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Richard Nikolaus von Coudenhove-Kalergi, 1894년 ~ 1972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외교관의 아들로 일본 도쿄에서 태어난 인물이다. 그는 범유럽주의 운동의 선구자로서, 1923년 저서 《판유로파》를 출간하고 국제 범유럽 연합을 설립하여 유럽 통합을 주창했다. 1930년대에는 노벨 평화상 후보로 여러 번 거론되었으나 수상하지는 못했다.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이후 프랑스와 미국으로 망명하여 활동을 이어갔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통합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카롤루스 대제상 등을 수상했다. 그는 프리메이슨이었으며, 우애 사상을 강조했다. 그의 사상은 유럽 연합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과도 깊은 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귀족주의적 엘리트주의와 식민지 지배 옹호, 독재 정권과의 관계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계 오스트리아인 -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480년)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인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막시밀리안 1세의 딸이자 부르고뉴 여공 마리의 외동딸로, 프랑스 왕세자와 약혼 후 파혼, 스페인 왕태자비, 사보이 공작과의 재혼, 네덜란드 총독 역임, 르네상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폴란드계 오스트리아인 - 요한 네스트로이
    요한 네스트로이는 법학도에서 가수로 데뷔 후 극작가로 성공하여 빈 상업 무대를 이끌며 사회 비판과 풍자를 담은 코미디 작품으로 오스트리아 문화계의 중요한 인물이 되었고, 그의 작품은 현대 독일어권 극장에서도 공연되며 여러 작품으로 각색되어 널리 알려졌다.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
인물 정보
이름리하르트 니콜라우스 에이지로 폰 쿠덴호페칼레르기 백작
출생 이름아오야마 에이지로
작위쿠덴호페칼레르기 백작
출생일1894년 11월 16일
출생지도쿄, 일본 제국
사망일1972년 7월 27일
사망지오스트리아 슈룬스
아버지하인리히 폰 쿠덴호페칼레르기
어머니아오야마 미쓰코
가문쿠덴호페칼레르기 가문
직업정치인
수상
1950년아헨 국제 샤를마뉴상
1954년레지옹 도뇌르 훈장 오피시에
1962년오스트리아 공화국 명예 대은성 훈장
1965년소닝상
1966년주데텐 독일인 모국 협회 유럽 샤를마뉴상
1967년일본국 훈1등 서보장
카지마 평화상
1972년콘라트 아데나워상
독일 연방 공화국 대공로 십자성장
기타 정보
종교가톨릭 교회
배우자1번째: 이다 롤란드
2번째: 알렉산드라 폰 티엘레-빙클러 백작부인 (결혼 전 성: 발리)
3번째: 멜라니 베나츠키-호프만
자녀에리카 (의붓딸), 알렉산더 (의붓아들)
주요 직책국제 범유럽 연합 국제 회장
우애 청년 동지회 명예 회장

2. 생애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1894년 일본 도쿄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관 하인리히 쿠덴호페-칼레르기 백작과 일본인 아오야마 미츠 부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6] 어린 시절 어머니에게서 ''모모타로'' 같은 일본 동화를 들으며 자랐다.[7] 1896년 가족과 함께 아버지 고향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이주, 보헤미아의 론스페르크(현재 체코 포베조비체)에서 성장했다.[62]

1908년부터 1913년까지 의 테레지아눔 아카데미에서 공부했고,[64][194] 1914년 빈 대학교에 입학하여 철학근대사를 전공했다.[117] 1917년 빈 대학교에서 ''도덕의 근본 원리로서의 객관성''에 관한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65][66][113] 대학 시절, 1915년 13살 연상의 이다 롤랜드와 결혼하여 가족과 일시적으로 갈등을 겪었다.[8]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립한 체코슬로바키아 국적을 취득했다.[17] 1923년 저서 《범유럽》(Pan-Europa)을 출간하고 국제 범유럽 연합을 설립, 범유럽 운동을 시작했다.[17] 1926년 에서 제1차 범유럽 운동 회의를 개최했고,[19]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토마스 만, 지그문트 프로이트 등 저명인사들이 참석했다.[19]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를 유럽가로 제안하고, 유럽의 날 제정, 유럽 우표 발행을 제안했다.[4]

1938년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으로 국제 범유럽 연합이 탄압받자 프랑스로 망명, 1939년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다.[67][81]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여파로 미국으로 망명,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뉴욕 대학교 교수로 일했다.[64]

1945년 종전 후 프랑스로 귀환했다.[45] 1950년 카롤루스 대제상을 수상했고,[50] 이후 프랑스, 오스트리아, 일본, 서독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50] 1972년 오스트리아 슐룬스에서 사망했다.[81][75] 사인은 뇌졸중이었으나,[92] 그의 비서에 따르면 자살이었다고 한다.[76]

2. 1. 가족 배경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일본 도쿄도에서 하인리히 코우덴호페칼레르기와 아오야마 미쓰 부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6] 그의 아버지 하인리히 코우덴호페칼레르기(Heinrich Coudenhove-Kalergide|1859년 ~ 1906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관으로, 일본 제국 주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사를 역임했다.[6]

어머니 아오야마 미쓰(青山 みつ일본어|1874년 ~ 1941년)는 일본 도쿄 출신으로, 석유 상인, 골동품 상인, 지주 가문의 딸이었다. 국제 범유럽 연합을 취재한 휘태커 체임버스는 코우덴호페 가문은 원래 부유한 플람스인 가문으로 프랑스 혁명 시기에 오스트리아로 탈출했고, 칼레르기스 가문은 그리스 크레타 출신으로 폴란드인, 노르웨이인, 발트족, 프랑스인, 독일인 등 다양한 혈통을 가졌다고 보도했다.[6]

칼레르기스 가문은 비잔티움 황실에서 베네치아 귀족을 거쳐 포카스 황실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1300년, 코우덴호페칼레르기의 조상 알렉시오스 포카스-칼레르기스는 크레타를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령으로 만드는 조약에 서명했다.[6]

코우덴호페칼레르기의 부모는 어머니가 일본 제국에서 말을 타다 떨어진 오스트리아-헝가리 외교관을 도우면서 만났다.[6] 휘태커 챔버스는 이들의 결합을 두고 미래의 범유럽 창시자는 "사실상 그 자신이 범유럽 단체"라고 묘사했다.[6]

어머니 미츠코는 리하르트가 어릴 적에 『모모타로』 등 일본 동화를 읽어주었다.[117] 1906년 남편 하인리히가 급서하자 미츠코가 코우덴호페칼레르기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

리하르트는 빈 대학교 재학 중[194] 미츠코와 동행한 사교계에서 배우 이다 로랑과 알게 되었는데,[69] 이다와의 결혼으로 리하르트와 미츠코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미츠코는 일본의 낡은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 연예인을 멸시했다.[194] 평민이지만 대지주 상인인 아오야마 가문 출신으로[195] 백작 가문에 시집가 상류 계급으로서 체면을 중시했던 미츠코는 대여배우 이다를 "가랑이 거지[113][69]"라 칭하며 천하게 여겼다. 미츠코는 아들의 결혼 발언에 격노하며[69] "명가 코우덴호페 가문의 후계자가 상대를 가리지 못하고 가랑이 거지 따위와 함께하다니 무슨 짓인가. 이다 로랑. — 아아, 저 마녀와 사귀게 된 날에 저주 있으라!"라고 했다.[69] 미츠코가 이러한 멸시와 저주로 리하르트를 의절한 것은 1916년으로, 리하르트가 빈 대학교를 졸업하기 전 해였다.[194]

미츠코는 리하르트가 "범유럽"으로 각광받자 범유럽 운동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이 무렵 리하르트의 의절을 풀었다.[194] 그럼에도 미츠코는 이다를 용서하지 않고, 여전히 "저 암여우"라 부르며 멸시했다.[113]

미츠코 또한 과거 하인리히와 결혼할 때 외국인과의 결혼을 원치 않았던 부모에게서 잠시 의절당했다가, 후에 결혼 승낙을 받았다.[194] 하인리히 측에서도 귀족과 평민의 신분 차이는 물론, 외교관은 주재국 여성과의 결혼이 허용되지 않아 하인리히가 태국 방콕으로 전근되기도 했다. 이 결혼은 유럽 외교관으로서는 전대미문이었을 뿐 아니라[194] 하인리히의 아버지 프란츠도 반대했다.[194]

미츠코는 하인리히와 결혼하여 일본을 떠날 때 쇼켄 황태후(메이지 천황의 황후)를 알현했고, 1931년에는 다카마쓰노미야 부부와 알현했다.[194] 미츠코는 일본 대사관의 보호를 받아 리하르트의 어머니임에도 나치 독일의 박해를 받지 않았다.[194] 1925년 뇌졸중으로 쓰러졌고, 1941년 두 번째 뇌졸중으로 사망했다.[194]

형 한스 코타로는 1918년에 미츠코로부터 론스페르크의 관리를 맡았다.[194] 한스는 오스트리아 황제 카를 1세에게 청원하여 1918년 4월 24일에 "von Ronspergheimde"(폰 론스페르크하임) 칭호를 받았다.[197][196] 한스 코타로는 낭만적이고 괴짜였다.[197] 성에 탑과 같은 것을 건설한 것도 한스였다.[197]

2. 2. 유년 시절과 교육

일본 도쿄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관 하인리히 쿠덴호페-칼레르기 백작과 일본인 아오야마 미츠 부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61] 어린 시절, 어머니로부터 ''모모타로''와 같은 일본 동화를 들으며 자랐다.[7]

그의 어린 시절 집이었던 론스베르크 성. 제2차 세계 대전 중 손상되었으며, 수리는 일본 출신의 독일인 마스미 슈미트-무라키가 감독했다.


1896년 가족과 함께 아버지의 고향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이주하여, 보헤미아의 가족 영지인 론스페르크(현재 체코 포베조비체)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62] 그의 아버지는 두 아들에게 직접 러시아어와 헝가리어를 가르쳤고, 육체적, 도덕적으로 단련시켰다. 매주 일요일 미사에 데려갔으며, 성금요일마다 반유대주의적 표현에 항의하며 교회에서 나갔다고 한다.[6]

1908년부터 1913년까지 에 있는 테레지아눔 아카데미에서 공부했다.[64][194] 1914년 빈 대학교에 입학하여 철학근대사를 전공했다.[117] 1917년 빈 대학교에서 ''Die Objectivität als Grundprinzip der Moral'' (도덕의 근본 원리로서의 객관성)에 관한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65][66][113]

대학 시절, 1915년 4월에 13살 연상, 이혼녀이자 평민인 유명한 유대계 빈 배우 이다 롤랜드와 결혼하여 가족과 일시적으로 갈라섰다.[8] 그의 어머니 미츠코는 배우와 연예인에 대한 전통적인 일본식 견해를 들어 이다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8] 리하르트가 범유럽 개념으로 명성을 얻자 생각을 바꾸었다.

2. 3. 범유럽 운동

1923년, 쿠덴호페칼레르기는 저서 《범유럽》(Pan-Europa)을 출간하고 국제 범유럽 연합을 설립했다.[17] 1926년, 오스트리아 에서 제1차 범유럽 운동 회의를 개최했다.[19]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토마스 만, 지그문트 프로이트 등 저명인사들이 범유럽 회의에 참석했다.[19]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를 유럽가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유럽의 날 제정, 유럽 우표 발행을 제안하는 등 범유럽 운동을 전개했다.[4]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망명

1938년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으로 국제 범유럽 연합이 나치 독일 당국의 탄압을 받게 되면서, 쿠덴호페칼레르기는 프랑스로 망명했다.[67][81] 1939년에는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다.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미국으로 망명하여,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뉴욕 대학교 교수로 근무했다.[64] 미국 망명 중에는 쿠덴호페 가문의 옛 주군의 후예 오토 폰 합스부르크 공과 협력하여 리하르트 쿠덴호페칼레르기 스스로를 수반으로 하는 오스트리아 망명 정부 수립을 획책하고, 미영 양국 정부에 호소했다.[66][274][71]

쿠덴호페칼레르기는 1942년에 개봉된 미국 영화 《카사블랑카》에 등장하는 자유 프랑스의 독일 저항 운동 지도자 빅토르 라즐로의 모델이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62]

2. 5. 전후 활동과 사망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프랑스로 돌아갔다.[45]

1950년, 유럽 통합에 기여한 공로로 카롤루스 대제상을 수상했다.[50] 1954년에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오피시에 훈장(Légion d'honneur Officier)을, 1962년에는 오스트리아 정부로부터 대명예은현장(Großes Silbernes Ehrenzeichen mit dem Stern)을 받았다.[50] 1967년에는 일본 정부로부터 훈1등 서보장(瑞寶章)을, 1972년에는 서독 정부부터 대연방공로십자성장(Großes Bundesverdienstkreuz mit Stern)을 받았다.[50]

1972년, 스위스 국경 근처 오스트리아의 마을 슐룬스에서 사망했다.[81][75] 표면적인 사인은 뇌졸중이었다.[92] 그의 비서에 따르면, 그는 자살했다고 한다.[76] 유럽 통합의 선구자로 여겨졌던 그가 자살했다는 사실은 사람들을 실망시킬 수 있어 은폐된 것으로 보인다.[76][77] 그는 오스트리아에서 죽고 싶어했다.[76] 그가 죽을 때까지 범유럽 연합의 수장 자리는 오토 폰 합스부르크 공이 계승했다.

리하르트의 묘는 그슈타드의 그루벤 지구, 만년을 보낸 산장을 내려다보는 곳에 있다. 슈미트 무라키 마스미의 요청으로 일본 조경가가 묘의 정비에 협력했다. 곁에는 석탑과, 아내 이다의 관을 안치한 작은 집이 있다.[63] 묘는 일본 정원의 가레산스이 양식의 돌 정원으로, 야생 포도에 덮여 수수한 모습이다.[78] 그는 묘비에 웅대한 칭호를 원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비문은 프랑스어로 "Pionnier des États-Unis d'Europe프랑스어"(유럽 합중국의 선구자) 뿐이다.[78]

3. 사상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귀족 출신으로, 그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엥겔베르트 돌푸스, 쿠르트 슈슈니크, 오토 폰 합스부르크, 윈스턴 처칠, 샤를 드골 등과 교류하며, 여성을 존중하고 보호하며 정직, 페어플레이, 예의, 합리적 담론을 중시하는 신사를 이상적인 정치 구성원으로 여겼다.[9][10][11]

청년 시절,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범유럽" 구상 외에도 『귀족(Adel)』(1922년)을 통해 "귀족"을 인류의 지도자이자 선구자로 재정의했다.[101][112] 그는 "기술"이 인류를 기아, 추위, 강제 노동에서 해방시킬 새로운 전환기를 가져올 것이라 믿었지만, 동시에 기술이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며 범유럽 운동을 통한 평화주의를 주창했다.[112]

그의 전투적 평화주의와 "새로운 귀족"(정신 귀족)에 의한 실천적 이상주의는 젊은 평화주의자들의 지지를 얻었다.[141] 그는 세계 문화를 유럽, 이슬람, 인도, 동아시아의 네 가지로 분류했다.[143]

1950년,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유럽 평의회에 유럽 깃발에 파란색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으나, 튀르키예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04][144] 2014년, 범유럽 연합 스페인 웹사이트는 "기독교의 가치와 신앙에 기초한 유럽 정체성 유지"를 অন্যতম 목표로 명시했다.[145]

3. 1. 귀족론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귀족 출신으로, 이는 그의 사상에 반영되었다. 청년 시절, 그는 널리 알려진 "범유럽" 구상 외에도 『귀족(Adel)』(1922년)을 출판했다.[101] 그는 저서에서 "귀족"을 단순히 전통적인 귀족이 아닌, 인류를 더 높은 경지로 이끌 지도자, 선구자로 보았다.[112] 귀족은 육체적, 정신적, 지적인 아름다움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했다.[112] 그는 유럽 귀족 중 영국의 젠틀맨, 프랑스의 보헤미안, 독일의 지크프리트형이 있으며, 이 중 젠틀맨형이 가장 뛰어나다고 보았다.[112]

3. 2. 범유럽주의

쿠덴호페칼레르기는 통일된 유럽을 만들고자 노력한 선구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사상은 임마누엘 칸트부터 프리드리히 니체까지 다양한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우드로 윌슨의 "14개조 평화 원칙"과 쿠르트 힐러의 평화주의를 지지했다.[12] 1921년에는 프리메이슨 조직인 "Humanitas"에 가입했고,[12] 1922년에는 범유럽 연합(PEU)을 공동 설립하여 유럽의 통합을 주장했다.[13]

1923년, 그는 "범유럽" 선언문을 발표하고 범유럽 운동 참여를 촉구했다.[14] 그는 민주주의를 "정신적 귀족정"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믿었다.[14] 1924년에는 잡지 ''판유로파''를 창간하고,[14] 1925년부터 1928년까지 주 저서 ''범유럽을 위한 투쟁''을 출판했다.[14] 1926년, 빈에서 열린 제1차 범유럽 연합 회의에서 그는 중앙 평의회 회장으로 선출되어 1972년 사망할 때까지 재직했다.

그의 초기 구상은 세계를 5개 국가로 나누는 것이었다. 그중 하나는 유럽 대륙 국가들과 아프리카의 프랑스 및 이탈리아 식민지를 포함하는 유럽 합중국이었다.[18] 그는 유럽이 영어라는 공용어를 사용하며 개인주의와 사회주의,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8]

쿠덴호페칼레르기는 이그나츠 자이펠, 카를로 스포르차, 히알마르 샤흐트 등 유럽 정치인들의 지지를 얻었다.[19] 그의 사상은 아리스티드 브리앙의 유럽 연합 제안(1929)과 "유럽 연방 조직에 관한 각서"(1930)에 영향을 주었다.[19] 그는 1929년 유럽 찬가로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를 제안했고,[4] 1930년에는 5월을 유럽의 날로,[4] 1932년에는 5월 17일을 기념일로 제안했다.[20]

그러나 그의 범유럽주의는 아돌프 히틀러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혔다. 히틀러는 쿠덴호페칼레르기를 "뿌리 없는 국제주의자"라고 비난했다.[21][22][23] 1928년 히틀러는 자신의 저서에서 쿠덴호페칼레르기를 "흔해빠진 사생아"라고 묘사했다.[24][25] 히틀러는 "평화주의적이고 민주적인 범유럽 국가"는 미국에 대항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6] 나치는 범유럽 연합이 프리메이슨의 지배하에 있다고 믿었다.[28] 1938년, 나치는 쿠덴호페칼레르기의 프리메이슨 회원 자격을 비난하는 책을 출판했다.[29]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 이후, 쿠덴호페칼레르기는 나치 독일을 피해 망명길에 올랐다. 그는 체코슬로바키아를 거쳐 프랑스로, 1940년 프랑스 함락 후에는 미국으로 탈출했다.[30]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그는 유럽 통합을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 그의 활동은 영화 ''카사블랑카''에서 저항 운동가 빅터 라즐로의 실제 모델이 되었다.

1944년, 그는 ''범유럽을 위한 십자군''을 출판했다. 그의 유럽 통합 노력은 윈스턴 처칠, 앨런 덜레스 등의 지지를 얻었다.[31] 그는 대서양 헌장 발표 후 처칠과 프랭클린 D. 루스벨트에게 각서를 보내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뉴욕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32] 1943년, 나치는 그의 빈 대학교 박사 학위를 박탈했지만,[33] 1955년에 복권되었다.[33]

제2차 세계 대전 후, 해리 S. 트루먼은 쿠덴호페칼레르기의 기사에 감명을 받아 유럽 통합을 미국의 공식 정책으로 채택했다.[34] 1946년 처칠은 취리히 연설에서 쿠덴호페칼레르기의 노력을 칭찬했다.[35] 1946년, 쿠덴호페칼레르기는 유럽 의회 의원들에게 문의서를 배포하여 유럽 의회 연합(EPU) 창설을 이끌었다.[36] 1950년, 그는 아헨시에서 수여하는 카를스프라이스(샤를마뉴 상)를 처음으로 수상했다.[36] 일본에서는 하토야마 이치로가 그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형제애 청년 협회를 설립했고, 쿠덴호페칼레르기는 1953년 이 협회의 명예 회장이 되었다.

1955년, 그는 유럽 찬가로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를 다시 제안했고,[37] 이는 1972년 유럽 평의회에서 채택되었다.

1960년대에 쿠덴호페칼레르기는 오스트리아가 "적극적 중립"을 통해 평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럽 공동체유럽 자유 무역 연합 간의 협상을 통해 "유럽 관세 동맹"을 형성할 것을 제안했다.

쿠덴호페칼레르기는 유럽과 아프리카의 정치적, 경제적 통합을 주장했다. 그는 유럽 합중국 건설을 통해 유럽의 평화와 번영을 추구했다. 그는 아프리카 식민지를 유럽의 경제적 배후지로 간주하는 '유라프리크'론을 주장하기도 했다.[138]

3. 3. 유대교와 이슬람에 대한 견해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유대계 배우 이다 로랑과 결혼했으며, 1926년 제1차 범유럽 회의에서 유대계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범유럽 운동이 유럽의 유대교도를 지원할 것이며, 유럽 합중국이 유대인에게 민족적 증오와 경제적 적대감을 없애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142]

그는 나치의 민족주의와 게르만 민족 우월주의를 비판했다.[117] 그의 민족 평등 사상은 아버지 하인리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하인리히는 민족 평등론자로서 유대인 차별을 비판하며 『유대인 배척주의의 본질』이라는 책을 저술했다.[117] 리하르트는 1937년에 『Judenhaß!de』(유대인 증오!)를 출판했다.

1932년,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아버지 하인리히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가 말년에 반유대주의를 비난한 서문을 새롭게 편집하여 자신의 출판사에서 재발행했다. 1933년에는 나치즘에 대응하여 하인리히 만, 아르투어 홀리처, 리온 포이히트방거, 막스 브로트와 함께 소책자 《유대인 해충이라는 구호에 반대하며》(Gegen die Phrase vom jüdischen Schädling)를 쓰고 출판했다.

이슬람 문화에 대한 언급은 주어진 자료에 나타나지 않지만, 유대교에 대한 그의 긍정적이고 포용적인 태도는 확인할 수 있다.

3. 4. 전체주의 비판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나치의 민족주의와 게르만 민족 지상주의를 비판했다.[117] 그의 아버지 하인리히는 민족 평등론자로 유대인 차별을 비판하며 『유대인 배척주의의 본질』이라는 책을 썼는데, 리하르트는 이러한 아버지의 영향을 받았다.[117] 1937년에는 『Judenhaß!de』(유대교도에 대한 증오!)를 출판했다.

1932년 제3회 범유럽 회의(스위스 바젤)에서는 아돌프 히틀러와 동시에 소련의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공산당 서기장)에게도 반대를 표명했다.[64]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스탈린을 비판했기 때문에 소련에게 미움을 받았다.[117] 소련과의 관계가 코우덴호페칼레르기가 노벨 평화상을 받지 못한 이유 중 하나라는 추측이 있다.[117]

그는 아돌프 히틀러를 비겁하고, 거만하며, 자만심에 가득 찬 무리라고 비판했다.[178] 그의 시대 정치는, 어떤 정치인이 부분적으로 손에 넣고, 그 정치인은 "대다수의 여론의 지지를 얻었다고 자만하는 듯한" 인물이었다.[178] 그래서 정치의 세계에서도 신사의 이상이 중요해지며, 이 이상이 도래하면 민주 정치가 확고해진다.[178] 할 수 없는 약속을 하는 정치인이 없어지며, 이상 사회의 신사에게 재산과 아이들을 맡길 수 있다고 보았다.[178]

3. 5. 우애 사상

범유럽 운동의 주창자이자 프리메이슨 회원이기도 했던 리하르트 쿠덴호프 칼레르기 백작은 "Brüderlichkeitde"(독일어. 브뤼더리히카이트) 즉, "우애"를 사상으로 제창했다.[141] 그는 1968년에 『우애의 세계 혁명』(Für die Revolution der Brüderlichkeitde)이라는 서적도 출간했다.

백작의 저서 『자유와 인생』(독일어 원제는 『Totaler Staat Totaler Menschde』(토탈러 슈타트 토탈러 멘슈). 1937년. 제목의 의미는 "전체 국가 전체 인간".)은 전체주의 혹은 파시즘을 비판하면서 우애에 기반한 세계를 구상했다.[152]

1935년,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파시즘과 볼셰비즘이 종말을 맞이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178] 그는 기술 진보로 계급 차이와 빈부 격차가 사라지고 사회가 변혁될 것이라고 선언했다.[178] 그 사회에서는 개인이 확립되고, 모성에 의한 우애가 사회와 국가를 건설한다.[178]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자신이 그리는 사회와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교육 개혁을 통해 전 인류가 형제자매가 되고, 전 인류가 동일한 ""의 자녀("신의 자녀"도 참조)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178]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우애라는 이름의 마음의 혁명이라고 했다.[178]

코우덴호페칼레르기의 우애는 프랑스 혁명의 우애에 입각하고 있다.[178] 그렇지만 코우덴호페칼레르기의 우애주의는 자유와 평등의 양립이며, 프랑스 혁명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178] 코우덴호페칼레르기에 따르면, "자유, 평등, 우애"를 위한 프랑스 혁명에는 자유의 혁명은 있었지만 평등과 우애의 혁명은 없었고, 자유와 평등은 여전히 대립하고 있지만, 누구나 바라는 경제적 평등은 자유와 대립하는 것 같아 무가치하다.[178] 그래서 우애주의 아래, 우애 혁명이라는 마음의 혁명이 필요하게 된다.[178] 또한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우애 혁명이 각국의 국민 간 및 계급 간의 다리 역할을 하며, 모든 자유로운 인간이 동포가 되는 복음이라고 강조한다.[178] 마음의 혁명이란 폭력이나 강제가 아니라, 상호 존엄성을 존중하는 것이며, 그 권리는 인간이 생래적으로 가지는 것이며, 그 권리는 모든 제도보다 우월하다.[178]

우애 사상을 주창한 쿠덴호프칼레르기는 우애주의를 바탕으로 우애 혁명을 통해 우애 사회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78] 쿠덴호프칼레르기가 그린 우애 사회는 이상적인 사회였다.[178] 그 사회는 Lady영어와 Gentleman영어 (레이디젠틀맨, 또는 숙녀신사)으로 구성된다.[178] 쿠덴호프칼레르기에게 젠틀맨의 모습은 영국의 젠틀맨이었다.[178]

4. 일본과의 관계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일본과 깊은 관계를 맺었다. 그는 도쿄에서 오스트리아 외교관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아오야마 미쓰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도쿄에서 석유 상인, 골동품 상인, 지주 등으로 일했다.[61]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범유럽 운동을 전개하며 유럽 통합에 기여한 공로로 1967년 일본 정부로부터 훈1등 서보장을 받았다.[117] 이는 나치 시대 독일의 지리학자 카를 하우스호퍼가 받은 훈2등 서보장(1936년)보다 높은 훈격이었다.

4. 1. 일본 출생과 성장

일본 도쿄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관 하인리히 쿠덴호페-칼레르기 백작과 일본인 아오야마 미츠 부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61] 아버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주일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했다.[61] 어머니 미츠는 도쿄 우시고메 출신으로, 일본 제국에서 말을 타다 떨어진 오스트리아-헝가리 외교관을 도우면서 부모님은 만났다.[6] 휘태커 챔버스는 그들의 결합에 대해, 미래의 범유럽 창시자를 "사실상 그 자신이 범유럽 단체"라고 묘사했다.[6]

1894년도쿄부에서 태어났으며[62], 1896년에 가족은 일본을 떠나 아버지의 고향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갔다.[62]

어린 시절, 어머니로부터 ''모모타로''와 같은 일본 동화를 들으며 자랐다.[7]

4. 2. 일본 방문

1967년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가시마 평화상을 수상하고, 가시마 국제 평화 연구소 회장인 가시마 모리노스케, NHK 회장인 마에다 요시노리, 우애 청년 협회 회장인 하토야마 가오루의 초청으로 일본을 방문했다. 이 방문은 그가 도쿄에서 태어난 이후 71년 만의 일본 귀향이었다.[214] 쇼와 천황고준 황후를 알현했으며, 황태자(당시)상황 아키히토와 상황 미치코 비도 접견했다.[214]

코우덴호페칼레르기는 쇼와 천황을 개인적으로 알현하고[62], 훈1등 서보장을 수여받았다.[117]훈등은 나치 시대의 대표적인 독일의 지리학자 카를 하우스호퍼 (훈2등 서보장, 1936년)보다 높았다.

이전에 쿠덴호페칼레르기는 황태자 시절의 아키히토 친왕(훗날의 천황)과 1953년에 스위스에서 만났다. 아키히토 친왕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에 참석하면서 유럽 각국을 방문하던 중 스위스에서 일본어 번역 저서를 전달받았다.[186]

10월 26일부터 11월 8일에 걸쳐 부부가 방일했으며[214][178] (리하르트의 조카 바르바라도 동행했다[215]). 천황가에 알현하고 훈장을 수훈받았으며, 각계 지도자들과 회견하고, 수 차례의 강연 등도 했다[214]. 71년 만에 일본으로 돌아온 그의 동향은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을 통해 일본 국민에게 전해졌다.[214]. 이듬해 1968년, 카지마 모리노스케에 의한 일본어 번역 저서 『아름다운 나라 일본으로의 귀향』이 카지마 연구소 출판회에서 간행되었다.

두 번째 방일은 1970년 10월 6일부터 10월 28일에 걸쳐 이루어졌다[178]. 이 방일은 창가학회의 전면적인 지원에 의한 초청이었으며[227], 창가학원 도쿄 캠퍼스[216], 건설 중인 창가대학 등을 방문한 후[227], 창가학회의 이케다 다이사쿠 회장(당시, 후에 명예 회장)과도 회견했다[221].

4. 3. 일본에 미친 영향

가시마 모리노스케는 1922년 베를린에 거주하면서 쿠덴호페칼레르기의 범유럽 사상에 영향을 받아 1927년 《범유럽》을 일본어로 번역 출판했다.[41] 1930년 외무성 퇴직 후 국회의원이 되었는데, 이는 쿠덴호페칼레르기의 영향 때문이었다.[42] 그는 1970~1971년에 걸쳐 가시마 모리노스케가 설립한 가시마 연구소 출판을 통해 코우덴호베-칼레르기의 전집을 출판했다. 그는 평생 동안 코우덴호베-칼레르기를 존경하며 범아시아 실현을 꿈꿨다.[41]

NHK 회장 마에다 요시노리는 학생 시절에 읽었던 《범유럽》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아시아태평양 방송 연합 설립을 주도했다.[43]

하토야마 이치로 전 총리는 쿠덴호페칼레르기의 저서 《인간에 대항하는 전체주의 국가》에서 영향을 받아 1952년 《자유와 인생》을 번역하고 우애 사상을 제창했다. 1953년에는 유아이 청년 협회(후일 유아이 협회)를 설립했고, 쿠덴호페칼레르기는 이 협회의 명예 회장을 맡았다.[44]

1967년, 쿠덴호페칼레르기는 가시마 평화상을 수상하고, 가시마 모리노스케, 마에다 요시노리, 하토야마 가오루의 초청으로 일본을 방문했다. 그는 쇼와 천황, 아키히토 황태자 부부를 알현하고, 훈1등 서보장을 수여받았다.[47]

5. 프리메이슨과의 관계

1922년, 쿠덴호페칼레르기는 빈에 있는 프리메이슨 로지 "인도(Humanitas)"에 가입했다.[141][88] 그러나 1926년, 범유럽 운동과 프리메이슨 간의 관계에 대한 비판을 피하기 위해 탈퇴했다.[141][88] 그럼에도 불구하고, 쿠덴호페칼레르기가 프리메이슨이었다는 점은 나치 독일이 범유럽 연합을 탄압하는 근거로 이용되었다.

6. 유산

쿠덴호페칼레르기는 유럽 통합의 선구자로서 유럽 연합(EU)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50] 그의 비서는 쿠덴호페칼레르기가 자살했을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그의 죽음은 유럽 통합의 위대한 선구자로 여겼던 사람들을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비밀로 유지되었다고 회고록에서 밝혔다.[50] 그는 사망할 때까지 범유럽 연합의 수장이었으며, 오토 폰 합스부르크가 그 뒤를 이었다.

쿠덴호페칼레르기는 그루벤/마이덴 근처 슈타트에 묻혔으며,[51] 그의 무덤은 야생 포도로 덮여 있고, 스위스 알프스에 있는 일본식 정원에 위치해 있다. 무덤에는 "Pionnier des États-Unis d'Europe"(유럽 합중국의 선구자)라는 프랑스어 묘비명이 새겨져 있다.[52]

그의 사상은 현재까지도 유럽 통합과 국제 협력에 대한 논의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그의 이름을 딴 '쿠덴호페칼레르기 유럽상'이 제정되어 유럽 통합에 공헌한 인물에게 수여되고 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상을 수상했다.

연도
1950년카롤루스 대제상
1954년레지옹 도뇌르 장교[54]
1962년오스트리아 공화국 공로 대훈장(은성)
1965년소닝상
1966년주데텐 독일인 협회 유럽 카를상de
1967년일본 욱일대수장
1967년카지마 평화상[47]
1972년콘라트 아데나워상
1972년독일 연방 공로 훈장 기사 십자장[55][56]
명예 박사니혼 대학[54]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명예 시민증de[57]



노벨 평화상 후보로 1971년까지 59번 지명되었다.[58]

쿠덴호페칼레르기가 범유럽 운동을 시작하자 유럽 각지의 프리메이슨이 그를 후원하는 등 범유럽 운동을 지원했다.[141][88] 쿠덴호페칼레르기 이전에 유럽 통합에 대해 언급한 프리메이슨으로는 빅토르 위고[89][90], 주세페 마치니[113] 등이 있다.

6. 1. 쿠덴호페칼레르기 유럽상

'''쿠덴호페칼레르기 유럽상'''(Coudenhove-Kalergi-Europapreisde, European Prize Coudenhove-Kalergi영어)은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를 기념하여 1978년 제네바에 설립된 "쿠덴호페-칼레르기 재단"이 수여하는 상이다. 2008년에는 빈으로 이전하여 "유럽 사회 쿠덴호페-칼레르기"(독: Europa-Gesellschaft Coudenhove-Kalergi, 영: European Society Coudenhove-Kalergi, 불: Société Européenne Coudenhove-Kalergi)로 개명되었다.[276]

이 상은 유럽 통합에 크게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된다.[276] 1978년부터 시상했으며, 주요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277]

연도수상자직함
1990년헬무트 콜독일 연방 총리
1992년로널드 레이건미국 대통령
2010년앙겔라 메르켈독일 연방 총리
2012년헤르만 반 롬푀이유럽 이사회 상임 의장


6. 2. 쿠덴호페칼레르기 관련 시설

범유럽 연합의 창설자 리하르트 니콜라우스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 박사(1894년 도쿄 출생, 1972년 슈룬스에서 사망)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 프랑스 파리 16구의 리하르트 드 쿠덴호프-칼레르기 광장(Place Richard-de-Coudenhove-Kalergi)
  • 헝가리 쇼프론의 범유럽 석정 (일본 정원). 범유럽 피크닉 20주년에 리하르트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 기념 석정으로 제작. 오스트리아 메들링 박물관에 있는 어머니 미츠코의 석정과 같은 돌을 사용.
  • 스위스 구스타드의 리하르트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 기념 정원(쿠덴호프 리하르트 기념 정원) (석정, 2003년).
  • 독일 푸르트 임 발트의 범유럽 기념 일본 정원(교룡의 정원) (2001년).
  • 오스트리아 클로스터노이부르크의 유럽 광장 쿠덴호페칼레르기(Europa-Platz Coudehove-Kalergi|유로파플라츠 쿠덴호페칼레르기de) (2012년).
  • 룩셈부르크의 리하르트 폰 코우덴호페칼레르기 거리(Rue Richard Coudenhove-Kalergi|뤼 리샤르 쿠덴호브칼레르기프랑스어) - 콘라트 아데나워 거리(Boulevard Konrad Adenauer|불바르 콘라트 아데나워프랑스어)와 존 F. 케네디 거리(Avenue John F. Kennedy|아브뉘 존 F. 케네디프랑스어)의 두 개의 큰 거리를 잇는 옆길.

7. 비판

쿠덴호페칼레르기는 귀족주의적 엘리트주의 성향을 보였다는 비판을 받는다.[141][88] 또한 식민지 지배를 옹호하고, 아프리카를 유럽의 경제적 종속 대상으로 여겼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41][88]

그는 무솔리니, 돌푸스 등 독재 정권에 접근했다는 비판도 받는다.[141][88]

참조

[1] 문서 'Richard Nikolaus Eijiro Graf von Coudenhove-Kalergi'
[2] 논문 http://www.law.tohok[...]
[3] 웹사이트 Richard Coudenhove-Kalergi http://www.spartacus[...] Spartacus Educational 2014-11-17
[4] 웹사이트 Richard N. de Coudenhove-Kalergi https://web.archive.[...] Paneurope Suisse on Suisse magazine 2014-10-31
[5] 논문 https://books.google[...]
[6] 서적 Ghosts on the Roof: Selected Journalism https://www.taylorfr[...] Transaction Publishers 1996
[7] 웹사이트 研究ノート : 欧州統合の提唱者、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思想と行動 An Advocate of the European Integration, Coudenhove-Kalergi's Original Idea and Activities http://sucra.saitama[...] Saitama University (SUCRA) 2013-10-22
[8] 논문 http://www.law.tohok[...]
[9] 논문
[10] 웹사이트 Democracy and the concept of gentleman: Coudenhove-Kalergi http://wais.stanford[...] World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WAIS) at Stanford University 2014-10-31
[11] 웹사이트 "Yuai" for Understanding https://web.archive.[...] Yuai Association 2016-02-04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https://books.google[...]
[16] 서적 Li Pan-Europan manifest
[17] 논문 https://books.google[...]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https://books.google[...]
[21] 논문
[22] 논문 https://books.google[...]
[23] 논문 https://books.google[...]
[24] 서적 Zweites Buch https://archive.org/[...] 1928
[25] 논문 https://books.google[...]
[26] 문서 Hitler's Secret Book
[27] 웹사이트 Che cos'è – o sarebbe – il "Piano Kalergi" https://www.ilpost.i[...] Il Post 2018-01-16
[28] 논문 https://books.google[...]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웹사이트 Memorial book https://gedenkbuch.u[...] 2023-06-22
[34] 논문 http://www.law.tohok[...]
[35] 논문 https://books.google[...]
[36] 서적 https://books.google[...]
[37] 웹사이트 Union Paneuropéenne http://www.coe.int/t[...] 1955-08-03
[38] 서적 Praktischer Idealismus https://archive.org/[...] Paneuropa-Verlag
[39] 서적 Practical Idealism, English ver. 1.2 https://ia601304.us.[...]
[40] 뉴스 Jews Participate in Pan-europe Congress Sessions in Vienna http://www.jta.org/1[...] Jewish Telegraphic Agency 1926-10-05
[41] 서적
[42] 웹사이트 http://www.law.tohok[...]
[43] 웹사이트 http://www.law.tohok[...]
[44] 서적 https://books.google[...]
[45] 웹사이트 http://www.law.tohok[...] Richard Coudenhove-Kalergi Forum (School of Law, Tohoku University) 2014-11-17
[46] 웹사이트 http://www.law.tohok[...]
[47] 간행물
[48] 웹사이트 http://www.law.tohok[...]
[49] 서적
[50] 뉴스 http://www.dw.de/271[...] Deutsche Welle 2001-11-27
[51] 서적
[52] 웹사이트 COUNT COUDENHOVE-KALERGI: SWITZERLAND AS THE MODEL OF EUROPEAN UNITY http://www.businessm[...] Business Mir 2011-06
[53] 서적
[54] 서적 https://books.google[...]
[55] 웹사이트 Tabellarischer Lebenslauf: Richard Nikolaus Graf Coudenhove-Kalergi http://www.kas.de/wf[...] Konrad-Adenauer-Stiftung 2013-08-27
[56] 웹사이트 Coudenhove-Kalergi, Richard Nikolaus Graf http://www.kas.de/wf[...] Konrad-Adenauer-Stiftung 2012-07-18
[57] 서적 https://books.google[...]
[58] 웹사이트 Count Richard Nicolas Coudenhove-Kalergi https://www.nobelpri[...] Official web site of the Nobel Prize 2020-04
[59] 문서 クーデンホーフ家にはベートーヴェンと同名のルートヴィヒ(Ludwig)が世代をまたぎ存在する(Georg Ludwig Coudenhove、Franz Ludwig Coudenhove、Ludwig Titus Coudenhove)。
[60] 웹사이트 Η Ελληνική Σημαία http://www.army.gr/f[...] Γενικό Επιτελείο Στρατού
[61] 웹사이트 在住外国人と地域の活性化 http://www.clair.or.[...] 財団法人自治体国際化協会(CLAIR) 2011-09
[62] 웹사이트 国際交流ニュース IHCSA Cafe vol.16 http://www.ihcsa.or.[...] 国際交流サービス協会 2007-10
[63] 뉴스 もうひとつのボヘミアン・ラプソディ 欧州統合の起点はチェコにあり 日本経済新聞 2019-07-07
[64] 웹사이트 Рихард Николас фон Куденхове-Калерги http://www.paneuropa[...] 汎ヨーロッパ連合ボヘミア支部 (PANEUROPA.ru)
[65] 웹사이트 Richard Nikolaus Coudenhove-Kalergi http://gedenkbuch.un[...] ウィーン大学 2014
[66] 웹사이트 2005年日本政治学会研究会 分科会F「世界政治における EU」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67] 웹사이트 Die Vereinigten Staaten von Europa http://www.eurasisch[...] Eurasisches Magazin 2004
[68] 웹사이트 ミツコ・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生涯(4)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69] 웹사이트 ミツコ・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生涯(3)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70] 웹사이트 About us - History http://www.paneuropa[...] PanEuropa Bulgaria
[71] 서적 NS-Herrschaft in Österreich 1938-1945 DÖW
[72] 웹사이트 Anfragebeantwortung (elektr. übermittelte Version) http://www.parlament[...] オーストリア議会 2012-04-23
[73] 웹사이트 Ida Roland : in memoriam http://www.worldcat.[...]
[74] 서적 Das paneuropäische Verfassungsmodell des Grafen Richard N. Coudenhove-Kalergi Nomos Verlag
[75] 웹사이트 Paneuropa – eine Erfolgsgeschichte http://www.paneuropa[...] Paneuropa Bewegung Österreich 2013-07-15
[76] 웹사이트 Пан-европейское движение: документы http://www.dw.de/271[...] ドイチェ・ヴェレ 2001-11-27
[77] 문서 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は著述家としての顔もあり、著述家の自殺は決して珍しいことではない。1961年のアーネスト・ヘミングウェイの自殺は5年後に妻が告白したことにより誰もが知り、三島由紀夫(1970年11月25日死去)、川端康成(1972年4月16日)が日本で自殺した作家である。映画俳優では『イヴの総て』でアカデミー助演男優賞のジョージ・サンダースが1972年4月25日にバルセロナで自殺した。地政学において第一人者であったカール・ハウスホーファーは割腹自殺を遂げている。1970年代、音楽においてはロックンロールの黄金期にあり、デヴィッド・ボウイがモット・ザ・フープルのために贈ったグラムロックの讃歌『すべての若き野郎ども』が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死の翌日にリリースされた。
[78] 웹사이트 COUNT COUDENHOVE-KALERGI: SWITZERLAND AS THE MODEL OF EUROPEAN UNITY http://www.businessm[...] Business Mir 2011-06
[79] 웹사이트 European Freemasonries, 1850–1935: Networks and Transnational Movements http://www.ieg-ego.e[...] European History Online 2010-12-03
[80] 서적 The Intermarium: Wilson, Madison, and East Central European Federalism https://books.google[...] Universal-Publishers 2007-06-30
[81] 웹사이트 Любор Илек. Пан-Европа Куденхове-Калерги — человек, проект и панъевропейское движение http://www.paneuropa[...] 汎ヨーロッパ連合ボヘミア支部 (PANEUROPA.ru)
[82] 서적 Freimaurer Politiker Lexikon Studien Verlag
[83] 서적 Einzelveröffentlichungen des Deutschen Historischen Instituts Warschau Bd. 23 Fibre-Verlag
[84] 서적 Pan-Europa https://books.google[...] Paneuropa Verlag GmbH, Augsburg y Ediciones Encuentro, S. A., Madrid 2011-09-01
[85] 서적 Die Freimaurerei: Weltanschauung, Organisation und Politik http://ia700505.us.a[...] Zentralverlag der NSDAP / Franz Eher Nachfolger GmbH
[86] 서적 10,000 Famous Freemasons From A To J Part One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87] 서적 Freemasonry in Context: History, Ritual, Controversy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88] 서적 Botschafter Europas: Richard Nikolaus Coudenhove-Kalergi und die Paneuropa-Bewegung in den zwanziger und dreissiger Jahren https://books.google[...] Böhlau Verlag Wien 2004
[89] 웹사이트 BENITO JUAREZ, HIS MASONIC FORMATION, STRUGGLES AND LEGACY http://calodges.org/[...] Northern California Research Lodge 2013-10-28
[90] 서적 The Freemasons' Magazine and Masonic Mirror. Vol. XVIII. (New Series) January to June, 1868 https://books.google[...] The Freemasons' Magazine Company Ltd.
[91] 웹사이트 Giuseppe Mazzini http://freemasonry.b[...] Grand Lodge of British Columbia and Yukon A.F. & A.M 2013-10-14
[92] 서적 Jahrbuch der Forschungsloge Quatuor Coronati Forschungsloge Quatuor Coronati
[93] 웹사이트 Der prophezeite Krieg http://www.celtoslav[...] CeltoSlavica 2014-11-10
[94] 웹사이트 Paneurope Suisse - Suisse Magazine http://www.suissemag[...] Paneurope Suisse à Suisse Magazine (汎ヨーロッパ連合) 2014-10-31
[95] 웹사이트 UNION PANEUROPÉENNE http://www.coe.int/t[...] 欧州評議会 1955-08-03
[96] 웹사이트 V. Christian Gottfried Körner http://www.freimaure[...] Freimaurerloge 'Schiller' (unter der A.F.u.A.M.v.D.) 2013-07-15
[97] 웹사이트 Friedrich Schiller http://www.rgls.org/[...] Regular Grand Lodge of Serbia A.F. & A.M 2013-06-17
[98] 웹사이트 Johann Christoph Friedrich Schiller http://internetloge.[...] Internetloge, Hamburg 2013-06-17
[99] 웹사이트 VIII. Die "Ode an die Freude" http://www.freimaure[...] Freimaurerloge 'Schiller' (unter der A.F.u.A.M.v.D.) 2013-06-17
[100] 웹사이트 Ludwig van Beethoven http://freemasonry.b[...] Grand Lodge of British Columbia and Yukon A.F. & A.M 2013-06-17
[101] 서적 Adel https://archive.org/[...] Leipzig Verlag der Neue Geist, P. Reinhold
[102] 문서 母・光子は第一次大戦中赤十字社を通して軍を慰問した。十字軍はかつてクーデンホーフ家が従軍した。
[103] 웹사이트 Paneuropa History - ePaneurope http://www.epaneurop[...]
[104] 웹사이트 Memorandum from Richard Coudenhove-Kalergi on the European flag (Gstaad, 27 July 1950) http://www.cvce.eu/c[...] CVCE 2012-12-03
[105] 웹사이트 Richard Coudenhove-Kalergi http://www.paneuropa[...] Paneuropa España 2013-07-17
[106] 웹사이트 Geschichte der Paneuropa-Idee http://www.paneuropa[...] Paneuropa-Jugend Deutschland E.V 2013-07-17
[107] 서적 Pan-Europa https://books.google[...] Pan-Europa出版
[108] 웹사이트 Dichtung als Lebensform: Wolfgang Frommel zwischen George-Kreis und Castrum Peregrini https://books.google[...] Königshausen & Neumann 2014-12-01
[109] 서적 Europe in Crisis: Intellectuals and the European Idea, 1917-1957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110] 웹사이트 リヒャルト・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生涯(1)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2013-07-15
[111] 서적 Austria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12] 웹사이트 鹿島守之助とパン・アジア論への一試論 http://www.aisf.or.j[...] 公益財団法人 渥美国際交流財団 関口グローバル研究会(SGRA) 2013-06-10
[113] 논문 ヨーロッパ統合の立役者たち(1) : リヒャルト・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 https://nara-u.repo.[...] 奈良大学 2024-07-26
[114] 서적 Pan-Europe https://books.google[...] A. A. Knopf出版
[115] 문서 おおよそのところ、ヨーロッパ(Paneuropa=パンヨーロッパ: 黒塗り)はヨーロッパ大陸とアフリカ大陸の西半分と東南アジア。アメリカ(Panamerika=パンアメリカ: ナナメ縞)はカナダを除く南北アメリカ大陸。東アジア(Ostasien=[[東アジア|イーストアジア]]: 斑点)は日本列島、中国大陸、朝鮮半島。ロシア(Russisches Bundesreich=ロシア連邦帝国: ヨコ縞)はロシア大陸。イギリス(Britisches Bundesreich=イギリス連邦帝国: タテ縞)は[[グレートブリテン島|イギリス本土]]のある[[ブリテン諸島|イギリス諸島]]、[[カナダ]]、アフリカ大陸東半分、[[アラビア半島]]、[[インド]]、[[オセアニア]]、[[東南アジア]]。地図中、トルコ、[[エチオピア]]、[[タイ王国|タイ]]は「?」が付され[[イラン]]は[[格子]]模様。(Paneuropa: 2560万km², 4億3100万人. Panamerika: 3020万km², 2億200万人. Osiasien: 1178万km², 4億800万人. [[ロシア|Rußland]]: 2200万km², 1億4500万人. [[ブリタニア|Britannien]]: 3630万km², 4億5400万人.)
[116] 웹사이트 書評: 青山栄次郎伝 http://www.worldtime[...] 世界日報社 2013-10-07
[117] 논문 欧州統合の提唱者、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思想と行動 https://kyoei.repo.n[...] 2023-09-07
[118] 웹사이트 21世紀へ現代史の教訓 https://cir.nii.ac.j[...] 国際基督教大学(ICU) 2014-10-31
[119] 문서 トーマス・マンの妻はユダヤ系([[カタリーナ・マン]])。マンにはイダと同じくErikaという名の娘がいる([[:en:Erika Mann|Erika Mann]])。
[120] Youtube 神尾登喜子研究室 「文化交流入門」とミュージカル『MITSUKO』 http://www.hannan-u.[...]
[121] 뉴스 Paneurope congress in Berlin May 1930 http://www.gettyimag[...] ゲッティイメージズ
[122] 뉴스 Paneuropäischer Kongress Berlin 1930 http://austria-forum[...]
[123] 간행물 Suche nach dem Grund allen Seins http://www.damals.de[...]
[124] 웹사이트 東アジア自由ビジネス圏から東アジア共同体へ 〜汎東アジアの呼びかけ〜 http://asia.worldnav[...] 東アジア懇談会 2013-08-19
[125] 웹사이트 FAMOUS MASONS http://www.ugle.org.[...] United Grand Lodge of England 2013-08-19
[126] 웹사이트 Democracy and the concept of gentleman: Coudenhove-Kalergi http://wais.stanford[...] WAIS 2013-07-15
[127] 서적 Reflections on Europe: Defining a Political Order in Time and Space https://books.google[...] Peter Lang
[128] 웹사이트 March Issue 2013 Altus Lodge # 711 A.F & A.M. http://oldcorky.com/[...] The Small Town Texas Mason E-magazine by Past Masonic Worshipful Master John "Corky" Daut 2013-10-14
[129] 웹사이트 ユーロコードの原則とその非工学的枝葉 http://www.kawada.co[...] 川田工業株式会社 『川田技報』 2014-12-08
[130] 웹사이트 History http://www.paneuropa[...] 국제범유럽연합 2013-07-15
[131] 서적 Le « Congrès de l'Europe » à La Haye (1948-2008)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09
[132] 웹사이트 Winston Churchill, speech delivered at the University of Zurich, 19 September 1946 http://www.coe.int/t[...] 欧州評議会 2013-07-18
[133] 서적 An idea conquers the world https://books.google[...] Hutchinson
[134] 논문 欧州統合運動とハーグ会議 https://hdl.handle.n[...] 東京経済大学 2022-03-03
[135] 웹사이트 わかる!国際情勢 EU(欧州連合)〜多様性における統合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3-07-08
[136] 웹사이트 国際会議 近代日本史におけるアジア主義: 植民地主義、地域主義、境界 http://www.dijtokyo.[...] German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 (DIJ) ドイツ-日本研究所 2013-08-05
[137] 문서 Échange de lettres entre Richard Coudenhove-Kalergi et Paul M.G. Lévy (3 août 1955 - 5 septembre 1955) http://www.cvce.eu/e[...]
[138] 웹사이트 欧州統合とアジア http://www.tokiwa.ac[...] 常磐大学 2013-08-14
[139] 웹사이트 アメリカ黒人史における汎アフリカ主義とディアスポラ意識 ―マルコムXとガーナを結ぶための予備的考察― http://www.jiu.ac.jp[...] 城西国際大学 2013-08-14
[140] 논문 <書評>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著鹿島守之助訳「パン・ヨーロッパ」(鹿島研究所出版) https://doi.org/10.1[...] 2020-04-17
[141] 논문 リヒャルト・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思想とその源流 https://hdl.handle.n[...] 創価大学創価教育研究所 2020-04-17
[142] 웹사이트 Jews Participate in Pan-europe Congress Sessions in Vienna http://www.jta.org/1[...] Jewish Telegraphic Agency 2013-10-14
[143] 서적 European Integration as an Elite Process: The Failure of a Dream?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4] 웹사이트 Count Richard N. Coudenhove-Kalergi http://www.coe.int/t[...]
[145] 웹사이트 Principios y Objetivos http://www.paneuropa[...] Paneuropa España 2014-10-31
[146] 논문 一九三一年の独墺関税同盟計画 : 「パン・ヨーロッパ」と「アンシュルス」の間で https://doi.org/10.1[...] 九州大学法学部政治研究室 2023-06-28
[147] 서적 Zweites Buch https://archive.org/[...] 1928
[148] 서적 Ziegerhofer 2004, p. 425 https://books.google[...]
[149] 문서 「bastarden」(bastardの変化)とは汚い言葉である。「野郎」「ろくでなし」「できそこない」という罵りだけでなく、「雑種犬」、人種間の「混血」、またさらに「嫡出|婚外子」という意に捉えることができる。
[150] 서적 Hitler's Empire: Nazi Rule in Occupied Europe Penguin UK
[151] 문서 ヒトラーは幼少期からハプスブルク家が嫌いであった。第二次世界大戦中にナチス・ドイツはその末裔オットー・フォン・ハプスブルクに死刑宣告をした。
[152] 서적 ナチス・ドイツの国民啓蒙・宣伝省|国民啓蒙・宣伝大臣ヨーゼフ・ゲッベルスは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逮捕・公開裁判を宣告した(塚本哲也『わが青春のハプスブルク』文芸春秋、1996年)。
[153] 웹사이트 Maria Kalergis http://pl.chopin.nif[...] ポーランド国立フレデリック・ショパン研究所 2013-08-05
[154] 웹사이트 ミヒャエル・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 http://www.enartsu.c[...] 江夏画廊 2013-06-10
[155] 서적 Persson & Stråth 2007, p. 114 https://books.google[...]
[156] 웹사이트 パン アジアの夢 http://www.aisf.or.j[...] 公益財団法人 渥美国際交流財団 2013-08-05
[157] 문서 彼女は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鹿島平和賞受賞に立会い、鹿島と一緒にメダルを授与した秘書。鹿島が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首にリボンを掛けて幸田がリボンの留め金をした。: クーデンホーフ伯爵のメダル授与を手伝う幸田さん(中央) http://www.kajima.co[...]
[158] 웹사이트 なぜ鹿島は原発の建設に強いのか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4-11-17
[159] 웹사이트 May 2010:特集「鹿島と原子力」 | KAJIMAダイジェスト | 鹿島の施工実績 http://www.kajima.co[...]
[160] 문서 渥美直紀の父渥美健夫は中曽根康弘と同じくCISV(国際こども村)日本協会で会長を務めた。
[161] 웹사이트 ノーベル賞の国際政治学 -ノーベル平和賞と日本:序説- http://www1.tcue.ac.[...] 高崎経済大学地域政策学会『地域政策研究』第12巻 第4号 2014-11-17
[162] 웹사이트 首相、「原発推進」明記の意向 温暖化基本法案で https://web.archive.[...] 47NEWS 2014-11-17
[163] 웹사이트 《再録》鳩山元首相が脱原発デモに参加「思いは同じ」(2012/7/20)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4-11-17
[164] 웹사이트 リヒャルト・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生涯(2)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2013-07-08
[165] 웹사이트 ヨーロッパ統合の歴史 第3回 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活躍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2013-07-08
[166] 웹사이트 第6回IFセミナーレポート http://iferi.hass.ts[...] 筑波大学大学院 人文社会科学研究科 2013-07-08
[167] 서적 Richard Coudenhove-Kalergi: Umstrittener Visionär Europas https://books.google[...] Muster-Schmidt
[168] 논문 ミラン・ホジャの中欧連邦構想 —地域再編の試みと農民民主主義の思想— http://src-hokudai-a[...] 北海道大学スラブ・ユーラシア研究センター
[169] 웹사이트 Die Geschichte der Paneuropa-Bewegung http://paneuropa.org[...] Paneuropa Ukraine 2013-08-26
[170] 웹사이트 ПАН-ЕВРОПА И РОССИЯ http://www.paneuropa[...] 汎ヨーロッパ連合ボヘミア支部 2013-08-19
[171] 웹사이트 NATO・ロシア理事会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3-09-02
[172] 웹사이트 報告論題:「ノーベル賞の国際政治学――欧州統合とノーベル平和賞――」 http://www.jean-monn[...] ジャン・モネEU研究センター(慶應義塾大学) 2013-06-12
[173] 웹사이트 Search: Count Richard Coudenhove-Kalergi http://www.nobelpriz[...] The Official web site of the Nobel Prize 2013-07-03
[174]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Count Richard Nicolas Coudenhove-Kalergi http://www.nobelpriz[...] The Official web site of the Nobel Prize 2014-12-15
[175] 웹사이트 リヒャルト・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生涯(5)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2013-06-17
[176] 웹사이트 Facts on the Nobel Peace Prize http://www.nobelpriz[...] The Official web site of the Nobel Prize 2013-07-08
[177] 웹사이트 Adolf Hitler http://www.nobelpriz[...] The Official web site of the Nobel Prize 2013-07-08
[178] 웹사이트 "友愛」理解のために" http://yuaikyoukai.c[...] 一般財団法人 日本友愛協会 2012-06-11
[179] 서적 わが青春のハプスブルク
[180] 웹사이트 第471号 http://yuaikyoukai.c[...] 一般財団法人 日本友愛協会 2013-05-03
[181] 서적 Persecution and Resistance of Jehovah's Witnesses During the Nazi Regime, 1933-1945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182] 간행물 十五年戦争(1931-1945)における日本政府・軍のユダヤ人政策 https://hdl.handle.n[...] 明治大学史学地理学会 2002
[183] 웹사이트 内閣衆質164第155号 内閣総理大臣 小泉純一郎 https://www.shugiin.[...]
[184] 웹사이트 Levy 2007, p. 396 https://books.google[...]
[185] 웹사이트 薫 - 鳩山家の人々-鳩山会館 http://www.hatoyamak[...]
[186] 웹사이트 天皇皇后両陛下 ポーランド・ハンガリーご訪問(チェコ・オーストリアお立ち寄り)時のおことば・ご感想 https://www.kunaicho[...] 宮内庁 2013-06-12
[187] 웹사이트 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と鹿島守之助(2)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2013-08-19
[188] 웹사이트 石橋湛山の世界経済論 ――一九三〇年代におけるエコノミストの戦争抵抗 http://www.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2013-10-09
[189] 웹사이트 Geschichte des Völkerrechts - Quellen- und Literaturverzeichnis http://meta.narr.de/[...] Harald Kleinschmidt 2019-10-12
[190] 웹사이트 Chapter XI: Exclusion and Block Formation (1918 – 1945) http://www.vgws.org/[...] Verein für Geschichte des Weltsystems e.V. 2019-10-12
[191] 웹사이트 小特集-欧州統合の思想的基盤とEUの実践 http://www.tokiwa.ac[...] 常磐大学 2013-08-19
[192] 웹사이트 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と鹿島守之助(3)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2013-08-19
[193] 웹사이트 クーデンホーフ光子縁の地を巡って④ http://ryoganji.jp/a[...] アジア文化交流センター 2014-10-31
[194] 간행물 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光子の生涯 : EEC の母-世紀末ウィーンを生きた黒い瞳の伯爵夫人 https://hdl.handle.n[...] 小樽商科大学 2020-04-17
[195] 웹사이트 ミツコ・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生涯(1)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2014-10-31
[196] 웹사이트 The Medals of The Counts Coudenhove http://www.academia.[...] Academia.edu 2014-11-10
[197] 웹사이트 FAMILIE COUDENHOVE http://de.paneuropa.[...] Paneuropa Union Deutschland e.V. 2014-10-31
[198] 서적 High Society in the Third Reich https://books.google[...] Polity
[199] 웹사이트 沿革〜歴史紹介 http://yuaikyoukai.c[...] 一般財団法人 日本友愛協会 2012-06-11
[200] 서적 フリーメーソンの秘密 世界最大の結社の真実 三一書房 1983年1月
[201] 웹사이트 第507号 http://yuaikyoukai.c[...] 一般財団法人 日本友愛協会 2013-07-22
[202] 웹사이트 共立女子学園の石橋義夫理事長が語る「友愛革命」の精神 http://www.netty.ne.[...] 「私立中高一貫校の魅力」がわかる教育情報サイト NettyLandかわら版 2014-10-31
[203] 웹사이트 概要 http://yuaikyoukai.c[...] 一般財団法人 日本友愛協会 2013-09-02
[204] 웹사이트 鳩山荘松庵 友愛 https://www.google.c[...] Google画像検索 2013-06-03
[205] 문서 起立したフィッシャー大統領は日本語の本を逆さに持っている。
[206] 웹사이트 日・オーストリア首脳会談(概要)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3-06-03
[207] 웹사이트 세계연방일본국회위원회 http://wfmjapan.org/[...]
[208] 웹사이트 뉴즈레터614호 http://www.wfmjapan.[...] 세계연방운동협회 2014-10-31
[209] 문서 茂木は高[[知能指数|IQ]]団体[[멘사]]の会員である([http://www.japanmensa.jp/japan.shtml JAPAN MENSAのウェブサイト] より)が、メイソンであるかは判明していない。
[210] 웹사이트 友愛研究会 https://sites.google[...] Google Sites 2013-06-03
[211] 웹사이트 一般財団法人 東アジア共同体研究所 http://www.eaci.or.j[...] 一般財団法人 東アジア共同体研究所/世界友愛フォーラム 2013-06-10
[212] 웹사이트 The 3rd World Peace Forum http://www.eaci.or.j[...] 一般財団 東アジア共同体研究所
[213] 웹사이트 鳩山由紀夫オフィシャルホームページ: プロフィール - 略歴 http://www.hatoyama.[...] 鳩山由紀夫オフィシャルホームページ 2013-08-12
[214] 웹사이트 第3話 鹿島平和賞授賞の舞台 http://www.kajima.co[...] 鹿島建設 2012-06-11
[215] 간행물 2006年度 渥美国際交流奨学財団年報 http://www.aisf.or.j[...]
[216] 웹사이트 海外来客 http://www.tokyo.sok[...] 創価学園 2013-09-02
[217] 문서 三島由紀夫は、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との関係が指摘される映画「カサブランカ」においてはルノー署長(俳優: [[クロード・レインズ]])が一番好きである
[218] 서적 ジャーナリズムの情理: 新聞人・青木彰の遺産 https://books.google[...] 産経新聞出版
[219] 웹사이트 概要 http://www.sokanet.j[...] 創価学会公式サイト SOKAnet 2013-06-10
[220] 웹사이트 『新・人間革命』 要旨 http://www.sokanet.j[...] 創価学会公式サイト SOKAnet 2012-06-11
[221] 웹사이트 科学・芸術名誉十字章勲一等(オーストリア) http://www.sokanet.j[...] 創価学会公式サイト SOKAnet 2012-06-11
[222] 웹사이트 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と創価学会(1)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2012-06-11
[223] 웹사이트 「文明間対話」の軌跡 http://www.sokanet.j[...] 創価学会公式サイト SOKAnet 2012-06-11
[224] 서적 新・人間革命 The New Human Revolution [第12巻] 聖教新聞社 2004-03
[225] 뉴스 今日は何の日 2011-10-30
[226] 웹사이트 環境問題は全人類的な課題 http://www.seikyoonl[...] SEIKYO online 2012-06-11
[227] 웹사이트 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と創価学会(2)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2013-07-08
[228] 서적 文明・西と東 産業経済新聞社 1972-05-04
[229] 논문 世界法史上から見た十七条憲法の意義と特質 http://id.nii.ac.jp/[...] 国士舘大学政経学会 1992-09
[230] 웹사이트 創価合唱団が演奏会 http://www.sokanet.j[...] 創価学会公式サイト SOKAnet 2013-07-17
[231] 간행물 日蓮正宗と創価学会との関係について http://www.nichirens[...] 日蓮正宗公式サイト
[232] 간행물 それは「お尋ね」文書から始まった http://www.nichiren.[...] 日蓮正宗青年僧侶改革同盟
[233] 간행물 欧州に伸びゆく求道の若き力 伝統の教学研修会 http://www.seikyoonl[...] 聖教新聞 (SEIKYO online) 2014-08-18
[234] 간행물 SGI – European Songs http://www.sgi-uk.in[...] UK創価学会インタナショナル (SGI-UK)
[235] 간행물 青年の都ローマで欧州広布50周年記念総会 池田大作SGI会長が祝賀のメッセージ「一人も残らず人間王者に」 http://www.seikyoonl[...] 聖教新聞 (SEIKYO online) 2011-10-27
[236] 웹사이트 主な顕彰 http://www.sokanet.j[...] 創価学会公式サイト SOKAnet 2013-07-17
[237] 간행물 連載「脳力のレッスン」7月号: 四六年前の手紙と寺島文庫 http://mitsui.mgssi.[...] 三井物産戦略研究所 2014-11-24
[238] 간행물 第24回目 http://www2.jfn.co.j[...] オンザウェイ・ジャーナル 月刊 寺島実郎の世界 2014-11-24
[239] 문서 2007年5月の[[新潮選書]]で『二十世紀から何を学ぶか(上)一九〇〇年への旅 欧州と出会った若き日本』として増補改訂。2014年8月の[[新潮文庫]]で『若き日本の肖像 一九〇〇年、欧州への旅』として増補改訂。
[240] 서적 「反米論」は百害あって一利なし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2
[241] 웹사이트 2005年日・EU市民交流年 http://www.mofa.go.j[...] 日本国外務省 2013-05-06
[242] 웹사이트 シンポジウム ヨーロッパ統合への道 リヒャルト・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パン・ヨーロッパ構想からアテネ条約まで http://www.eu-japanf[...] EU・ジャパンフェスト日本委員会 2013-05-06
[243] 웹사이트 2005年日・EU市民交流年 参加団体プロフィール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3-05-06
[244] 웹사이트 国際アジアシンポジウム「世界同時不況を超えるアジア地域協力 東アジアの歴史的和解に向けて; 欧州統合に学ぶもの ―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生誕115周年記念―」 http://www.ri.aoyama[...] 青山学院大学総合研究所 2013-06-12
[245] 웹사이트 代表理事・会長ご挨拶 http://www.toasoken.[...] 一般財団法人東亜総研
[246] 웹사이트 東亜総研の設立目的 http://www.toasoken.[...]
[247] 웹사이트 「にちぎん」NO.39 2014年秋号 対談/守・破・創. 危機の中から未来を創る http://www.boj.or.jp[...] 日本銀行 2014-12-08
[248] 웹사이트 京都市立 南大内小学校 2012年3月 http://cms.edu.city.[...] 京都市教育委員会 2013-08-26
[249] 웹사이트 国際理解教育公開授業及び研修会・講演会のご案内 http://cms.edu.city.[...] 京都市教育委員会 2013-08-26
[250] 웹사이트 ロンスペルク城 Ronsperg Castle http://cms.edu.city.[...] 京都市教育委員会 2013-08-26
[251] 웹사이트 【日文研フォーラム】 バルト ガーンズ 「『汎ヨーロッパ』から『美の国』へ ―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と日本―」 http://www.nihu.jp/e[...] 大学共同利用機関法人 人間文化研究機構 2013-07-08
[252] 웹사이트 Newsletter No. 12 http://www.cias.kyot[...] 京都大学地域研究統合情報センター 2013-05-06
[253] 웹사이트 海外公演 | 社団法人桧垣バレエ団 http://www.higakibal[...]
[254] 웹사이트 桧垣バレエ団:京田辺のバレエ団、「日本の心」ドイツで上演 /京都 http://mainichi.jp/f[...] 毎日新聞 2014-12-01
[255] 웹사이트 創作バレエ 「みつこ - MITSUKO」 ウィーン公演 http://www.austria.i[...]
[256] 웹사이트 会議録 第156回国会 憲法調査会 第9号(平成15年7月24日(木曜日))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3-07-22
[257] 웹사이트 会議録 第165回国会 本会議 第4号(平成18年10月2日(月曜日))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3-07-22
[258] 웹사이트 第13回〔1996(平成8)年〕 - 新語・流行語大賞 http://singo.jiyu.co[...] 自由国民社 1996
[259] 웹사이트 ソフトクリーム首相の命知らずの漫言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10-05-11
[260] 웹사이트 「強引さ足りなかった」=鳩山首相退陣で中曽根元首相 http://jp.wsj.com/la[...]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 2010-06-02
[261] 웹사이트 会議録 第173回国会 予算委員会 第2号(平成21年11月2日(月曜日))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3-07-22
[262] 웹사이트 会議録 第174回国会 予算委員会 第4号(平成22年1月25日(月曜日))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3-07-22
[263] 웹사이트 Freemasonry in cinema: Casablanca http://freemasonry.b[...] Grand Lodge of British Columbia and Yukon A.F. & A.M 2013-05-06
[264] 웹사이트 Obscure masonic references http://freemasonry.b[...] Grand Lodge of British Columbia and Yukon A.F. & A.M 2013-05-06
[265] 웹사이트 Cross Lorraine http://freemasonry.b[...] Grand Lodge of British Columbia and Yukon A.F. & A.M 2013-05-06
[266] 웹사이트 カサブランカ http://www.kinenote.[...] キネマ旬報社 KINE NOTE 2013-06-10
[267] 웹사이트 Rouget de Lisle http://freemasonry.b[...] Grand Lodge of British Columbia and Yukon A.F. & A.M 2013-06-10
[268] 웹사이트 Famous Freemasons M-Z http://www.lodgestpa[...] Lodge St. Patrick No.468 Irish Constitution 2013-06-10
[269] 웹사이트 Overview for Michael Curtiz http://www.tcm.com/t[...] ターナー・クラシック・ムービーズ 2013-06-12
[270] 웹사이트 FRANKLIN DELANO ROOSEVELT http://www.pagrandlo[...] The Grand Lodge of Free and Accepted Masons of Pennsylvania 2013-06-11
[271] 서적 Hollywood Be Thy Name: The Warner Brothers Stor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72] Citation Casablanca: Script and Legend https://books.google[...] The Overlook Press
[273] 서적 10,000 Famous Freemasons From K To Z Part Two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74] 웹사이트 リヒャルト・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生涯(3)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2013-07-08
[275] 웹사이트 リヒャルト・クーデンホーフ・カレルギーの生涯(4) http://www.law.tohok[...] 東北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戸澤英典研究室「RCK通信」 2013-07-08
[276] 웹사이트 ヨーロッパハウスを彩るアートたち http://eumag.jp/spot[...] 駐日欧州連合代表部の公式ウェブマガジン EU MAG 2013-01-11
[277] 웹사이트 European Prize Winners http://www.european-[...] European Society Coudenhove-Kalergi 2013-07-08
[278] 웹사이트 オルタナティブ投資 第118号 2010年03月26日 http://lounge.monex.[...] マネックス証券 マネックスラウンジ 2014-12-08
[279] 웹사이트 Coudenhove Gedenktafel http://www.viennatou[...] Hedwig Abraham, Fremdenführerin Wien 2014-10-31
[280] 웹사이트 Info und Termine http://www.theresian[...] Theresianische Akademie Wien 2014-10-31
[281] 서적 Deutsches Literatur-Lexikon. das 20. Jahrhundert Band 5: Butenschön - Dedo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