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는 2002년 맥쿼리그룹과 신한금융그룹의 합작으로 설립된 인프라 투자 회사이다. 2006년 런던 증권거래소와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서울-춘천 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등 다양한 사회 기반 시설에 투자했다. 주요 투자 자산으로는 서울양양고속도로, 인천대교, 부산 신항만 등이 있으며, 서울 지하철 9호선 1단계 등을 매각하기도 했다. 주요 주주로는 군인공제회, 신한금융그룹 등이 있으며, 높은 통행료, 최소운영수입보장(MRG) 특혜, 국부 유출 등과 관련된 비판과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융 기업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는 1850년 화물 운송 회사로 시작하여 현금 수송 회사들의 합병을 거쳐 금융 서비스 분야로 확장, 여행자 수표 출시와 프리미엄 신용카드 출시를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 금융 기업 -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은 1997년 삼성JP모건투자신탁운용으로 시작하여 사명을 변경하고, 2002년 국내 첫 ETF를 상장했으며, 삼성생명의 자회사로서 해외 사무소를 운영하며 핀테크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합작투자 - USA 네트워크
USA 네트워크는 1971년 개국하여 1980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미국의 케이블 채널로, NBC유니버설의 자회사이며 자체 제작 드라마, 재방송 프로그램, 영화, 스포츠 중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2024년에는 캐나다와 라틴 아메리카에도 진출했다. - 합작투자 -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TFT-LCD 개발을 시작으로 OLED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도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제조 기업으로, LCD와 OLED 패널을 생산하여 글로벌 기업에 공급하며 대형 OLED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LCD 생산 중단 후 OLED 패널 사업에 집중하며 기술 혁신과 수익성 개선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 다국적 기업 - 도시바
도시바는 1875년 다나카 히사시게가 설립한 다나카제작소에서 시작된 일본의 전기·전자 기업으로, 합병과 사명 변경을 거쳐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으나 여러 위기를 겪은 후 2023년 JIP 컨소시엄에 인수되어 사업 재편을 추진 중이다. - 다국적 기업 - 세아그룹
세아그룹은 특수강, 강관 등을 주력 사업으로 하는 기업 집단이며, 세아홀딩스를 지주회사로 두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생산 거점을 확보하고 있으며, 아람코와 협력하여 중동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
산업 | 사회기반시설 |
창립 | 2002년 12월 12일 |
창립자 | 맥쿼리그룹, 신한금융그룹 |
상장일 | 2006년 3월 15일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26(공평동) |
인물 | 서범식(대표이사) |
자본금 | 1,670,986,000,000 |
자산 총액 | 1.6조 |
주주 | 맥쿼리그룹(4.4%) 군인공제회(11.8%) 신한금융그룹(11.2%) 대한생명(7.2%) KDB 생명(6.5%) 캐피탈 리서치 & 매니지먼트(6%) 공무원연금공단(5.4%) 라자드자산운용 (4.4%) |
모기업 | 맥쿼리자산운용 |
웹사이트 |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공식 웹사이트 |
영문 | Macquarie Korea Infrastructure Fund |
종류 | 주식회사 |
제품 | 고속도로, 터널 |
2. 연혁
2002년 12월 호주 시드니에 본사를 둔 맥쿼리그룹이 신한금융그룹(신한금융지주회사)과의 합작회사 형태로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를 설립하였다. 맥쿼리그룹과 신한은행은 공동으로 합작회사이자 집합투자업자인 맥쿼리자산운용을 설립하여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4] 2006년 3월 Macquarie Korea Infrastructure Fund영어는 런던 증권거래소와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다.[4]
2. 1. 설립 및 초기 투자 (2002년 ~ 2006년)
2002년 12월 호주 시드니에 본사를 둔 맥쿼리그룹이 신한금융그룹(신한금융지주회사)과의 합작회사 형태로 설립되었다. 맥쿼리그룹과 신한은행은 공동으로 합작회사이자 집합투자업자인 맥쿼리자산운용을 설립하여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4] 초기 주요 자산으로는 12개의 유료도로, 1개의 지하철 및 1개의 항만을 포함한 14개 자산에 1.77조원 규모의 투자약정을 하였다.[5]2. 2. 상장 및 투자 확대 (2006년 ~ 2010년)
Macquarie Korea Infrastructure Fund영어는 2006년 3월 런던 증권거래소와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다.[4] 이후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서울-춘천 고속도로, 용인-서울 고속도로, 인천대교, 부산 신항만 등에 투자를 확대했다.[5]3. 주요 투자 자산
《사회기반시설에대한민간투자법》에 따라 맥쿼리인프라는 14개 자산(12개 유료도로, 1개 지하철, 1개 항만)에 1.77조원을 투자 약정하고 있다.[5]
자산명 | 관리 회사 | 상태 | 사업 시작 | 기간 | 비고 |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9호선 1단계 | 서울시메트로9호선㈜ | 매각 | - | - | 서울시 매각 |
평택파주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화성 분기점 ~ 동탄 분기점 구간 | 경기고속도로㈜ | 운영 중 | - | - | 후순위 매각 |
부산 신항만 2-3단계 | 부산항신항만컨테이너터미널㈜ | 건설 중 | 2012년 | 29년 3개월 | 부산 |
- 서수원-오산-평택 고속도로는 2009년에는 포함되었다가 2011년 자산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9호선은 2014년에 서울시에 매각되어 자산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나머지 자산들은 하위 섹션인 "도로"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다.
3. 1. 도로
No | 자산명 | 관리 회사 | 상태 | 사업 시작 | 기간 | 비고 |
---|---|---|---|---|---|---|
1 | 서울양양고속도로 강일 나들목 ~ 춘천 분기점 구간 | [http://www.schighway.co.kr/ 서울춘천고속도로 (주)] | 운영 중 | 2009년 7월 | 30년 | 춘천 |
2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https://www.hiway21.com/ 신공항하이웨이㈜][7] | 운영 중 | 2009년 10월 | 30년 | 인천 |
3 |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우면산터널 구간 | 우면산인프라웨이㈜[7] | 운영 중 | 2004년 1월 | 30년 | 서울시 민자투자 1호 |
4 | 용인서울고속도로 | 경수고속도로㈜ | 운영 중 | 2009년 7월 | 30년 | 용인 |
5 | 논산천안고속도로 | [http://www.cneway.co.kr/ 천안논산고속도로㈜] | 운영 중 | 2002년 12월 | 30년 | 천안, 논산 |
6 | 대구 4차순환선 | 대구동부순환도로㈜ | 운영 중 | 2002년 9월 | 24년 | 대구 |
7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대교 구간 | [http://www.incheonbridge.com/ 인천대교㈜] | 운영 중 | 2009년 10월 | 30년 | 인천 |
8 | 제2순환로 1구간 | 광주순환도로투자㈜ | 운영 중 | 2001년 1월 | 28년 | 광주 |
9 | 제2순환로 3-1구간 | 광주순환㈜ | 운영 중 | 2004년 12월 | 30년 | 광주 |
10 | 백양터널 | 백양터널 (유) | 운영 중 | 2000년 1월 | 25년 | 부산 |
11 | 마창대교 | ㈜마창대교 | 운영 중 | 2008년 6월 | 30년 | 부산 |
12 | 수정산터널 | 수정산터널㈜ | 운영 중 | 2002년 4월 | 25년 | 부산 |
3. 2. 항만
부산 신항만 2-3단계는 부산항신항만컨테이너터미널㈜에서 관리하며, 2012년에 운영을 시작하여 29년 3개월간 운영할 예정이었으나 건설 중이다.[6]3. 3. 과거 투자 자산
서울 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과 평택-시흥 고속도로는 각각 2011년과 2013년에 매각되어, 현재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의 투자 자산에 포함되지 않는다.[6]자산명 | 매각 시점 | 비고 |
---|---|---|
서울 지하철 9호선 1단계 | 2011년 | 서울시에 매각 |
평택-시흥 고속도로 | 2013년 |
4. 지배 구조
맥쿼리그룹은 2002년 12월 신한금융그룹(신한금융지주회사)과 합작회사를 설립하였다. 맥쿼리인프라는 맥쿼리자산운용을 통해 자산을 관리받고 있다.
2011년 5월 기준 한국거래소와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시가 총액은 1.6조 원이었다.[4] 시가총액은 5조 4,473억원이며, 총 발행주식수는 323,490,204주이고, 유동주식 비율은 85%이다.[8] 2009년 1월 31일 기준 주요 주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주주명 | 지분율 |
---|---|
군인공제회 | 11.8% |
신한금융그룹 | 11.2% |
KDB생명보험 | 7.5% |
Capital Research & Mgt., Co. | 6.0% |
한화생명보험 | 5.9% |
맥쿼리그룹 | 4.4% |
외국인 투자자 | 약 31.6% |
4. 1. 주요 주주 (2023년 말 기준)
주주명 | 지분율 |
---|---|
군인공제회 | 11.8% |
신한금융그룹 | 11.2% |
KDB생명보험 | 7.5% |
Capital Research & Mgt., Co. | 6.0% |
한화생명보험 | 5.9% |
맥쿼리그룹 | 4.4% |
외국인 투자자 | 약 31.6% |
4. 2. 자산운용사
1969년 설립되어 호주 시드니에 본사를 둔 맥쿼리그룹이 2002년 12월 신한금융그룹(신한금융지주회사)과의 합작회사의 형태로 설립하였다. 맥쿼리그룹과 신한은행이 공동으로 설립한 합작회사이자 집합투자업자인 맥쿼리자산운용을 통해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5. 비판 및 논란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는 《사회기반시설에대한민간투자법》에 따라 민간 투자 사업을 진행하면서 여러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왔다. 특히, 12개 유료도로, 1개 지하철, 1개 항만 등 주요 자산에 대한 투자 및 운영 방식이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5]
5. 1. 최소운영수입보장(MRG) 특혜 논란
맥쿼리그룹은 1969년 호주 시드니에 설립된 회사로, 2002년 12월 신한금융그룹(신한금융지주회사)과 합작하여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를 설립하였다.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의 자산 관리는 맥쿼리와 신한은행이 공동 설립한 맥쿼리자산운용(집합투자업자)이 담당한다.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주요 질문사항 (FAQ)
https://www.macquari[...]
2019-05-01
[3]
웹사이트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Factsheet
http://www.macquarie[...]
2011-06-15
[4]
웹인용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주식정보
http://www.macquarie[...]
2011-06-16
[5]
웹사이트
MKIF 역사
http://www.macquarie[...]
2011-06-16
[6]
웹사이트
http://www.macquarie[...]
[7]
문서
[8]
문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 운영”…창원 랜드마크, 마창대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