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축은 농경과 함께 시작되어 가축을 기르는 행위로, 인류가 식량과 자원을 얻는 중요한 방식 중 하나이다. 기원전 6500년경 서아시아에서 농경과 동시에 시작되었으며, 양, 염소, 소 등 유제류 동물을 사육하여 고기, 젖, 피혁, 털 등을 활용했다. 목축은 혼합 농업 또는 수렵 채집에서 진화했으며, 이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유목 목축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목축은 자원, 특히 목초지를 기반으로 하며, 공유지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환경적 문제와 갈등을 겪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축민 - 카우보이
카우보이는 미국 서부 개척 시대의 소를 몰고 관리하는 목동을 지칭하는 용어로, 스페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 개인주의, 그리고 서부 개척 정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목축민 - 양치기
양치기는 약 5,000년 전 소아시아에서 시작되어 유라시아에 퍼진 직업으로, 양을 돌보고 양털이나 유제품을 얻는 역할을 하며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사회적 고립과 유목 생활,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며 현대에는 축산업 변화와 함께 역할과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 축산 - 구유
구유는 예수 탄생 이야기에서 마리아와 요셉이 아기 예수를 뉘었던 곳으로, 겸손과 신성한 탄생을 상징하며, 성탄절에 교회나 가정에 장식되기도 한다. - 축산 - 목초지
목초지는 가축 방목을 위해 울타리를 쳐 놓은 농경지를 의미하며 관리 방식에 따라 집약적 목초지와 토착 식물 기반 방목지로 나뉘고 토양, 기온, 강우량 등이 중요한 관리 요소이다.
목축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정의 | 가축을 사육하는 농업의 한 분야 |
관련 산업 | 육류 생산 낙농업 양모 생산 |
목축의 유형 | |
사육 방식 | 방목 축사 사육 유목 |
사육 동물 | 소 양 돼지 말 닭 염소 낙타 라마 알파카 |
목축과 환경 | |
토지 이용 | 광대한 토지 필요 |
환경 영향 | 온실 기체 배출 토양 침식 산림 파괴 사막화 |
지속 가능한 목축 | 방목 관리 윤작 친환경 사료 사용 |
목축의 역사 | |
기원 | 신석기 시대 농업 발달과 함께 시작 |
초기 형태 | 유목 생활 방식 |
근대화 | 기술 발전으로 대규모 축산 가능 |
목축의 사회문화적 의미 | |
경제적 역할 | 식량 공급 소득 창출 |
문화적 의미 | 일부 문화권에서 전통 문화의 중요한 요소 |
현대 목축의 도전 과제 | |
환경 문제 |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 |
질병 관리 | 전염병 확산 방지 |
윤리적 문제 | 동물 복지 문제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목장 축산 농가 가축 사료 유제품 축산물 |
기타 정보 | |
학문 분야 | 농업 과학, 동물 과학 |
2. 기원
팔레스티나의 나투프 문화, 이라크의 팔레가우라 문화는 중석기시대의 문화에 속하며 농경과 목축의 이전 단계에 있었다. 그곳에서는 야생 곡물 수확과, 훗날 가축이 되는 동물의 수렵이 이루어졌다. 인류는 곧 토지를 경작하여 곡물을 재배하게 되었는데, 최초로 농경을 실시한 지역은 북이라크의 산악지대이다. 재배된 곡물은 보리, 밀, 에메르 밀이었다. 야생 보리는 북아프리카, 팔레스티나, 소아시아, 트란스코카서스, 아프가니스탄에 분포했고, 밀은 발칸 반도, 크림반도, 소아시아에 야생했으며, 에메르 밀은 팔레스티나와 이란에 야생하고 있었다. 북이라크의 초기 농민들은 이러한 품종을 서서히 개량해 나갔다. 곡물은 탄수화물을 많이 함유하여 영양가가 매우 높고 오래 저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 낟알로 몇십 배나 수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경작에 필요한 노력이 적게 들었다. 천재지변이 일어나지 않는 한 농민은 기아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농경구로서 중앙에 구멍을 뚫은 둥근 돌(막대에 꽂아서 찍는다.)이나 마제 돌도끼가 발명되고, 아스팔트로 뭉친 낫, 곡물을 제분하기 위한 돌절구, 돌공이도 제작되었다. 당시의 농경은 빗물에 의지하고 있었다. 농경과 함께 목축이 행해졌는데, 사육된 동물은 양, 염소, 돼지, 소 등의 유제류 동물이었다. 이러한 동물의 고기와 젖은 식용으로, 피혁과 털은 의복으로, 똥은 비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더욱이 이러한 동물은 온순하여 사람을 따르기 쉬운 성질을 가졌고, 풀이나 곡물, 인간이 먹고 남은 것을 먹이로 할 수 있었다. 최초의 목축은 야생 동물을 길들인 것이다. 야생의 양은 튀르키예에서 이란에 이르는 산악지대에 존재했고, 야생의 돼지(멧돼지)도 같은 장소에 있었다. 서아시아, 특히 북이라크는 이와 같이 야생의 곡물과 동물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지역이었다. 농경과 목축은 거의 동시에 기원전 6500년경 시작되었다.
thumb족. 새뮤얼 대니얼의 아쿠아틴트(1805).]]
2. 1. 혼합 농업과의 관계
한 이론에 따르면 목축은 혼합농업에서 발전했다고 한다. 베이츠와 리스는 관개를 농업에 통합함으로써 전문화가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8] 혼합농업의 장점에는 실패 위험 감소, 노동 분담, 자원 재활용 등이 있다. 관개 농업의 생산성 증가는 인구 증가와 자원에 대한 추가적 영향을 초래했다. 토지의 인접 지역은 동물 사육에 계속 사용되었다. 이는 충분한 사료를 수집하기 위해 가축이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함을 의미했다. 집약적인 농업과 목축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전문화가 일어났다. 농업과 목축은 서로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면서 함께 발전했다.[8]2. 2. 수렵 채집과의 관계
목축은 수렵과 채집에서 진화했다는 이론이 있다. 야생 염소와 양을 사냥하던 사람들은 가축의 이동성과 필요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가축을 따라다니는 이동성을 보였다. 길들여지지 않은 가축은 원시 목축 유목 수렵 채집 그룹에 의해 가축화되어 길들여짐으로써 더욱 통제 가능하게 되었다. 과거 수렵 채집민들의 전략은 혼합 농업인들과 마찬가지로 지역 환경 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불확실했다. 채집 전략에는 대형 사냥과 소형 동물 사냥이나 포획, 낚시, 조개류나 곤충 채집, 과일, 씨앗, 견과류와 같은 야생 식물 채집 등이 포함되었다.[10]이러한 이동하는 가축들 사이에서 생존을 위한 다양한 전략들은 유목 목축으로의 진화 경로를 제공했을 수도 있다.
3. 자원
목축은 경작되지 않은 지역에서 이루어지며, 가축은 주변 지역의 풀을 먹고 자란다. 목축민들은 가축의 젖, 피, 고기 등을 통해 생존하며, 양모나 우유와 같은 부산물을 돈과 식량으로 교환한다.[11] 목축민들은 단순 생계 수준을 넘어 부를 축적하고 국제 무역에 참여하기도 하며, 농경민, 원예민 등 다른 집단과 무역 관계를 맺고 가축 자원을 다른 물품과 교환한다.
3. 1. 공유 자원 관리
가축의 먹이가 되는 목초가 자라거나 재배되는 땅을 '''목초지'''라고 한다. 이는 목장주나 기업이 소유하는 사적인 목초지와 주민들에게 널리 개방되어 있는 지역 공동체의 공유 목초지로 나눌 수 있다. 후자에는 자연 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공유 방목지도 포함된다.[1] 현대적인 목축 또는 선진국의 목초지는 전자이지만, 역사적으로는 후자의 자연 지형을 이용한 방목지 또는 지역 공동체의 공유 목초지가 주류였다.하지만 현재 개발도상국의 목축에서도 지역 공동체나 자연 지형을 이용한 공유 목초지는 무시할 수 없다. 이러한 목초지는 지역 공동체 구성원이 이용하고 관리하는 공유지라고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자연 지형을 이용한 방목지 또는 지역 공동체의 공유 목초지에서는 이용자가 다른 이용자에게도 배려하여 목축을 해왔다.[1] 공유지(코먼즈)를 둘러싸고 이용자가 가축을 과도하게 사육하여 공유지의 목초를 착취적으로 이용하는 과방목이 진행된다고 하여 「공유지의 비극」이 주장되기도 하지만, 역사적으로 공유지의 비극으로 목축이 쇠퇴한 사례는 거의 없다고 생각된다.[1]
4. 이동성
이동성은 유목민들이 환경에 적응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낮은 인구 밀도, 이동성, 정보 시스템 등을 통해 불확실한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한다.[14] 유목민들은 가축을 이끌고 계절에 따라 목초지와 물을 찾아 넓은 지역을 이동하는데, 보통 100~500km 반경을 이동한다.
유목민들은 고기, 가죽, 양모, 우유, 피, 분뇨, 운송 등 다양한 목적으로 가축을 기르며, 기후와 환경에 따라 일일 이동이나 계절적 이동을 한다.[17] 이들은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강수량 변화를 파악해 가축을 이동시키기도 한다.[18][19] 전이 방목(Transhumance)은 계절별 목초지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20]
소말리아 유목민들은 가혹한 환경 속에서도 유목 문화를 발전시켜 왔으며, 소말리아 시는 인간 상호 작용, 유목 동물, 자연 현상 등을 묘사한다. 굴레드 하지(Guled Haji)는 "물이 있는 우물은 결코 멀지 않습니다."라는 속담으로 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7]
아리아알족에게도 이동성은 중요했지만, 인구 증가, 가뭄, 농업 확장, 상업 목장 및 사냥터 확장으로 이동성이 상실되면서 가난한 가정은 유목에서 쫓겨나 도시에서 일자리를 구하기도 했다.[28]
4. 1. 환경에 미치는 영향
유목은 오랜 기간 동안 가축 방목과 인위적인 불을 통해 환경에 영향을 미쳐왔다.[15] 불은 목초지를 재생시키고 삼림 재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불과 가축의 섭식은 전 세계 여러 지역의 풍경을 변화시켰다.[15] 지중해 지역의 마키 관목지는 인위적인 불과 가축 방목에 적응한 파이로파이트 식물이 우점하는 환경을 보여준다.[16]4. 2. 갈등
유목민은 정착민과 토지 이용을 둘러싸고 갈등을 겪을 수 있다. 특히 인구 증가와 환경 변화로 인해 자원이 부족해지면서 갈등이 심화되는 경향이 있다.[25][26] 이러한 분쟁은 중동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고대에도 기록되어 있다.[25][26]히말라야 산맥에서는 유목민이 역사적으로 국경을 넘나드는 목초지에 의존해 왔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국가의 성장과 함께 국경을 넘나드는 이동이 제한되면서 기존의 유목 방식이 와해되고 유목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21] 또한 유목은 정착 농업 공동체에 더 많은 이익을 주는 새로운 지역 산림 방식이나, 댐 건설 및 보호 구역 조성과 같은 개발 프로젝트와도 마찰을 빚는 경향이 있다.[22][23][24]
아프리카 사헬 지역에서는 정착이 장려되면서 이동성이 제한되었고, 인구 증가와 위생 및 의료 치료 개선으로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유목민의 유연성이 감소하기도 하였다.
5. 환경 지식
유목민들은 오랜 경험을 통해 특정 환경의 가치에 대한 정신적 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생태 과정과 환경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29] 정보 공유는 연결된 사회 네트워크를 통해 지식을 창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30]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유목민 지식 허브를 통해 유목에 대한 기술적 지식 저장소를 제공하고, 유목민과 관련 이해 관계자 간의 교류 및 동맹 구축을 위한 중립적 포럼 역할을 수행한다.[33] 에티오피아의 아파르 유목민들은 '다구(dagu)'라는 토착 통신 방법을 통해 다양한 지역의 기후와 목초지 이용 가능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는다.
5. 1. 현대 유목의 어려움

현대 사회에서 유목은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21] 히말라야 산맥에서는 유목민들이 역사적으로 국경을 넘나드는 목초지에 의존해 왔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아시아 국가들의 성장과 함께 국경 통제가 강화되면서 기존의 유목 방식은 와해되고 국경을 넘나드는 유목은 감소했다.[21]
이들 국가 내에서 유목은 정착 농업 공동체에 더 많은 이익을 주는 경향이 있는 반파차야트(우타라칸드) 및 지역 산림 이용 그룹(네팔)과 같은 새로운 지역 산림 방식과 갈등을 빚고 있다.[22] 또한 댐 건설 및 보호 구역 조성과 같은 개발 프로젝트와도 마찰이 발생한다.[23][24]
일부 유목민들은 끊임없이 이동하며 도시 정착민들과 갈등을 빚기도 하는데, 이는 분쟁 지역에서의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중동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고대에도 기록되어 있다.[25][26]
아리아알족의 경우 인구 증가, 심각한 가뭄, 농업 확장, 상업 목장 및 사냥터 확장의 영향으로 목초지가 줄어들어 이동성이 상실되었다. 가장 가난한 가정은 유목에서 쫓겨나 도시에서 일자리를 구했고, 소수의 아리아알 가정만이 교육, 의료, 소득 획득의 혜택을 받았다.[28]
아프리카 사헬 지역에서는 식민지화의 영향으로 정착이 장려되면서 이동성이 제한되었고, 인구가 세 배로 증가했으며 위생과 의료 치료가 개선되었다. 이는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유목민의 유연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6. 가축 유전자원
가축은 자연적, 인위적 선택에 의해 다양한 유전적 구성을 지닌다.[34] 예를 들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유목민들은 해당 환경에 잘 적응하고 가뭄과 질병을 견딜 수 있는 가축 품종을 선호한다.[35] 반면, 다른 축산 시스템에서는 생산성이 더 높은 외래 품종을 선호하여 이러한 품종이 권장되지 않는다.[34] 전 세계적인 시장 선호와 기후 변화로 인해[36] 가축 질병 발생 양상이 변화하고 사료의 질 저하 및 이용 가능성이 감소할 수 있어 이러한 상황은 방치될 수 없다. 따라서 유목민들은 지역 가축 품종을 보존함으로써 가축 유전자원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35] 일반적으로 유목민 사회에서 가축 유전자원을 보존하는 것은 신뢰성과 관련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37]
7. 공유지의 비극
가렛 하딘은 1968년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논문에서 공유 자원이 과도하게 사용되어 파괴되는 과정을 설명하며, 목축민의 토지 이용 전략이 불안정하여 환경 훼손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했다.[38][39] 하딘은 사람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하거나 합의 및 계약을 맺을 수 없는 상황을 "공유지의 비극"의 조건 중 하나로 제시했는데, 많은 학자들은 이것이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40]
엘리너 오스트롬은 "공유지의 거버넌스"에서 공유 자원이 민영화나 정부의 완전한 통제보다 공동체 그룹과 협동조합을 통해 더 지속 가능하게 관리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41] 오스트롬은 이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42]
역사적으로 자연 지형을 이용한 방목지 또는 지역 공동체의 공유 목초지는 이용자가 다른 이용자에게도 배려하여 목축을 해왔다. 하지만 공유지를 둘러싸고는 이용자가 가축을 과도하게 사육하여 공유지의 목초를 착취적으로 이용하는 과방목이 진행된다고 하여 「공유지의 비극」이 주장되기도 한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공유지의 비극으로 목축이 쇠퇴한 사례는 거의 없다고 생각된다.
7. 1. 기후 변화와 갈등
기후 변화, 토지 황폐화, 인구 증가는 목축민-농민 갈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44][45][46] 특히 나이지리아, 말리, 수단, 에티오피아 등 아프리카 사헬 지역과 아프리카의 뿔 지역 국가에서 이러한 갈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44][45][46]
가렛 하딘(Garrett Hardin)은 1968년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논문에서 목축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토지가 과도하게 사용되어 파괴되는 과정을 설명했다.[38] 그는 목축민의 토지 이용 전략이 불안정하고 환경 훼손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39] 그러나 엘리너 오스트롬(Elinor Ostrom)은 "공유지의 거버넌스"에서 공유 자원이 공동체 그룹과 협동조합을 통해 더 지속 가능하게 관리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하딘의 주장에 반박했다.[41]
아프리카 사헬 지역의 목축민들은 자원 고갈의 책임을 졌지만,[39] 실제로 자원 고갈은 사전 간섭과 가혹한 기후 조건에 의해 촉발되었다.[43] 하딘의 논문은 토지 민영화를 해결책으로 제시했지만,[38] 민영화 프로그램은 목축 사회의 생계에 영향을 미치고 환경을 약화시킨다.[29]
8. 가축의 종류 (일본어 문서 기반)
유럽 북부와 중앙아시아, 아라비아 반도, 사하라 사막 주변부와 같은 건조 지대, 그리고 알래스카, 시베리아와 같은 냉대지에서 목축이 주요 생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건조와 한랭 등 토지별 기후에 적합한 가축이 선택된다. 예를 들어, 가장 건조한 사하라 주변부에서는 낙타가, 가장 추운 알래스카와 시베리아 등에서는 순록이 사육된다.[1]
농경과 함께 목축은 기원전 5000년경 신석기 시대의 고대 이집트 등에서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 수렵 또한 동물을 대상으로 하지만, 꾸준히 동물과 접촉하는 목축과는 문화적, 기술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1]
8. 1. 목양견
최초로 가축화된 동물은 개이지만, 목축을 위해 최초로 가축화된 동물은 염소나 양으로 생각된다. 목축에 특화된 개를 목양견이라고 하며, 콜리나 저먼 셰퍼드 독 등의 품종이 만들어졌다.[1]참조
[1]
논문
Archaeological assessment reveals Earth's early transformation through land use
2019-08-30
[2]
논문
Pastoralism at Scale on the Kazakh Rangelands: From Clans to Workers to Ranchers
2021
[3]
백과사전
Pastures and Pastoralism
2018-11-29
[4]
서적
IPCC SRCCL
2019
[5]
논문
Complex Rangeland Systems: Integrated Social-Ecological Approaches to Silvopastoralism
2018
[6]
논문
The role of grazing in Mediterranean rangeland ecosystems – inversion of a paradigm
1998
[7]
논문
Ecosystem Services are Social–ecological Services in a Traditional Pastoral System: the Case of California's Mediterranean Rangelands
http://dlc.dlib.indi[...]
2014
[8]
논문
The Origins of Specialized Nomadic Pastoralism: A Systemic Model
1974
[9]
웹사이트
Mixed crop-livestock farming
http://www.fao.org/D[...]
[10]
백과사전
Hunting and Gathering Culture
https://www.britanni[...]
[11]
문서
1998
[12]
서적
People and nature : an introduction to human ecological relations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2006
[13]
논문
China's Rangelands under Stress: A Comparative Study of Pasture Commons in the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2000
[14]
문서
1998
[15]
서적
People and Nature: An Introduction to Human Ecological Relations
Blackwell Publishing
2006
[16]
서적
Vestal Fire: An Environmental History, Told through Fire, of Europe and Europe's Encounter with the World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7
[17]
서적
People and Nature: An Introduction to Human Ecological Relations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2006
[18]
서적
Drought Follows the Plow
Basic Books
1999
[19]
서적
I pascoli erranti
Liguori
1989
[20]
웹사이트
transhumance | pastoral societ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1]
논문
Withering of traditional institutions?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the decline of migratory pastoralism in the rangelands of the Kailash Sacred Landscape, western Himalayas
2017-01-02
[22]
논문
Withering of traditional institutions?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the decline of migratory pastoralism in the rangelands of the Kailash Sacred Landscape, western Himalayas
2017-01-02
[23]
논문
Transhumance and Customary Pastoral Rights in Himachal Pradesh: Claiming the High Pastures for Gaddis
https://www.jstor.or[...]
1998
[24]
웹사이트
Strangers in their own land
https://www.downtoea[...]
2022-08-04
[25]
논문
The Myth of Desertification at China's Northwestern Frontier: The Case of Ningxia Province, 1929–1958
2000
[26]
논문
Mao's War against Natur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Grain-First Campaign in China
2003
[27]
논문
Accentual Patterns in Verbal Forms in the Isaaq dialect of Somali
https://www.jstor.or[...]
1978
[28]
서적
Environmental Anthropology: From Pigs to Policies
https://archive.org/[...]
Waveland Press
2009
[29]
논문
Re-Thinking the Pastoral Ecological Impact in East Africa
1992
[30]
논문
High-Reliability Pastoralism Versus Risk-Averse Pastoralism
1998
[31]
뉴스
Farmer-Herder Conflicts on the Rise in Africa
https://reliefweb.in[...]
ReliefWeb
2018-08-06
[32]
서적
Pastoralism and the Green Economy –a natural nexus?
https://portals.iucn[...]
IUCN and UNEP
2014
[33]
웹사이트
The Pastoralist Knowledge Hub
http://www.fao.org/p[...]
FAO
2016
[34]
논문
The need to conserve farm animal genetic resources in Africa: should policy makers be concerned?
2003
[35]
논문
Costing the conservation of animal genetic resources: The case of Borana cattle in Ethiopia and Kenya
2009
[36]
서적
Animal Genetics Training Resource
2011
[37]
학술지
Conservation of animal genetic resources – A new tact
[38]
학술지
The Tragedy of the Commons
1968
[39]
학술지
Pastoralism: Governance and Development Issues
1997
[40]
학술지
China's Grassland Contract Policy and its Impacts on Herder Ability to Benefit in Inner Mongolia: Tragic Feedbacks
2011
[41]
서적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Nobel Prize Awarded Women
http://www.nobelpriz[...]
2019-10-14
[43]
학술지
Rangeland Degradation in North China Revisited? A Preliminary Statistical Analysis to Validate Non-Equilibrium Range Ecology
2001
[44]
잡지
How Climate Change Is Spurring Land Conflict in Nigeria
https://time.com/532[...]
2018-06-28
[45]
뉴스
The battle on the frontline of climate change in Mali
https://www.bbc.com/[...]
2019-01-22
[46]
뉴스
The Deadliest Conflict You've Never Heard of
https://www.foreigna[...]
2019-01-23
[47]
서적
Living on the Move: Bhotiyas of the Kumaon Himalaya
Sage Publications
[48]
서적
명예와 폭력:미국 남부의 문화와 심리
북대路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