동하며 5.16 군사정변에 가담했으나 반혁명 사건으로 투옥된 후, 월간 <자유>를 창간하여 재야 사학계와 교류하며 한국 고대사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 하얼빈 공업대학 동문 - 류궈중
류궈중은 흑룡강성 출신으로 여러 성의 주요 직책을 거쳐 국무원 부총리가 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며, 농업, 보건, 빈곤 퇴치 등의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총리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총리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리종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16년 1월 10일 |
출생지 | 간쿄호쿠도 (함경북도), 일본, 일본 제국 |
사망일 | 1999년 9월 23일 |
사망지 | 평양 |
직책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주석 | 1984년 1월 16일 – 1997년 10월 |
제4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총리 | 1977년 12월 15일 – 1984년 1월 27일 |
이전 | 박성철 |
이후 | 강성산 |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 1956년 1월 16일 – 1959년 7월 |
이전 | 박성철 |
이후 | 강성산 |
개인 정보 | |
로마자 표기 | Ri Jongok |
한글 | 리종옥 |
한자 | 李鍾玉 |
조선어 (북한) | 리종옥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학력 | |
출신 학교 | 하얼빈 공업대학 |
2. 이력
일제강점기 함경남도 성진군 성진읍(현재의 김책시) 출신으로, 하얼빈 공업 대학을 졸업한 기술 관료이다. 광복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에 참여하여 1948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된 이래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정부 수립 초기 산업성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1951년 내각 경공업상에 올랐으며, 이후 국가계획위원장, 내각 부총리, 중공업위원회 위원장, 과학원 원장, 광업상 등 주로 경제 및 공업 분야의 요직을 역임했다.[6]
1977년에는 정무원 총리에 임명되었고,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는 조선로동당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한때 권력 서열 5위에 오르기도 했으나 1983년 정치국원으로 강등되었다.[5] 1984년 1월 정무원 총리에서 물러나 국가 부주석으로 자리를 옮겼다.[6]
1998년 9월 헌법 개정으로 국가주석제가 폐지되면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으로 추대되어 사실상 정계에서 은퇴했고,[6] 1999년 9월 23일 사망하여 국장으로 평양시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김일성훈장을 1982년과 1992년 두 차례 수여받았다.[6]
2. 1. 생애 초기
함경남도 성진군 성진읍(현재의 김책시)에서 태어났다. 1937년 일본 대학 전문부를 거쳐, 1940년 하얼빈 공업 대학을 졸업했다.1944년 한반도로 돌아와 청진시에서 "적우회"라는 조직을 만들어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며, 같은 해 항일빨치산 운동에도 참가했다.[6] 광복 후인 1945년에는 조선 공업 기술 연맹 위원장을 지냈고, 1948년에는 청진 방직 공장의 지배인이 되었다.
1948년 2월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이후 사망할 때까지 대의원직을 유지했다. 같은 해 9월 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수립되자 정무원 산업성 과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1949년 10월 산업성 국장, 1950년 산업성 부상을 거쳐 1951년 12월 내각 경공업상에 임명되었다.[6]
2. 2. 북한 정권 수립 이후
1948년 2월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9월 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과 함께 정무원 산업성 과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주로 경제 및 공업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1949년 10월 산업성 국장, 1950년 산업성 부상, 1951년 12월 내각 경공업상을 역임했다.1956년 1월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공업부장과 국가계획위원장을 맡았고, 같은 해 4월 제3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서열 28위) 및 정치국원 후보로 선출되었다. 6월에는 김일성의 소련 및 동구권 순방에 동행했으며, 1959년 7월 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었다.
1960년 1월 내각 부총리 겸 중공업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고, 1961년 9월 당 정치국원으로 승격했다. 1962년 부총리에 재선되면서 금속화학공업상을 겸임했다.[6] 1965년에는 부총리직에서 물러나 국립 과학원 원장을 지냈고, 1971년과 1972년 6월에는 광업상을 역임했다.
1972년 12월 사회주의 헌법 제정에 따라 내각이 정무원으로 개편되자, 정무원 중공업위원회 위원장과 중앙인민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73년 당 정치국원 후보로 잠시 강등되었으나,[6] 1976년 12월 정무원 부총리로 복귀했고, 1977년 12월 15일에는 정무원 총리에 취임하며 당 정치국원으로 다시 승격했다.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 당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김일성, 김일, 오진우, 김정일에 이어 권력 서열 5위에 올랐다. 1982년 제7대 내각에서도 정무원 총리직을 유지했으며,[6] 그해 김일성훈장을 받았다. 그러나 1983년 정치국 상무위원에서 정치국원으로 다시 강등되었다.[5]
1984년 1월 정무원 총리에서 물러나 국가 부주석으로 자리를 옮겼고,[6] 1988년에는 국가학위학직수여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했다.[6] 1992년에 김일성훈장을 다시 한번 수여받았다.[6] 1994년 김일성 사망 시 국가장의위원을 맡았다.
1998년 9월 헌법 개정으로 국가주석제가 폐지되면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으로 추대되었고, 당 정치국원 지위는 유지했으나 사실상 정계에서 은퇴했다.[6] 1999년 9월 23일 지병으로 사망했으며, 국장으로 평양시 신미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사망 당시까지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직을 유지하고 있었다.
'''주요 경력'''
연도 | 주요 직책 및 활동 |
---|---|
1948년 |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 정무원 산업성 과장 |
1951년 | 내각 경공업상 |
1956년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공업부장,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당 중앙위원, 정치국원 후보 |
1959년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
1960년 | 내각 부총리, 중공업위원회 위원장 |
1961년 | 당 정치국원 |
1962년 | 내각 부총리 (재선), 금속화학공업상[6] |
1965년 | 과학원 원장 |
1971년~1972년 | 광업상 |
1972년 | 정무원 중공업위원장, 중앙인민위원회 위원 |
1976년 | 정무원 부총리 |
1977년 | 정무원 총리, 당 정치국원 (복귀) |
1980년 | 당 정치국 상무위원 (서열 5위) |
1982년 | 정무원 총리 (유임), 김일성훈장 수여[6] |
1983년 | 당 정치국원 (강등)[5] |
1984년 | 국가 부주석[6] |
1988년 | 국가학위학직수여위원회 위원장[6] |
1992년 | 김일성훈장 재수여[6] |
1994년 | 김일성 국장 국가장의위원 |
1998년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 (사실상 정계 은퇴)[6] |
1999년 | 사망, 애국렬사릉 안장 |
2. 3. 경제 관료 활동
하얼빈 공업 대학을 졸업한 기술 관료 출신으로, 해방 후 1945년 조선 공업 기술 연맹 위원장, 1948년 청진 방직 공장 지배인을 지냈다. 1948년 9월 2일 북조선 정부 수립 시 정무원 산업성 과장으로 임명되어 본격적인 경제 관료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후 1949년 10월 산업성 국장, 1950년 산업성 부상, 1951년 12월 내각 경공업상을 차례로 역임하며 산업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1956년 1월에는 국가계획위원장(대신급)에 임명되어 국가 경제 계획 수립을 담당했다. 1960년에는 내각 부총리 겸 중공업위원회 위원장이 되었고, 1962년에는 부총리 겸 금속화학공업상에 임명되어 중공업 및 화학 공업 분야를 이끌었다.[6] 1965년에는 국립 과학원 원장을 맡아 과학기술 행정 분야에서도 활동했으며, 1971년과 1972년 6월에는 광업상을 역임했다.
1972년 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제정에 따라 내각이 정무원으로 개편되면서, 리종옥은 정무원 중공업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6] 1976년 11월 정무원 부총리를 거쳐, 1977년 12월 15일 출범한 제6차 내각에서 정무원 총리에 취임하여 경제 정책 전반을 총괄하게 되었다. 1980년 제6차 조선로동당 대회에서는 당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김일성, 김일, 오진우, 김정일에 이어 권력 서열 5위에 올랐다. 1982년 제7대 내각에서도 정무원 총리직을 연임하며 경제 관료로서 최고위직을 유지했다.[6] 1984년 1월 국가 부주석으로 선임되면서 경제 일선에서는 물러났다.
2. 4. 정치 활동
1944년 청진시에서 "적우회"를 조직하고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했다. 광복 후 1945년 조선 공업 기술 연맹 위원장을 지냈고, 1948년에는 청진 방직 공장 지배인이 되었다.1948년 2월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어 사망할 때까지 대의원직을 유지했다. 같은 해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후 정무원 산업성 과장이 되었으며, 1949년 10월 국장, 1950년 부상을 거쳐 1951년 12월 내각 경공업상에 임명되었다.
1956년 1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공업부장 겸 국가계획위원장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4월 제3차 조선로동당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서열 28위) 및 정치국원 후보로 선출되었다. 1956년 6월 김일성 수상의 소련, 동독, 동유럽 순방에 대표단원으로 동행했다. 1959년 7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었다.
1960년 1월 내각 부총리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4월 중공업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했다. 1961년 9월 당 정치국원으로 승격했으며, 1962년 부총리에 재선되어 금속화학공업상을 겸임했다.[6] 1965년 부수상직에서 물러나 과학원 원장을 지냈고, 1971년과 1972년 6월에 광업상에 임명되는 등 주로 공업 분야에서 활동했다.
1972년 12월 27일 사회주의 헌법 제정으로 내각이 정무원으로 개편되자, 정무원 중공업위원회 위원장과 중앙인민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 1973년 당 정치국원 후보로 강등되었다.[6] 1976년 12월 11일 정무원 부총리에 임명되었고, 1977년 12월 15일 정무원 총리에 취임하며 당 정치국원으로 복귀했다.
1980년 10월 제6차 조선로동당 대회에서 당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김일성, 김일, 오진우, 김정일에 이어 권력 서열 5위에 올랐다. 1982년 제7대 정무원에서도 총리직을 유지했으며[6], 같은 해 김일성훈장을 받았다. 그러나 1983년 당 정치국 상무위원에서 정치국원으로 다시 강등되었다.[5]
1984년 1월 27일 정무원 총리에서 물러나 국가 부주석으로 임명되었고, 1988년 10월 국가학위학직수여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했다.[6] 1992년 김일성훈장을 다시 수여받았다.[6] 1994년 7월 8일 김일성 사망 후 열린 국가 장례식에서 장의위원을 맡았다.
1998년 9월 5일 헌법 개정으로 국가주석제가 폐지되면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으로 추대되어 사실상 정계에서 은퇴했다.[6] 사망 전까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직은 유지했다. 1999년 9월 23일 지병으로 사망했으며, 국장으로 평양시 신미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2. 5. 은퇴와 사망
1992년에 다시 김일성훈장을 수여받았다.[6] 1994년 7월 김일성 주석 사망 시 국가 장의 위원을 맡았다. 1998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개정으로 국가 주석제가 폐지되면서 국가 부주석직에서 물러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 부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6] 이는 사실상의 정계 은퇴로 간주되지만, 사망 전까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직은 유지했다. 1999년 9월 23일 지병으로 사망했으며,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져 평양시 신미리의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3. 가족 관계
- 아들: 리만호
참조
[1]
웹사이트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 National Foreign Assessment Center. 1984 Jan-June
https://hdl.handle.n[...]
[2]
웹사이트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 National Foreign Assessment Center. Dec 1996-Feb 1997
https://hdl.handle.n[...]
[3]
웹사이트
Funeral service for late Ri Jong Ok
http://www.kcna.co.j[...]
1999-09-26
[4]
웹사이트
Ri Jong Ok passes away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2-10-11
[5]
서적
苦境脱出のための混迷と模索 : 1983年の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https://hdl.handle.n[...]
アジア経済研究所
[6]
백과사전
이종옥(북한 정치가)
http://enc.daum.net/[...]
Daum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