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나라의 경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나라 경제는 화폐, 제조업, 농업, 무역 및 투자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초기에는 지폐 사용이 실패하고 은이 주요 통화로 자리 잡았으며, 대외 무역을 통해 은이 대량 유입되면서 경제가 번성했다. 제조업은 자영업화와 임금 노동의 확대를 특징으로 하며, 농업에서는 상품 작물 재배와 농촌 시장의 발달이 두드러졌다. 무역은 해금 정책 완화와 함께 유럽 및 일본과의 교류를 통해 발전했고, 낮은 세율은 무역을 촉진했지만 재정 악화를 초래했다. 벤처 사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해지면서 자본주의의 맹아가 나타났으나, 청나라 시기에 중단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경제 - 1554년 포르투갈-명 조약
    1554년 포르투갈-명 조약은 레오넬 드 소우사의 노력으로 포르투갈과 명나라 간의 무역 관계를 규정하고 포르투갈이 마카오에 무역 거점을 건설할 수 있게 한 중요한 사건이다.
  • 17세기 경제 - 콜베르주의
    콜베르주의는 17세기 프랑스 재무장관 장-바티스트 콜베르의 중상주의 경제 정책으로, 수출 증대와 수입 억제를 통해 무역 흑자를 달성하고 국내 산업을 육성하려 했으나, 자유 시장 저해 및 혁신 저해 비판과 함께 20세기 후반에는 국가 주도의 기술 개발 모델로도 나타났다.
  • 명나라의 경제 - 일조편법
    일조편법은 명나라에서 시행된 세제 개혁으로, 토지세를 중심으로 세금을 일원화하고 은으로 납부하는 화폐화를 추진하여 동아시아 경제와 조선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
  • 명나라의 경제 - 표국
    표국은 명나라부터 청나라 시대 중국에서 화물 운송의 안전을 담당한 민간 경호업체로, 무사를 고용해 화물을 보호하며, 다양한 계층과 엄격한 규칙을 가지고 운영되었다.
명나라의 경제
명나라 경제
명나라 보물선 복제품
명나라 보물선 복제품
통계
경제 성장률알 수 없음
인플레이션율알 수 없음
빈곤선 이하 인구 비율알 수 없음
지니 계수알 수 없음
인간 개발 지수알 수 없음
화폐
사용 화폐보초, 백은
무역
수출품차, 비단, 도자기
주요 수출 대상일본, 유럽 국가
수입품
주요 수입 대상일본, 아메리카 대륙
농업
주요 농산물쌀, 차, 과일
농업 기술수리 시설 개선, 품종 개량
수공업
주요 수공업품비단, 도자기, 면직물
생산 방식관영 수공업, 민간 수공업 발달
세금 제도
세금 종류지세, 인두세, 상업세
세금 징수 방식일조편법 시행
경제 정책
해금 정책초기 해금 정책 시행, 후기 부분적 허용
쇄은 정책은을 화폐로 사용 장려
경제 문제
토지 겸병대토지 소유 심화
재정 부족군사비 증가로 인한 재정 악화
인플레이션은 부족으로 인한 화폐 가치 하락
관련 인물
주요 인물장거정, 척계광

2. 화폐

명나라 초기에는 지전 발행을 시도했으나, 인플레이션과 위조 문제로 1425년에는 가치가 액면가의 0.014%로 폭락했다. 지전 발행은 1450년에 중단되었고, 금속 엽전도 주조되었으나 대부분의 무역은 은괴로 이루어졌다. 은괴는 '테일' 단위로 계산되었으며, 광둥성에서 처음 제작되어 1423년까지 양쯔강 이남으로 확산되었다.

2. 1. 은 유입과 경제 발전

명나라 초기에는 종이 화폐인 지전을 사용하려 했고, 해외 무역을 금지하는 해금령을 통해 금, 은과 같은 국부 유출을 막으려 했다.[1] 그러나 지전은 인플레이션과 위조 범죄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1425년에는 지전의 가치가 액면가의 0.014%에 불과할 정도로 신용이 떨어졌다.[2] 결국 지전은 1450년에 발행이 중단되었고, 1573년까지는 통용되었으나 사실상 화폐로서의 기능을 잃었다. 명나라에서는 엽전도 주조했지만, 대부분의 무역은 은괴로 이루어졌다. 은괴는 순도와 크기가 제각각이어서 화폐보다는 귀금속으로 취급되었고, '테일'이라는 단위로 계산되었다. 은괴는 광둥성에서 처음 만들어졌고, 1423년까지 양쯔강 이남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15세기 중반, 대외 무역 여건이 개선되면서 일본과 남아메리카 포토시 광산에서 생산된 막대한 양의 은이 포르투갈, 네덜란드, 스페인 상인들을 통해 명나라로 유입되었다. 이로 인해 은 유통량이 증가하면서 화폐 경제가 발달하고 내부 무역이 크게 성장했다. 1465년에는 지방세를 은으로 걷기 시작했고, 1475년에는 소금세, 1485년에는 부역 면제에 필요한 세금도 은으로 걷는 등 은본위 화폐제가 정착되었다. 명나라 후기에는 경제가 크게 발달하고 무역이 번성하여, 유통되는 은의 양이 세계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당시 영국 상인들이 1만 파운드의 은을 큰 재산으로 여겼던 반면, 명나라 상인들은 몇 백만 테일 가치의 은괴로 무역을 할 정도였다.

하지만 17세기 들어 펠리페 4세가 스페인의 남아메리카 식민지와 중국 간 교역을 금지하고, 도쿠가와 막부가 일본의 해외 무역을 거의 차단하면서 명나라로 유입되는 은의 양이 급격히 줄었다.[4] 이로 인해 은 유동성이 급격히 하락했고, 대부분의 지방에서 은으로 세금을 내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상황이 악화되자 명 조정은 이자성의 반란 도중 일시적으로 지전 발행을 재개하기도 했다.

2. 2. 17세기의 위기

명나라 초기에는 지전 발행을 시도했으나, 인플레이션과 위조 문제로 1425년에는 가치가 액면가의 0.014%로 폭락했다. 지전 발행은 1450년에 중단되었고, 금속 엽전도 주조되었으나 대부분의 무역은 은괴로 이루어졌다. 은괴는 '테일' 단위로 계산되었으며, 광둥성에서 처음 제작되어 1423년까지 양쯔강 이남으로 확산되었다.

15세기 중반, 포르투갈, 네덜란드 상인을 통한 일본 은, 스페인 상인을 통한 남아메리카 포토시 광산 은 유입으로 명나라 내 은 유통량이 증가했다. 1465년에는 지방세, 1475년에는 소금세, 이후 부역 면제세도 은으로 징수되며 은본위 화폐제가 정착되었다. 명나라 후기에는 경제 발달과 무역 번성으로 은 유통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영국 상인들이 1만 파운드 은을 큰 재물로 여긴 반면, 명나라 상인들은 몇 백만 테일 가치의 은괴로 무역했다.

17세기 들어 펠리페 4세의 스페인-중국 교역 금지, 도쿠가와 막부의 해외 무역 차단으로 은 유입이 급감했다. 은 유동성이 하락하여 대부분 지방에서 세금 납부가 불가능해졌다. 명 조정은 이자성의 반란 중 지전 발행을 일시 재개해야 했다.[1]

3. 제조업

명나라 시기의 도자기 공장


명나라 시기 제조업은 '자영업화'가 두드러졌다. 송나라와 달리 한나라의 정책을 따라 차와 소금 산업을 민영화하여 자영업자와 민간 자본이 크게 늘었다. 명나라 중기에는 제조업으로 큰 부를 쌓은 상인 계층이 중국 경제 산업을 좌우하였다. 명나라 정부는 강제 노동 정책을 폐지하고 임금 노동으로 대체하여, 징더현에서는 300여 개의 도자기 공장이 모두 임금 노동자로 운영될 정도였다.[5]

3. 1. 민영화



명나라 제조업의 핵심 특징은 민영화였다. 송나라에서 국영 기업이 큰 역할을 했던 것과 달리, 명나라는 소금과 차 산업을 민영화함으로써 한나라의 자유 방임 정책으로 되돌아갔다. 명나라 중반에 이르러 부유한 상인 집단이 중국 산업의 지배적인 주체로서 국가를 대체했다.[1]

3. 2. 임금 노동



명나라 정부는 전대 왕조들에서 사용했던 일종의 강제 노동 정책을 폐기하고, 이를 임금 노동으로 대체하였다. 이로 인하여 임금 노동자라는 새로운 계층이 사회에 등장하게 되었는데, 당시 징더현 한 지방에서만 거의 300여 개에 달하는 도자기 공장들이 있었고, 이 공장들 모두가 임금 노동자로 이루어졌을 정도였다.[5]

4. 농업

원나라 말기 혼란과 전쟁으로 중국 전체 농업 생산력이 하락했다. 홍무제는 농업 부흥을 위해 농업용 수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농업에 대한 세금을 생산량의 1/30, 이후에는 1.5%로 감면하는 친(親)농업 정책을 시행했다.[5] 명나라 농부들은 수력 경운기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과 윤작과 같은 새로운 농법을 도입하여 막대한 농업 잉여 생산물을 만들어 냈고, 이는 시장 경제의 기반이 되었다.[5]

명나라 농업은 이전 시대와 비교하여 많은 변화를 겪었다. 시장 경제 수요에 따라 현금 작물을 재배하고 전문화하는 거대한 지역이 생겨났으며, 수력으로 작동하는 농기구와 수차는 농촌 경제의 기반이 된 거대한 농업 잉여를 창출하는 데 기여했다. 쌀 외에도 다른 작물들이 대규모로 재배되었다.[5] 이전 왕조와 달리 많은 명나라 농민들은 필요한 제품만 생산하지 않고, 시장을 위해 제품을 생산하여 이윤을 얻었다.[6]

4. 1. 상품 작물 재배

명나라 시기에는 지방의 기후나 특성에 맞는 특수한 상품작물들을 농사짓는 거대한 규모의 대농장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 과일 등과 같은 수많은 상품 작물들이 이 농장들에서 쏟아져 나왔고, 이때 형성된 상품 작물 농장들은 청나라 시기까지 이어져 그 지방만의 특산물로 여겨지게 되었다.[5] 콜럼버스 교환으로 아메리카 대륙에서 들어온 옥수수와 같은 작물들이 재배되기 시작한 것도 바로 이때이다. 또한, 전문화된 지역에서도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는 대량의 현금 작물을 심었다. 식량 생산이 늘어나고 사회가 풍요로워지기 시작하자, 많은 수의 농민들이 토지를 떠나 장인이 되었다. 명나라의 인구는 1억 6천만에서 2억 명으로 추정된다.

4. 2. 농촌 시장

명나라 시기 농업 기술이 변화하면서 중국 사회 전반에 큰 변화가 나타났다. 송나라한나라 시기에는 자급자족하는 농민들이 이익을 보았지만, 명나라 시기에는 상품 작물 거래가 더 중요해졌다. 인구 증가와 농경지 감소로 인해 상품 거래는 필수가 되었고, 이는 대도시뿐만 아니라 산간 벽지에서도 물물교환이나 화폐를 이용한 거래 활성화를 불러왔다.[6]

중국에서 새로이 등장한 시장 유형은 농촌에서 생산된 작물들이 도시에서 판매되는 시장이었다. 대규모 토지를 소유한 지주들이 도시에 거주하면서 소작료로 도시에서 생활하거나, 농촌에서 농산물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도시에 판매하는 상인들이 생겨났다.[6]

또 다른 시장 유형은 국가의 개최로 열리는 시장이었다. 이 시장은 송나라 때 처음 나타났지만 명나라 때 더욱 강화되었다. 이 시장에서는 시장 밖에서 생산된 물품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곧바로 생산 가능한 서비스 상품이나 유흥 산업도 크게 성장하였다.[6]

5. 무역 및 투자

명나라홍무제는 몽골족을 몰아낸 직후 농업을 국가의 근본으로 보고 상업에 엄격한 규제를 가했다. 그러나 홍무제 사후 상업은 점차 중요해졌고, 대부분의 규제는 후대 황제들에 의해 사라졌다. 명나라 후기에는 상업 규제가 거의 없어졌고, 부유한 상인 계급이 나라의 주권을 좌지우지할 정도였다.

명나라는 일본, 유럽과 활발히 무역했는데, 유럽 학자 요세프 니드햄의 추정에 따르면 300만 냥에 달하는 은이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이는 현재 가치로 약 22조에 해당하며, 당시에는 훨씬 큰 가치를 지녔다. 명나라는 은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화기도 수입하여 군대를 강화했다.

무역과 상업의 번성은 명나라 정부가 수로, 운하, 도로를 건설하여 상품 운송을 편리하게 한 것과 관련이 깊다. 거대한 상인 가문과 부르주아 계급이 등장했으며, 일부 상인 가문은 왕부의 재산을 크게 상회하는 3천만 냥의 재산을 보유하기도 했다.

당시 유럽 국가들은 중국의 비단과 도자기를 원했지만, 중국인들이 매력을 느낄 만한 상품이 없어 은으로 이를 구매해야 했다. 스페인은 남아메리카의 포토시 광산에서 생산된 은을 사용했으며, 이 광산은 200년 동안 40,000톤의 은을 생산했다. 일본과 남아메리카에서 생산된 은의 대부분은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1800년대 멕시코페루는 전 세계 은 생산량의 80%를 차지했는데, 이 중 30%가 중국으로 들어갔다.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초 일본, 미국에서 생산된 은도 대부분 중국 상품 대금으로 쓰였다. 중국, 일본, 서양 세력 간의 상품 무역은 주로 필리핀과 같은 동남아시아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마닐라가 무역 중심지였다.

명나라의 세율은 낮은 편이었다. 농업 생산물에 부과된 세금은 1/30, 상업세는 처음에는 1/30에서 나중에는 1.5%까지 낮아졌다. 낮은 세율은 무역과 경제 발전을 촉진했지만, 중앙 정부의 재정은 약화되었다. 특히 소금세는 국가 수입의 중요한 원천이었으나 민영화로 인해 세입이 크게 줄었다. 17세기에 기후 악화로 세입이 감소하면서 재정 적자가 심화되었고, 병사들이 급료 문제로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명나라 정부의 시장 통제 능력은 점차 약화되었다. 소금과 철에 대한 국가의 통제력은 사라지고 민영화되었으며, 다른 산업들도 대부분 민영화되었다. 명나라는 세계에서 1인당 부담 세율이 가장 적은 나라 중 하나였다. 만력제는 소금세를 올려 적자를 메우려 했으나, 지방 관리들의 반발로 철회해야 했다.

송나라 때부터 투자는 토지에서 벗어나 벤처 사업에 이루어졌다. 명나라 투자자들은 새로운 사업들에 자본을 투자했고,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 많은 중국 학자들은 '자본주의'가 싹트기 시작한 시기가 바로 명나라였는데, 이 새싹이 청나라 시기에 들어 잘라졌다고 비판한다. 이 주장은 마오쩌둥의 사상을 추종하는 학자들에 의해 대대적으로 제기되었으며, 중국 학계가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가 중국을 망쳐놓았다고 주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5. 1. 해금 정책 완화

홍무제는 농업을 경제의 근본으로 여겨 상업을 포함한 다른 모든 산업보다 농업을 우선시하며 엄격한 무역 제한(해금)을 시행했다. 그러나 홍무제 사후 그의 정책 대부분은 후계자들에 의해 뒤집혔다.[7] 명나라 말기에는 국가가 상인들에게 권력을 잃어가고 있었다.

명나라는 유럽 및 일본과 활발한 무역을 했다. 조셉 니덤(Joseph Needham)은 명나라로 유입된 은의 양을 3억 냥(10,500미터톤)으로 추정했는데, 이는 현재 가치로 1900억달러가 넘는 금액이다. 명나라는 무기 현대화를 위해 유럽제 화기도 많이 수입했다.

자유화된 경제에서 무역과 상업은 번성했으며, 명나라 정부의 운하, 도로, 교량 건설이 이를 뒷받침했다. 명나라에서는 거대한 부를 소유한 상인 가문들이 등장했고, 젠트리와 상인 계급이 융합되면서 상인들은 국가를 희생시키면서 권력을 얻었다. 일부 상인들은 3천만 냥의 재산을 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세계 무역의 중심 역할을 했다.[7] 일본과의 무역은 금수 조치에도 불구하고 중국 밀수업자, 동남아시아 항구 또는 포르투갈을 통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중국은 세계 무역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되었다.[8]

유럽 국가들은 실크와 도자기 같은 중국 상품을 매우 원했다.[9] 그러나 유럽인들은 중국이 원하는 상품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무역 적자를 메우기 위해 은을 거래해야 했다.[10] 대항해 시대 스페인인들은 포토시 은광 등에서 막대한 양의 은을 발견하여 무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스페인 아메리카의 은광은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은의 원천이었으며,[11] 200년 동안 4만 톤의 은을 생산했다.[12] 아메리카와 일본에서 생산된 은의 대부분은 결국 중국으로 흘러 들어갔다.[13] 1500년부터 1800년까지 멕시코와 페루는 세계 은의 약 80%를 생산했으며,[14] 그 중 30%가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에는 일본도 중국으로 많은 은을 수출했다.[14] 아메리카에서 나온 은은 주로 대서양을 건너 극동으로 흘러 들어갔다.[10] 은 무역의 주요 거점은 필리핀과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에 위치했으며, 특히 마닐라는 아메리카,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및 중국 간 상품 교환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15] 그러나 태평양을 건너 아메리카에서 직접 유입된 은도 상당량 있었다.[13]

마닐라를 통한 명나라와의 무역은 스페인 제국의 주요 수입원이었다. 1593년까지 매년 두 척 이상의 배가 각 항구에서 출항했다.[16] 갤리온 무역은 주로 푸젠의 항구 지역 상인들이 공급했으며, 이들은 마닐라로 건너가 스페인인들에게 향신료, 도자기, 상아, 칠기, 가공된 실크 천 등 귀중한 상품을 판매했다. 화물은 항해마다 달랐지만, 중국산 옥, 밀랍, 화약, 실크, 인도산 호박, 면화, 양탄자,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산 향신료, 일본산 부채, 상자, 스크린, 도자기 등 아시아 전역의 다양한 상품이 포함되었다.[17]

1584년 일본-명나라 무역선 기에는 세 명의 명나라 상인의 서명과 가오가 새겨져 있다. 이 깃발은 다음 해 현재의 시모노세키(야마구치현)에 도착했을 때 게양될 예정이었다.

5. 2. 해외 무역과 은 유입

명나라 초기에는 홍무제해금 정책을 펼쳐 엄격하게 무역을 제한했다.[7] 홍무제는 농업이 경제의 근본이라 믿고 상업을 억제했으나, 그의 사후 대부분의 정책은 후계자들에 의해 뒤집혔다. 명나라 말기에는 국가가 상인들에게 권력을 잃어가는 상황이었다.

명나라는 유럽 및 일본과 활발하게 무역했다. 조셉 니덤(Joseph Needham)은 명나라로 유입된 은의 양을 3억 냥(10,500미터톤)으로 추정했는데, 이는 현재 가치로 1,900억 달러가 넘는 금액이다. 명나라는 은 외에도 유럽제 화기를 수입하여 무기를 현대화했다.

명나라 정부는 운하, 도로, 교량을 건설하여 자유화된 경제에서 무역과 상업이 번성하는 데 기여했다. 회화, 진 씨족과 같이 거대한 부를 소유한 상인 가문들이 등장했고, 젠트리와 상인 계급이 융합되면서 상인들은 국가를 희생해 권력을 얻었다. 일부 상인들은 3천만 냥의 재산을 소유하기도 했다.

중국은 세계 무역의 중심 역할을 했다.[7] 일본과의 무역은 금수 조치에도 불구하고 중국 밀수업자, 동남아시아 항구, 포르투갈을 통해 활발히 이루어졌다. 중국은 세계 무역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되었다.[8]

유럽 국가들은 실크와 도자기 같은 중국 상품을 매우 원했다.[9] 그러나 유럽에는 중국이 원하는 상품이 없었기 때문에 무역 적자를 메우기 위해 은을 지불해야 했다.[10] 대항해 시대 스페인인들은 포토시 은광 등에서 막대한 양의 은을 발견하여 무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스페인 아메리카 은광은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은의 원천이었으며,[11] 200년 동안 4만 톤의 은을 생산했다.[12] 아메리카와 일본에서 생산된 은의 대부분은 결국 중국으로 흘러 들어갔다.[13] 1500년부터 1800년까지 멕시코와 페루는 세계 은의 약 80%를 생산했으며,[14] 그 중 30%가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에는 일본도 중국에 막대한 양의 은을 수출했다.[14] 아메리카에서 나온 은은 주로 대서양을 건너 극동으로 흘러갔다.[10] 은 무역의 주요 거점은 필리핀과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에 위치했다.[15] 마닐라는 아메리카,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간 상품 교환의 주요 거점 역할을 했다.[15] 태평양을 건너 아메리카에서 직접 유입된 은도 상당량 있었다.[13]

마닐라를 통한 명나라와의 무역은 스페인 제국의 주요 수입원이자 필리핀 제도 내 스페인 식민지 주민들의 기본적인 수입원이었다. 1593년까지 매년 두 척 이상의 배가 각 항구에서 출항했다.[16] 갤리온 무역은 주로 푸젠 항구 지역 상인들이 공급했으며, 이들은 마닐라로 건너가 스페인인들에게 향신료, 도자기, 상아, 칠기, 가공된 실크 천 등 귀중한 상품을 판매했다. 화물은 항해마다 달랐지만, 중국산 옥, 밀랍, 화약, 실크, 인도산 호박, 면화, 양탄자,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산 향신료, 일본산 부채, 상자, 스크린, 도자기 등 아시아 전역의 다양한 상품이 포함되었다.[17]

5. 3. 조세 제도

명나라의 세율은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농업 생산물에 부과된 세금은 1/30에 불과했고, 나중에는 1/50로 줄어들었다. 상업에 부과된 세금은 처음에는 1/30이었다가, 나중에는 1.5%로 내려갔다. 이와 같은 낮은 세율은 무역과 경제를 크게 발전시켰으나, 결과적으로는 중앙정부의 힘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18] 특히 소금세는 국가 수입의 중요한 원천이었으나 명나라가 이를 민영화시킴에 따라 크게 세입이 줄어들게 되었다.[18] 17세기에 소빙하기가 도래하며 세입이 추락하자, 명나라의 재정은 적자를 이어갔고 수많은 병사들이 밀린 급료와 대우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킬 정도였다.[18]

명나라 시기 동안 정부의 시장 통제 능력은 점차 줄어들었다. 소금과 철에 대한 국가의 독점은 완전히 사라져 민간에 넘겨졌고, 다른 산업들도 대다수 민영화되었다. 세금은 원나라 시대의 높은 수준에서 감소했고, 명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1인당 부담 세율이 적은 나라였다. 명나라는 매년 300만 냥이 넘는 무역을 하였으나, 정부가 이 무역에서 거둬들이는 세입은 40,000냥 정도뿐이었다. 만력제가 소금세를 올려 적자를 메우려 했으나, 지방 관리들이 중앙에서 내려보낸 조세원의 목을 잘라버리는 등 반발이 심하여 철회하였다.

5. 4. 자본주의의 등장

명나라 초기 홍무제는 농업을 중시하며 상업을 엄격하게 규제했지만, 홍무제 사후 상업은 점차 중요해졌고 대부분의 규제는 사라졌다. 명나라 후기에는 상업 규제가 거의 없어졌고, 부유한 상인 계급이 나라의 주권을 좌지우지할 정도였다.

명나라는 일본, 유럽과 활발히 무역했는데, 유럽 학자 요세프 니드햄의 추정에 따르면 300만 테일에 달하는 은이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이는 현재 가치로 약 22조 원에 해당하며, 당시에는 훨씬 큰 가치를 지녔다. 명나라는 은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화기도 수입하여 군대를 강화했다.

무역과 상업의 번성은 명나라 정부가 수로, 운하, 도로를 건설하여 상품 운송을 편리하게 한 것과 관련이 깊다. 거대한 상인 가문과 부르주아 계급이 등장했으며, 일부 상인 가문은 왕부의 재산을 크게 상회하는 3천만 테일의 재산을 보유하기도 했다.

유럽 국가들은 중국의 비단과 도자기를 원했지만, 중국인들이 매력을 느낄 만한 상품이 없어 은으로 이를 구매해야 했다. 스페인은 남아메리카 포토시 광산에서 생산된 은을 사용했으며, 이 광산은 200년 동안 40,000톤의 은을 생산했다. 일본과 남아메리카에서 생산된 은의 대부분은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1800년대 멕시코와 페루는 전 세계 은 생산량의 80%를 차지했는데, 이 중 30%가 중국으로 들어갔다.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초 일본, 미국에서 생산된 은도 대부분 중국 상품 대금으로 쓰였다. 중국, 일본, 서양 세력 간의 상품 무역은 주로 필리핀과 같은 동남아시아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마닐라가 무역 중심지였다.

투자와 자본은 토지에서 벗어나 벤처 사업에 투자되었다. 송나라 시대부터 이어져 온 흐름을 따라 명나라 투자자들은 벤처 사업에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여 높은 수익을 거두었다. 많은 중국 학자들은 명나라가 중국에서 "자본주의 맹아"가 나타난 왕조였으며, 청나라에 의해 억압되었다고 본다. 이 이론은 마오쩌둥 시대에 공산주의 학자들에 의해 널리 홍보되었으며, 외국 침략에 맞서 중국 국가를 잘못 관리했다는 비난을 받은 만주족 청나라에 대한 그 시대의 일반적인 비난의 영향을 받았다.

6. 명나라와 조선의 관계

이전 단계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현재 단계에서도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필요한 경우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서적 Fountain of Fortune: Money and Monetary Policy in China, 1000–170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2] 서적 China: A New His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4] 서적 The Confusions of Pleasure: Commerce and Culture in Ming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5] 서적 "5000 years of Chinese history" Inner Mongolian People's publishing corp 2001
[6] 서적 the Ming dynasty part 2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1987-05
[7] 간행물 Cycles of Silver: Global Economic Unity through the Mid-Eighteenth Century 2002
[8] 서적 The Sextants of Beijing: Global Currents in Chinese History W. W. Norton and Company 2000
[9] 간행물 Born with a "Silver Spoon": The Origin of World Trade in 1571 1995
[10] 서적 Reorient https://archive.org/[...] 1998-07
[11] 웹사이트 A Century of Lawmaking http://memory.loc.go[...] 2018-05-23
[12] 서적 Silver, Trade, and War: Spain and America in the Making of Early Modern Europ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0
[13] 간행물 Cycles of Silver: Global Economic Unity through the Mid-Eighteenth Century 2002
[14] 간행물 Born with a "Silver Spoon": The Origin of World Trade in 1571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5
[15] 간행물 Silk for Silver: Manila-Macao Trade in the 17th Century 1996
[16] 문서 The Manila Galleon 1939
[17] 간행물 The Economics of the Manila Galleon New York University, Abu Dhabi
[18] 서적 The Ming Dynasty, 1 398–1644, Part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