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모토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모토정은 일본 가고시마시 서쪽에 위치했던 정으로, 현재는 가고시마시에 편입되었다. 사쓰마 반도 중부에 위치하며, 가고시마만과 동중국해로 향하는 분수령 지대에 자리 잡고 있다. 1889년 가미이주인 촌으로 시작하여 1960년 마쓰모토정으로 개칭되었으며, 2004년 가고시마시에 합병되었다. 주요 지역으로는 가미야구치, 가든힐스 쇼요다이, 도쇼, 하루야마, 이시가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오키군 - 이주인정
    가고시마현 히오키군에 있던 이주인정은 1889년 나카이주인촌으로 시작하여 1922년 정으로 승격 후 2005년 주변 지역과 합병하여 히오키시가 되었으며, 이주인 씨의 영유지에서 유래, 다양한 교육 기관과 교통망을 갖추고 한국을 포함한 여러 도시와 교류했다.
  • 히오키군 - 히요시정 (가고시마현)
    히요시정은 1955년 히오키촌과 요시토시촌의 합병으로 가고시마현 히오키군에 설치되었던 정으로, 2005년에 다른 정들과 합병하여 히오키시가 되었으며, 노무라 나오쿠니 등의 인물을 배출했고, 과거 가고시마 교통 마쿠라자키선이 지나갔다.
  • 가고시마시의 역사 - 가고시마군
    가고시마군은 가고시마현에 위치하며 메이지 시대 가고시마 번 영토에서 시작, 군구정촌 편제법 시행으로 발족, 현재는 오시마군에서 소속을 변경한 두 개의 섬 지역 촌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가고시마시의 역사 - 가고시마성
    가고시마성은 1601년 시마즈 다다쓰네가 축성한 일본의 성으로, 사쓰마번의 도자마 다이묘의 거성으로 사용되었으며, 해안 인접과 재해로 소실과 재건을 반복하다 1874년 소실 후 재건되지 않고, 2006년 일본 100명성으로 선정되었다.
  • 가고시마현의 폐지된 시정촌 - 고야마정
    고야마정은 가고시마현 기모쓰키군에 있던 자치체로, 오스미반도 중앙에 위치했으며 2005년 우치노우라정과 합병하여 기모쓰키정이 되었고, 역사적으로 기모쓰키 씨의 지배를 받았으며 에도 시대 사쓰마 번의 중요 거점이었고, 폐지 당시 가고시마현립 다카야마 고등학교와 쓰카자키 고분군, 고야마성 터 등의 교육기관 및 사적이 있었다.
  • 가고시마현의 폐지된 시정촌 - 노다정 (가고시마현)
    가고시마현 이사군에 위치했던 노다정은 1889년 노다촌에서 1975년 정으로 승격되었으나 2006년 이즈미시, 다카오노정과 합병되어 이즈미시의 일부가 되었으며, 감귤류가 특산품이고 노다강, 도야산, 규슈 신칸센, 히사쓰 오렌지 철도선 노다고역이 있었다.
마쓰모토정 - [옛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마쓰모토정
한자 표기松元町
로마자 표기Matsumoto-chō
위치일본, 가고시마현, 히오키군
마쓰모토 평야오카 체육관
행정
폐지일2004년 11월 1일
폐지 사유편입 합병
상세 내용기레정, 요시다정, 사쿠라지마정, 마쓰모토정, 고리야마정가고시마시
현재가고시마시
소속가고시마현, 히오키군
지방 자치 코드46364-7
지리
면적51.05 km²
인접 자치체가고시마시, 이주인정, 후키아게정, 히요시정
인구
인구12,698명 (2004년 9월 1일 기준)
상징
나무이누마키
국화
주소
주소히오키군 마쓰모토정 가미타니구치 2883번지
2021년 8월 촬영

2. 지리

마쓰모토정은 가고시마만동중국해로 향하는 양면 경사를 가진 분수령 지대에 있으며, 가고시마만 방면으로 나가타강이 흐르고, 동중국해 방면으로 가미노가와 수계 가미타니구치강, 이시타니강, 후쿠야마강 등이 흐른다. 전체적으로 약 200m급 시라스 대지와 침식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을은 하천의 충적 저지대와 고원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3]

가장 높은 산은 오아자 하루야마에 있는 야노쿠보로 391.7m이다.[4]

2. 1. 지역

마쓰모토정의 중심부는 가고시마시 중심부에서 서쪽으로 약 10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사쓰마반도 중부의 남북 11km, 동서 7.4km의 범위에 걸쳐 있다. 가고시마만동중국해로 향하는 양면 경사를 가진 분수령 지대에 있으며, 가고시마만 방면으로 나가타강이 흐르고, 동중국해 방면으로 가미노가와 수계 가미타니구치강, 이시타니강, 후쿠야마강 등이 흐르고 있다. 전체가 약 200m급 시라스 고원과 침식 계곡에 의한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을은 하천의 충적 저지대와 고원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24]

마쓰모토정이 정한 도시 계획 마스터 플랜인 "마쓰모토 도시 계획 도시 계획 구역의 정비, 개발 및 보전 방침"에서는 마쓰모토정 내 지역에 위치 및 구역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있다.[24]

지역명위치 및 구역목표
가미야구치 지역마쓰모토 도시 계획의 도시 중심 핵"마을의 얼굴로서의 활기 넘치는 공간 형성"
가든힐스 쇼요다이 지역거주 환경의 쾌적함과 편리성이 높은 도시 기능을 함께 갖춘 주택 구역가미이주인역 주변과 일체화된 시가지 형성
도쇼 지역전원 주택 구역"농지와 사람이 균형을 이룬 쾌적한 지역 만들기"
하루야마 지역마쓰모토 도시 계획의 부도심 핵"자연과 조화롭게 활기 넘치는 지역 만들기"
이시가야 지역역사 문화 구역"역사·문화가 향기 나는 특색 있는 지역 만들기"


2. 2. 대자 (大字)

1889년 정촌제 시행 당시, 그 이전 에도 시대의 번정 마을 구역은 대자가 되어 가미야구치, 후쿠야마, 이시가야, 하루야마, 이리사, 나오키의 6개 대자로 구성되었다. 그 후 2003년 7월 4일, 가든 힐스 쇼요다이(구칭: 마쓰모토 뉴타운)로 조성된 구역이 이시가야, 후쿠야마, 가미야구치의 각 일부에서 분할되어 대자 쇼요다이로 설치되었다[5]. 다음 해인 2004년 2월 2일에는 나오키 및 가미야구치의 일부에서 분할되어 대자 요츠모토 및 대자 히라타의 2개 대자가 설치되었으며[6], 2004년 가고시마시 편입 시에는 8개의 대자가 존재했다.

가고시마시 편입 시에는 종래 대자의 구역 전부에서 마을 구역이 설정되었다. 편입 시 마쓰모토정의 구역은 현재 가고시마시의 가미야구치정, 이시가야정, 후쿠야마정, 쇼요다이정, 하루야마정, 요츠모토정, 히라타정, 나오키정, 이리사정에 해당한다.

; 마쓰모토정의 대자 변천도

-1888년1889년 - 1959년1960년 - 2003년2003년 - 2004년2004년 - 현재
이주인 향가미이주인촌마쓰모토정가고시마시
에도 중기경
가미야구치촌
대자 가미야구치가미야구치정
가마쿠라 시대
후쿠야마촌
대자 후쿠야마후쿠야마정
고초 원년
이시가야촌
대자 이시가야이시가야정
센고쿠 시대경
하루야마촌
대자 하루야마하루야마정
센고쿠 시대경
이리사촌
대자 이리사이리사정
무로마치 시대
나오키촌
대자 나오키대자 나오키나오키정
2004년 2월 2일
대자 히라타
히라타정
(나오키・가미야구치의 각 일부)2004년 2월 2일
대자 요츠모토
요츠모토정
(가미야구치・후쿠야마・이시가야의 각 일부)2003년 7월 4일
대자 쇼요다이
쇼요다이정


3. 역사


  •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에 따라, 이전의 이주인 향 중 에도 시대의 번정 마을인 가미야구치 촌, 후쿠야마 촌, 이시야 촌, 하루야마 촌, 나오키 촌, 이리사 촌의 구역에서 '''가미이주인 촌'''이 발족되었다.
  • 1960년 4월 1일 - 가미이주인 촌이 마쓰모토 촌으로 개칭되고, 즉시 정제(町制)가 시행되어 '''마쓰모토 정'''이 되었다.
  • 2004년 11월 1일 - 가고시마시에 편입되어 소멸[25]


가미이주인 촌이 마쓰모토 정으로 변경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18]

  • 현의 합병 계획에 따라 새 촌은 복잡한 명칭을 피하고 간략한 명칭을 쓰는 경향이 있었다.
  • '가미이주인 촌'은 이웃한 이주인정과 혼동되어 불편했으며, 주민들의 의견과 요구가 있었다.
  • 정의 현관인 사쓰마마쓰모토역의 이름을 사용하였다.
  • 사쓰마마쓰모토역은 촌민의 봉사로 설치된 청원역으로, 주민들이 애착을 가졌다.

3. 1. 고대

선토기 시대의 유적 및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조몬 시대, 야요이 시대의 유물은 나오키, 이리사, 하루야마 등을 중심으로 발견되고 있으며, 조몬 시대 유적은 대부분 대지나 산지에 위치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나미큐슈 서일본 자동차도로 건설 당시 후쿠야마에서 조몬 시대 유물로 보이는 후키카키 유적이 발견되었다. 야요이 시대 유물로는 나오키의 도쇼지(東昌寺) 유적에서 기타큐슈의 온가식 토기가 많이 출토되었다. 이 일대는 기키에 나오는 아타 하야토인의 거주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분 시대 유물로는 이리사에 있는 오토리 신사 터에서 하지기 등이 출토되었다.[2]

마쓰모토 정역은 사쓰마국 히오키군에 속해 있었으며, 조정은 오스미 및 사쓰마에서 반전을 실시했지만 정역에는 산림과 늪이 많았기 때문에 그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헤이안 초기 히오키군은 3개의 향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그 중 하나인 '노사(納薩)'는 '이리사'라고 읽으며 현재의 이리사에 비정된다는 설이 있다.[2]

또한 율령 시대에 이 지역은 국아령으로서 히오키 군사의 지배하에 있었을 것이지만, 겐큐 8년(1197년)의 '사쓰마국 지도전장(薩摩国図田帳)'에 따르면 만가원, 이주인, 이치키원 및 히오키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주인의 영역에 속해 있었다.[2]

가미야구치의 우치다에 있는 상방관음당 터 석탑군은 헤이안 말기에 이 지역의 명주였던 기히라 후지모토노부의 오륜탑이라고 전해진다. 이 기히라 후지모토노부는 기노 쓰라유키의 자손이라고 전해지는 이주인 군사 계열의 일족으로 여겨진다. '만토쿠(万得)'라는 지명이 있는데, 이는 오스미 정팔만궁과 깊은 관계가 있는 명전을 의미하며, 그 장원에 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

3. 2. 중세

가마쿠라 시대 무렵에는 이주인(伊集院)의 일부에 속해 있었으나, 이주인 군사(伊集院郡司)를 세습하던 기씨(紀氏)의 혈통이 단절되어 13세기 말에 시마즈 히사카네(島津久兼)가 이주인씨를 칭하고 이주인의 조야마(城山)로 옮겨갔다.[1]

그 후 시마즈 타다쿠니가 이치우지성을 공격하여 이주인씨는 멸망했다.[1] 시마즈 카츠히사는 이주인을 시마즈 타다요시(島津忠良)에게 영유하게 했지만, 1526년에 시마즈 타다요시가 가지키 정벌을 하던 중에 시마즈 사네히사가 이주인을 점령하고 히고 모리이에(肥後盛家)에게 타니구치 성(谷口城)을 지키게 했다.[1] 또한, 사네히사가 이 지역을 지나 이주인으로 갈 때 길가에 앉았던 거대한 돌이 가미이주인역의 동쪽에 있는 만주 바위라고 전해진다.[1]

3. 3. 근세

'덴포 향장'에 보이는 마쓰모토정 구역에 해당하는 촌은 히오키군 이주인 향(외성)의 27촌 중 5촌이었다. 각 촌의 촌고는 이시가야 촌 1,049석 여, 후쿠야마 촌 933석 여, 나오키 촌 862석 여, 이리사 촌 476석 여, 하루야마 촌 253석 여였다.[1]

가미야구치 지명은 이 무렵에는 보이지 않지만, 후에 야구치 촌이 가미야구치 촌과 시모야구치 촌(현재의 히오키시 이주인정 시모야구치)으로 분촌되면서 이 무렵부터 가미야구치 촌이 보이게 되었다고 '삿판 정요록'에 기록되어 있다.[1] 근세의 이주인 향은 번의 직할지로서 지두의 지배를 받았다.[1]

에도 중기 이후에는 대지나 오야마노 개간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1] 간에이 연간 이후 지두제가 종래의 거주 지두에서 카케모치 지두로 바뀌었다. 그 전까지 이시가야 촌의 영주였던 마치다 씨(이시가야 씨라고도 함)는 번내 각지의 지두로 임명되거나, 번의 가로로서 요직에 있었다.[1] 마치다 가는 잇쇼지를 소지하고 있었으며, 1,742석 여를 영유하고 있었다.[1]

이시가야 촌 영주인 마치다 가문이 가고시마 성하로 이주한 후, 이시가야 촌의 정치 중심은 오카리야가 되었고, 주변에는 아리마 씨 등의 향사 집락이 많았다.[1] 만엔 원년에 마치다 스케타로 히사나리(마치다 히사나리)의 요청으로 통치를 위탁받은 아리마 신시치는 가고시마 성하를 떠나 이시가야를 다스리게 되었다.[1] 아리마 신시치는 이 지역에 형법을 제정하거나, 향사에 5인조 제도를 실시하는 등 지도를 했다.[1]

3. 4. 근현대

1889년 4월 1일, 정촌제 시행으로 가미이주인 촌이 성립되었다. 1960년 4월 1일, 정으로 승격하면서 마쓰모토 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마쓰모토 정으로 바뀐 이유는 다음과 같다.[18]

  • 현의 합병 계획에 따라 새 촌은 복잡한 명칭을 피하고 간략한 명칭을 쓰는 경향이 있었다.
  • '가미이주인 촌'은 이웃한 이주인정과 혼동되어 불편했으며, 주민들의 의견과 요구가 있었다.
  • 정의 현관인 사쓰마마쓰모토역의 이름을 사용하였다.
  • 사쓰마마쓰모토역은 촌민의 봉사로 설치된 청원역으로, 주민들이 애착을 가졌다.


2004년 11월 1일, 마쓰모토 정은 가고시마시에 편입되어 소멸하였다.[1] 가고시마시 편입 전인 2004년 9월 인구는 12,698명이었다. 편입 후 마쓰모토 정 구역은 가고시마 시 '마쓰모토 지역'이 되었고, 마쓰모토 정사무소는 가고시마 시청 마쓰모토 지소로 사용되고 있다.

3. 4. 1.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메이지 4년 (1871년/1872년) 폐번치현으로 사쓰마 국 지역은 가고시마현이 되었다. 같은 해 호적법에 따라 부현을 대구소구로 나누었는데,[7] 마쓰모토 정(松元町) 전역은 제22대구 16개 소구로 구분되었다.[8] 1878년 (메이지 11년) 군구정촌편제법으로 대구소구제는 폐지되었다.

1884년 (메이지 17년)부터 6개 촌에 설치된 호장역장이 가미야구치 호장역장으로 통합되었고, 1889년 (메이지 22년) 정촌제 시행에 따라 6개 촌을 합병하여 가미이주인 촌이 성립했다.[9]

가미이주인 촌 성립 당시 촌역소는 가미야구치 우치다에 설치되었으나, 1894년 (메이지 27년) 가미야구치 999번지의 민가를 구입, 개축하여 촌역소로 사용했다.[9]

1913년 (다이쇼 2년) 센다이 선(현재의 가고시마 본선)의 히가시이치키 역-가고시마 역 구간 개통으로 가미이주인 촌에 만주이시 역(현재의 가미이주인역)이 설치되었고, 1919년 (다이쇼 8년) 가미이주인 우편국이 개국하면서 만주이시 역 주변에 상점, 농업 창고, 사찰, 병원, 주택이 들어서 만주이시 상점가(후에 오리오 상점가)로 불리게 되었다.[10]

1937년 (쇼와 12년)경의 만주이시 역(현재의 가미이주인역)


에도 시대 말기부터 차, 벼, 채소 등 원예 작물 재배가 중심이었으나, 철도 개통으로 가고시마 시 근교 농촌이 되면서 조림, 차, 뽕, 담배 재배가 활발해졌다. 메이지 4년 나오키 시업 산림 조합이 발족, 히오키 군이 조림용 묘목 공급을 위해 가미이주인 분장을 설치했다. 이후 가고시마 시 근교에 위치하여 겸업 농가가 증가, 8할을 차지하게 되었다.[4]

1927년 (쇼와 2년) 촌역소가 노후화되어 가미야구치 990번지 외 토지를 구입, 같은 해 3월 31일 준공했다.[11]

3. 4. 2.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사쓰마마쓰모토역 설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가미야구치의 마쓰모토 부근은 예로부터 마을 관공서가 있어 중심지였으나, 신제 중학교인 가미이주인 중학교가 설치되고 상점, 병원, 의류점 등이 들어서면서 마을의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14] 1949년(쇼와 24년)부터 가미이주인 마을은 마을 중심부인 가미야구치 마쓰모토에 역 설치를 일본국유철도에 청원했으나, 경사지라는 이유로 처음에는 허가를 받지 못했다.[15] 하지만 계속된 청원으로 역 설치가 허가되었다.[15] 청원역이었기 때문에 마을과 주민의 기부로 설치 비용 전액을 부담하고, 주민들의 봉사 작업으로 1954년(쇼와 29년)에 사쓰마마쓰모토역이 가미이주인 마을 중심부에 설치되었다.[15]

1965년(쇼와 40년)에는 마쓰모토역 앞 우체국이 문을 열었고, 난고쿠 교통과 가고시마 교통의 버스 노선이 마쓰모토를 경유하게 되었다.[16]

3. 4. 3. 정제 시행 이후

1960년(쇼와 35년) 4월 1일에 가미이주인 촌이 마쓰모토 촌으로 개칭되고, 동시에 정으로 승격되어 마쓰모토 정이 되었다.[17] 가미이주인 촌에서 마쓰모토 촌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정제를 시행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18]

  • 현의 합병 계획에 따라 새롭게 성립되는 촌은 상, 하, 서, 동 등 복잡한 명칭을 피하고 간략한 명칭으로 하는 경향이 있었다.
  • 「가미이주인 촌」이라는 명칭은 인접하는 이주인정(구 나카이주인 촌)과 혼동되어 불편했으며, 주민들로부터 강한 의견과 요구가 있었다.
  • 정의 현관인 사쓰마마쓰모토역의 역명을 명칭으로 사용하였다.
  • 사쓰마마쓰모토역은 촌민의 봉사로 설치된 청원역으로, 주민들이 애착을 가지고 있었다.


정제 시행에 따라 촌 안에 있던 가미이주인을 칭하는 학교는 「가미이주인 초등학교」가 「마쓰모토 초등학교」로[19], 「가미이주인 중학교」는 「마쓰모토 중학교」[20]로 각각 개칭되었다.

1983년(쇼와 58년)에는 후쿠야마에 가고시마현립 쇼요 고등학교가 개교했다. 마쓰모토 정 유일의 고등학교이다. 이에 따라 가장 가까운 역인 가미이주인역의 역사가 개축되었다.[21]

1945년(쇼와 20년) 국세조사 이후 인구가 감소 추세였으나, 소규모 단지 조성 등으로 1988년(쇼와 63년) 12월 28일에 마쓰모토 정의 인구가 1만 명을 돌파했다.[22]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서면서 가미이주인 역 주변이나 이시야 및 하루야마의 간선도로 연변을 중심으로 주택 단지나 뉴타운(가든 힐스 쇼요다이 등)이 건설되었으며, 1998년(헤이세이 10년)에는 남큐슈 서쪽 순환 자동차도(가고시마 도로)가 이주인IC에서 가고시마 니시 IC 구간까지 개통되면서 마쓰모토IC 및 마쓰모토 본선 요금소의 사용이 시작되었다.[23] 이로 인해 가고시마시베드타운으로서 교통 및 주택 환경 정비가 더욱 진행되었다.[24]

2000년 국세조사에서 마쓰모토 정의 1995년 국세조사 시점 대비 인구 증가율은 9.3%로, 가고시마현 내 시정촌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2]

2004년(헤이세이 16년) 11월 1일 가고시마군사쿠라지마정, 요시다정, 히오키군고리야마정, 이숙군키이레정과 함께 가고시마시에 편입되어 자치체로서 소멸했다.[25] 가고시마시 편입 전인 2004년 9월 인구는 12,698명이었다.

가고시마시 편입 후, 마쓰모토 정의 구역 전역은 가고시마시의 '''마쓰모토 지역'''이 되었으며, 마쓰모토 정사무소는 가고시마시청 마쓰모토 지소로 사용되고 있다.

4. 교통

JR 규슈 가고시마 본선사쓰마마쓰모토역, 가미이주인역이 있다.

남큐슈 니시마와리 자동차도 (가고시마 도로)의 마쓰모토 나들목·마쓰모토 본선 요금소가 있다.

가고시마현도 24호 가고시마 히가시이치키 선, 가고시마현도 35호 나가요시 이리사 가고시마 선, 가고시마현도 206호 도쿠시게 요코이 가고시마 선, 가고시마현도 210호 오야마다 타니야마 선, 가고시마현도 291호 마쓰모토 가와베 선, 가고시마현도 296호 타노카시라 후키아게 선, 히오키 광역 농도가 있다.

4. 1. 철도


가미타니구치 지역


하루야마 지역

4. 2. 도로

고속도로(고규격 간선 도로)는 남큐슈 니시마와리 자동차도(가고시마 도로)의 마쓰모토 나들목·마쓰모토 본선 요금소가 있다.

현도는 가고시마현도 24호 가고시마 히가시이치키 선, 가고시마현도 35호 나가요시 이리사 가고시마 선 외에, 가고시마현도 206호 도쿠시게 요코이 가고시마 선, 가고시마현도 210호 오야마다 타니야마 선, 가고시마현도 291호 마쓰모토 가와베 선, 가고시마현도 296호 타노카시라 후키아게 선이 있다.

히오키 광역 농도가 있다.

4. 2. 1. 고속도로


  • 남큐슈 니시마와리 자동차도(가고시마 도로)
  • * 마쓰모토 나들목·마쓰모토 본선 요금소

남큐슈 니시마와리 자동차도(합병 후 촬영)

4. 2. 2. 현도

주요 지방도
일반 현도


5. 교육

마쓰모토 정에는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5. 1. 고등학교

5. 2. 중학교

마쓰모토 정립 마쓰모토 중학교

5. 3. 초등학교

마쓰모토 정에는 다음과 같은 초등학교들이 있다.

  • 마쓰모토 초등학교
  • 도쇼 초등학교
  • 하루야마 초등학교
  • 이시히타니 초등학교


이 중 마쓰모토 초등학교와 도쇼 초등학교는 표준복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으며, 모든 학교에서 교복이 지정되어 있다.

'''마쓰모토 정립 마쓰모토 초등학교'''


마쓰모토 정립 이시타니 초등학교

6. 문화재

종류명칭소재지
현 유형 민속입사의 타노카미입사
유형 민속선수인의 흔적입사
기념물이와야 관음하루야마
유형 민속모리조노의 타노카미하루야마
기념물마치다가의 묘이시야
기념물이시자카이시야
유형 민속카미보 이시토군카미야구치


7. 출신 인물


  • 정송치 (대만총독부 관료, 뤄둥군 군수, 차오저우군 군수)
  • 히고 가오리 (프로 골프 선수)
  • 가미가키모토 마사루 (프렌치 셰프, 하우스텐보스 호텔 명예 총주방장)
  • 노구치 타쿠오 (MBC 탤런트, 초등학교 재학 중 가고시마시로 전출)
  • 이나모리 유키 (프로 골프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鹿児島県の市町村合併状況 https://www.pref.kag[...] 2024-02-08
[2] 웹사이트 平成12年国勢調査 第1次基本集計結果(総人口、市町村人口) http://www.pref.kago[...] 鹿児島県 2013-10-17
[3] 서적 角川日本地名大辞典 46 鹿児島県 角川書店
[4] 서적 松元町閉庁記念誌松元町の歴史 松元町 2004
[5] 간행물 平成15年鹿児島県告示第863号(字の区域の設定及び変更、原文)
[6] 간행물 平成16年鹿児島県告示第70号(同年1月16日発行「鹿児島県公報」第1950号所収。原文)。
[7] 문서 松元町郷土誌
[8] 문서 松元町郷土誌
[9] 문서 松元町郷土誌
[10] 문서 松元町郷土誌
[11] 문서 松元町郷土誌
[12] 문서 松元町郷土誌
[13] 간행물 昭和24年日本国有鉄道告示第181号(1949年12月9日発行「官報」所収)
[14] 문서 松元町郷土誌
[15] 문서 松元町郷土誌
[16] 문서 松元町郷土誌
[17] 간행물 村を町とする処分(鹿児島県公報昭和35年3月23日付号外所収、原文)
[18] 서적 鹿児島県市町村変遷史 鹿児島県 1967
[19] 문서 松元町郷土誌
[20] 문서 松元町郷土誌
[21] 문서 松元町郷土誌
[22] 문서 鹿児島市史第5巻
[23] 문서 鹿児島市史第5巻
[24] 웹사이트 松元都市計画 都市計画区域の整備、開発及び保全の方針 https://www.pref.kag[...] 鹿児島県 2015-01-03
[25] 간행물 平成16年総務省告示第591号(市町の廃置分合、原文)
[26] 서적 松元町閉町記念誌 松元の歴史 松元町
[27] 서적 松元町郷土誌 松元町
[28] 서적 鹿児島市史Ⅴ 鹿児島市
[29] 웹사이트 松元町 http://www.city.kago[...] 鹿児島市 2012-04-23
[30] 웹사이트 第17号議案/事務組織及び機構の取扱いについて https://warp.da.ndl.[...] 鹿児島地区合併協議会(国立国会図書館インターネット資料収集保存事業) 2017-09-27
[31] 웹사이트 第33号議案 / 一部事務組合等の取扱い(し尿処理業務を除く)について https://warp.da.ndl.[...] 鹿児島地区合併協議会(国立国会図書館インターネット資料収集保存事業) 2017-09-27
[32] 문서 松元町郷土誌
[33] 문서 松元町郷土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