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울양양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강동구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을 잇는 고속도로이다. 2002년 고속국도 제60호선으로 지정되었으며, 201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강일 나들목에서 미사 나들목까지 왕복 8차로, 미사 나들목에서 화도 분기점까지 왕복 6차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연장은 152.37km이다. 인제양양터널은 국내 최장 도로 터널이며, 설악 나들목에서 화도 나들목, 인제 나들목에서 서양양 나들목 구간은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양군의 도로 - 동해대로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국도로, 국도 제7호선과 상당 부분 중복되며,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북한과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 양양군의 도로 - 구룡령로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과 양양군을 잇는 구룡령로는 1994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2009년 8월에 고시되었으며, 여러 노선이 중복되는 구간을 포함하고 서울양양고속도로와 연결되는 등 지역 연결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인제군의 도로 - 진부령로
    진부령로는 강원도 인제군과 고성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46호선의 일부로, 1981년 국도로 승격되었고 용대 교차로에서 송죽 교차로까지 이어지며 진부령미술관 등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위치한다.
  • 인제군의 도로 - 내린천로
    내린천로는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에서 인제군 상남면, 기린면, 인제읍을 잇는 도로이며, 1981년 국도로 지정된 후 여러 도로 및 시설과 교차한다.
  • 가평군의 도로 - 한서로
    한서로는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에서 시작하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남면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 가평군의 도로 - 경춘로
    경기도 구리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까지 이어지는 경춘로는 1922년 개설 후 확장되어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망우로와 직결되고 춘천로와 연결되며, 일부 구간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된다.
서울양양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노선도
기본 정보
도로 종류고속국도
노선 번호고속국도 제60호선
로마자 표기Seoul Yangyang Gosokdoro
한자 표기서울襄陽高速道路
영어 이름Seoul-Yangyang Expressway
개통일2009년 7월 15일 (강일 나들목~춘천 분기점)
추가 개통일2009년 10월 30일 (춘천 분기점~동홍천 나들목)
추가 개통일2017년 6월 30일 (동홍천 나들목~양양 분기점)
총 연장150.2 km
방향동서
서쪽 종점강일 나들목,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쪽 종점양양 분기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주요 경유지
경유 지역서울특별시
경기도 하남시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도 양평군
경기도 가평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주요 연결 도로
연결 도로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4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56호선
기타
관련 정보인제양양터널

2. 역사

1997년 4월부터 9월까지 동홍천 나들목 ~ 양양 분기점 구간(71.7km)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실시되었다.[9] 1998년 5월부터 1999년 12월까지는 춘천 분기점 ~ 양양 분기점 구간(88.8km)의 기본 설계가 이루어졌다.[9] 2000년 12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춘천 분기점 ~ 동홍천 나들목 구간(17.1km)에 대한 실시 설계가 진행되었다.[9]

2002년 12월 5일, 서울특별시 ~ 강원도 양양군 구간이 '''고속국도 제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서울 ~ 양양선)으로 지정되었다.[7] 2003년 11월부터 2006년 11월까지는 동홍천 나들목 ~ 양양 분기점 구간(71.7km)의 실시 설계가 이루어졌다.[9]

2004년 3월 22일, 강일 나들목 ~ 동홍천 나들목 구간(78.5km)이 착공되었고,[9], 2004년 7월 2일에는 서울 ~ 춘천 민자구간 신설을 위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하일동 ~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조양리 61.41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0] 2008년 12월 29일에는 동홍천 나들목 ~ 양양 분기점 구간(71.7km)이 착공되었다.[9]

2009년 7월 15일, 강일 나들목 ~ 춘천 분기점 구간(61.4km)이 개통되었고,[13] 같은 해 7월 31일에는 조양 나들목이 개통되었다.[9] 2009년 10월 30일에는 춘천 분기점 ~ 동홍천 나들목 구간(15.64km)이 개통되었다.[14]

2010년 12월 28일, 도로명주소에 강일 나들목부터 양양 나들목까지 133.08km 구간이 '''서울양양고속도로'''로 고시되었다.[16]

2017년 6월 30일, 동홍천 나들목 ~ 양양 분기점 구간(72.63km)이 개통되면서[20] 서울양양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016년 11월 11일,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동산 요금소가 철거되었고, 2018년 4월 16일에는 강일 나들목 ~ 춘천 분기점 구간의 9개 요금소 통행료가 인하되었다.[21] 2019년 2월에는 남양주 요금소에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3. 구성

서울양양고속도로는 강일 나들목에서 미사 나들목까지 왕복 8차로, 미사 나들목에서 화도 분기점까지 왕복 6차로, 화도 분기점에서 양양 분기점까지 왕복 4차로, 양양 분기점에서 양양 나들목까지 왕복 2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총 연장은 강일 나들목에서 춘천 분기점까지의 민자 구간이 62.21km, 춘천 분기점에서 양양 분기점까지의 국고 구간이 88.8km이다. 제한 속도는 강일 나들목에서 덕소삼패 나들목까지 최고 80km/h, 최저 50km/h이며, 덕소삼패 나들목에서 양양 분기점까지는 최고 100km/h, 최저 50km/h이다.

850px


번호명칭한국어 명칭한자 명칭연결 도로거리 (km)비고위치
20px 올림픽대로와 직결
서울서울 시점서울 始點20px 올림픽대로-0.00고속도로 시작점강동구서울특별시
강일 IC강일 나들목江一나들목
20px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0.960.96
선동 IC선동 나들목船洞나들목0.961.92하남시경기도
미사 IC미사 나들목渼沙나들목20px 미사대로2.033.95서울 방향 진출입만 가능
1덕소삼패 IC덕소삼패 나들목德沼三牌나들목
20px
국도 제6호선
10.9114.86남양주시
TG남양주 TG남양주요금소南楊州料金所--주요 요금소
2화도 IC화도 나들목和道나들목
20px
국도 제46호선
10.9114.86
2-1화도 JC화도 분기점和道分岐點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3서종 IC서종 나들목西宗나들목경기도 제391호 지방도5.3020.16양평군
4설악 IC설악 나들목雪岳나들목
20px
국도 제37호선
12.8833.04가평군
SA가평휴게소가평휴게소加平休憩所--
5강촌 IC강촌 나들목江村나들목경기도 제403호 지방도14.2047.24춘천시강원도
6남춘천 IC남춘천 나들목南春川나들목경기도 제70호 지방도
경기도 제86호 지방도
9.0356.27
TG동산 TG동산요금소東山料金所--양양 방향 진출입만 가능
7조양 IC조양 나들목朝陽나들목
20px
국도 제5호선
5.5061.77
8춘천 JC춘천 분기점春川分岐點
20px
중앙고속도로
0.4462.21
9동홍천 IC동홍천 나들목東洪川나들목
20px
국도 제44호선
16.2478.44홍천군
SA홍천휴게소홍천휴게소洪川休憩所
10내촌 IC내촌 나들목乃村나들목경기도 제408호 지방도16.6
11인제 IC인제 나들목麟蹄나들목
20px
국도 제31호선
21.5인제군
SA내린천휴게소내린천휴게소內麟川休憩所
12서림 IC서림 나들목西林나들목 국도 제44호선
20px
국도 제56호선
20px
국도 제59호선
24.9양양군
13양양 JC양양 분기점襄陽分岐點
20px
동해고속도로
10.2
14양양 IC양양 나들목襄陽나들목국도 제44호선
국도 제56호선


3. 1. 차로 수

3. 2. 총 연장

3. 3. 제한속도

3. 4. 터널

서울양양고속도로에는 많은 터널이 있다. 2009년에 준공된 터널로는 월문1터널, 월문2터널, 월문3터널, 금남터널, 서종터널, 이천터널, 천안터널, 엄소터널, 창의터널, 송산터널, 미사터널, 마곡터널, 발산1터널, 발산2터널, 발산3터널, 발산4터널, 추곡터널, 행촌터널, 광판터널, 군자1터널, 군자2터널, 동산1터널, 동산2터널, 북방1터널, 북방2터널, 북방3터널, 화촌1터널, 화촌2터널이 있다.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리에 있는 월문1터널은 양양 방면 1,229m, 서울 방면 1,224m이다. 같은 위치에 있는 월문2터널은 양양 방면 84m, 월문3터널은 양양 방면 988m, 서울 방면 964m이다. 화도읍 금남리에 있는 금남터널은 680m이다. 양평군 서종면 수입리에 있는 서종터널은 양양 방면 639m, 서울 방면 594m이다. 가평군 설악면에는 이천터널(양양 방면 273m, 서울 방면 318m), 천안터널(양양 방면 1,270m, 서울 방면 1,240m), 엄소터널(양양 방면 380m, 서울 방면 436m), 창의터널(1,348m), 송산터널(양양 방면 1,154m, 서울 방면 1,136m), 미사터널(양양 방면 2,193m, 서울 방면 2,205m)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마곡리에는 마곡터널(양양 방면 919m, 서울 방면 958m)이, 춘천시 남면 발산리에는 발산1터널(양양 방면 633m, 서울 방면 599m), 발산2터널(양양 방면 480m, 서울 방면 508m), 발산3터널(양양 방면 254m, 서울 방면 251m), 발산4터널(양양 방면 433m, 서울 방면 387m)이 있다. 같은 남면 추곡리에는 추곡터널(양양 방면 433m, 서울 방면 412m)이, 남산면 행촌리에는 행촌터널(양양 방면 463m, 서울 방면 459m)이, 광판리에는 광판터널(양양 방면 358m, 서울 방면 278m)이 있다. 동산면 군자리에는 군자1터널(양양 방면 474m, 서울 방면 511m)과 군자2터널(양양 방면 885m, 서울 방면 915m)이, 조양리에는 동산1터널(양양 방면 683m, 서울 방면 708m)과 동산2터널(양양 방면 1,133m, 서울 방면 1,236m)이 있다. 춘천시 동산면 봉명리와 홍천군 북방면 성동리에 걸쳐있는 북방1터널은 양양 방면 2,298m, 서울 방면 2,285m이다. 북방면 성동리에는 북방2터널(양양 방면 326m, 서울 방면 330m)과 북방3터널(양양 방면 1,518m, 서울 방면 1,515m)이 있다. 화촌면 송정리에는 화촌1터널(양양 방면 721m, 서울 방면 691m)과 화촌2터널(양양 방면 378m, 서울 방면 359m)이 있다.

2017년에 준공된 터널로는 화촌3터널, 화촌4터널, 화촌5터널, 화촌6터널, 화촌7터널, 화촌8터널, 화촌9터널, 내촌1터널, 내촌2터널, 내촌3터널, 내촌4터널, 내촌5터널, 서석터널, 행치령터널, 상남1터널, 상남2터널, 상남3터널, 상남4터널, 상남5터널, 상남6터널, 상남7터널, 기린1터널, 기린2터널, 기린3터널, 기린4터널, 기린5터널, 기린6터널, 인제양양터널, 서면1터널, 서면2터널, 서면3터널, 서면4터널, 서면5터널, 서면6터널, 서면7터널이 있다.

홍천군 화촌면 외삼포리에 있는 화촌3터널은 양양 방면 527m, 서울 방면 407m이다. 같은 화촌면 군업리에 있는 화촌4터널은 35m, 화촌5터널은 125m, 화촌6터널은 양양 방면 621m, 서울 방면 614.2m, 화촌7터널은 40m이다. 화촌면 장평리에 있는 화촌8터널은 양양 방면 978m, 서울 방면 963m, 화촌9터널은 양양 방면 3,705m, 서울 방면 3,690m이다. 내촌면 와야리에 있는 내촌1터널은 양양 방면 1,248m, 서울 방면 1,267m, 내촌2터널은 100m이다. 같은 내촌면 물걸리에 있는 내촌3터널은 양양 방면 154m, 서울 방면 162m, 내촌4터널은 양양 방면 364m, 서울 방면 358m, 내촌5터널은 양양 방면 205m, 서울 방면 207m, 서석터널은 양양 방면 3,061m, 서울 방면 2,997m이다. 홍천군 서석면 수하리에 있는 행치령터널은 양양 방면 1,422m, 서울 방면 1,405m이다.

인제군 상남면 상남리에 있는 상남1터널은 60m, 상남2터널은 115m, 상남3터널은 양양 방면 1,719m, 서울 방면 1,739m, 상남4터널은 양양 방면 1,434m, 서울 방면 1,427m, 상남5터널은 양양 방면 1,773m, 서울 방면 1,825m이다. 상남면 하남리에 있는 상남6터널은 양양 방면 1,816m, 서울 방면 1,821m, 상남7터널은 양양 방면 2,287m, 서울 방면 2,257m이다. 기린면 현리에 있는 기린1터널은 118m, 기린2터널은 양양 방면 397m, 서울 방면 431m, 기린3터널은 양양 방면 162m, 서울 방면 146m, 기린4터널은 양양 방면 750m, 서울 방면 727m, 기린5터널은 1,148m이다. 기린면 방동리에 있는 기린6터널은 양양 방면 2,665m, 서울 방면 2,666m이다.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에 있는 인제양양터널은 10,962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터널이다.

양양군 서면 서림리에 있는 서면1터널은 서울 방면 110m, 서면2터널은 248m, 서면3터널은 양양 방면, 서울 방면 모두 212m이다. 서면 영덕리에 있는 서면4터널은 양양 방면 117m, 서울 방면 60m, 서면5터널은 1,311m이다. 서면 수리에 있는 서면6터널은 2,968m, 서면7터널은 743m이다.

3. 5. 교량

미사대교, 서종대교, 홍천강교, 내린천교 등 여러 교량이 서울양양고속도로를 구성한다. 선동교, 삼패교, 덕소1교, 덕소2교, 월문1교, 월문3교, 월문4교, 월문5교, 차산1교, 차산2교, 창현1교, 수입2교, 노문1교, 노문2교, 노문3교, 이천1교, 이천2교, 이천3교, 천안교, 엄소교, 신천교, 송산교, 발산1교, 추곡교, 행촌교, 광판1교, 광판2교, 군자1교, 군자2교, 군자3교, 군자4교, 조양교, 동산1교, 동산2교, 동산3교, 간성천교, 북방교, 송정1교, 송정2교, 화촌교, 구성포교, 외삼포교, 군업1교, 군업2교, 군업3교, 군업4교, 화촌1교, 화촌2교, 화촌3교, 외야교, 내촌천교, 물걸1교, 물걸2교, 물걸3교, 물걸4교, 수하교, 상남1교, 상남2교, 상남3교, 상남4교, 상남5교, 상남천교, 하남1교, 하남2교, 현리1교, 현리2교, 방동2교, 방태천1교, 서림1교, 서림2교, 서면1교, 서면2교, 서면3교, 공수전교가 있다.

4. 나들목 · 분기점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 (올림픽대로)와 직결style="background-color: #ddddff;" |강일Gangil-0.00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 (올림픽대로)
하남시도 제176호선 (미사대로)서울특별시강동구기점style="background-color: #ddddff;" |선동교차로Seondong0.960.96미사강변대로경기도하남시style="background-color: #ddddff;" |미사교차로Misa0.961.92[26]하남시도 제176호선 (미사대로)서울방향 진출만 불가능1덕소삼패Deokso-Sampae2.033.95국도 제6호선 (경강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석실로·수레로)
덕소로·수레로115번길남양주시서울방향 진입, 양양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TG남양주 요금소Namyangju TG본선요금소2화도Hwado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국도 제46호선 (신경춘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수레로)
지방도 제387호선 (수레로)2-1화도 분기점Hwado JC10.9114.86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3서종Seojong5.3020.16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북한강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북한강로)
지방도 제391호선 (북한강로)양평군4설악Seorak12.8833.04국도 제37호선 (유명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신천중앙로·유명로·한서로)가평군SA가평휴게소Gapyeong SA양방향5강촌Gangchon14.2047.24지방도 제403호선 (충효로)강원특별자치도춘천시6남춘천S.Chuncheon9.0356.27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김유정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김유정로·종자리로)7조양Joyang5.5061.77국도 제5호선 (영서로)서울방향 진입과 양양방향 진출만 가능8춘천 분기점Chuncheon JC0.4462.2155호선 중앙고속도로서울춘천고속도로 민자 운영 구간 종점9동홍천E.Hongcheon16.2378.44국도 제44호선 (설악로)
백이동길홍천군SA홍천휴게소Hongcheon SA양방향10내촌Naechon16.7795.21지방도 제408호선 (장수원로)11
SA인제
내린천휴게소Inje
Naerincheon SA20.42115.63국도 제31호선 (내린천로)인제군양방향 통합형12서양양W.Yangyang25.22140.85국도 제56호선 (구룡령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구룡령로)양양군양양방향 진출과 서울방향 진입만 가능13양양 분기점Yangyang JC10.22151.0765호선 동해고속도로14양양Yangyang1.30152.37국도 제44호선 (설악로)
국도 제56호선 (설악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설악로)


5. 주요 통과지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 강일동)를 거쳐 경기도 하남시 (선동 - 망월동) - 남양주시 (삼패동 - 와부읍 - 화도읍) - 양평군 서종면 - 가평군 설악면을 지난다. 이후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 춘천시 (남면 - 남산면 - 동산면) - 홍천군 (북방면 - 화촌면 - 내촌면 - 서석면) - 인제군 (상남면 - 기린면) - 양양군 서면을 지난다.

6. 통행료 논란

서울 ~ 춘천 구간 사업이 민자로 건설되면서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액과 관련해 논란이 일었다. 당초 서울춘천고속도로주식회사는 정부와의 실시협약을 통해 2001년 불변가 기준 5,200원으로 통행료를 책정하였으나, 2009년 개통을 앞두고 물가상승분을 반영해 25% 인상하겠다고 밝혔고, 통행료는 6412원으로 잠정 책정되었다. 이에 연선 주민들은 통행료가 비싸다며 반발하였다. 이는 청량리 - 남춘천무궁화호 열차 운임인 5,600원 (주말 기준 - 어린이, 1 ~ 6급 장애인 2,800원, 경로 3,900원)보다도 약 800원 정도 비싼 가격이었다.[27] 국토해양부는 통행료를 낮추려면 국고를 투입해야 하나, 다른 민간자본 운영 고속도로와 형평성에 어긋날 수 있다면서 주중 5,000원, 주말 7,000원으로 통행료를 이원화하여 징수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27] 7월 7일, 국토해양부는 서울 ~ 춘천 구간의 통행료를 주중, 주말 모두 5,900원 (소형차 기준)으로 확정하였다. 강일 나들목 ~ 덕소삼패 나들목, 강촌 나들목 ~ 남춘천 나들목 등의 단거리 구간은 최저요금인 1,000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춘천, 인제, 화천 등의 연선 주민들은 지역 할인제가 적용되어 5,200원으로 통행할 수 있게 되었다.[28]

7. 대한민국 최장 터널

서울양양고속도로의 동홍천 나들목 ~ 양양 분기점 구간 중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 양양군 서면 서림리를 잇는 총 연장 10,965 m 규모의 인제양양터널은 국내 최장이자 세계에서 11번째로 긴 도로터널이다.[29] 2012년 9월 26일 관통되었으며, 2017년 6월 30일에 개통되었다.[29] 종전까지는 2016년 6월 30일에 개통된 동해고속도로 양북1터널이 총연장 7.5 km로 가장 길었고, 그 이전까지는 배후령터널이 가장 길었다.

8. 대한민국 최장 과속 단속 구간

설악 나들목 ~ 화도 나들목 구간은 서울 방향 14.8 km로, 2013년 6월 26일부터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되었다.[30][31] 2017년 5월 현재 서울 방향 엄소터널 출구~서종터널 입구까지 약 7km로 구간단속 구간이 단축되었다. 인제 나들목 - 인제양양터널 - 서양양 나들목 구간은 양방향 16km로 2017년 6월 30일부터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되고 있다.

9. 고속도로 시점

공식적으로 대통령령에 명시된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시점은 강일 나들목이다. 그러나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시점 및 종점 표지판은 미사 나들목에 설치되어 있다. 단, 구간거리 표지판과 관리구간 경계 표지판에서는 강일 나들목을 기준으로 표시하고 있다.

10. 금왕 단층

서울양양고속도로 제9공구 행치2터널(현재의 행치령터널) 공사 중 금왕 단층의 단층파쇄대가 발견되었다.[32] 기반암은 선캄브리아기 흑운모 편마암과 이를 관입한 시대 미상의 복운모 화강암,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과 산성암맥으로 구성되며 단층대의 폭은 약 100 m이고 단층대를 따라 기반암이 심하게 풍화되어 있으며 석영맥이 관입하여 있다.[32] 시추조사 결과 단층점토, 단층각력암이 나왔다.[32]

참조

[1] 뉴스 Toll of Seoul-Chuncheon will be 5,900 won http://news.jknews.c[...] Hanguk Jaegyeongshinmun 2009-07-09
[2] 간행물 Governmental Decision http://www.law.go.kr[...] Ministry of Governmental Legislation 2018-04-00
[3] 웹사이트
[4] 뉴스 수도권 시민 홍천 접근 쉬워진다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09-05-21
[5] 뉴스 서울~춘천 고속도로 오늘 개통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09-07-15
[6] Youtube 서울춘천고속도로 CF https://www.youtube.[...]
[7] 간행물 대통령령 제17794호 http://www.law.go.kr[...] 2002-12-05
[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55호 http://gwanbo.mois.g[...] 2004-03-15
[9] 뉴스 서울-양양 고속도로 착공 https://news.naver.c[...] YTN 2004-03-22
[1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163호 http://gwanbo.mois.g[...] 2004-07-02
[1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235호 http://gwanbo.mois.g[...] 2006-07-04
[12]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461호 http://gwanbo.mois.g[...] 2008-08-26
[13]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09-620호 http://gwanbo.mois.g[...] 2009-07-15
[14]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09-936호 http://gwanbo.mois.g[...] 2009-10-30
[15]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577호 http://gwanbo.mois.g[...] 2010-08-26
[16]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17]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049호 http://gwanbo.mois.g[...] 2011-01-05
[1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1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480호 http://gwanbo.mois.g[...] 2015-07-23
[20]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7-1001호 http://gwanbo.mois.g[...] 2017-06-29
[21]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8-440호 http://gwanbo.mois.g[...] 2018-04-13
[2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42호 http://gwanbo.mois.g[...] 2019-10-08
[2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001호 http://gwanbo.mois.g[...] 2020-01-03
[2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526호 https://gwanbo.mois.[...] 2020-07-24
[2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964호 https://gwanbo.mois.[...] 2020-12-18
[26] 웹사이트 실제 시, 종점 표시 http://map.daum.net/[...]
[27] 뉴스 “춘천 ∼ 서울 통행료 이원화 검토”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09-05-26
[28] 뉴스 서울~춘천, 통행료 5,900원으로 잠정 확정 http://news.jknews.c[...] 한국재경신문 2009-07-08
[29] 뉴스 국내최장 '인제터널' 굴착완료…세계11위 도로터널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2-09-25
[30] 뉴스 서울춘천고속도로 26일부터 과속 구간단속…국내 최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6-25
[31] 뉴스 (포토뉴스)`국내최장' 과속 구간단속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3-06-26
[32] 논문 단층파쇄대 구간에 시공되는 터널의 보강설계 사례 https://scienceon.ki[...] 2013-00-0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