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마시멜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마시멜로는 설탕, 물, 공기, 휘핑제 등을 주재료로 하는 과자이다. 고대 이집트에서 약용으로 사용된 마시멜로 식물의 뿌리에서 유래되었으며, 19세기 프랑스에서 과자 형태로 발전했다. 19세기 후반, 젤라틴과 압출 공법이 도입되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소비되며, 스모어, 핫초콜릿 토핑 등 여러 음식에 활용된다. 또한, 캠핑 문화에서 모닥불에 구워 먹는 간식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자 - 누가
    누가는 설탕이나 꿀, 견과류를 넣어 만든 과자로, 아랍의 할바에서 유래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초콜릿 바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 과자 - 사탕
    사탕은 설탕을 주원료로 다양한 맛과 형태로 만들어지는 과자로, 사탕수수 발견 이후 꿀을 이용한 캔디 제조를 거쳐 산업혁명 이후 대량 생산되었지만, 유해한 식품 첨가물 사용 문제로 식품 안전 규제가 시작되었고, 현재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과다 섭취 시 건강에 유해할 수 있고 문화적 행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마시멜로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시멜로
어원영어: marsh mallow
프랑스어Guimauve (기모브)
종류
분류과자
상세 정보
원산지프랑스
주요 성분설탕, 젤라틴, 물, 공기
변형식용 색소, 스프링클

2. 역사

마시멜로는 본래 유럽서아시아 등지의 습지에서 자라는 아욱과 식물 ''Althaea officinalis''에서 유래했으며, 이 식물은 고대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약용 목적으로 사용된 기록이 있다.[3][4][5]

오늘날과 같은 과자 형태는 19세기 프랑스에서 발전했는데, 초기에는 식물 추출물을 사용했으나[6][7] 점차 젤라틴으로 대체되고 전분 모굴 시스템 등이 도입되며 제조 방식이 변화했다.[4][9][30]

20세기 들어 미국을 중심으로 대량 생산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1950년대 두막(Doumak)사가 개발한 압출 공법은 현대적 생산 방식의 토대가 되었다.[39][4][10] 오늘날 마시멜로는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며, 특히 미국에서는 스모어를 비롯한 다양한 디저트에 널리 사용된다.[38] 일본에는 메이지 시대에 전래되었다.[31][32]

2. 1. 고대와 중세

"마시멜로"라는 이름은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 일부 지역의 습지에 서식하는 아욱과 식물인 ''Althaea officinalis''에서 유래했다. 이 식물은 습지나 기타 습한 지역에서 자라며, 줄기와 잎은 다육질이고 흰 꽃은 다섯 개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접시꽃속의 약용 마시멜로 (''Althaea officinalis'')


마시멜로 과자가 정확히 언제 발명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 역사는 기원전 2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4][5] 고대 이집트인들은 이 식물의 뿌리를 이용하여 기침과 목의 통증을 완화하고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약을 처음 만들고 사용했다고 한다. 최초의 마시멜로는 마시멜로 뿌리의 펄프 조각을 꿀과 함께 걸쭉해질 때까지 끓여 만들었다. 혼합물이 걸쭉해지면 이를 걸러내고 식힌 다음 약용 목적으로 사용했다.[3][4][5]

이 시기 마시멜로의 제조는 약용이든 과자 형태든 소규모로 제한되었다.

2. 2. 근대: 프랑스에서의 발전

마시멜로 식물(''Althaea officinalis'')은 본래 약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오늘날 우리가 아는 과자 형태의 마시멜로는 19세기 프랑스에서 발전된 형태에 더 가깝다. 초기 마시멜로는 식물의 뿌리에서 추출한 수액과 꿀을 섞어 만든 목캔디와 유사한 형태였다.[30]

19세기 초에서 중반, 마시멜로 제조법은 프랑스로 전해졌고, 현지 제과업자들은 이를 새로운 형태의 과자로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작은 제과점들은 아욱 뿌리에서 추출한 수액에 설탕, 물, 달걀 흰자를 섞어 휘저어 만든 스펀지처럼 부드러운 디저트를 만들었는데, 이를 Pâte de Guimauve|파트 드 기모브프랑스어라고 불렀다.[6][7] 이 초기 마시멜로는 건조와 준비 과정에 1~2일이 소요될 정도로 수작업에 의존했다.[8]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제과업자들은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모색했다. 이 과정에서 전분 모굴 시스템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옥수수 전분 틀에 마시멜로 반죽을 부어 모양을 만드는 방식이었다.[9] 동시에, 기존에 사용하던 아욱 뿌리 추출물 대신 젤라틴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안정적인 형태의 마시멜로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4][30] 이러한 프랑스에서의 기술적, 재료적 발전은 마시멜로가 대량 생산되어 오늘날과 같은 대중적인 과자로 자리 잡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2. 3. 현대: 대량 생산과 세계화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시작된 제과 형태의 마시멜로는 전분 모굴 시스템의 도입으로 생산 방식에 변화를 맞았다. 이 시스템은 옥수수 전분 틀에 마시멜로 반죽을 부어 굳히는 방식으로, 이전보다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9] 동시에 제과업자들은 전통적인 아욱 뿌리 대신 젤라틴을 사용하여 더욱 안정적인 형태의 마시멜로를 만들기 시작했다.[4]

20세기 초, 전분 모굴 시스템 덕분에 마시멜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고, 미국에서는 저렴한 사탕(페니 캔디)으로 판매되거나 바나나 플러프, 라임 맬로우 스펀지, 투티 프루티와 같은 다양한 음식 레시피에 활용되었다. 1948년, 제과회사 두막(Doumak)은 마시멜로 반죽을 압출하여 만드는 방식에 대한 특허를 획득했으며[39], 이 방식은 1956년 알렉스 두막(Alex Doumak)에 의해 더욱 발전하여[10] 긴 원통형의 마시멜로 반죽을 뽑아낸 뒤 일정한 크기로 잘라 포장하는 현대적인 대량 생산 공정의 기반이 되었다.[4]

이 압출 공법 덕분에 오늘날 마시멜로는 부드럽고 잘린 원통형 모양에 옥수수 전분이나 가루 설탕을 묻힌 형태로 주로 생산된다. (모든 회사가 가루 설탕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현대 마시멜로 제조는 1950년대 초 압출 공법 개발 이후 고도로 자동화되었으며[14], 설탕, 물, 공기, 그리고 젤라틴과 같은 휘핑제를 주원료로 사용한다.

미국캐나다에서는 크래프트 푸드(Kraft Foods)와 두막(Doumak Inc.)이 주요 생산 업체이며, 록키마운틴(Rocky Mountain), 제트-퍼프드(Jet-Puffed), 캠프파이어(Campfire) 등의 브랜드와 다양한 자체 브랜드(PB) 상품으로 판매된다. 마시멜로는 스모어, 맬로머즈(Mallomars), 핍스(Peeps), 위핏츠(Whippets) 같은 과자뿐만 아니라, 라이스 크리스피 트리츠(Rice Krispies Treats), 로키 로드 아이스크림, 핫 초콜릿 토핑, 참마 요리 등 다양한 음식에 널리 사용된다. 미국인들은 연간 약 41k의 마시멜로를 소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38]

2. 3. 1. 일본에서의 마시멜로

일본에서는 1892년 (메이지 25년)에 풍월당이 처음으로 마시멜로를 판매했으며, 당시 신문에서는 이를 진주마(眞珠麿)라는 한자로 표기했다고 보도했다.[31] 하지만 이보다 앞선 1887년 (메이지 20년)에 창업한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의 시모야마 쇼주켄(츠루노 타마고 본포)이 창업과 동시에 일본 최초의 마시멜로 과자인 "츠루노 타마고"를 출시했다는 설도 있다.[32]

3. 제조법

현대 과자 형태의 마시멜로는 19세기 후반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1948년 제과 회사 두막(Doumak)이 압출 방식으로 특허를 얻으면서 오늘날과 같이 부드럽고 잘린 원통형 모양의 마시멜로가 대량 생산되기 시작했다.[39]

마시멜로는 기본적으로 설탕, , 공기, 그리고 거품을 만들고 안정시키는 거품제(주로 단백질)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11] 제조 원리는 설탕 혼합물에 공기를 주입하여 거품을 만들고, 이 거품이 빠져나가기 전에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마시멜로 부피의 약 50%가 공기일 정도로 '통기성'이 높은 과자이며, 이것이 특유의 부드럽고 스펀지 같은 질감을 만든다.[11]

전통적인 제조법은 계란 흰자를 거품 내어 만든 머랭에 뜨거운 설탕 시럽과 불린 젤라틴을 섞어 만든다.[33][34] 하지만 대량 생산 시에는 비용이나 효율성을 위해 계란 흰자 대신 젤라틴, 옥수수 전분, 단백질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35] 완성된 반죽은 틀에 붓거나 압출하여 모양을 만들고, 굳힌 뒤 표면에 전분(주로 옥수수 전분)이나 슈가파우더를 뿌려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34]

기본적인 흰색 마시멜로 외에도 초콜릿, 딸기 등 다양한 맛과 색을 내기 위해 향료나 착색료를 첨가하거나[36] 중심부에 등을 채운 제품도 있다. 프랑스 과자인 기모브(Guimauve|기모브프랑스어)는 전통적으로 머랭 대신 과일 퓨레를 사용하여 만드는데, 마시멜로보다 과일 풍미가 강하고 더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는 차이가 있다.

3. 1. 재료

마시멜로는 네 가지 기본 재료, 즉 설탕, , 공기, 그리고 거품제/기포제(주로 단백질)로 구성된다.[11] 사용되는 설탕과 거품제의 종류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각 재료는 최종 제품에서 특정한 역할을 수행한다. 마시멜로는 본질적으로 거품 형태로, 액체(수성 연속 상) 속에 기체(기포)가 분산된 구조이다. 약 50%가 공기로 이루어져 있어 "통기성" 과자로 분류되며, 이는 마시멜로 특유의 질감과 입안에서의 느낌을 만들어낸다.[11]
거품제 (단백질)마시멜로에서 단백질은 분산된 공기 방울을 만들고 안정시키는 주요 표면 활성제 역할을 한다.[12] 단백질 분자는 물을 좋아하는 친수성 부분과 물을 싫어하는 소수성 부분을 모두 가지고 있어 물과 공기의 경계면에 배열되어 거품을 안정시킨다. 마시멜로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단백질은 달걀 흰자(알부민)와 젤라틴이다.[12]

  • 알부민: 달걀 흰자에 풍부한 단백질 혼합물로, 거품 형성 능력이 뛰어나다. 상업적으로는 주로 건조 알부민을 사용하는데, 이는 신선한 달걀 흰자보다 식품 안전성이 높고 수분 함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신선한 달걀 흰자는 살모넬라 오염 위험이 있고 수분 함량이 높아(약 90%) 제품의 유통기한과 질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장인이 만드는 마시멜로에는 신선한 달걀 흰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현대 마시멜로에서는 알부민 단독보다는 젤라틴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3]
  • 젤라틴: 마시멜로 생산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거품제이다. 동물 가죽, 결합 조직, 뼈에서 추출한 구조 단백질인 콜라겐으로 만들어진다.[12] 젤라틴은 거품을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물과 결합하여 열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젤(열가역성 젤)을 형성한다. 이 젤은 약 약 35.0°C에서 녹는데, 이는 사람의 정상 체온(약 약 36.1°C)보다 약간 낮은 온도이다. 이 때문에 마시멜로가 입안에서 녹는 듯한 독특한 식감을 제공한다.[12] 젤라틴은 또한 3차원 고분자 사슬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마시멜로 특유의 쫄깃한 질감을 만든다. 이 네트워크는 공기를 가두고 수분을 잡아두어 스펀지 같은 구조를 유지하게 한다. 젤라틴이 없으면 물과 공기 방울을 가두는 네트워크가 없어 마시멜로 크림처럼 된다.[12]

설탕설탕은 마시멜로에 단맛과 부피를 제공하며, 냉각 시 거품 구조를 굳히는 역할을 한다.[17] 다양한 종류의 설탕을 조합하여 용액의 용해도를 조절하고, 수크로스(설탕)의 결정화를 늦춰 부드러운 질감을 만든다.[15] 마시멜로의 부드러움은 무질서한 비정질 상태의 설탕 분자에 의존하므로, 설탕 시럽을 고온으로 가열한 후 빠르게 냉각시키는 과정이 중요하다.[16]

  • 수크로스: 사탕수수사탕무에서 얻는 설탕으로, 포도당과 과당이 결합된 이당류이다. 단맛과 부피를 제공하며 거품 안정성을 높이지만, 결정화 경향이 있어 단독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17][18] 수크로스(설탕)는 일반적으로 거품 형성을 방해하지만, 형성된 거품의 안정성은 높인다.[18] 거품을 이루는 액체가 빠져나가는 것도 최소화해야 하는데, 점도를 높이면 액체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수크로스는 마시멜로의 주요 성분이지만, 결정화 문제 때문에 다른 당류와 함께 사용된다.
  • 옥수수 시럽: 옥수수 전분을 부분적으로 가수분해하여 얻으며, 포도당, 말토스, 기타 올리고당을 포함한다.[19] 옥수수 시럽은 수크로스의 결정화를 막아 부드러운 질감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며, 사용되는 시럽의 덱스트로스 당량(DE)에 따라 질감, 단맛, 맛의 발현 등이 달라진다. DE가 낮은 포도당 시럽은 더 쫄깃한 질감을 제공하는 반면, DE가 높은 시럽은 제품을 더 부드럽게 만든다.[17] 무미하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된다.
  • 전화당: 설탕이 물과 반응하여(가수분해) 분해될 때 생성된다. 이 당은 꿀의 주요 성분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맛 제외), 결정화를 방지하고 부드러운 마시멜로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효과적인 보습제로 작용하여 수분을 유지하고 마시멜로가 마르는 것을 막는다.[14]


전통적인 마시멜로는 대략 옥수수 시럽 60%, 설탕 30%, 젤라틴 1~2%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15] 현대의 마시멜로는 주로 설탕, 달걀 흰자(또는 이를 대체하는 단백질), 젤라틴, 물엿을 기본 원료로 사용한다.[33] 제조 과정에서는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옥수수 전분이나 슈가파우더를 사용하기도 한다.[34] 대량 생산되는 제품에는 달걀 흰자 대신 젤라틴, 옥수수 전분, 때로는 콩 단백질이나 증점제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35]

분홍색 마시멜로


기본적인 흰색 마시멜로 외에도 초콜릿, 딸기, 바나나 등의 향료나 착색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색과 맛을 내기도 한다. 중심부에 등을 채운 제품도 있다.[36] 프랑스 과자인 기모브(guimauve프랑스어)는 전통적으로 머랭(달걀 흰자) 대신 과일 퓨레에 젤라틴을 넣어 만들기 때문에 과일 풍미가 특징이다. 다만, 머랭을 사용하는 제법이 더 간단하여 양과자점에서는 머랭을 사용하기도 한다. 기모브는 과일에서 유래한 맛과 향이 특징인 반면, 마시멜로는 주로 설탕이나 첨가된 향료의 맛과 향이 난다. 또한 기모브가 더 부드럽고 마시멜로는 더 탄력 있는 식감을 가진다.

3. 2. 상업적 생산 과정

현재 시판되는 과자 형태의 마시멜로는 19세기 후반에 발명되었다. 제과 회사 두막(Doumak)이 1948년 압출 방식으로 특허를 받은 후, 마시멜로는 부드럽고 잘린 원통형 모양에 콘스타치(옥수수 전분)와 가루 설탕을 묻힌 형태로 대량 생산되기 시작했다. 모든 회사가 가루 설탕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39] 미국캐나다에서는 크래프트 푸드와 두막 주식회사에서 주로 마시멜로를 생산하며, 록키 마운틴(Rocky Mountain), 제트 퍼프드(Jet-Puffed), 캠프파이어(Campfire), 키드(Kidd) 등의 브랜드와 다양한 자체 상표(Private Brand, PB) 상품으로 판매된다. 마시멜로는 스모어즈, 맬로머즈, 핍스, 위핏츠와 같은 다른 과자나, 라이스 크리스프 트리츠, 로키 로드 아이스크림 맛, 뜨거운 초콜릿 위에 얹는 토핑, 참마 요리 등 다양한 식료품에 사용된다.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연간 약 4.1만ton의 마시멜로를 소비한다고 한다.[38]

마시멜로 제작 영상


Just Born 피프스(Peeps) 부활절 바구니


상업적인 마시멜로 제조 과정은 대부분 자동화되어 있다. 주요 원료는 설탕, 젤라틴, 물엿 등이며,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달걀 흰자도 사용된다.[33] 설탕은 주로 사탕수수사탕무에서 얻는 수크로스로, 마시멜로에 단맛과 부피를 제공하고 냉각 시 거품 구조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17] 수크로스는 거품 형성을 방해할 수도 있지만, 젤라틴과 같은 단백질과 함께 사용하면 점도를 높여 거품 안정성을 향상시킨다.[18] 젤라틴은 거품을 만들고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1. 원료 혼합 및 가열: 젤라틴을 물에 불린 후, 설탕, 물엿, 물과 함께 냄비에 넣고 끓여 뜨거운 시럽을 만든다.[34]

2. 공기 주입 (포기): 젤라틴이 포함된 시럽을 약간 식힌 후, 로터-스테이터(rotor-stator) 방식의 에어레이터(aerator)를 사용하여 공기를 주입한다. 이 과정에서 큰 공기 방울이 잘게 부서져 마시멜로 특유의 부드럽고 미세한 질감이 만들어진다.

3. 성형: 공기가 주입된 마시멜로 반죽은 세 가지 주요 방법으로 성형된다.

  • 압출: 제트 퍼프 마시멜로처럼 원하는 모양으로 길게 뽑아낸 뒤 일정한 크기로 자른다.
  • 토핑: 핍스처럼 컨베이어 벨트 위에 특정 모양으로 짜낸다.[21]
  • 몰딩: 다양한 모양을 만들기 위해 녹말 가루로 만든 틀(mould)에 반죽을 부어 굳힌다.[14]

4. 후처리: 성형된 마시멜로가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표면에 옥수수 녹말과 같은 녹말 가루나 슈가파우더를 뿌린다.[34]

대량 생산되는 마시멜로의 경우, 비용 절감이나 생산 효율성을 위해 달걀 흰자 대신 젤라틴, 옥수수 녹말, 때로는 콩 단백질이나 다른 증점제를 사용하기도 한다.[35]

기본적인 흰색 마시멜로 외에도 초콜릿, 딸기 향료, 바나나 향료 등을 첨가하거나 착색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맛과 색의 마시멜로를 만든다. 마시멜로 중심부에 등을 채워 넣은 제품도 있다.[36]

3. 3. 가정 제조 과정

갓 자른 수제 마시멜로


마시멜로를 만드는 가정 과정은 상업적 과정과 다르다. 한 가지 방법은 옥수수 시럽설탕을 혼합하여 약 약 122.2°C까지 끓이는 것이다. 별도로 젤라틴을 충분한 양의 따뜻한 물에 넣어 불려 걸쭉한 용액을 만든다. 설탕 시럽이 약 약 37.8°C로 식으면, 준비된 젤라틴 용액과 원하는 향료를 함께 넣고 믹서로 휘저어 최종적인 마시멜로의 밀도에 도달하게 한다. 완성된 반죽은 그릇에서 꺼내어 테이블 위에 넓게 펴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 완성한다.[13]

다른 가정식 제조법에서는 주로 설탕, 계란 흰자, 젤라틴, 물엿을 원료로 사용한다.[33]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 먼저, 젤라틴을 물에 불려둔다.

# 냄비에 설탕, 물엿, 물을 넣고 불에 올려 끓여 뜨거운 시럽을 만든다.

# 계란 흰자를 거품 내어 머랭을 만든다.

# 만들어진 머랭에 뜨거운 시럽을 실처럼 가늘게 흘려 넣으면서 계속 섞어준다(이탈리안 머랭 방식).

# 불려둔 젤라틴을 넣고 재빨리 섞은 뒤, 충분히 거품을 낸다.

# 완성된 반죽을 옥수수 전분과 슈가파우더를 뿌려둔 틀에 붓고 굳힌다.[34]

# 마시멜로가 굳으면 틀에서 꺼내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표면에 전분(주로 옥수수 전분)을 뿌린다.

대량 생산되는 상업용 마시멜로의 경우, 비용 절감이나 생산 효율성을 위해 계란 흰자를 사용하지 않고 젤라틴과 옥수수 전분, 때로는 콩 단백질이나 다른 증점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35]

4. 현대적 용도 및 문화

현대적인 마시멜로 과자는 19세기 후반에 처음 등장했으며, 1948년 제과회사 두막이 압출 방식으로 특허를 받은 이후 부드러운 원통형에 콘스타치와 가루 설탕을 묻힌 형태로 대량 생산되기 시작했다.[39] 현재 미국캐나다에서는 크래프트 푸드와 두막 주식회사가 주요 생산 업체이며, 록키마운틴(Rocky Mountain), 제트-퍼프드(Jet-Puffed), 캠프파이어(Campfire) 등 다양한 브랜드로 판매되고 있다.

마시멜로는 스모어, 맬로머즈, 핍스와 같은 과자류나 라이스 크리스피 트리트, 로키 로드아이스크림, 뜨거운 초콜릿 음료의 토핑 등 다양한 식료품에 널리 사용된다. 미국인들은 연간 상당량의 마시멜로를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8]

특히 영국,[22] 북아메리카, 뉴질랜드, 호주 등지에서는 캠핑이나 야외 활동 시 모닥불에 마시멜로를 구워 먹는 문화가 인기가 높다.[23] 막대기나 꼬치에 끼워 불에 구우면 겉은 캐러멜화되고 속은 부드럽게 녹는데,[24] 이렇게 구운 마시멜로를 활용한 스모어는 대표적인 캠핑 간식이다.[25] 일본에서는 주로 그대로 먹지만, 북미에서는 구워 먹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모습은 만화 『피너츠』나 영화 고스트버스터즈 등 대중문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동영상 SNS틱톡에서 마시멜로를 버너 등으로 구워 먹는 방식의 먹방이 유행하기도 했다. 미국 등에서는 뜨거운 코코아에 넣어 녹여 마시기도 한다.

4. 1. 다양한 활용

마시멜로는 스모어, 맬로머즈, 핍스, 위핏츠와 같은 과자류, 라이스 크리스피 트리트, 로키 로드아이스크림, 핫 초콜릿의 토핑, 참마 요리 등 다양한 식료품에 활용된다. 미국인은 연간 약 4.1만ton의 마시멜로를 소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38] 최근에는 동영상 SNS틱톡에서 버너에 마시멜로 겉면을 구워 벗겨 먹는 먹방 영상이 유행하기도 했다.

마시멜로 굽기


오픈형 스모어


영국,[22] 북아메리카, 뉴질랜드, 호주 등지에서는 캠핑이나 집 마당에서 모닥불이나 다른 불을 피워 마시멜로를 굽는 것이 인기 있는 활동이다.[23] 막대기나 꼬치 끝에 마시멜로를 끼워 불 위에 조심스럽게 돌려가며 구우면, 겉은 캐러멜화되어 갈색 빛을 띠고 속은 부드럽게 녹아내린다. 이 과정에서 설탕의 마이야르 반응캐러멜화를 통해 독특한 풍미와 색이 만들어진다.[24] 만화 『피너츠』에서 스누피와 그의 형 스파이크가 마시멜로를 굽는 장면이나, 영화 고스트버스터즈에 등장하는 마시멜로 맨 역시 이러한 문화를 반영한다.

구운 마시멜로를 활용한 대표적인 디저트로는 스모어(S'more)가 있다. 이는 미국의 전통적인 모닥불 간식으로, 구운 마시멜로를 초콜릿 조각 위에 올리고 두 개의 그래햄 크래커 사이에 끼워 만든다. 마시멜로의 열기로 초콜릿이 녹으면서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을 낸다.[25]

이 외에도 미국 등에서는 뜨거운 코코아에 마시멜로를 넣어 반쯤 녹여 마시기도 하며, 마시멜로가 포함된 인스턴트 코코아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4. 2. 틱톡과 먹방

동영상 SNS틱톡에서는 버너에 마시멜로를 구워 껍질 부분만 벗겨 먹는 먹방이 유행하기도 했다.

4. 3. 캠핑 문화

영국,[22] 북아메리카, 뉴질랜드 및 호주에서는 캠핑을 하거나 집 뒷마당에서 모닥불 또는 다른 불 위에 마시멜로를 굽거나 토스팅하는 것이 인기 있는 활동이다.[23] 마시멜로를 막대기나 꼬치 끝에 꽂아 불 위에 조심스럽게 구우면, 겉은 캐러멜화되고 속은 부드럽게 녹아내리는 용융 상태가 된다. 이때 설탕의 마이야르 반응과 관련된 갈변 현상이 일어나며 독특한 풍미와 색이 만들어진다.[24]

미국에서는 구운 마시멜로를 이용한 스모어(S'more)가 전통적인 모닥불 간식으로 유명하다. 이는 구운 마시멜로를 초콜릿 조각 위에 올리고, 다시 이들을 두 개의 그래햄 크래커 사이에 끼워 만든다. 마시멜로의 열기로 초콜릿이 살짝 녹으면서 달콤한 맛을 더한다.[25]

일본에서는 마시멜로를 가열하지 않고 그대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북미에서는 캠프파이어바비큐를 할 때 마시멜로를 꼬치에 꽂아 불에 구워 뜨거울 때 먹는 경우가 많다. 만화 『피너츠』에서 스누피가 마시멜로를 굽는 장면이나, 영화 고스트버스터즈에 등장하는 마시멜로 맨 역시 불에 구워 먹는 모습과 연관된다.

미국 등에서는 뜨거운 코코아에 마시멜로를 넣어 반쯤 녹여 마시기도 하며, 마시멜로가 들어간 인스턴트 코코아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최근 동영상 SNS틱톡에서는 버너에 마시멜로를 구워 겉껍질만 벗겨 먹는 먹방이 유행하기도 했다.

4. 4. 화이트데이 (일본)

일본 고유의 관습으로, 밸런타인데이에 여성으로부터 초콜릿을 받은 남성이 답례하는 풍조가 생겨났다. 여러 설이 있지만, 1970년대 들어 과자 업계에서 개별적으로 날짜를 정해 비스킷, 마시멜로, 캔디 등을 "답례 선물"로 홍보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을 전국사탕과자공업협동조합(전당협) 관동지구부회가 캔디 판매 촉진과 연결하여 "화이트데이"라는 행사로 만들었다. 1978년 전당협 전국총회에서 "캔디를 선물하는 날"로 제정되었고, 2년의 준비 기간을 거쳐 1980년 제1회 전국 규모의 화이트데이가 열렸다. 캔디의 재료인 설탕이 흰색이라는 점에서 "화이트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마시멜로 역시 이러한 흐름과 관련이 있는데, 3월 14일이 마시멜로 데이로 불렸다는 설도 있다. 이는 후쿠오카시의 과자점 이시무라만세이도가 1977년(쇼와 52년) "밸런타인데이의 답례로 마시멜로를"이라는 캠페인을 백화점과 함께 진행한 것에서 유래하며, 이것이 화이트데이의 기원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시무라만세이도는 현재도 매년 화이트데이 즈음에 "화이트데이는 마시멜로 데이"라는 캐치프레이즈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5. 기타

(내용 없음)

5. 1. 영양

마시멜로는 미국 법률상 최소 영양 가치의 식품으로 정의된다.[26]

5. 2. 채식주의자를 위한 마시멜로

전통적인 마시멜로 레시피는 마시멜로 뿌리 가루를 사용하지만,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마시멜로는 동물성 원료인 젤라틴을 사용하여 만든다. 이 때문에 젤라틴 섭취를 피하는 비건이나 채식주의자는 일반적인 마시멜로를 먹기 어렵다. 하지만 한천과 같은 식물성 젤화제를 사용한 채식주의자용 마시멜로도 찾아볼 수 있다.[27]

초콜릿 무스와 함께 제공되는 구운 비건 마시멜로


종교적인 이유로 특정 음식을 가려 먹는 경우에도 마시멜로 섭취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사용된 젤라틴이 코셔 또는 할랄 방식으로 도축된 동물에서 유래하지 않았다면, 해당 마시멜로는 일반적으로 코셔나 할랄 식품으로 인정받지 못한다.[28]

한편, 마시멜로 크림이나 마시멜로 플러프(Marshmallow fluff)처럼 덜 단단한 형태의 마시멜로 제품은 모양 유지를 위한 젤라틴 대신 달걀 흰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젤라틴이 들어가지 않고 달걀 흰자만 사용된 제품은 달걀은 먹는 채식주의자인 난채식주의자가 섭취할 수 있다. 시중에는 채식주의자 및 비건 소비자를 위한 다양한 브랜드의 마시멜로와 마시멜로 플러프가 판매되고 있다.[29]

참조

[1]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Pearson Longman 2008-04-03
[2] 학술지 What's that stuff? Marshmallow https://pubs.acs.org[...] 2008-02-10
[3] 웹사이트 How Marshmallows are Made http://www.madehow.c[...]
[4] 웹사이트 Marshmallows http://www.candyusa.[...] National Confectioners Association
[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Sugar and Sweets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1-01
[6] 서적 The Pocket Formulary: And Synopsis of the British & Foreign Pharmacopoeias : Comprising Standard and Approved Formulae for the Preparations and Compounds Employed in Medical Practice https://books.google[...] John Churchill
[7] 서적 L'Officine ou Répertoire géneral de pharmacie pratique https://books.google[...] Labé
[8] 서적 The "Queen" Cookery Books Horace Cox
[9] 서적 Candyfreak : a journey through the chocolate underbelly of America Harcourt 2005-01-01
[10] 웹사이트 Diagram https://patentimages[...] 2021-04-21
[11] 서적 Essentials of Food Science Marcel Dekker
[12] 웹사이트 Homemade Marshmallow https://scienceandfo[...] 2015-03-03
[13] 서적 Chocolates and confections: Formula, theory, and technique for the artisan confectioner John Wiley and Sons
[14] 서적 Candy Bites: The Science of Sweets Copernicus
[15] 학술지 Phase/State Transitions of Confectionery Sweeteners: Thermodynamic and Kinetic Aspects 2011-01-01
[16] 웹사이트 The Sweet Science of Candy Making https://www.acs.org/[...]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4-10-01
[17] 웹사이트 The Sweet Facts of Confection Creation https://www.naturalp[...] 1995-01-01
[18] 서적 Food Chemistry Marcel Dekker
[19] 웹사이트 Corn Syrup https://www.merriam-[...]
[20] 학술지 Investigation of the use of various fruit juice concentrates instead of corn syrup in marshmallow type products: A preliminary study 2022-01-01
[21] 뉴스 A Visit to the Peeps Factory https://www.nytimes.[...] 2023-04-06
[22] 웹사이트 47. Cook on a campfire http://www.ntsouthwe[...] 2015-11-21
[23] 웹사이트 History of Campfire Marshmallows https://web.archive.[...] 2011-11-03
[24] 웹사이트 The science behind a perfectly-toasted marshmallow https://www.theverge[...] 2017-06-11
[25] 웹사이트 Definition of S'MORE http://www.m-w.com/d[...]
[26] 웹사이트 Foods of Minimal Nutritional Value https://www.fns.usda[...] Food and Nutrition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8-04
[27] 웹사이트 Gelatin Alternatives https://www.peta.org[...] 2017-10-24
[28] 웹사이트 A Closer Look - Gelatin - Kosher Spirit http://www.ok.org/ja[...] 2019-12-31
[29] 웹사이트 These Gelatin-Free Marshmallow Brands Will Have You Ready for Vegan S'mores Season https://www.peta.org[...] 2017-10-24
[30] 서적 フランス菓子図鑑 お菓子の名前と由来 世界文化社
[31] 간행물 日本で最初にマシュマロを発売したのはどこか知りたい。 雄山閣
[32] 뉴스 岡山で130年続くマシュマロ和菓子「つるの玉子」、新ブランド開発に挑戦 https://okayama.keiz[...] 2018-01-17
[33] 웹사이트 マシュマロは何からできているの? - マシュマロ情報サイト エイワのマシュマロ 株式会社エイワ https://www.eiwamm.c[...] 2024-05-25
[34] 서적 お菓子の基本大図鑑
[35] 웹사이트 ミニスターマシュマロ・ホワイト 250g https://store.busco.[...] 2024-05-25
[36] 웹사이트 マシュマロのおすすめ人気ランキング39選【2024年】 https://my-best.com/[...] 2024-05-25
[3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marshmallows http://www.candyusa.[...] 2009-03-31
[38] 저널 What's that stuff? Marshmallow http://pubs.acs.org/[...] 2008-02-10
[39] 서적 A garden of Herbs Hale Cushman & Flint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