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더밋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클 더밋(1925–2011)은 분석철학, 수리철학, 논리학의 철학, 언어철학, 형이상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독창적인 연구를 수행한 영국의 철학자이다. 그는 프레게 철학 연구와 실재론과 반실재론 논쟁에 기여했으며, 의미론적 반실재론을 지지했다. 또한 보르다 계수법을 개량한 쿼터 보르다 방식을 제안하고, 타로 연구에도 몰두했다. 더불어 인종차별 반대 운동과 이민 문제에 대한 사회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로 - 타로 도해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가 타로 카드에 담긴 상징, 역사, 해석을 조사하여 쓴 타로 도해는 타로의 역사와 상징, 웨이트판 덱의 그림과 상징 해석, 켈트 십자식 타로 점술 배열법과 주의사항을 다루는 책이다. - 의미론자 - 로버트 앤턴 윌슨
로버트 앤턴 윌슨은 미국의 작가, 철학자, 심리학자로, 로버트 셰이와 함께 《일루미나티! 삼부작》을 공동 집필하고 《코스믹 트리거》 시리즈, 《슈뢰딩거의 고양이 삼부작》 등 35권이 넘는 저서를 통해 음모론, 의식 확장, 게릴라 존재론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며 팝 오컬트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의미론자 - S. I. 하야카와
일본계 캐나다인이자 미국의 학자 겸 정치인인 S. I. 하야카와는 언어와 사고 연구로 학문적 업적을 남기고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 총장과 미국 상원 의원을 역임했으나, 강제 수용 옹호 발언 등으로 논란을 빚기도 했다. - 영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토니 블레어
토니 블레어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영국 총리를 지낸 노동당 정치인으로, '제3의 길' 노선을 추구하며 북아일랜드 평화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아프가니스탄 및 이라크 전쟁 참전 결정으로 논란을 겪었고 퇴임 후 국제적인 활동과 자선 활동을 이어가며 경제적 성공과 사회 개혁, 이라크 전쟁 책임에 대한 복잡한 평가를 받고 있다. - 영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통해 초기 논리실증주의를 대표하고 『철학적 탐구』로 후기 일상언어철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언어 게임 개념을 제시하여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이클 더밋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경(Sir) |
이름 | 마이클 앤서니 이어들리 더밋 |
출생일 | 1925년 6월 27일 |
출생지 | 런던, 잉글랜드 |
배우자 | 앤 더밋(1951년 결혼) |
자녀 | 7명 |
사망일 | 2011년 12월 27일 |
사망지 | 옥스퍼드, 잉글랜드 |
묻힌 곳 | 울버코트 묘지, 옥스퍼드 |
교육 | 크라이스트 처치, 옥스퍼드(1947-50; 학사, 1950) |
소속 기관 | 올 소울스 칼리지, 옥스퍼드 뉴 칼리지, 옥스퍼드 |
철학적 배경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현대 철학 |
학파/전통 | 분석철학 |
주요 관심사 | 수학 철학 논리학 철학 수리논리학 언어 철학 형이상학 분석철학사 투표 이론 신학 |
주요 아이디어 | 형이상학적 논쟁은 논리 법칙에 대한 논쟁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함. 수학적 직관주의에 대한 의미론적 반실재론 옹호 괴델-더밋 논리 진리-값 연결 실재론 및 증거 초월적 진리 조건에 대한 비판 논리적 조화 할당량 보르다 시스템 견고한 연합에 대한 비례성 더밋-파쿼슨 추측 |
영향을 준 인물 | 고틀로프 프레게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엘리자베스 앤스컴 |
영향을 받은 인물 | 개러스 에반스 존 맥도웰 크리스토퍼 피콕 크리스핀 라이트 |
박사 지도 학생 | 피터 캐러더스 에바 피카르디 티머시 윌리엄슨 크리스핀 라이트 |
수상 | |
수상 내역 | 러커토시상 (1994년) 롤프 쇼크 상 (1995년) |
기타 | |
존칭 접미사 | FBA |
2. 생애
마이클 더밋은 1925년 6월 27일 런던 메릴본에서 태어났다.[4][5][28] 윈체스터 칼리지와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에서 수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 육군에 복무하여 인도와 말레이시아에서 정보국(Intelligence Corps) 소속으로 활동했다.[6][7] 전후 옥스퍼드로 돌아와 1950년 정치, 철학, 경제학을 전공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학교 올 소울스 칼리지의 특별 연구원으로 선출되었다.[6][7]
더밋은 분석철학사 연구를 비롯하여 수리철학, 논리학의 철학, 언어철학, 형이상학 등 다양한 철학 분야에서 중요한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또한, 보르다 계수법을 개선한 '쿼터 보르다 시스템'(Quota Borda system)이라는 비례 대표 투표 제도를 고안했으며, 타로 카드의 역사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다. 그는 이민 문제나 영어 문법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였다. 1944년 가톨릭교회로 개종하여 독실한 신앙생활을 이어갔다.
1979년부터 1992년 은퇴할 때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의 와이컴(Wykeham) 논리학 교수를 지냈으며, 이 기간 동안 옥스퍼드대학교 뉴 칼리지의 특별 연구원이기도 했다. 그의 학문적 공헌은 1995년 롤프 쇼크 상 수상과 1999년 기사 작위 서임으로 인정받았다.
2011년 12월 27일 사망했다.[3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25년 6월 27일 런던 메릴본의 요크 테라스(York Terrace) 56번지 자택에서 태어났다.[4][5][28] 아버지는 실크 상인이자 레이온 판매상이었던 조지 허버트 더밋(George Herbert Dummett, 1880–1969)이고, 어머니는 공무원이자 환경 운동가였던 세인트힐 얼들리-윌못 경(Sir Sainthill Eardley-Wilmot)의 딸 메이벨 아이리스(Mabel Iris, 1893–1980)였다. 외할아버지 세인트힐 얼들리-윌못 경은 정치가였던 존 얼들리-윌못 경(Sir John Eardley-Wilmot, 1st Baronet)의 손자였다.[4][5][28]더밋은 윌트셔의 산드로이드 스쿨(Sandroyd School)을 다녔고, 이후 장학생으로 윈체스터 칼리지에서 공부했다. 1943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칼리지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6][7] 하지만 같은 해 군 복무 소집 명령을 받아 학업을 잠시 중단하고 1947년까지 복무했다. 처음에는 왕립 포병대(Royal Artillery) 이등병으로 복무했고, 이후 인도와 말레이시아에서 정보국(Intelligence Corps) 소속으로 활동했다.[6][7]
군 복무를 마친 후 옥스퍼드로 돌아와 1950년 정치, 철학, 경제학(Politics, Philosophy and Economics, PPE) 전공으로 1등급 학위를 받으며 졸업했다. 같은 해 옥스퍼드 대학교 올 소울스 칼리지의 특별 연구원(Fellow)으로 선출되었다.[6][7]
2. 2. 군 복무
1943년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칼리지 재학 중 군 복무 소집 명령을 받아 1947년까지 복무했다. 처음에는 왕립 포병대 이등병으로 복무했으며, 이후 인도와 말레이시아에서 정보국(Intelligence Corps) 소속으로 활동했다.[6][7]2. 3. 학자로서의 경력
윈체스터 대학교를 거쳐 옥스퍼드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에 진학했다. 학위를 받은 후에는 옥스퍼드대학교 올 소울스 칼리지에서 특별 연구원(펠로우십)으로 활동했다.1979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와이컴(Wykeham) 논리학 교수직에 임명되어 1992년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다. 와이컴 교수 재직 기간 동안 옥스퍼드대학교 뉴 칼리지의 특별 연구원(펠로우)이기도 했다. 또한 버밍햄 대학교, UC 버클리, 스탠퍼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다.
더밋은 분석철학사 연구와 더불어 수리철학, 논리학의 철학, 언어철학, 형이상학 분야에서 독창적인 기여를 했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 재직 기간 동안 피터 캐러더스(Peter Carruthers), 에이드리언 무어(A. W. Moore), 이언 럼핏(Ian Rumfitt), 크리스핀 라이트(Crispin Wright) 등 후에 저명한 경력을 쌓게 된 많은 철학자들을 지도했다.
학문적 업적 외에도 보르다 계수법을 개량한 '쿼터 보르다 시스템'(Quota Borda system)이라는 비례적 투표법을 제안했으며, 타로 카드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다. 이민 문제나 영어 문법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의견을 제시했다.
1995년 논리학 및 철학 분야의 업적으로 롤프 쇼크 상을 수상했고[8], 1999년에는 기사 작위(Knight Bachelor)를 받았다. 2010년에는 해석철학 분야에서의 뛰어난 공헌을 인정받아 라우에너 상(Lauener Prize)을 수상했다.[9]
3. 철학 연구
더밋은 분석철학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한 철학자로, 그의 연구는 주로 언어철학, 논리학의 철학, 수학철학, 형이상학에 걸쳐 있다. 특히 프레게 연구와 실재론-반실재론 논쟁에 대한 독창적인 분석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첫 저서 ''프레게: 언어철학(Frege: Philosophy of Language)''(1973)은 프레게 연구의 고전으로 평가받으며, 그를 해당 분야의 권위자로 만들었다.[35]
더밋은 1963년 논문 "실재론"(eng)에서 실재론과 다양한 비실재론적 입장(이상주의, 유명론 등) 간의 논쟁을 분석하며, 후자를 반실재론(anti-realism)으로 통칭했다.[10][35] 그는 이 둘 사이의 핵심 쟁점이 진리 개념에 있으며, '''의미론적 실재주의'''(semantic realism)는 진리의 이가성(bivalence)과 증거초월성(evidence-transcendence)을 주장하는 반면, 반실재론은 이를 거부하고 인식 가능한 진리를 강조한다고 보았다.[11][2][12] 또한 이 논쟁 구조가 수학철학의 직관주의와 플라톤주의 대립과 유사함을 지적했다.
더밋 자신은 진리 대신 검증 가능성을 의미 이론의 중심 개념으로 삼는 '''의미론적 반실재주의'''(semantic anti-realism)를 지지했다.[13]
더밋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분야 |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 출판 정보 |
---|---|---|---|
분석철학・논리학 | Frege: Philosophy of Language | 프레게: 언어철학 | 런던, 1973/1981 | |
Elements of Intuitionism | 직관주의의 요소들 | 옥스퍼드, 1977, 2000 | |
Truth and Other Enigmas | 진리라는 수수께끼 | 런던, 1978 (한국어 번역: 후지타 신고 역, 경초서방, 1986년) | |
Frege: Philosophy of Mathematics | 프레게: 수학철학 | 런던, 1991 | |
The Logical Basis of Metaphysics | 형이상학의 논리적 기초 | 런던, 1991 | |
Origins of Analytical Philosophy | 분석철학의 기원 – 언어로의 전환 | 런던, 1993 (한국어 번역: 노모토 카즈유키 외 역, 경초서방, 1998년) | |
The Seas of Language | 언어의 바다 | 옥스퍼드, 1993 | |
Truth and the Past | 진리와 과거 | 옥스퍼드, 2005 (한국어 번역: 후지타 신고, 나카무라 마사토시 역, 경초서방, 2004년) | |
Thought and Reality | 사상과 실재 | 옥스퍼드, 2006 (한국어 번역: 카네코 히로유키 역, 춘추사, 2010년) | |
정치 | Voting Procedures | 투표 절차 | 옥스퍼드, 1984 | |
Principles of Electoral Reform | 선거 개혁의 원칙 | 뉴욕, 1997 | |
On Immigration and Refugees | 이민과 난민에 관하여 | 런던, 2001 | |
타로 연구 | Game of Tarot | 타로 게임 | 1980 | |
Visconti-Sforza Tarot Cards | 비스콘티-스포르차 타로 카드 | 1986 | |
A Wicked Pack of Cards: The Origins of the Occult Tarot | 사악한 카드 묶음: 오컬트 타로의 기원 | 론 데커, 티에리 드폴리스 공저, 뉴욕, 1996 | |
A History of the Occult Tarot: 1870-1970 | 오컬트 타로의 역사: 1870-1970 | 론 데커 공저, 뉴욕, 2002 | |
A History of Games Played with the Tarot Pack: The Game of Triumphs | 타로 팩으로 하는 게임의 역사: 승리 게임 | 존 맥클로드 공저, 2004 |
3. 1. 프레게 연구
더밋은 독일 철학자 프레게 연구의 권위자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오랜 기간에 걸쳐 집필한 첫 저서 ''프레게: 언어철학(Frege: Philosophy of Language)''(1973)을 통해 프레게에 대한 철저하고 상세한 연구를 선보였다. 이 책은 프레게 연구의 고전으로 여겨지며, 후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프레게 연구를 재발견하고 가레스 에번스를 비롯한 당시 영국의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더밋은 이후에도 프레게 연구를 이어가며 다음과 같은 관련 저서를 남겼다.
- ''Frege: Philosophy of Language'' (런던, 1973/1981)
- ''Frege: Philosophy of Mathematics'' (런던, 1991)
3. 2. 실재론과 반실재론
마이클 더밋은 1963년에 발표한 논문 "실재론"(Realism)에서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이어진 실재론과 이상주의, 유명론 등 다양한 비실재론 사조 간의 철학적 대립에 대해 논쟁적인 분석을 제시했다.[35] 그는 이러한 비실재론적 입장들을 포괄하여 반실재론(anti-realism)으로 규정하고, 실재론과 반실재론 사이의 근본적인 불일치가 진리 개념, 즉 진리론에 관한 문제라고 주장했다.더밋에 따르면, 실재론은 의미론적인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다. 실재론자들은 언어 속의 모든 선언 문장이 이가적(참 또는 거짓 중 하나의 진리값을 가짐)이며, 우리의 인식 능력이나 증거와는 독립적으로 참 또는 거짓이 결정된다는 증거초월적 성격을 갖는다고 본다. 즉, 진리는 명증성과 초월성이라는 속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반면, 반실재론은 이러한 실재론적 진리관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한다. 반실재론자들은 진리가 우리의 인식 능력이나 검증 가능성과 무관하게 존재한다는 생각을 비판하며, '알 수 있는' 또는 '인식 가능한' 진리 개념을 선호한다.[35]
역사적으로 실재론과 반실재론의 논쟁은 특정 종류의 대상(타인의 마음, 과거, 미래, 일반 개념, 수학적 실체, 도덕적 범주, 외부 세계 등)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물음과 연관되어 왔다. 더밋의 분석이 참신했던 점은, 이러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논쟁들이 근본적으로 수학철학 분야에서 직관주의와 플라톤주의(수학적 실재론) 사이의 대립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고 보았다는 점이다.
3. 3. 기타 철학 연구
더밋은 1963년에 발표한 논문 "실재론"(eng)에서 실재론과 관념론, 유명론 등 역사적으로 대립해 온 여러 비(非)실재론적 입장들 사이의 논쟁을 새롭게 분석하여 주목받았다. 그는 이러한 비실재론적 입장들을 포괄하여 반실재론(anti-realism)으로 규정하고, 실재론과 반실재론 사이의 근본적인 불일치는 진리에 대한 관점의 차이에 있다고 주장했다.[35] 더밋에 따르면, 실재론은 어떤 진술이든 참 아니면 거짓이라는 이가성(二價性, bivalence)을 가지며, 우리가 그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진리값이 결정된다는 증거초월성(證據超越性, evidence-transcendence)을 특징으로 한다. 반면, 반실재론은 이러한 입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우리가 인식하고 확인할 수 있는 진리 개념을 선호한다.[35]더밋은 이러한 실재론-반실재론 논쟁이 역사적으로 타인의 마음, 과거, 미래, 보편자, 수학적 대상, 도덕적 범주, 물질 세계 등 다양한 대상의 객관적 존재 여부를 둘러싸고 벌어졌다고 보았다. 특히 그는 이 논쟁의 구조가 수학철학 분야에서 직관주의와 플라톤주의(수학적 대상이 객관적으로 실재한다고 보는 입장) 사이의 대립과 본질적으로 유사하다고 파악하여 독창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수학철학, 특히 직관주의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로 이어졌고, 그 결과물로 『직관주의의 요소들』(''Elements of Intuitionism'', 1977, 2000)을 저술했다. 이 외에도 논리학의 철학, 형이상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중요한 저작들을 남겼는데, 대표적으로 『진리와 다른 수수께끼들』(''Truth and Other Enigmas'', 1978), 『형이상학의 논리적 기초』(''The Logical Basis of Metaphysics'', 1991), 『언어의 바다』(''The Seas of Language'', 1993) 등이 있다.
더밋의 철학은 후대의 영국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존 맥도웰, 크리스토퍼 피콕, 크리스핀 라이트 등은 "더밋 이후 세대"로 불리기도 한다. 이들은 더밋의 문제의식을 계승하거나 비판적으로 발전시키며 현대 분석철학의 논의를 풍부하게 만들었다.
4. 사회 운동 및 정치 참여
마이클 더밋은 철학 연구 외에도 사회 및 정치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특히 인종주의에 반대하고 소수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60년대 후반을 중요한 개혁의 시기로 보고, 이 시기에는 잠시 철학 연구를 중단하고 소수 민족의 시민권 옹호 활동에 집중하기도 했다.[37]
더밋은 국가 간 이민과 난민 문제에 대해서도 깊이 연구했으며, 저서 On Immigration and Refugees|이민과 난민에 관하여eng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 책에서 이민 반대 주장의 상당수가 인종차별에 근거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특히 영국의 상황을 지적했다. 더밋은 국가가 특별한 위협에 처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경을 개방하고 대규모 이민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또한, 더밋은 사회 선택 이론과 투표 이론 연구에도 기여했다. 그는 고질적인 전략적 투표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로빈 파쿠하슨 등과 함께 학술 연구를 수행했으며,[36] 보르다 득점법을 개선한 Quota Borda system|쿼터 보르다 방식eng이라는 독자적인 선거 방식을 제안하기도 했다.
한편, 더밋은 자신의 학문적 연구에서 큰 부분을 차지했던 철학자 프레게의 개인 일기에서 반유대주의적이고 "극우적인" 견해를 발견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술회한 바 있다.[15][37] 이는 인종차별 문제에 대한 그의 깊은 신념과 고민을 보여주는 일화이다.
4. 1. 인종차별 반대 운동
더밋은 인종주의를 반대하고 소수자들의 권익을 보장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36] 그는 1960년대 후반을 중요한 개혁 시기로 여겼으며, 이 시기에 소수 민족의 시민권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잠시 철학 연구를 중단하고 관련 활동에 집중했다.[37]1955년부터 1956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 머무는 동안, 더밋과 그의 아내는 NAACP에 가입했다. 1956년 6월, 그는 샌프란시스코를 방문 중이던 마틴 루터 킹 주니어를 만났다. 킹은 당시 앨리스터 쿡이 영국 대중에게 미국 시민권 운동, 특히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에 대해 "편향되고 적대적인 보도"를 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더밋은 직접 앨라배마주 몽고메리로 가서 상황을 취재하고 기사를 작성했지만, 영국의 주요 언론사인 「가디언」과 「BBC」는 그의 기사 게재를 거부했다.[16]
더밋은 국가 간 이민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저서 『이민과 난민에 관하여』(On Immigration and Refugeeseng)에 정리했다. 그는 이 책에서 정의의 관점에서 국가가 이민과 난민 문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고찰하며, 이민 반대 주장의 상당수가 인종주의에 기반하고 있으며 특히 영국의 경우가 그렇다고 비판했다. 더밋은 국가가 "특별한 위협"에 직면하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국경을 개방하고 대규모 이민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한편, 더밋은 자신의 연구 경력에서 많은 부분을 할애했던 철학자 프레게의 개인 일기에서 반유대주의적이고 "극우적인" 견해를 발견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술회한 바 있다.[15][37] 이는 인종차별 문제에 대한 그의 깊은 고민과 민감성을 보여주는 일화이다.
이 외에도 더밋은 고질적인 전략적 투표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Farquharson 등과 함께 학술 연구를 수행했으며,[36] 사회 선택 이론 연구를 바탕으로 보르다 득점법을 개량한 쿼터 보르다 방식(Quota Borda systemeng)이라는 독자적인 선거 방식을 제안하기도 했다.
4. 2. 이민 문제 연구
더밋은 국가 간 이동 문제와 관련하여 정의가 국가에 요구하는 바를 탐구했으며, 이 연구 결과를 저서 On Immigration and Refugees|이민과 난민에 관하여eng로 정리했다.[15] 이 책에서 그는 이민 반대 주장의 상당수가 인종차별에 근거하고 있으며, 특히 영국의 경우가 그렇다고 비판했다. 더밋은 국가가 "특별한 위협"에 처해 입국을 거부할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개방적인 국경 정책과 대규모 이민 및 난민 수용을 옹호했다.4. 3. 투표 제도 연구
마이클 더밋은 사회 선택 이론과 투표 이론 분야에서도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로빈 파쿠하슨과 함께 투표 이론에 관한 영향력 있는 논문을 발표하며, 세 가지 이상의 선택지가 있는 투표에서는 전략적 투표가 만연하다는 추측을 제기했다.[17][36] 이는 '더밋-파쿠하슨 추측'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앨런 기바드와 경제학자 마크 새터스웨이트가 증명하여 기바드-새터스웨이트 정리로 알려지게 되었다.[18][19]더밋은 보르다 득점법을 개량하여 '쿼터 보르다 시스템'(Quota Borda system영어)이라는 독자적인 선거 방식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투표 이론과 선거 제도에 관한 자신의 연구를 정리하여 『투표 절차』(Voting Procedures영어, 1984)와 『선거 개혁의 원칙』(Principles of Electoral Reform영어, 1997) 등의 저서를 출간했다. 이 저서들에서 더밋은 기바드-새터스웨이트 정리에 대한 여러 증명을 제시하고, 일반 대중을 위한 투표 이론 개요를 설명하기도 했다.
5. 타로 연구
더밋은 타로카드의 역사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여러 저술을 남겼으며, 이를 통해 카드 게임 역사 분야의 학자로서 명성을 얻었다.[20] 그는 국제카드협회(International Playing Card Societyeng)의 창립 멤버였고, 협회 학술지인 ''The Playing-Cardeng''에 정기적으로 의견, 연구 결과, 관련 문헌 서평 등을 발표했다. 또한 볼로냐에 있는 볼로냐 타로키노 아카데미아(Accademia del Tarocchino Bologneseita)의 창립자이기도 하다.[20]
그의 대표적인 타로 연구 저서로는 1980년에 출간된 ''The Game of Tarot: From Ferrara to Salt Lake Cityeng''가 있다. 이 책은 타로 연구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으며[20], 실비아 만(Sylvia Mann)은 "지금까지 쓰인 카드에 관한 가장 중요한 책"이라고 평하기도 했다.[20] 이 책에서 더밋은 타로카드가 15세기 이탈리아에서 발명되었다고 주장했으며, 알려진 모든 형태의 타로 게임 규칙을 상세히 설명하여 후속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20]
더밋은 역사적 증거 분석을 통해 타로카드가 기록된 역사 대부분 동안 유럽 전역에서 인기 있는 트릭 테이킹 게임을 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했다.[21] 그는 점술이나 오컬트적 해석은 18세기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이러한 용법에 대해 경멸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타로가 점술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8세기에 불과하다.[21]
더밋은 18세기 중반 프랑스식 무늬를 사용하는 현대화된 카드의 등장과 중세적 우화가 없는 타로 게임의 발전이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타로 게임의 인기 증가와 맞물려, 1730년부터 1830년까지 약 100년 간을 타로 게임의 전성기로 만들었다. 이 시기 타로 게임은 이탈리아 북부, 동부 프랑스,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뿐만 아니라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 스웨덴, 심지어 러시아에서도 널리 행해졌으며, 진정한 국제적인 게임으로 자리 잡았다.[21]
1987년에는 조르다노 베르티(Giordano Berti), 안드레아 비탈리(Andrea Vitali)와 함께 페라라의 에스텐세 성에서 열린 대규모 타로 전시회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전시회 카탈로그에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22]
=== 주요 저서 ===
연도 | 원제 | 비고 |
---|---|---|
1980 | Game of Tarot | |
1986 | Visconti-Sforza Tarot Cards | |
1996 | A Wicked Pack of Cards: The Origins of the Occult Tarot | 론 데커, 티에리 드폴리스 공저 |
2002 | A History of the Occult Tarot: 1870-1970 | 론 데커 공저 |
2004 | A History of Games Played with the Tarot Pack: The Game of Triumphs | 존 맥클로드 공저 |
6. 종교(가톨릭)
더밋은 젊은 시절인 1944년에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하였으며, 평생 독실한 신자로 활동했다. 그의 가톨릭 신앙은 그의 철학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학문 활동 초기부터 현대 가톨릭교회가 직면한 문제들에 대해 글을 썼는데, 주로 영국 도미니코 수도회의 기관지인 《뉴 블랙프라이어스》(New Blackfriars)에 기고했다. 또한 아도레무스 협회(Adoremus Society) 회보에 전례(liturgy)를 주제로 에세이를 발표했으며, 가톨릭교회의 성찬(Eucharist) 교리가 철학적으로 이해 가능하다는 점을 옹호하는 논문을 쓰기도 했다("The Intelligibility of Eucharistic Doctrine" in William J. Abraham and Steven W. Holzer, eds., ''The Rationality of Religious Belief: Essays in Honour of Basil Mitchell'', Clarendon Press, 1987).[23]
1987년 10월, 더밋이 《뉴 블랙프라이어스》에 기고한 글 하나가 큰 논란을 일으켰다. 이 글에서 그는 가톨릭 신학의 일부 흐름이 오랫동안 인정된 정통 교리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가장 초기부터 하느님으로부터 계시된 진리를 보호하라는 사명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가톨릭교회가 거짓을 가르치고 그 수용을 주장해 왔다"는 인상을 주는 흐름을 지적하며,[25] "현재 가톨릭교회가 믿는다고 주장하는 것과 실제로 그 안의 크거나 중요한 부분이 믿는 것 사이의 괴리가 더 이상 용인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더밋은 이러한 괴리가 해소되어야만 교회가 합리적인 이유를 가질 수 있고, 다른 그리스도교 교파와의 재결합 희망을 가질 수 있으며, 세상의 웃음거리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25] 이 글은 몇 달 동안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신학자 니콜라스 래시(Nicholas Lash)[26]와 역사가 이먼 더피(Eamon Duffy)[27] 등이 논쟁에 참여했다.
7. 만년 및 가족
덤멧은 1992년에 은퇴했다. 은퇴 후에도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1994년에는 과학철학 분야에서 라카토슈 상을, 1995년에는 논리학 및 철학 분야에서 롤프 쇼크 상을 수상했다. 또한 1995년에 영국 학사원 회원으로 다시 선출되었으며[28], 1999년에는 "철학 및 인종 정의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기사 작위를 받았다.
개인적인 삶에서는 1951년에 앤과 결혼하여 세 아들과 두 딸을 두었으나, 자녀 중 아들 한 명과 딸 한 명은 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29]
덤멧은 2011년 12월 27일 8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29][34], 옥스퍼드의 울버코트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28] 그의 아내 앤은 이듬해인 2012년에 사망했다.[29]
8. 저작 목록
- ''프레게: 언어철학''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73/1981)
- ''프레게 철학 해석'' (Gerald Duckworth and Company, 1981;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30]
- ''직관주의의 요소들'' (옥스퍼드, 1977, 2000)[31]
- ''진리와 다른 수수께끼들''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78)[32] (후지타 신고 역, 『진리라는 수수께끼』, 경초서방, 1986년)
- ''프레게: 수학철학''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91)
- ''형이상학의 논리적 기초''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91)
- ''분석철학의 기원''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93) (노모토 카즈유키 외 역, 『분석철학의 기원 – 언어로의 전환』, 경초서방, 1998년)
- ''언어의 바다'' (옥스퍼드, 1993)
- ''프레게와 다른 철학자들'' (옥스퍼드, 1991)
- ''진리와 과거'' (옥스퍼드, 2005)[33] (후지타 신고, 나카무라 마사토시 역, 『진리와 과거』, 경초서방, 2004년)
- ''사고와 현실'' (옥스퍼드, 2006) (카네코 히로유키 역, 『사상과 실재』, 춘추사, 2010년)
- ''철학의 본질과 미래'' (콜롬비아, 2010)
- ''투표 절차'' (옥스퍼드, 1984)
- ''선거 개혁의 원칙'' (뉴욕, 1997)
- "투표의 안정성", 로빈 파쿠하슨 공저, ''이코노메트리카'', 29권 1호, 1961년 1월, pp. 33–43. JSTOR 링크
- "로빈 파쿠하슨의 업적과 생애", ''사회 선택과 복지'', 25권 2호, 2005년, pp. 475–83. JSTOR 링크
- "마이클 더밋과의 인터뷰: 분석철학에서 투표 분석 및 그 이상", 루돌프 파라, 모리스 살레스 공저, ''사회 선택과 복지'', 27권 2호, 2006년 10월, pp. 347–364. PDF 링크
- ''이민과 난민에 관하여'' (런던, 2001)
마이클 더밋은 타로 역사 연구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그는 타로 카드가 원래 트릭 테이킹 게임에 사용되었으며, 후대에 연상되는 오컬트적 용법은 18세기에 시작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 ''타로 게임: 페라라에서 솔트레이크시티까지'' (Duckworth, 1980) - 특히 이 책은 타로 연구사에서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열두 가지 타로 게임'' (Duckworth, 1980)
- ''비스콘티-스포르차 타로 카드'' (G. Braziller, 1986)
- ''세계와 천사: 타로와 그 역사'' (Bibliopolis, 1993)
- ''시칠리아 타로'' (La Zisa, 1995)
- ''악마의 카드 한 벌: 오컬트 타로의 기원'' (로널드 데커, 티에리 드폴리스 공저, St. Martin's Press, 1996)
- ''오컬트 타로의 역사, 1870-1970'' (로널드 데커 공저, Duckworth, 2002)
- ''타로 카드로 하는 게임의 역사'' (존 맥클로드 공저, E. Mellen Press, 2004)
주목할 만한 논문과 전시회 카탈로그로는 "타로의 승리: 타로를 추적하다" (''FMR'', 1985년 1월/2월), 국제 카드 게임 협회(International Playing Card Society)가 발행한 패턴 시트, 지오르다노 베르티와 안드레아 비탈리와 함께한 카탈로그 "타로: 에스테 가문의 궁정에서의 게임과 마법" (볼로냐, 누오바 알파 에디토리알레, 1987) 등이 있다.
- ''문법과 스타일'' (Duckworth, 1993)
보다 완전한 출판 정보는 R. E. 옥시어와 L. E. 한이 편집한 "마이클 더밋 저작 목록" (''마이클 더밋 철학'', 2007)을 참조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Twentieth-Century British Philosophers
Bloomsbury Publishing
2005
[2]
웹사이트
Dummett, Michael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3]
뉴스
Obituary for Professor Sir Michael Dummett
https://www.telegrap[...]
2011-12-28
[4]
ODNB
Dummett, Sir Michael Anthony Eardley (1925–2011)
https://www.oxforddn[...]
[5]
간행물
Burke's Peerage, Baronetage and Knightage
Burke's Peerage Ltd
2003
[6]
웹사이트
In Memoriam: Michael Dummett (1925–2011)
https://www.andyross[...]
[7]
ODNB
Dummett, Sir Michael Anthony Eardley (1925–2011), philosopher and campaigner against racial injustice
https://www.oxforddn[...]
2021-03-24
[8]
웹사이트
Rolf Schock Prize - Department of Philosophy
https://www.philosop[...]
2021-04-30
[9]
웹사이트
Lauener Prize for an Outstanding Oeuvre in Analytical Philosophy
http://lauener-found[...]
[10]
문서
Truth and Other Enigmas
[11]
백과사전
Logicism and Neologic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4-30
[12]
백과사전
Truth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4-30
[13]
간행물
The Semantic Realism/Anti-Realism Dispute and Knowledge of Meanings
http://newprairiepre[...]
2010
[14]
서적
Logic and Its Applications
Springer
2009
[15]
서적
Frege: Philosophy of Language
Harper & Row (1st ed.), Harvard University Press (2nd ed.)
1973/1981
[16]
간행물
Montgomery (and A. Cooke)
https://www.jstor.or[...]
2015
[17]
학술지
The work and life of Robin Farquharson
[18]
학술지
Manipulation of Voting Schemes: A General Result
[19]
학술지
Strategy-proofness and Arrow's Conditions: Existence and Correspondence Theorems for Voting Procedures and Social Welfare Functions
[20]
서적
Michael Dummett: Contributions to Philosophy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21]
서적
A History of Games Played With the Tarot Pack: The Game of Triumphs, Vol. 1
[22]
서적
"Sulle origini dei Tarocchi popolari" and "Tarocchi popolari e Tarocchi fantastici", in Le carte di Corte. I Tarocchi. Gioco e magia alla Corte degli Estensi
Nuova Alfa editoriale
[23]
웹사이트
The Revision of the Roman Liturgy: A Review
https://adoremus.org[...]
1997-03
[24]
서적
The Intelligibility of Eucharistic Doctrine
Clarendon Press
1987
[25]
학술지
A Remarkable Consensus
https://www.jstor.or[...]
1987
[26]
학술지
A Leaky Sort of Thing? The divisiveness of Michael Dummett
https://onlinelibrar[...]
1987
[27]
학술지
Comment: Michael Dummett in memoriam
https://www.jstor.or[...]
2012
[28]
간행물
Michael Anthony Eardley Dummett: 27 June 1925 – 27 December 2011
https://www.thebriti[...]
British Academy
2018-11-21
[29]
뉴스
Sir Michael Dummett obituary in The Scotsman Online
http://www.scotsman.[...]
[30]
학술지
Review: The Interpretation of Frege's Philosophy by Michael Dummett
1984-07
[31]
학술지
Review: Elements of Intuitionism by Michael Dummett
1980-09
[32]
학술지
Review: Truth and Other Enigmas by Michael Dummett
1981-12
[33]
학술지
Review: Truth and the Past by Michael Dummett
2008-05
[34]
뉴스
Professor Sir Michael Dummett
http://www.telegraph[...]
2011-12-27
[35]
웹사이트
Dummett, Michael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36]
저널
The work and life of Robin Farquharson
[37]
서적
Preface to the first e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