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각은 정부의 최고 행정 기관을 의미하며, 각료(장관)들로 구성되어 정부의 정책 결정 및 집행을 담당한다. 내각의 명칭과 구성 방식은 국가별로 다양하며,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대통령이 임명하고 의회의 승인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의회에서 선출된 총리가 내각을 구성하고, 의회의 신임을 유지하며 활동한다.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폴리트뷰로가 실질적인 통치 기구 역할을 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각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내각 - 내각 총사퇴
내각 총사퇴는 내각 구성원 전체가 사임하는 행위로, 정부 정책 전환이나 정치적 책임을 나타내며, 의회 불신임, 예산안 거부, 총리 사임 등이 주요 원인이며,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 심리 위축을 초래할 수 있지만 국정 쇄신의 기회가 되기도 한다. - 정부 기관 - 국가안전보장회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국가 안보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기구이며, 1947년 미국에서 처음 설립되었고,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다. - 정부 기관 - 공공기관
공공기관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립·운영하며 공공 서비스 제공 및 국가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기관으로, 대한민국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산하에 다양하게 존재하나, 재난 대응에 관한 법적 체계는 일본과 대조를 이룬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내각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고위 정부 관료 그룹 (주로 행정부를 대표) |
역할 | 국가의 주요 정책 결정 및 실행 |
구성 | |
구성원 | 장관 국무총리 또는 대통령과 같은 정부 수반 차관 기타 고위 관료 |
임명 | 정부 수반 또는 국가 원수에 의해 임명 |
기능 | |
주요 기능 | 국가 정책 결정 정부 운영 지휘 법률 제안 예산 편성 외교 및 국방 정책 결정 국가 중요 사안 논의 및 결정 |
책임 | 의회 또는 국민에 대한 책임 |
중요성 | 정부 운영의 핵심 기관 |
국가별 특징 | |
국가별 차이점 | 국가마다 구성, 권한, 책임이 다를 수 있음 |
예시 | 영국 내각 미국 내각 일본 내각 대한민국 국무회의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정부 행정부 국무회의 정부 부처 장관 |
관련 주제 | 정치 정책 법률 경제 외교 국방 |
2. 용어
대부분의 정부에서 내각 구성원은 "장관"이라는 직함을 가지며, 각각 정부 업무의 다른 담당 분야를 맡는다("외무장관", "보건장관" 등).[3] 멕시코, 필리핀, 영국, 미국과 같이 일부 정부에서는 일부 내각 구성원에게 "장관"이라는 직함을 사용하기도 한다("교육장관" 또는 영국이나 네덜란드의 "X 장관").[3] 독일, 룩셈부르크, 프랑스, 스페인 등 많은 국가에서는 장관(국무장관)이 장관보다 계급이 낮은 내각 구성원이다.[3] 핀란드에서는 국무장관이 장관을 보좌하는 직업 공무원이다.[3]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내각 구성원을 대통령이 임명하며, 일부 또는 양원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할 수도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상원이 단순 다수결로 승인한다.[4]
거의 모든 국가에 내각으로 인식되는 기관이 있지만, 이 기관의 명칭은 다양하다.[3] 아일랜드, 스웨덴, 베트남과 같은 많은 국가에서는 "정부"라는 용어가 행정 장관들의 집단을 가리키며, 더 광범위한 국가 기관은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3] 스페인, 폴란드, 쿠바와 같은 다른 국가들은 내각을 국무회의 또는 유사한 국무원이라고 부른다.[3] 일부 독일어권 지역에서는 내각을 일반적인 의미의 입법부 상원이 아닌 "상원"(예: 베를린 상원)이라고 부른다.[3] 그러나 이스라엘, 미국, 베네수엘라, 싱가포르 등 많은 국가는 최고 행정부를 간단히 내각이라고 부른다.[3]
초국가적 유럽 연합은 다른 관례를 사용한다.[3] 유럽 집행위원회는 행정부 내각을 "college"라고 부르며, 최고 공무원을 "집행위원"이라고 부르는 반면, "유럽 집행위원회 내각"은 유럽 집행위원의 개인 사무실이다.[3]
이 용어는 이탈리아어 ''gabinetto''에서 유래했으며, 16세기에 벽장이나 작은 방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 라틴어 ''capanna''에서 유래했다.[3] 17세기에는 귀족이나 왕족의 집, 특히 작은 방을 가리키는 영어 단어 cabinet 또는 cabinett이 생겨났다.[3] 이 무렵 영국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지에서 소규모 의회와 관련된 내각의 사용이 생겨났다.[3] 예를 들어, 프랜시스 베이컨은 1607년에 ''Cabanet Counselles''라는 용어를 사용했다.[3]
3. 내각 구성원의 선출
국가에 따라 내각 구성원의 의회 의원 겸직 가능 여부가 다르다.
일부 대통령제 국가는 선거 결과를 바탕으로 내각 임명 자격에 제한을 두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필리핀에서는 전국 어떤 선거에서든 패배한 후보는 그 선거 후 1년 이내에 내각직에 임명될 수 없다.[4]
총리 후보 또는 대통령이 개별 장관을 의회에 제안하고, 의회는 제안된 내각 구성을 수락 또는 거부할 수 있다. 대통령제와 달리 의원내각제의 내각은 단순히 승인을 받는 것뿐만 아니라 의회의 지속적인 신임을 얻어야 한다. 의회는 불신임안을 통과시켜 정부 또는 개별 장관을 해임할 수 있다.
미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법무장관이 내각에 참여하지만, 많은 국가에서는 법무장관이 사법부의 일원으로 간주되므로 엄격히 금지된다. 대신 법무장관과 별도로 법무부 장관이 있다. 또한 스웨덴, 핀란드, 에스토니아에서는 내각에 법률 자문관 역할을 하는 법무총장이 포함된다.
다당제에서는 정부 구성에 여러 당의 지지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연립 정부가 구성된다. 내각이 의회의 신임을 유지하려면 참여 정당 간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내각의 규모는 다양하지만, 대부분 10~20명의 장관으로 구성된다. 연구에 따르면 국가의 개발 수준과 내각 규모 사이에는 역의 상관관계가 있다. 평균적으로 국가가 더 발전할수록 내각 규모는 더 작아진다.[5]
4. 내각의 기원
내각은 국가 원수의 자문 기구로서, 역사적으로 전 세계 정부의 일반적인 특징이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사제들이 파라오의 행정 업무를 지원했다.[6] 스파르타에서는 장로회(Gerousia)가 왕과 함께 법률을 심의하거나 사건을 재판했다.[7] 마우리아 제국은 아소카 황제 치하에서 왕실 의회의 통치를 받았다.[8] 키예프 루스에서는 왕족이 귀족(보야르)으로 구성된 두마(duma)의 자문을 받아야 했으며, 두마의 소수 핵심 그룹이 왕을 지속적으로 보좌하는 내각을 구성했다.[9] 마야 문명의 치첸 이차와 마야판 유적에서는 엘리트 귀족들의 최고 의회가 정치 권력을 행사했음을 알 수 있다.[10] 송가이 제국에서는 중앙 정부가 황실 의회의 최고 관리들로 구성되었다.[11] 오요 제국에서는 왕실 의회(오요 메시)의 귀족 구성원이 왕(Alaafin)의 권력을 제한했다.[12] 청나라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는 친왕과 대신들의 심의회였다.[13]
영국과 그 식민지에서 내각은 영국 추밀원의 더 작은 하위 그룹으로 시작되었다. "내각(cabinet)"이라는 용어는 서재나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는 작은 개인적인 방(Cabinet (room))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국왕에게 비밀리에 조언을 한다는 의미의 "내각 자문(cabinet counsel)"과 같은 표현은 16세기 후반부터 등장했는데, 당시 표기법이 표준화되지 않아 "의회(council)"인지 "자문(counsel)"인지 구분하기 어려웠다.[14]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프랜시스 베이컨이 그의 에세이(1605)에서 "내각 의회(Cabinet council)"를 처음 사용했다고 언급하며, 이를 외국 관습으로 묘사하고 비난했다.[15] 찰스 1세는 1625년 즉위 이후 공식적인 "내각 의회(Cabinet Council)"를 시작했다. 1644년에 "내각(cabinet)"이라는 용어가 처음 기록되었으며, 이 역시 의심스러운 외국 관행과 관련짓는다.[14] 최근에는 지도자들이 부엌 내각 또는 "소파 정부"가 필요하다고 느끼면서 이 과정이 반복되었다.[16]
5. 의원내각제
웨스트민스터 시스템 하에서 내각 구성원은 국무장관이며, 모든 정부 정책에 대해 내각 연대 책임을 진다. 고위직 내각 장관이든, 차관이든 모든 장관은 비공개적인 의견이 있더라도 정부 정책을 공개적으로 지지해야 한다.[20] 이론적으로는 모든 내각 결정이 내각 전체의 집단적 결정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실제로는 많은 결정이 내각의 여러 하위 위원회에 위임되며, 이 위원회는 그들의 조사 결과와 권고 사항을 전체 내각에 보고한다. 이러한 권고 사항은 이미 해당 부처 장관직을 맡고 있는 내각 구성원들에 의해 합의된 것이기 때문에, 전체 내각에서 추가적인 논의 없이 일반적으로 승인된다. 내각은 또한 새로운 법률이 제정될 경우 그 내용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내각의 심의는 비밀이며, 내각에서 처리되는 문서는 기밀이다. 내각 심의와 관련된 대부분의 문서는 해당 내각이 해산된 후 상당한 기간이 지나서야, 국가의 정보 공개 법률 조항에 따라 공개된다.[20]
이론적으로 수상 또는 총리는 최고 중의 최고이다. 그러나 수상은 궁극적으로 국가 원수가 자문(헌법 관례에 따라)을 구하여 행정권을 행사하는 사람이다. 여기에는 전쟁 선포, 핵무기 사용, 내각 구성원 임명 등의 권한이 포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각은 사실상 수상에 의해 임명되고 수상의 뜻에 따라 활동하게 된다. 따라서 내각은 수상의 명령에 따라 언제든지 교체되거나, 내각 개편을 통해 다른 부처로 이동("강등")될 수 있기 때문에 수상에게 강하게 종속되는 경우가 많다.[20]
행정 권한과 관련된 이러한 지위는 실제로 정부의 전반적인 방향에 대한 책임 분산은 대부분 수상의 선호 사항에 따라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수상이 후방 의원들과 인기가 없거나, 내각이 집단적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20]
그림자 내각은 일반적으로 비판적인 포트폴리오를 맡아 내각 장관의 결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야당의 주요 구성원 또는 전면 의원으로 구성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그림자 장관을 대변인이라고 부른다.[20]
웨스트민스터 내각 시스템은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인도, 파키스탄, 남아프리카 공화국 및 의회 모델이 영국을 밀접하게 따르는 다른 영연방 국가들의 연방 및 주(또는 주) 관할 구역에서 알려진 내각의 기초가 된다.[20]
내각은 입법부(의회)와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의원내각제로 분류할수있다. 의원내각제에서 내각이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지고, 의회의 신임을 내각 존립의 조건으로 하는 유형이다. 의원내각제는 의회에 의석을 보유하는 정당을 기반으로 내각을 조직하는 것에서 정당내각제라고도 불리며, 의회의 신임에 기반하여 정권을 운영한다.[25] 정당내각제는 의회의 다수당을 기반으로 성립하는 것으로, 각료의 대부분은 다수당의 소속 의원으로 구성된다.[26] 단, 단일 정당으로는 의회에서 안정적 다수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등에는 여러 정당이 정책 협정을 체결하여 연립내각을 조직하는 경우가 있다.[26]
현재 일본이나 영국 등 많은 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다. 일본의 내각은 영국의 내각을 본떠 만들어졌다. 의원내각제의 본질에 대해서는 내각의 의회에 대한 책임을 본질적 요소로 보는 책임본질설과, 내각의 의회 해산권을 그 요소에 포함시키는 균형본질설의 대립이 있다.[20]
6. 대통령제
미국 헌법에 따른 권력 분립 원칙에 따라, 대통령제 정부 하의 내각은 행정부의 일부이다.[20] 각료는 행정부의 해당 부문을 관리하는 것 외에도, 자신이 담당하는 분야에 대해 정부 수반에게 자문할 책임이 있다.
각료는 정부 수반에 의해 임명되고 정부 수반의 재량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며, 따라서 언제든지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대통령에게 강하게 종속된다. 일반적으로 대통령이 임명하기 때문에 같은 정당 소속이지만, 행정부는 상원의 자문과 동의를 거쳐 야당 의원을 포함한 누구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법부 또는 그 일부는 각료 임명을 승인해야 한다. 이는 대통령제에 내재된 많은 견제와 균형 중 하나일 뿐이다.[20] 입법부는 일반적으로 어려운 탄핵 절차를 통해 각료를 해임할 수도 있다.
내각에서 각료는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에서 볼 수 있는 수준으로 입법 정책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각 구성원은 자신이 담당하는 행정부 부처와 관련된 문제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프랭클린 D. 루즈벨트 행정부 이후로, 미국 대통령은 이전 행정부에서와 같이 내각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집무실이나 국가안보회의를 통해 더 자주 행동해 왔다.
"장관"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정부 부처의 최고 책임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지만, 일부 부처는 그러한 관리를 지칭하는 데 다른 직함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법무부는 "사법장관"이라는 용어를 "사법 장관" 대신 사용하지만, 법무장관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각급 직책이다.
연방 정부의 모델에 따라 주 행정부도 각료가 이끄는 행정부 부처로 조직되어 있다. 캘리포니아 주 정부는 이러한 부처를 "기관" 또는 비공식적으로 "초대형 기관"이라고 부르는 반면, 켄터키 주 정부는 이를 "내각"이라고 부른다.
대통령제하에서의 내각의 역할은 나라마다 큰 차이가 있으며, 독일이나 이탈리아처럼 대통령이 형식적·상징적 존재에 불과하고 의회 다수파로부터 수상이 선출되는 의원내각제에 가까운 형태의 나라와, 한국이나 아르헨티나처럼 수상의 선출이나 해임이 대통령에 의해 이루어지고 대통령의 스태프로서 기능하고 있는 나라가 있다.[27] 행정권이 대통령에게 전속하는 미국의 경우, Cabinet은 「대통령 고문단」으로 번역될 수 있다.[18]
7. 공산주의 체제
공산주의 국가는 폴리트뷰로가 사실상 통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련 공산당 폴리트뷰로가 그러하다. 폴리트뷰로는 공산당의 기관이지 국가 기관이 아니지만, 일당 독재 때문에 국가와 내각(예: 소비에트 연방 정부)은 실제로 폴리트뷰로에 종속된다. 기술적으로는 폴리트뷰로는 중앙위원회의 감독을 받고 중앙위원회가 구성원을 선출하지만, 실제로는 종종 그 반대였다. 폴리트뷰로의 강력한 구성원들은 후원을 통해 중앙위원회의 지지를 확보했다. 중국에서는 정치 권력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로 더욱 집중되었다.
8. 나라별 내각
의원내각제 국가로는 영국의 내각, 일본의 내각, 오스트레일리아의 내각, 캐나다의 내각, 태국의 내각 등이 있다. 대통령제 국가로는 대한민국의 국무회의와 미국의 내각 등이 있다.[27]
각 국가 및 지역에 따라 내각의 체제와 명칭은 다양하다.
- 일본 : 내각[27]
- 대한민국 : 국무회의[27]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내각[27]
- 영국 : 내각[27]
- 오스트레일리아 : 내각[27]
- 캐나다 : 내각[27]
- 도미니카 공화국 : 내각[27]
- 인도네시아 : 내각[27]
- 우크라이나 : 각료내각[27]
- 태국 : 각료평의회[27]
- 독일 : 연방정부[27]
- 네덜란드 : 내각[27]
- 이탈리아 : 각료평의회[27]
- 스웨덴 : 정부[27]
- 중화인민공화국 : 국무원[27]
- 홍콩 : 행정회의[27]
- 중화민국 : 행정원[27]
- 미국 : 내각[27]
8.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내각에 상응하는 조직은 국무회의이다.8. 2. 일본
일본의 행정부는 내각이다.[27]8. 3. 영국
영국은 의원내각제 국가로, 내각(Cabinet)이 행정권을 갖는다.[27]8. 4. 미국
미국 헌법에 따른 권력 분립 원칙에 따라, 대통령제 정부 하의 내각은 행정부의 일부이다.[27] 각료는 행정부의 해당 부문을 관리하는 것 외에도, 자신이 담당하는 분야에 대해 정부 수반에게 자문할 책임이 있다.[27]각료는 정부 수반에 의해 임명되고 정부 수반의 재량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며, 언제든지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대통령에게 강하게 종속된다.[27] 일반적으로 대통령이 임명하기 때문에 같은 정당 소속이지만, 행정부는 상원의 자문과 동의를 거쳐 야당 의원을 포함한 누구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27]
일반적으로 입법부 또는 그 일부는 각료 임명을 승인해야 한다.[27] 이는 대통령 중심제에 내재된 많은 견제와 균형 중 하나일 뿐이다.[27] 입법부는 일반적으로 어려운 탄핵 절차를 통해 각료를 해임할 수도 있다.[27]
내각에서 각료는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에서 볼 수 있는 수준으로 입법 정책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각 구성원은 자신이 담당하는 행정부 부처와 관련된 문제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27] 프랭클린 D. 루즈벨트 행정부 이후로, 미국 대통령은 이전 행정부에서와 같이 내각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집무실이나 국가안보회의를 통해 더 자주 행동해 왔다.[27]
"장관"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정부 부처의 최고 책임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지만, 일부 부처는 그러한 관리를 지칭하는 데 다른 직함을 사용한다.[27] 예를 들어, 법무부는 "사법장관"이라는 용어를 "사법 장관" 대신 사용하지만, 법무장관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각급 직책이다.[27]
연방 정부의 모델에 따라 주 행정부도 각료가 이끄는 행정부 부처로 조직되어 있다.[27] 캘리포니아 주 정부는 이러한 부처를 "기관" 또는 비공식적으로 "초대형 기관"이라고 부르는 반면, 켄터키 주 정부는 이를 "내각"이라고 부른다.[27]
8. 5. 기타 국가
의원내각제 국가로는 영국의 내각, 일본의 내각, 오스트레일리아의 내각, 캐나다의 내각, 태국의 내각 등이 있다.[27] 대통령제 국가로는 대한민국의 국무회의와 미국의 내각 등이 있다.[27]각 국가 및 지역에 따라 내각의 체제와 명칭은 다양하다.
참조
[1]
웹사이트
Cabinet {{!}} Political Definition, Government, Function,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7-07
[2]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5th Edition
[3]
서적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23
[4]
웹사이트
THE 198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ARTICLE IX
https://www.official[...]
2022-10-25
[5]
뉴스
The Undeciders: More decision-makers bring less efficiency
https://web.archive.[...]
ScienceNews
2008-05-09
[6]
서적
World Monarchies and Dynasties: Volume 1–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25
[7]
서적
Spartans: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20-11-25
[8]
서적
The History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25
[9]
서적
The Course of Rus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2020-11-25
[10]
서적
The Ancient May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0-11-25
[11]
서적
General History of Africa: IV Africa from the Twelfth to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11-25
[12]
서적
Slavery and Slaving in African History: New Approaches to Af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1-25
[13]
서적
New Qing Imperial History: The making of Inner Asian empire at Qing Chengde
https://books.google[...]
RoutledgeCurzon
2020-11-25
[14]
사전
Cabinet
[15]
웹사이트
Bacon, Essay "On Counsel"
http://www.bartleby.[...]
[16]
뉴스
Clarke targets 'sofa-style' Blair
http://news.bbc.co.u[...]
BBC News
2013-08-24
[17]
서적
政治・経済用語集
山川出版社
[18]
웹사이트
cabinet
https://kotobank.jp/[...]
[19]
웹사이트
内閣
[20]
서적
政治学の第一歩
有斐閣
[21]
웹사이트
議院内閣制における内閣の在り方― 我が国の統治機構の在り方を考える視座 ―
https://www.sangiin.[...]
参議院
2021-07-11
[22]
웹사이트
議院内閣制における内閣の在り方― 我が国の統治機構の在り方を考える視座 ―
https://www.sangiin.[...]
参議院
2021-07-11
[23]
웹사이트
議院内閣制における内閣の在り方― 我が国の統治機構の在り方を考える視座 ―
https://www.sangiin.[...]
参議院
2021-07-11
[24]
웹사이트
議院内閣制における内閣の在り方― 我が国の統治機構の在り方を考える視座 ―
https://www.sangiin.[...]
参議院
2021-07-11
[25]
서적
Q&A日本政治ハンドブック : 政治ニュースがよくわかる!
一藝社
2006
[26]
서적
現代社会用語集
山川出版社
[27]
서적
政治学の第一歩
有斐閣
[28]
문서
고려와 조선시대의 내각 구성에 대한 설명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오늘부터 정기국회…특검법 개정 놓고 '신경전'
'내로남불' 25년…인사청문회, 왜 국민 신뢰 잃었나
이재명 정부 첫 얼굴··· 현직 의원·기업인 ‘최다’, 학자는 ‘최소’
이 대통령, 김영훈 노동·김성환 환경·정은경 복지 장관 임명안 재가
‘모두’가 아닌 ‘60%’의 대통령이 되어주길 [권태호 칼럼]
우상호 "강선우 지명 유지, 여당 지도부 의견이 가장 영향"
우상호 "강선우 지명 유지, 여당 지도부 의견이 가장 영향"
우상호 “이 대통령, 꼬박 하루 인사 고민…여당 지도부 가장 큰 영향”
“각료 임명은 물소떼 강 건너듯 해야”…이재명 인사 전략 재조명
‘성과’를 최우선에 둔 내각, 기대와 우려 [박찬수 칼럼]
국힘 "이 대통령, '무자격 오적' 지명 철회, 보은인사 중단해야" | JTBC 뉴스
우상호 "국민 눈높이 안 맞는 장관 후보자 있어…이재명 대통령도 여론 체크 중" | JTBC 뉴스
민주 김병기 “인사청문회 기준은 실용·능력·성과”
자료 미제출·증인 채택 불발…국힘 “청문회 무력화 작전”
‘갑질 의혹’ 강선우부터 인사청문회 돌입…인사청문회 ‘슈퍼위크’
‘1기 내각’ 19명 인선 마무리…평균 60.1세·현역 의원 8명·여성 5명
강훈식 비서실장 “내각 인선해보니 대통령 눈 너무 높아”
“대통령님 눈 너무 높으십니다”…강훈식, 1기 내각 인선 소회
민주, '이진숙·강선우' 의혹 공세에 "소명시 국민 납득할 것"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