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즈루 지방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즈루 지방대는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위치한 해상자위대 기지인 마이즈루 기지에 주둔하며, 마이즈루 지방 총감부를 두고 있다. 1952년 보안청 경비대 발족과 함께 신설되었으며, 초기에는 마이즈루 지방 총감부, 마이즈루·니가타 각 항로 개척대로 구성되었다. 이후 해상자위대 발족과 함께 해상자위대 소속이 되었으며, 여러 부대 개편을 거쳐 현재는 제3호위대군의 모항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마이즈루 지방 총감은 해장 계급이 보임되며, 주요 간부로는 막료장, 관리 부장, 방위 부장, 경리 부장, 기술 보급 관리관, 감찰관 등이 있다. 마이즈루 기지는 동해 측 유일의 해상자위대 기지로서, 미사일정, 이지스함을 배치하여 북한 공작선 활동에 대비하고 있으며, 인접한 오나미 연료고 시설도 확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즈루시 - 제3호위대군
제3호위대군은 1960년 창설된 일본 자위함대 예하 부대로, 냉전 시대를 거치며 편성이 변경되었고 해상 경비 행동을 지휘했으며, 현재는 전력 강화 및 사이버전 대응 능력 강화에 힘쓰고 있고 대한민국 해군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과거 일본 제국 해군의 잔재와 군사력 강화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사령부는 마이즈루 기지에 위치한다. - 마이즈루만 - 마이즈루 기지
마이즈루 기지는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있는 해상자위대의 주요 기지로, 마이즈루 지방대, 제3호위대군, 제23항공대 등 여러 부대와 시설을 갖추고 일본해 방위 및 재해 대응 임무를 수행하며 환경 및 지역 안보에 대한 우려가 있다. - 마이즈루만 - 마이즈루항
마이즈루항은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위치하며 군항과 상업항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에도 시대부터 상업항으로, 이후 군항 및 국제 무역항으로 발전했으나 현재는 국내 항로와 해상자위대 기지, 그리고 관광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마이즈루 지방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창설일 | 1952년 8월 1일 |
상급 부대 | 방위대신 직할 |
기지 | 마이즈루 기지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 8월 1일: 보안청경비대 발족과 동시에 "'''마이즈루 지방대'''"가 신설.[4]
: ※ 신설 당시 마이즈루 지방대의 편성(마이즈루 지방 총감부, 마이즈루・니가타 각 항로 개척대)[4]
: ※ 신설 당시 마이즈루 지방 총감부의 편성(총무부, 경비부, 항로 개척부, 경리 보급부, 기술부)[4]
: ※ 총감부는 해상보안청제8관구 해상보안본부 청사 내에 마이즈루 지방 총감부 설립 준비실로 설치.[4]
: 8월 11일: 총감부가 마츠가사키의 구 마이즈루 해병단 터(현: 마이즈루 교육대)로 이전.[4]
: 11월 10일: 마이즈루 지방 총감부가 아베(구 수교사 터)로 이전.[4]
: 11월 20일: 제1기 초임 경사(제1기 훈련원)가 입대, 마이즈루에서 교육 시작.[4]
: 12월 27일: "마이즈루 훈련대"가 신설.[4]
- '''1953년 (쇼와 28년)'''
: 9월 16일: "마이즈루 기지 경방대"를 신설. 마이즈루, 니가타 각 항로 개척대가 폐지.[4]
: 10월 16일: 총감부 조직의 개편(항로 개척부의 폐지, 조사실의 설치, 통신소의 승격)[4]
- '''1954년 (쇼와 29년)'''
: 7월 1일: "'''방위청'''"이 창설되어 "'''해상자위대'''"가 발족.[4]
- '''1955년 (쇼와 30년)'''
: 5월 1일: "마이즈루 통신대"를 신설.[4]
: 6월 16일: 마이즈루 훈련대를 "마이즈루 제1훈련대"로 개칭, "마이즈루 제2훈련대"가 구 해군 기관학교 터에 신설.[4]
- '''1956년 (쇼와 31년)'''
: 1월 16일: 마이즈루 제1훈련대를 "마이즈루 훈련대"로, 마이즈루 제2훈련대를 "마이즈루 훈련 분견대"로 개칭.[4]
: 4월 1일: "니가타 기지 분견대"를 신설.[4]
- '''1957년 (쇼와 32년)'''
: 5월 10일: 마이즈루 훈련대를 "마이즈루 교육대"로, 마이즈루 훈련 분견대를 "마이즈루 교육 분견대"로 개칭.[4]
: 6월 5일: 마이즈루 교육 분견대가 폐지.[4]
: 11월 27일: 총감부가 구 해군 기관학교 터(현재 위치)로 이전.[4]
- '''1958년 (쇼와 33년)'''
: 4월 1일: 니가타 기지 분견대를 마이즈루 기지 경방대로 편성 변경.[4]
- '''1961년 (쇼와 36년)'''
: 2월 1일: 총감부 조직의 개편(총무부를 폐지하고 인사부를 신설, 방위부에 제1~제4 막료반을 설치)[4]
: "마이즈루 보급소", "마이즈루 공작소" 및 "마이즈루 수뢰 조정소"를 신설.[4]
: 12월 20일: "제31호위대"를 신설.[4]
- '''1962년 (쇼와 37년)'''
: 3월 20일: "마이즈루 방비대"를 신설. 마이즈루 기지 경방대를 "마이즈루 경비대"로 개칭.[4]
: 10월 1일: 제31호위대가 제3호위대군 예하로 편성 변경.[4]
- '''1970년 (쇼와 45년)''' 3월 2일: 총감부 조직의 개편(인사부를 관리부로 개칭, 제1~제4 막료반을 막료실로 개칭, 제5 막료실을 신설, 감찰관을 신설)[4]"마이즈루 조수소", "마이즈루 위생대"를 신설. 마이즈루 공작소를 폐지.[4]10월 1일: 총감부에 막료장을 설치. 니가타 기지 분견대를 마이즈루 방비대에서 "마이즈루 경비대"로 편성 변경[4]
- '''1976년 (쇼와 51년)'''
5월 11일: "마이즈루 음악대"를 신설.[4] - '''1977년 (쇼와 52년)'''
12월 27일: 마이즈루 방비대에 "수중처분대"를 신설.[4] - '''1985년 (쇼와 60년)'''
7월 1일: "마이즈루 수뢰 정비소"를 신설[4]。마이즈루 수뢰 조정소를 폐지。[4] - '''1987년 (쇼와 62년)'''
7월 1일: 부대 개편에 따라 마이즈루 방비대가 폐지. 경비대의 조직 개편 및 "마이즈루 기지 업무대"를 신설.[4] - '''1989년 (헤이세이 원년)'''
1월 25일: "제2호위대"가 제3호위대군에서 편입.[4] - '''1997년 (헤이세이 9년)'''
3월 24일: 대 번호의 개정에 따라 제2호위대가 "제24호위대"로 개칭[4] - '''1998년 (헤이세이 10년)'''
12월 8일: 보급 정비 부문의 조직 개편. 마이즈루 보급소와 마이즈루 조수소가 통합되어 "마이즈루 조수보급소"로 개편. 마이즈루 수뢰 정비소가 "마이즈루 탄약 정비 보급소"로 개편.[4] - '''1999년 (헤이세이 11년)'''
3월 23일: 마이즈루 경비구 내의 노토반도 앞바다에서 불심선 사건이 발생한다. 방위청 설치법에 근거한 "조사・연구"로서, 마이즈루 지방대 제31호위대 소속의 호위함 "아부쿠마"가, 마이즈루 기지를 정박지로 하는 제3호위대군의 "하루나" 및 "묘코"와 함께 출동, "하루나"・"묘코"는 각각 실탄에 의한 경고 사격을 실시하고, 임검의 준비를 하는 등 활약했지만, "아부쿠마"는 호위함 중에서 비교적 저속이었기 때문에, 충분히 활약하지 못했다.[4]
- '''2002년 (헤이세이 14년)'''
3월 22일: 마이즈루 통신대가 "마이즈루 시스템 통신대"로 개편되어, 시스템 통신대군 예하로 편성 변경.[4]
3월 25일: 마이즈루 경비대에 "제2미사일정대"를 신설.[4]
- '''2022년 (레이와 4년)'''
3월 17일: 자위대 마이즈루 병원이 폐지되고, 마이즈루 병원의 시설을 사용한 마이즈루 위생대 예하의 "진료소"(19병상)로 개편[5][6][7]
2. 1. 창설 초기 (1952년 ~ 1954년)
1952년 8월 1일, 보안청 경비대가 발족하면서 "마이즈루 지방대"가 신설되었다. 당시 마이즈루 지방대는 마이즈루 지방 총감부, 마이즈루・니가타 각 항로 개척대로 편성되었다. 마이즈루 지방 총감부는 총무부, 경비부, 항로 개척부, 경리 보급부, 기술부로 구성되었으며, 해상보안청 제8관구 해상보안본부 청사 내에 설립 준비실을 설치했다. 8월 11일, 총감부는 마쓰가사키의 구 마이즈루 해병단 터(현 마이즈루 교육대)로 이전했다. 11월 10일에는 아베(구 수교사 터)로 다시 이전했다. 11월 20일, 제1기 초임 경사(제1기 훈련원)가 입대하여 마이즈루에서 교육을 시작했고, 12월 27일에는 "마이즈루 훈련대"가 신설되었다.1953년 9월 16일, "마이즈루 기지 경방대"가 신설되고 마이즈루, 니가타 각 항로 개척대가 폐지되었다. 10월 16일에는 총감부 조직이 개편되어 항로 개척부가 폐지되고 조사실이 설치되었으며, 통신소가 승격되었다.
1954년 7월 1일, 방위청이 창설되고 해상자위대가 발족하면서 마이즈루 지방대는 해상자위대 소속이 되었다.
2. 2. 발전 및 개편 (1955년 ~ 1999년)
1952년 8월 1일 보안청 경비대 발족과 동시에 마이즈루 지방대가 신설되었다. 초기에는 마이즈루 지방 총감부와 마이즈루·니가타 각 항로 개척대로 구성되었으며, 총감부는 해상보안청 제8관구 해상보안본부 청사 내에 설치되었다. 이후 총감부는 마쓰가사키의 구 마이즈루 해병단 터(현 마이즈루 교육대)를 거쳐 아베(구 수교사 터)로 이전하였다. 1952년 12월 27일에는 마이즈루 훈련대가 신설되었다.1953년 9월 16일, 마이즈루 기지 경방대가 신설되고 마이즈루, 니가타 각 항로 개척대가 폐지되었다. 1954년 7월 1일, 방위청이 창설되고 해상자위대가 발족하면서 마이즈루 지방대는 해상자위대 소속이 되었다.
1955년 5월 1일 마이즈루 통신대가 신설되었고, 6월 16일에는 마이즈루 훈련대가 마이즈루 제1훈련대로 개칭, 구 해군 기관학교 터에 마이즈루 제2훈련대가 신설되었다. 1956년 1월 16일, 마이즈루 제1훈련대는 다시 "마이즈루 훈련대"로, 마이즈루 제2훈련대는 "마이즈루 훈련 분견대"로 개칭되었다. 1956년 4월 1일에는 니가타 기지 분견대가 신설되었다.
1957년 5월 10일, 마이즈루 훈련대는 마이즈루 교육대로, 마이즈루 훈련 분견대는 마이즈루 교육 분견대로 개칭되었으나, 마이즈루 교육 분견대는 같은 해 6월 5일에 폐지되었다. 11월 27일, 총감부는 구 해군 기관학교 터(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1958년 4월 1일, 니가타 기지 분견대는 마이즈루 기지 경방대로 편성 변경되었다.
1961년 2월 1일, 총감부 조직 개편으로 총무부가 폐지되고 인사부가 신설되었으며, 방위부에 제1~제4 막료반이 설치되었다. 또한 마이즈루 보급소, 마이즈루 공작소, 마이즈루 수뢰 조정소가 신설되었다. 1962년 3월 20일에는 마이즈루 방비대가 신설되고, 마이즈루 기지 경방대는 마이즈루 경비대로 개칭되었다.
1970년 3월 2일, 총감부 조직이 다시 개편되어 인사부가 관리부로 바뀌고, 제1~제4 막료반이 막료실로 개칭되었으며, 제5 막료실과 감찰관이 신설되었다. 마이즈루 조수소, 마이즈루 위생대도 신설되었고, 마이즈루 공작소는 폐지되었다. 10월 1일에는 총감부에 막료장이 설치되고, 니가타 기지 분견대가 마이즈루 방비대에서 마이즈루 경비대로 편성 변경되었다.
1976년 5월 11일, 마이즈루 음악대가 신설되었고, 1977년 12월 27일에는 마이즈루 방비대에 수중처분대가 신설되었다. 1985년 7월 1일, 마이즈루 수뢰 정비소가 신설되고,[4] 마이즈루 수뢰 조정소가 폐지되었다.[4] 1987년 7월 1일 부대 개편으로 마이즈루 방비대가 폐지되고 경비대 조직이 개편되었으며, 마이즈루 기지 업무대가 신설되었다.
1989년 1월 25일, 제2호위대가 제3호위대군에서 편입되었고, 1997년 3월 24일 대 번호 개정에 따라 제24호위대로 개칭되었다. 1998년 12월 8일, 보급 정비 부문 조직 개편으로 마이즈루 보급소와 마이즈루 조수소가 통합되어 마이즈루 조수보급소가 되었고, 마이즈루 수뢰 정비소는 마이즈루 탄약 정비 보급소로 개편되었다.
1999년 3월 23일, 마이즈루 경비구 내 노토반도 앞바다에서 불심선 사건이 발생하였다. 방위청 설치법에 의거, 마이즈루 지방대 제31호위대 소속 호위함 아부쿠마가 출동하였으나, 저속으로 인해 충분한 활약을 하지 못했다.
2. 3. 현대 (2000년 ~ 현재)
2002년 3월 22일, 마이즈루 통신대가 시스템 통신대군 예하 마이즈루 시스템 통신대로 개편되었다. 3월 25일에는 마이즈루 경비대에 제2미사일정대가 신설되었다. 2008년 3월 26일, 제24호위대가 제14호위대로 개칭되어 호위함대 예하로 변경되었다. 2017년 4월 3일, 다목적 지원함 "히우치"가 지방대 직할에서 마이즈루 경비대 예하로 변경되었다. 2022년 3월 17일, 자위대 마이즈루 병원이 폐지되고, 해당 시설을 이용한 마이즈루 위생대 예하 진료소(19병상)로 개편되었다.[5][6][7]3. 편성
마이즈루 지방대는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있는 마이즈루 기지에 마이즈루 지방총감부를 두고 있다.
- 마이즈루 지방 총감부
- 제44소해대
- * JS 스가시마 (MSC-681)
- * JS 노도지마 (MSC-682)
- 다용도 지원함
- * JS 히우치 (AMS-4301)
- 마이즈루 교육대
- 마이즈루 경비대
- * 제2미사일정대
- ** JS 하야부사 (PG-824), JS 우미타카 (PG-828)
- * 마이즈루 육상경비대
- * 마이즈루 항무대
- * 마이즈루 수중 처분대
- * 니이가타 기지 분견대
- 마이즈루 탄약정비보급소
- 마이즈루 조수 보급소
- 마이즈루 기지 업무대
- 마이즈루 음악대
마이즈루 음악대의 악기 운반차 - 마이즈루 위생대
4. 주요 간부
→2023.8.29 항공집단 사령부 부속
→2023.3.22 마이즈루 지방 총감부 부속
후방 주임 막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