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친위대 인도 의용군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장친위대 인도 의용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지원을 받아 영국령 인도 독립을 목표로 결성된 부대이다. 1차 세계 대전부터 이어진 독립 운동의 일환으로, 독일은 인도 포로와 망명 인도인들을 모병하여 군사력을 키웠다. 수바스 찬드라 보스의 지휘 아래, 이 부대는 독일군의 제복과 무기를 사용했으며, 주로 유럽 전선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독일이 패배하면서 계획했던 인도 침투는 무산되었다. 1944년 무장친위대에 편입되었으나, 종전 후 연합군에 항복하거나 스위스로 망명을 시도하다 실패했고, 구성원들은 반역죄로 재판을 받았다. 자유 인도 군단은 나치 독일과의 협력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었지만, 영국령 인도 제국에 맞서 싸운 해방군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극우 정치 - 시브 세나
1966년 발 타크레이가 창립한 시브 세나는 마하라슈트라 주 기반 정당으로, 마라티 민족주의를 표방하며 인도 국민당과의 연합과 분열을 거듭했으나 2022년 분당되어 당명 및 상징 사용권 분쟁 중에 있으며, 여러 사회 활동과 함께 폭력 사태 및 언론 탄압 논란으로 비판받고 있다. - 인도의 극우 정치 - 국민 의용단
국민 의용단은 1925년 창설된 인도의 힌두 민족주의 단체로, 힌두 문화 부흥과 강력한 인도 건설을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지만 극단주의 성향 등의 비판도 받는다. - 독일 국방군의 외인의용부대 - 러시아 해방군
러시아 해방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협력하여 소련에 대항한 러시아인들로 구성된 군사 조직이며, 안드레이 블라소프 장군이 주도하여 결성되었지만 종전 후 대부분 소련으로 송환되어 처벌받았다. - 독일 국방군의 외인의용부대 - 아제르바이잔 군단
아제르바이잔 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국방군과 무장친위대에 복무한 아제르바이잔인으로 구성된 군사 조직으로, 독일이 소련군 포로와 무슬림 자원병을 모집하여 창설되었으며 바르샤바 봉기 진압 등에 참여하여 악명을 떨쳤다. - 항영 저항운동 - 무슬림 형제단
무슬림 형제단은 1928년 하산 알반나가 이집트에서 설립한 범이슬람주의 운동으로, 사회 개혁과 이슬람 형제애 부흥을 목표로 시작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팔레스타인 문제 개입, 정권 장악 시도, 탄압 등의 부침을 겪으며 현재는 여러 국가에서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기도 하는 단체이다. - 항영 저항운동 - 세포이 항쟁
세포이 항쟁은 1857년부터 1859년까지 영국 동인도회사에 맞서 인도 용병들이 일으킨 대규모 항쟁으로, 종교적 금기를 어기는 동물성 기름 사용 소문이 발단이 되었으나, 영국 동인도회사의 인도 지배 강화, 사회적 혼란, 세포이들의 처우 불만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으며, 인도 독립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무장친위대 인도 의용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부대 명칭 | 자유 인도 군단 |
원어 명칭 (독일어) | Legion Freies Indien |
독일어 명칭 | Indische Legion |
독일어 명칭 2 | Infanterie-Regiment 950 (indisches) |
독일어 명칭 3 | Indische Freiwilligen Legion der Waffen-SS |
별칭 | 호랑이 군단 |
별칭 2 | 아자드 힌드 파우지 |
국가 | 나치 독일 |
복무 기간 | 1941년 – 1945년 5월 |
소속 | 독일 육군 (1941년–1944년) |
소속 2 | 무장친위대 (1944년–1945년) |
병과 | 보병 |
규모 | 4,500명 (최대) |
주둔지 | 쾨니히스브뤼크 라거 호이베르크 |
![]() | |
![]() |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수바스 찬드라 보스 하인츠 베르틀링 |
전투 및 작전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대서양 방벽 이탈리아 전선 프랑스에서의 퇴각 베를린 전투 |
2. 역사적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가다르당과 인도 독립 연맹은 독일 제국의 지원을 받아 영국령 인도 육군 내에서 반란을 일으키려 했으나, 영국 정보부에 정보가 유출되어 실패했다.[1][2] 이는 인도 의용군단 결성의 기원이 된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영국령 인도를 무너뜨리기 위한 인도 진격 무장 세력 양성 아이디어는 제1차 세계 대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가다르당과 신생 인도 독립 연맹은 독일의 지원을 받아 펀자브 지역에서 홍콩까지 영국령 인도 육군 내에서 반란을 일으킬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은 영국 정보부에 정보가 유출되면서 실패했지만, 여러 차례의 반란 시도와 1915년 싱가포르에서 인도군 병사들의 반란 이후에야 실패했다.[1][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주요 추축국 3개국 모두 인도에서 무장 혁명 활동을 지원하려 했고, 영국령 인도 육군에서 복무하다 포로로 잡힌 인도 포로 (POW)와 해외 인도인 및 인도계 인물의 군사력 모집을 지원했다.[3]추축국과 함께 싸운 가장 주목할 만하고 성공적인 인도군은 동남아시아의 인도 국민군 (INA)으로, 1942년 4월 대일본제국의 지원으로 결성되었다. 파시스트 이탈리아 역시 1942년 2월 아자드 힌두스탄 대대(Battaglione Azad Hindoustanit)를 창설했다. 이 부대는 이탈리아의 ''Centro I'' 포로 수용소에서 온 인도 포로와 이전에 인도와 페르시아에 거주했던 이탈리아인으로 구성되었으며, 결국 아랍인과 식민지 이탈리아인 부대와 함께 ''라그루파멘토 센트리 밀리타리''에서 복무했다. 그러나 이탈리아 장교 밑에서 복무하고 싶어하지 않았던 부대원들의 반발로 이 노력은 거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 이탈리아가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패배한 후, 인도인들은 리비아에서 싸우라는 지시에 반란을 일으켰다. 그 결과, 대대의 잔존 병력은 1942년 11월에 해산되었다.[17]
인도 독립 투쟁을 이끌던 인도 국민 회의 (INC)는 파시즘에 맞서 싸우는 것을 조건부로 지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지만,[4] 일부 인도 여론은 영국이 일방적으로 인도를 연합국의 편에서 교전국으로 선언한 것에 대해 더 적대적이었다. 당시 더 반항적인 인도 정치 지도자 중 한 명은 전 INC 의장이었던 수바스 찬드라 보스였다. 그는 영국에게 충분히 위협적인 인물로 여겨져 전쟁이 시작되자 체포되었다. 보스는 1941년 1월 인도에서 가택 연금에서 탈출하여 독일의 군사 정보 기관인 아프베어의 도움을 받아 아프가니스탄을 거쳐 소련으로 갔다. 공산주의자였던 보스는 소련의 지원을 받으려 했다.
모스크바에 도착한 그는 인도에서 민중 봉기를 일으키려는 자신의 계획에 대해 기대했던 소련의 지원을 받지 못했다. 소련은 복잡한 지정학적, 전략적 관계를 헤쳐나가고 있었고, 임박한 독일의 침공에 대비하여 연합국과의 잠재적인 동맹을 깨고 싶어하지 않았다. 모스크바 주재 독일 대사인 슈렌부르크 백작은 곧 보스가 베를린으로 갈 수 있도록 주선했다. 그는 1941년 4월 초에 도착하여 외무 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와 나중에 아돌프 히틀러를 만났다. 베를린에서 보스는 자유 인도 센터와 아자드 힌드 라디오를 설립하여 단파 라디오 주파수로 인도인들에게 방송을 시작했고, 이는 단파 수신기를 가진 수만 명의 인도인들에게 도달했다.[11] 곧 보스의 목표는 군대를 양성하는 것이 되었는데, 그는 이 군대가 독일군과 함께 인도에 진격하여 라지(Raj, 영국의 인도 통치)를 무너뜨릴 것이라고 상상했다.
3. 기원
인도 의용군단의 첫 번째 병력은 토브룩 포위전 당시 리비아 엘 메킬리에서 포로로 잡힌 인도군 포로들로 모집되었다. 서부 사막의 독일군은 27명의 포로를 장교 후보로 선발하여 1941년 5월 베를린으로 이송했으며, "Centro I" 실험 이후에는 이탈리아군으로부터 독일로 이송된 포로들이 뒤따랐다. 독일로 이송된 포로의 수는 약 10,000명으로 늘어났으며, 이들은 결국 안나부르크 수용소에 수용되었고, 여기서 보스가 처음 그들을 만났다. 300명의 포로와 독일에 거주하는 인도인 망명자들로 구성된 첫 번째 그룹은 켐니츠 근처의 프랑켄베르크 수용소로 보내져 훈련을 받고 도착하는 포로들에게 군단에 합류하도록 설득했다.
군단에 합류하는 포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군단은 추가 훈련을 위해 쾨니히스브뤼크로 이동했다. 쾨니히스브뤼크에서 처음으로 제복이 지급되었는데, 독일군 야전 회색 제복에 "아자드 힌드"의 도약하는 호랑이 휘장이 부착되었다. 인도 국민군의 창설은 1942년 1월 독일 선전부에 의해 발표되었다. 그러나 1942년 8월 26일에야 독일군의 "자유 인도 군단"으로서 선서를 했다. 1943년 5월까지 인도 망명자들의 자원 입대로 인해 병력이 증가했다.
1943년까지 유럽에는 약 15,000명의 인도군 포로가 있었으며, 대부분 독일이 관리했다. 일부는 국왕-황제에게 충성을 유지하며 보스와 군단을 경멸했지만, 대부분은 보스의 대의에 어느 정도 공감했다. 약 2,000명이 군단원이 되었지만, 다른 일부는 여러 이유와 상황으로 인해 훈련을 완료하지 못했다. 군단의 최대 규모는 4,500명이었다.
보스는 독일 최고사령부로부터 군단이 독일 군대에서 복무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합의를 얻었다. 독일군은 인도인들에게 독일 부대가 훈련받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무기를 사용하는 모든 병과와 기동 부대에서 훈련을 시킬 것이며, 인도 군단병들은 어떤 독일 구조와도 섞이지 않을 것이며, 영국과 싸우기 위해 인도 이외의 전선에는 보내지지 않을 것이지만, 다른 어떤 곳에서도 자위 전투를 할 수 있었다. 다른 모든 면에서 군단병들은 독일 군인과 동일한 급여, 의류, 식량, 휴가 등에 관한 시설과 편의를 누릴 수 있었다. 네덜란드와 프랑스에서의 부대 배치와 관련하여, 이는 겉으로는 훈련 목적이었으며, 보스의 계획에 따라 부대는 해안 방어 및 요새화의 일부 측면에서 훈련을 받았다. 연합군의 프랑스 침공 후, 부대는 독일 군사적 이익을 위한 전투에 참여하지 않도록 독일로 다시 소환되었다.
4. 조직
영국령 인도 육군은 종교, 지역, 카스트에 따라 부대를 조직했다. 수바스 찬드라 보스는 독립을 위해 싸울 병사들 사이에 통일된 인도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무슬림, 힌두교도, 시크교도 등 다양한 종교 출신 병사들이 인도 의용군단에서 함께 복무하도록 혼성 부대로 조직했다.[6][7]
대부분의 출처에서 인도 의용군단은 힌두교도 3분의 2, 무슬림과 시크교도를 포함한 기타 종교가 3분의 1을 차지했다고 기록하고 있다.[6][7]
하인리히 힘러가 1943년 말 인도 의용군단의 무슬림 병사들을 "한자르" 사단에 모집할 것을 제안했을 때, 고틀로프 베르거는 "한자르"의 보스니아인들은 스스로를 유럽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인도 무슬림들은 스스로를 인도인으로 인식한다고 지적하며 보스가 구상했던 통일된 국가 정체성의 성공 여부가 분명하게 드러났다.[7] 아돌프 히틀러는 인도 의용군에 대해 "인도 의용군은 농담이다!"라고 말하며 그들의 무기를 제18 SS "호르스트 베셀" 사단에 넘겨주라고 주장했다.[6]
4. 1. 제복 및 상징
무장친위대 인도 의용군단에게 지급된 제복은 겨울에는 표준 독일군의 펠트그라우 제복을, 여름에는 카키색 제복을 입었다. 또한, 병사들은 오른팔 윗부분에 사프란, 흰색, 녹색의 세 줄무늬가 있는 방패 모양의 특별히 디자인된 팔 배지를 착용했으며, 흰색 중간 띠에는 호랑이가 뛰어오르는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 "Freies Indien"이라는 문구는 삼색기 위에 흰색 배경에 검은색으로 새겨져 있었다.[6][7] 사프란, 흰색, 녹색의 전사(戰士)도 독일군 병사들이 헬멧에 착용했던 검정, 흰색, 빨강 데칼과 유사하게 강철 헬멧의 왼쪽에 착용했다. 군단의 시크교도들은 종교에서 규정하는 대로 일반적인 챙이 있는 야전 모자 대신 제복에 맞는 색상의 터번을 착용하도록 허용되었다.4. 2. 부대 구성
영국령 인도 육군은 종교, 지역, 카스트 정체성에 따라 부대를 조직했지만, 무장친위대 인도 의용군단은 무슬림, 힌두교도, 시크교도 등 다양한 종교를 가진 병사들이 함께 복무하는 혼성 부대였다.[6][7]인도 의용군단은 독일군 표준 보병 연대로 출발하여 3개 대대(각 4개 중대)로 편성되었다. 이후 ''제950기갑척탄병 연대(인도)''로 불리며 81대의 차량과 700마리의 말을 갖춘 부분 기계화 부대로 발전했다.[6]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제1대대'' – 보병 중대 1~4
- ''제2대대'' – 보병 중대 5~8
- ''제3대대'' – 보병 중대 9~12
- ''제13보병포 중대'' (7.5 cm 경보병포 18 6문 장비)
- ''제14대전차 중대'' (''대전차포'' 6문 장비)
- ''제15공병 중대''
- ''명예 근위 중대''
이 외에도 병원, 훈련, 정비 인력이 포함되었다.[6]
5. 활동
수바스 찬드라 보스는 자유 인도 군단이 페르시아를 넘어 인도까지 독자적으로 효과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거나 강력한 군대가 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대신, 인도 의용군단(IR 950)은 영국령 인도 제국에 대한 대중의 불만을 부추기고 영국령 인도군의 반란을 선동하기 위해, 코카서스 지역에서 영국령 인도의 서부 국경으로 진격하는 더 큰 인도-독일군에 앞서 선두 부대가 될 예정이었다.
스탈린그라드와 엘 알라메인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페르시아 또는 소련을 통한 추축국의 공격은 불가능해졌다. 보스는 극동으로 이동하여 인도 국민군이 버마에서, 궁극적으로는 인도 북동부에서 일본군과 함께 연합군과 교전할 수 있었다. 독일 해군 최고 사령부는 지도부와 자유 인도 군단의 일부를 남아시아로 이전하기로 결정했고, 1월 21일에 이들은 공식적으로 인도 국민군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인도 군단의 대부분은 유럽에 남아 원래 계획했던 역할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애드리안 웨일은 인도 군단 소속 병사 약 100명이 1942년 1월 발루치스탄을 침투하라는 임무를 받고 바자데 작전으로 동부 페르시아에 낙하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애드리안 오설리번은 이러한 작전에 대해 "신화적"이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물류적으로 불가능했고, 그러한 작전이 실제로 수행되었다는 문서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
5. 1. 유럽 전선



인도 의용군단은 원래 영국령 인도 제국에 대한 대중의 불만을 부추기고 영국령 인도군의 반란을 선동하기 위해, 코카서스 지역에서 영국령 인도의 서부 국경으로 진격하는 더 큰 인도-독일군에 앞서 선두 부대가 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스탈린그라드와 엘 알라메인에서 독일이 패배하면서 이러한 계획은 불가능해졌다.[15]
이후 군단은 1943년 4월 네덜란드의 젤란트주로 이동하여 대서양 방벽의 일부가 되었고, 1943년 9월에는 344 보병 사단, 나중에는 159 보병 사단에 배속되어 프랑스로 이동했다. 1대대는 1943년 5월 벨기에 베버루에서 잔트보르트로 재배치되어 그루지야 군단에 의해 교체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으며, 1943년 9월 비스케이만의 보르도 대서양 해안에 배치되었다. 2대대는 1943년 5월 베버루에서 텍셀 섬으로 이동하여 그해 9월 교체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고, 이후 프랑스 레 사블 돌론으로 배치되었다. 3대대는 1943년 9월 말까지 군단 예비대로 올데브루크에 남아 있었다.[15]
제9 중대(제2 대대)는 이탈리아에서도 작전을 수행했다. 1944년 봄에 배치되어 영국 제5 군단과 폴란드 제2 군단과 대치하다가, 대(對)파르티잔 작전에 투입되기 위해 전선에서 철수했다. 1945년 4월 이탈리아에서 연합군에 항복했다.[15]
5. 2. 무장친위대 편입
1944년 8월 8일, 하인리히 힘러는 독일군의 다른 모든 외국인 의용군과 마찬가지로 군단의 지휘권을 무장친위대로 이전하도록 승인했다.[8] 부대는 ''무장친위대 인도 의용군단''(Indische Freiwilligen Legion der Waffen-SS)으로 개명되었다. 군단의 지휘권은 오버슈투름반퓌러 쿠르트 크라프에서 ''오버퓌러'' 하인츠 베르틀링으로 이양되었다. 인도 병력은 지휘관 교체를 알아차리고 불만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자신을 "원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지한 베르틀링은 곧 지휘권을 내려놓는 데 동의했다.6. 종전과 해산
1945년 5월, 제3제국의 패배가 임박하자 독일에 주둔하고 있던 인도 의용군단의 잔존 병력은 중립국인 스위스로 망명을 시도했다. 이들은 보덴 호 연안을 따라 2.6km를 필사적으로 행군하여 알프스 산길을 통해 스위스로 진입하려 했다. 그러나 이는 실패로 돌아갔고, 군단은 미국 및 프랑스군에 포로로 잡혀 유럽의 영국 및 인도군에 인도되었다. 일부 증거에 따르면, 이들 인도 병사 중 일부는 영국군에 인도되기 전 임멘슈타트 마을에서 포로로 잡힌 후 프랑스령 모로코군 병사들에게 사살되었다.[9] 포로로 잡힌 병사들은 나중에 인도로 송환되었고, 그중 다수가 반역죄로 재판에 회부되었다. 추축국과 함께 복무한 인도인들의 재판이 영국령 인도 시민과 군대 사이에서 일으킨 소동 이후, 군단 구성원들의 형량은 감형되었다.
7. 유산과 평가
자유 인도 군단은 나치 독일과의 협력으로 인해 그 유산이 복합적으로 평가된다. 한편에서는 이들을 추축국에 협력한 부대로 보기도 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영국령 인도 제국에 맞서 싸운 해방군으로 보기도 한다.[10]
인도 국민군과 같은 교리를 바탕으로 구상되었지만,[11] 인도 의용군단은 종전 후 인도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는 활동 지역이 인도와 멀리 떨어진 유럽이었고, 규모도 인도 국민군보다 훨씬 작았으며, 원래 계획했던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10] 수바스 찬드라 보스의 계획은 군사적 능력에 비해 너무 거창했고, 추축국의 운명에 지나치게 의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자드 힌드의 유산을 살펴보면, 군단과 인도 국민군의 군사적, 정치적 행동과 그들이 당시 사건에 미친 간접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독일 역사에서 이 군단은 다른 외국인 의용 부대보다 덜 언급된다. 하지만 2003년, 영화 제작자이자 작가인 메를레 크뢰거de는 프랑스 주둔 군단 병사들을 소재로 한 미스터리 소설 ''컷!''을 썼다.[10]
가장 논란이 되는 점은 나치 독일과의 협력 관계이다.[10] 군단의 제복, 선서, 작전 지역 등이 나치 독일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수바스 찬드라 보스는 일본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나치의 인종차별 정책과 민주주의 제도 철폐에 반대했지만,[12][13] 1930년대 이탈리아와 독일의 권위주의적 방법을 존경하며 독립 인도를 건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14]
군단 지원병들이 모두 나치 이데올로기에 동조하거나 협력한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수바스 찬드라 보스를 나치 선전의 꼭두각시로 여기는 적대감도 있었다. 많은 군단원들은 인도의 독립을 위해 싸우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부대는 1944년 7월 메독 지역에서 잔혹 행위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졌으며,[15] 강간과 아동 살해 사건도 발생했다.[16]
전쟁 후, 자유 인도 군단 병사들은 인도 국민군 병사들과 함께 군사 재판에 회부되었다. 영국 정부는 이들의 이야기가 선동적이라고 판단하여 BBC 방송을 금지했다.[15] 인도 국민군 재판 이후 내려진 형량은 광범위한 항의와 반란으로 감형되거나 기각되었다. 자유 인도 군단과 인도 국민군 구성원들은 독립 후 인도군 복무가 허용되지 않았지만, 모두 독립 전에 석방되었다.
7. 1. 한국의 관점
자유 인도 군단은 나치 독일 및 기타 추축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광복군은 연합군의 일원으로 일본 제국에 맞서 싸웠던 것과는 반대로, 추축국에 협력한 인도 의용군단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더불어민주당은 대체로 인도 국민회의의 독립 운동을 지지하며, 수바스 찬드라 보스의 독립운동 방식에는 동의하지 않지만 그의 독립 의지를 존중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나치 독일에 협력한 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히 선을 긋고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8. 같이 보기
- 인도 국민군 재판
8. 1. 관련 인물
- 수바스 찬드라 보스: 인도 국민 회의 의장 출신으로, 영국령 인도로부터의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독일에서 자유 인도 센터와 아자드 힌드 라디오를 설립하고 군대 양성을 추진했다.[11]
- 하인리히 힘러: 친위대 수장, 나치 내무부 장관, 게슈타포 수장을 역임했다.
- 아돌프 히틀러: 나치 독일의 총통으로, 수바스 찬드라 보스와 회동했다.
8. 2. 관련 단체
자유 인도 군단은 나치 독일 및 기타 추축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그 유산은 전쟁 중 독일에 협력했던 러시아 블라소프 운동과 같은 다른 민족주의 운동과 유사하게 두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다.[10] 한 관점에서는 이를 제3제국의 협력 부대로 간주하고, 다른 관점에서는 영국령 인도 제국에 맞서 싸우는 해방군의 실현으로 본다.[10]같은 교리를 바탕으로 구상된 인도 국민군과는 달리,[11] 이 군단은 종전 이후 독립 인도에서도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이는 미얀마와는 달리 인도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고, 군단이 인도 국민군보다 훨씬 규모가 작았으며, 원래 구상했던 역할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0]
8. 3. 관련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인도 독립 운동의 일환으로, 무장친위대 인도 의용군단은 여러 사건들과 관련이 있었다.토브룩 포위전과 엘 메킬리 전투에서 포로로 잡힌 인도군 병사들이 군단의 초기 병력을 구성했다.[10] 1941년 5월, 27명의 인도군 포로가 장교 후보로 선발되어 베를린으로 이송되었고, 이후 독일로 이송된 포로의 수는 약 10,000명으로 늘어나 안나부르크 수용소에 수용되었다. 이들은 켐니츠 근처 프랑켄베르크 수용소에서 훈련을 받았으며, 포로들에게 군단 합류를 설득했다.
군단 규모가 커지면서 쾨니히스브뤼크로 이동하여 추가 훈련을 받았고, 독일군 야전 회색 제복에 "아자드 힌드"의 도약하는 호랑이 휘장을 부착한 제복을 지급받았다. 1942년 1월, 독일 선전부는 인도 국민군 창설을 발표했고, 1942년 8월 26일, "자유 인도 군단"으로서 독일군에 선서했다. 1943년까지 유럽에는 약 15,000명의 인도군 포로가 있었고, 이 중 약 2,000명이 군단원이 되었다.
독일 최고사령부는 군단이 독일군과 동일한 훈련, 급여, 편의를 누리며, 인도 이외의 전선에는 보내지지 않지만 자위 전투는 가능하다는 조건으로 복무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 네덜란드와 프랑스에 배치되어 해안 방어 및 요새화 훈련을 받았으나, 연합군의 프랑스 침공 후 독일로 다시 소환되었다.
수바스 찬드라 보스는 군단이 페르시아를 거쳐 인도까지 독자 작전을 수행하기는 어렵다고 판단, 영국령 인도 제국에 대한 대중의 불만을 부추기고 영국령 인도군의 반란을 선동하기 위해 코카서스 지역에서 영국령 인도의 서부 국경으로 진격하는 더 큰 인도-독일군의 선두 부대로 활용하려 했다.
스탈린그라드와 엘 알라메인에서 독일이 패배하면서 추축국의 공격은 불가능해졌고, 보스는 극동으로 이동하여 인도 국민군이 버마에서 일본군과 함께 연합군과 교전하도록 했다. 독일 해군 최고 사령부는 군단의 일부를 남아시아로 이전했고, 1월 21일 이들은 공식적으로 인도 국민군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군단 병력은 유럽에 남아 원래 계획했던 역할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1942년 1월, 약 100명의 인도 군단 병사들이 바자데 작전으로 발루치스탄을 침투하라는 임무를 받았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는 물류적으로 불가능했고, 문서 증거가 없어 "신화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자유 인도 군단은 나치 독일과의 협력으로 인해 블라소프 운동과 유사하게 두 가지 관점에서 평가된다. 하나는 제3제국의 협력 부대로, 다른 하나는 영국령 인도 제국에 맞서 싸우는 해방군으로 보는 것이다.[10]
군단은 종전 후 인도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했는데, 이는 인도와의 거리, 작은 규모, 원래 역할 미참여 등 때문이었다.[10] 그러나 군단의 군사적, 정치적 행동과 그들이 당시 사건에 미친 간접적인 영향은 아자드 힌드의 유산으로 평가받는다.
인도 국민군 재판
참조
[1]
논문
Defying Death: Nationalist Revolutionism in India, 1897–1938
[2]
논문
Germany and Indian Revolution, 1914–18
1977-04
[3]
논문
The men who never were: Indian POWs in the Second World War
[4]
웹사이트
The Congress and the Freedom Movement: World War II and the Congress
http://www.aicc.org.[...]
Indian National Congress
2006-07-20
[5]
논문
Reviews of Books: ''Subhas Chandra Bose in Nazi Germany: Politics, Intelligence and Propaganda 1941–43''. By Romain Hayes
2012-10-12
[6]
웹사이트
A FORGOTTEN ARMY: THE LEGION FREIES INDIEN {{!}} Salute
https://salute.co.in[...]
2017-09-08
[7]
웹사이트
The Other Indian National Army
https://www.newslaun[...]
2017-11-21
[8]
논문
The Last Chapter of the Indian Legion
https://edoc.hu-berl[...]
2015
[9]
뉴스
Subhas Chandra Bose: Er wollte Freiheit für Indien
http://uk-muenchen.d[...]
2000-08-19
[10]
논문
Die indische Legion – Ein Stück Deutsche Geschichte
http://www.urmila.de[...]
[11]
뉴스
Axis War Makes Easier Task of Indians. Chandra Bose's Berlin Speech
1943-01-26
[12]
논문
Japan's Role in the Far East
1937-10
[13]
문서
1936-03-25
[14]
웹사이트
Subhas Chandra Bose 1897–1945
http://www.andaman.o[...]
Andaman Association
[15]
웹사이트
Hitler's Secret Indian Army
http://news.bbc.co.u[...]
BBC
2004-09-23
[16]
웹사이트
Le passage des Hindous dans le département de l'Indre (fin août 1944)
http://alaingievis.c[...]
French official public archives, presented and annotated by Jean-Louis Laubry
[17]
문서
Public Relations Office, London. War Office. 208/761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