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양양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강동구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을 잇는 고속도로이다. 2002년 고속국도 제60호선으로 지정되었으며, 201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강일 나들목에서 미사 나들목까지 왕복 8차로, 미사 나들목에서 화도 분기점까지 왕복 6차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연장은 152.37km이다. 인제양양터널은 국내 최장 도로 터널이며, 설악 나들목에서 화도 나들목, 인제 나들목에서 서양양 나들목 구간은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양군의 도로 - 동해대로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국도로, 국도 제7호선과 상당 부분 중복되며,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북한과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 양양군의 도로 - 구룡령로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과 양양군을 잇는 구룡령로는 1994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2009년 8월에 고시되었으며, 여러 노선이 중복되는 구간을 포함하고 서울양양고속도로와 연결되는 등 지역 연결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인제군의 도로 - 진부령로
진부령로는 강원도 인제군과 고성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46호선의 일부로, 1981년 국도로 승격되었고 용대 교차로에서 송죽 교차로까지 이어지며 진부령미술관 등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위치한다. - 인제군의 도로 - 내린천로
내린천로는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에서 인제군 상남면, 기린면, 인제읍을 잇는 도로이며, 1981년 국도로 지정된 후 여러 도로 및 시설과 교차한다. - 가평군의 도로 - 한서로
한서로는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에서 시작하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남면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 가평군의 도로 - 경춘로
경기도 구리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까지 이어지는 경춘로는 1922년 개설 후 확장되어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망우로와 직결되고 춘천로와 연결되며, 일부 구간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된다.
서울양양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도로 종류 | 고속국도 |
노선 번호 | 고속국도 제60호선 |
로마자 표기 | Seoul Yangyang Gosokdoro |
한자 표기 | 서울襄陽高速道路 |
영어 이름 | Seoul-Yangyang Expressway |
개통일 | 2009년 7월 15일 (강일 나들목~춘천 분기점) |
추가 개통일 | 2009년 10월 30일 (춘천 분기점~동홍천 나들목) |
추가 개통일 | 2017년 6월 30일 (동홍천 나들목~양양 분기점) |
총 연장 | 150.2 km |
방향 | 동서 |
서쪽 종점 | 강일 나들목, 서울특별시 강동구 |
동쪽 종점 | 양양 분기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
주요 경유지 | |
경유 지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하남시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도 양평군 경기도 가평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
주요 연결 도로 | |
연결 도로 |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4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56호선 |
기타 | |
관련 정보 | 인제양양터널 |
2. 역사
1997년 4월부터 9월까지 동홍천 나들목 ~ 양양 분기점 구간(71.7km)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실시되었다.[9] 1998년 5월부터 1999년 12월까지는 춘천 분기점 ~ 양양 분기점 구간(88.8km)의 기본 설계가 이루어졌다.[9] 2000년 12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춘천 분기점 ~ 동홍천 나들목 구간(17.1km)에 대한 실시 설계가 진행되었다.[9]
서울양양고속도로는 강일 나들목에서 미사 나들목까지 왕복 8차로, 미사 나들목에서 화도 분기점까지 왕복 6차로, 화도 분기점에서 양양 분기점까지 왕복 4차로, 양양 분기점에서 양양 나들목까지 왕복 2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총 연장은 강일 나들목에서 춘천 분기점까지의 민자 구간이 62.21km, 춘천 분기점에서 양양 분기점까지의 국고 구간이 88.8km이다. 제한 속도는 강일 나들목에서 덕소삼패 나들목까지 최고 80km/h, 최저 50km/h이며, 덕소삼패 나들목에서 양양 분기점까지는 최고 100km/h, 최저 50km/h이다.
2002년 12월 5일, 서울특별시 ~ 강원도 양양군 구간이 '''고속국도 제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서울 ~ 양양선)으로 지정되었다.[7] 2003년 11월부터 2006년 11월까지는 동홍천 나들목 ~ 양양 분기점 구간(71.7km)의 실시 설계가 이루어졌다.[9]
2004년 3월 22일, 강일 나들목 ~ 동홍천 나들목 구간(78.5km)이 착공되었고,[9], 2004년 7월 2일에는 서울 ~ 춘천 민자구간 신설을 위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하일동 ~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조양리 61.41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0] 2008년 12월 29일에는 동홍천 나들목 ~ 양양 분기점 구간(71.7km)이 착공되었다.[9]
2009년 7월 15일, 강일 나들목 ~ 춘천 분기점 구간(61.4km)이 개통되었고,[13] 같은 해 7월 31일에는 조양 나들목이 개통되었다.[9] 2009년 10월 30일에는 춘천 분기점 ~ 동홍천 나들목 구간(15.64km)이 개통되었다.[14]
2010년 12월 28일, 도로명주소에 강일 나들목부터 양양 나들목까지 133.08km 구간이 '''서울양양고속도로'''로 고시되었다.[16]
2017년 6월 30일, 동홍천 나들목 ~ 양양 분기점 구간(72.63km)이 개통되면서[20] 서울양양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016년 11월 11일,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동산 요금소가 철거되었고, 2018년 4월 16일에는 강일 나들목 ~ 춘천 분기점 구간의 9개 요금소 통행료가 인하되었다.[21] 2019년 2월에는 남양주 요금소에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3. 구성
번호 명칭 한국어 명칭 한자 명칭 연결 도로 거리 (km) 비고 위치 20px 올림픽대로와 직결 서울 서울 시점 서울 始點 20px 올림픽대로 - 0.00 고속도로 시작점 강동구 서울특별시 강일 IC 강일 나들목 江一나들목 0.96 0.96 선동 IC 선동 나들목 船洞나들목 0.96 1.92 하남시 경기도 미사 IC 미사 나들목 渼沙나들목 20px 미사대로 2.03 3.95 서울 방향 진출입만 가능 1 덕소삼패 IC 덕소삼패 나들목 德沼三牌나들목 10.91 14.86 남양주시 TG 남양주 TG 남양주요금소 南楊州料金所 - - 주요 요금소 2 화도 IC 화도 나들목 和道나들목 10.91 14.86 2-1 화도 JC 화도 분기점 和道分岐點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 3 서종 IC 서종 나들목 西宗나들목 경기도 제391호 지방도 5.30 20.16 양평군 4 설악 IC 설악 나들목 雪岳나들목 12.88 33.04 가평군 SA 가평휴게소 가평휴게소 加平休憩所 - - 5 강촌 IC 강촌 나들목 江村나들목 경기도 제403호 지방도 14.20 47.24 춘천시 강원도 6 남춘천 IC 남춘천 나들목 南春川나들목 경기도 제70호 지방도
경기도 제86호 지방도9.03 56.27 TG 동산 TG 동산요금소 東山料金所 - - 양양 방향 진출입만 가능 7 조양 IC 조양 나들목 朝陽나들목 5.50 61.77 8 춘천 JC 춘천 분기점 春川分岐點 0.44 62.21 9 동홍천 IC 동홍천 나들목 東洪川나들목 16.24 78.44 홍천군 SA 홍천휴게소 홍천휴게소 洪川休憩所 10 내촌 IC 내촌 나들목 乃村나들목 경기도 제408호 지방도 16.6 11 인제 IC 인제 나들목 麟蹄나들목 21.5 인제군 SA 내린천휴게소 내린천휴게소 內麟川休憩所 12 서림 IC 서림 나들목 西林나들목 국도 제44호선 24.9 양양군 13 양양 JC 양양 분기점 襄陽分岐點 10.2 14 양양 IC 양양 나들목 襄陽나들목 국도 제44호선
국도 제56호선
3. 1. 차로 수
3. 2. 총 연장
3. 3. 제한속도
3. 4. 터널
서울양양고속도로에는 많은 터널이 있다. 2009년에 준공된 터널로는 월문1터널, 월문2터널, 월문3터널, 금남터널, 서종터널, 이천터널, 천안터널, 엄소터널, 창의터널, 송산터널, 미사터널, 마곡터널, 발산1터널, 발산2터널, 발산3터널, 발산4터널, 추곡터널, 행촌터널, 광판터널, 군자1터널, 군자2터널, 동산1터널, 동산2터널, 북방1터널, 북방2터널, 북방3터널, 화촌1터널, 화촌2터널이 있다.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리에 있는 월문1터널은 양양 방면 1,229m, 서울 방면 1,224m이다. 같은 위치에 있는 월문2터널은 양양 방면 84m, 월문3터널은 양양 방면 988m, 서울 방면 964m이다. 화도읍 금남리에 있는 금남터널은 680m이다. 양평군 서종면 수입리에 있는 서종터널은 양양 방면 639m, 서울 방면 594m이다. 가평군 설악면에는 이천터널(양양 방면 273m, 서울 방면 318m), 천안터널(양양 방면 1,270m, 서울 방면 1,240m), 엄소터널(양양 방면 380m, 서울 방면 436m), 창의터널(1,348m), 송산터널(양양 방면 1,154m, 서울 방면 1,136m), 미사터널(양양 방면 2,193m, 서울 방면 2,205m)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마곡리에는 마곡터널(양양 방면 919m, 서울 방면 958m)이, 춘천시 남면 발산리에는 발산1터널(양양 방면 633m, 서울 방면 599m), 발산2터널(양양 방면 480m, 서울 방면 508m), 발산3터널(양양 방면 254m, 서울 방면 251m), 발산4터널(양양 방면 433m, 서울 방면 387m)이 있다. 같은 남면 추곡리에는 추곡터널(양양 방면 433m, 서울 방면 412m)이, 남산면 행촌리에는 행촌터널(양양 방면 463m, 서울 방면 459m)이, 광판리에는 광판터널(양양 방면 358m, 서울 방면 278m)이 있다. 동산면 군자리에는 군자1터널(양양 방면 474m, 서울 방면 511m)과 군자2터널(양양 방면 885m, 서울 방면 915m)이, 조양리에는 동산1터널(양양 방면 683m, 서울 방면 708m)과 동산2터널(양양 방면 1,133m, 서울 방면 1,236m)이 있다. 춘천시 동산면 봉명리와 홍천군 북방면 성동리에 걸쳐있는 북방1터널은 양양 방면 2,298m, 서울 방면 2,285m이다. 북방면 성동리에는 북방2터널(양양 방면 326m, 서울 방면 330m)과 북방3터널(양양 방면 1,518m, 서울 방면 1,515m)이 있다. 화촌면 송정리에는 화촌1터널(양양 방면 721m, 서울 방면 691m)과 화촌2터널(양양 방면 378m, 서울 방면 359m)이 있다.
2017년에 준공된 터널로는 화촌3터널, 화촌4터널, 화촌5터널, 화촌6터널, 화촌7터널, 화촌8터널, 화촌9터널, 내촌1터널, 내촌2터널, 내촌3터널, 내촌4터널, 내촌5터널, 서석터널, 행치령터널, 상남1터널, 상남2터널, 상남3터널, 상남4터널, 상남5터널, 상남6터널, 상남7터널, 기린1터널, 기린2터널, 기린3터널, 기린4터널, 기린5터널, 기린6터널, 인제양양터널, 서면1터널, 서면2터널, 서면3터널, 서면4터널, 서면5터널, 서면6터널, 서면7터널이 있다.
홍천군 화촌면 외삼포리에 있는 화촌3터널은 양양 방면 527m, 서울 방면 407m이다. 같은 화촌면 군업리에 있는 화촌4터널은 35m, 화촌5터널은 125m, 화촌6터널은 양양 방면 621m, 서울 방면 614.2m, 화촌7터널은 40m이다. 화촌면 장평리에 있는 화촌8터널은 양양 방면 978m, 서울 방면 963m, 화촌9터널은 양양 방면 3,705m, 서울 방면 3,690m이다. 내촌면 와야리에 있는 내촌1터널은 양양 방면 1,248m, 서울 방면 1,267m, 내촌2터널은 100m이다. 같은 내촌면 물걸리에 있는 내촌3터널은 양양 방면 154m, 서울 방면 162m, 내촌4터널은 양양 방면 364m, 서울 방면 358m, 내촌5터널은 양양 방면 205m, 서울 방면 207m, 서석터널은 양양 방면 3,061m, 서울 방면 2,997m이다. 홍천군 서석면 수하리에 있는 행치령터널은 양양 방면 1,422m, 서울 방면 1,405m이다.
인제군 상남면 상남리에 있는 상남1터널은 60m, 상남2터널은 115m, 상남3터널은 양양 방면 1,719m, 서울 방면 1,739m, 상남4터널은 양양 방면 1,434m, 서울 방면 1,427m, 상남5터널은 양양 방면 1,773m, 서울 방면 1,825m이다. 상남면 하남리에 있는 상남6터널은 양양 방면 1,816m, 서울 방면 1,821m, 상남7터널은 양양 방면 2,287m, 서울 방면 2,257m이다. 기린면 현리에 있는 기린1터널은 118m, 기린2터널은 양양 방면 397m, 서울 방면 431m, 기린3터널은 양양 방면 162m, 서울 방면 146m, 기린4터널은 양양 방면 750m, 서울 방면 727m, 기린5터널은 1,148m이다. 기린면 방동리에 있는 기린6터널은 양양 방면 2,665m, 서울 방면 2,666m이다.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에 있는 인제양양터널은 10,962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터널이다.
양양군 서면 서림리에 있는 서면1터널은 서울 방면 110m, 서면2터널은 248m, 서면3터널은 양양 방면, 서울 방면 모두 212m이다. 서면 영덕리에 있는 서면4터널은 양양 방면 117m, 서울 방면 60m, 서면5터널은 1,311m이다. 서면 수리에 있는 서면6터널은 2,968m, 서면7터널은 743m이다.
3. 5. 교량
미사대교, 서종대교, 홍천강교, 내린천교 등 여러 교량이 서울양양고속도로를 구성한다. 선동교, 삼패교, 덕소1교, 덕소2교, 월문1교, 월문3교, 월문4교, 월문5교, 차산1교, 차산2교, 창현1교, 수입2교, 노문1교, 노문2교, 노문3교, 이천1교, 이천2교, 이천3교, 천안교, 엄소교, 신천교, 송산교, 발산1교, 추곡교, 행촌교, 광판1교, 광판2교, 군자1교, 군자2교, 군자3교, 군자4교, 조양교, 동산1교, 동산2교, 동산3교, 간성천교, 북방교, 송정1교, 송정2교, 화촌교, 구성포교, 외삼포교, 군업1교, 군업2교, 군업3교, 군업4교, 화촌1교, 화촌2교, 화촌3교, 외야교, 내촌천교, 물걸1교, 물걸2교, 물걸3교, 물걸4교, 수하교, 상남1교, 상남2교, 상남3교, 상남4교, 상남5교, 상남천교, 하남1교, 하남2교, 현리1교, 현리2교, 방동2교, 방태천1교, 서림1교, 서림2교, 서면1교, 서면2교, 서면3교, 공수전교가 있다.
4. 나들목 · 분기점
거리
거리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 (올림픽대로)
하남시도 제176호선 (미사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석실로·수레로)
덕소로·수레로115번길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수레로)
지방도 제387호선 (수레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북한강로)
지방도 제391호선 (북한강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신천중앙로·유명로·한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김유정로·종자리로)
백이동길
SA
내린천휴게소
Naerincheon SA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구룡령로)
국도 제56호선 (설악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설악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