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절망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절망둑은 몸길이 20-30cm의 어류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캘리포니아와 호주에도 외래종으로 서식한다. 갯벌이나 모래 바닥에서 살며, 작은 물고기, 갑각류 등을 먹고, 황아귀, 농어 등에게 잡아먹힌다. 겨울에는 번식을 위해 염도가 높은 환경으로 이동하며, 수컷이 굴을 만들어 산란한다. 문절망둑은 기생충 감염이 흔하며, 특히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흡충류의 숙주가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5년 기재된 물고기 - 방어 (어류)
    방어는 농어목 방어과에 속하는 출세어로서 몸은 긴 방추형이고, 최대 150cm까지 성장하며, 북서 태평양에 분포하고, 회유하며 육식성 어류이며, 겨울이 제철로 횟감, 구이, 조림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되고, DHA, EPA, 비타민 D가 풍부하다.
  • 1845년 기재된 물고기 - 개소겡
    개소겡은 갯벌에 서식하는 망둑어과의 물고기로, 가늘고 긴 체형과 퇴화된 눈,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며, 일본,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갯벌 진흙 속에 둥지를 짓고 작은 물고기 등을 먹고 살며, 일본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간척과 환경 변화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 헤르만 슐레겔이 명명한 분류군 - 도마뱀붙이
    도마뱀붙이는 발가락 밑판으로 수직면을 이동하는 몸길이 10~14cm의 야행성 파충류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부 등에 분포하며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고, 곤충을 먹으며 민가 주변에 서식하고, 길조 또는 불쾌한 생물로 여겨지거나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 헤르만 슐레겔이 명명한 분류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 쿤라트 야코프 테밍크가 명명한 분류군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쿤라트 야코프 테밍크가 명명한 분류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문절망둑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하제 Acanthogobius flavimanus
마하제 A. flavimanus
학명Acanthogobius flavimanus
명명자Temminck et Schlegel, 1845
영어 이름Yellowfin Goby
한국어 이름문절망둑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류강
스즈키목
아목망둑어아목
망둑어과
아과고비오넬스아과
마하제속
마하제 (Acanthogobius flavimanus)
분포 및 서식지
서식지기수 및 해수
보존 상태
IUCN Red ListLC (관심 필요)
이명

2. 특징

몸길이는 20-30cm 가량으로 길쭉하며, 앞쪽은 원통형이고 뒤쪽은 측편(옆으로 납작함)하다. 눈이 작고, 몸빛은 옅은 황갈색 또는 회황색이며, 옆면에 약 5개의 불분명한 회흑색 무늬가 있다. 몸은 빗비늘로 덮여 있으며, 내만성 어종으로 밀물과 썰물이 만나는 하구에 모여 산다. 배지느러미는 노란색이며, 컵 모양으로 합쳐져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다.[2] 머리의 구멍 배열, 등지느러미의 가시와 지느러미살, 머리와 얼굴의 비늘과 유두로 식별할 수 있다. 노란색 배지느러미 또한 다른 망둑어류와 구별된다.[2] 수명은 일반적으로 최대 3년이지만, 일부 개체는 더 오래 살 수 있다.[3]

전체 길이는 15cm 정도이지만, 25cm 정도에 달하는 개체도 있다. 몸은 가늘고 긴 원통형으로, 둑중개류로서는 날씬한 체형을 하고 있다. 주둥이는 앞으로 둥글게 튀어나와 있으며, 위턱이 약간 아래턱보다 앞에 나온다. 등 쪽은 회갈색이며, 몸 측면에는 검은 반점이 늘어서 줄무늬를 이룬다. 배 쪽은 흰색이며, 둔한 광택이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연조를 따라 검은 점이 점선 모양으로 늘어서 있지만, 꼬리지느러미의 하방은 반점이 없고 회색을 띤다. 어린 물고기는 첫 번째 등지느러미의 후반부에 검은 반점이 있지만, 성장함에 따라 눈에 띄지 않게 된다.

3. 분포

한국의 전 연안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13] 연해주, 한반도, 중국뿐만 아니라 북아메리카 캘리포니아주오스트레일리아에도 분포하지만, 이는 자연 분포가 아니라 선박의 평형수 등에 의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9]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는 이 종을 Class 1 유해 어종으로 지정하여 판매 또는 소지를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어길 시 벌금이 부과된다.[11]

4. 생태

문절망둑은 일년 중 대부분을 강과 시내에서 보내지만, 겨울에는 번식을 위해 기수역과 같은 염도가 높은 환경으로 이동한다. 갯벌이나 모래 바닥에 서식하는 저서 생물이다. 산란은 수온이 7°C에서 13°C 사이일 때 발생하며, 수컷이 만든 최대 35cm 깊이의 굴에 알을 낳는다.[2] 알은 수컷과 암컷 모두에 의해 보호되며, 최적의 조건에서 약 28일 만에 부화한다.[2]

문절망둑은 담수와 염수, 그리고 그 사이의 급격한 환경 변화에도 잘 견디며 다양한 수생 서식지에서 살 수 있다. 성어는 담수에서 평생을 보낼 수 있지만, 유충은 일반적으로 해수에서 발달한다.[2]

요각류, 단각류, 갯가재, 참갯지렁이, 작은 물고기,[2] 다모류 등 다양한 작은 유기체를 먹는다.[1] 파리목 유충, 재첩, 갑각류, 유기성 잔해를 섭취하기도 한다.[4] 황아귀, 눈얼룩가오리, 백조기, 표범상어, 농어 등이 문절망둑의 자연 포식자이다.[2]

문절망둑은 종종 심한 기생충 감염을 보이기도 한다. ''Echinostoma hortense'', ''Heterophyes nocens'', ''Heterophyopsis continua'', ''Pygidiopsis summa'', ''Strictodora fuscata'', ''S. lari'', ''Acanthotrema felis''와 같은 흡충류의 메타세르카리아에 감염될 수 있으며, 특히 ''E. hortense''는 인간에게 위험하다.[5] 한국 사람들은 문절망둑을 생으로 먹고 흡충류에 감염되기도 한다. 요각류인 ''Acanthochondria yui''와 ''Anchistrotos kojimensis''의 숙주이기도 하다.[6]

산란기는 1월부터 5월까지이며, 남쪽 지방일수록 빠르다. 수컷은 모래 진흙 바닥에 Y자 모양의 구멍을 파고, 암컷을 불러들여 구멍 벽에 산란시킨다. 산란 후에도 수컷은 둥지에 남아 알을 지킨다.

부화한 치어는 플랑크톤을 먹으며 유영 생활을 하지만, 전체 길이 2cm 정도에서 저서 생활로 바뀐다. 여름에는 전체 길이 5cm~10cm 정도의 어린 개체가 해안의 얕은 곳이나 담수역에도 나타난다. 어린 물고기는 작은 동물을 먹으며 빠르게 성장하여 겨울이 되면 연안의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이 되면 다시 얕은 곳으로 와서 산란하지만, 산란 후에는 수컷과 암컷 모두 죽는다. 수명은 1년이지만, 2년 만에 성숙하여 산란하는 개체도 있다.

5. 인간과의 관계

낚시로 잡힌 문절망둑


문절망둑은 도시 주변의 연안이나 하천에도 많이 서식하는 친근한 물고기이다. 낚시하기 쉽고 맛도 좋아서 식용이나 낚시 대상으로서 인기가 높다. 살아있는 상태로는 시장에 유통되는 경우가 적지만, 문절망둑을 이용한 요리는 각 지역의 식문화에 포함되어 있다.

문절망둑은 거의 연중 어획되지만, 제철가을부터 겨울까지이다. 맛있는 흰살 생선으로, 튀김, 가라아게, 회, 맑은 장국의 완자, 조림, 간로니 등 다양한 요리로 먹는다. 미야기현 센다이시 등 일부 지방에서는 문절망둑 구운 건어물 (구운 문절망둑)을 전통적인 잡탕 육수로 사용하지만, 가격이 비싸 다른 것으로 대체하는 가정이 많다.[12]

6. 근연종

문절망둑속에는 동아시아에 총 7종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 4종이 일본에 분포한다.[1]

이름학명특징분포
하제쿠치A. hasta Temminck et Schlegel|테민크 엣 스츨레겔la, 1845전장은 50cm를 넘으며, 일본에 분포하는 망둑어류 중 최대종이다. 문절망둑과 비슷하지만, 꼬리지느러미에 반점이 없다.중국, 한반도 외에 일본에서는 아리아케해와 야츠시로해에만 분포한다.
아시시로하제A. lactipes Hilgendorf|힐겐도르프de, 1879전장 10cm 정도. 문절망둑과 비슷하지만, 비늘이 크고, 체측에 흰 가로줄 무늬가 있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수컷은 제1 등지느러미 연조가 실 모양으로 뻗어 있다. 분포역·서식역은 문절망둑과 동일하지만, 기수역에 많다. 어획되어 츠쿠다니 등에 이용된다.
미나미아시시로하제A. insularis Shibukawa et Taki|시부카와 엣 타키la, 1996아마미오섬 이남의 난세이 제도에 분포하며, 아시시로하제와는 분포가 겹치지 않는다. 또한 수컷의 제1 등지느러미 연조는 실 모양으로 뻗지 않는다.일본 환경성이 작성한 기수·담수어류 레드 리스트에서는 2000년판부터 멸종 위기 II류(VU)로 지정되어 있다.


참조

[1] 논문 Acanthogobius flavimanus 2012-01-01
[2] 간행물 Acanthogobius flavimanus http://www.cabi.org/[...] CABI 2013-01-01
[3] 웹사이트 Acanthogobius flavimanus http://calfish.ucdav[...]
[4] 논문 Introduced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Diet and habitat use in the Lower Mokelumne River, California http://www.escholars[...] 2007-01-01
[5] 논문 Echinostoma hortense and heterophyid metacercariae encysted in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from Shinan-gun and Muan-gun (Jeollanam-do), Korea https://www.ncbi.nlm[...] 2009-01-01
[6] 웹사이트 Acanthogobius flavimanus (Temminck & Schlegel, 1845) http://www.marinespe[...] 2013-01-01
[7] 논문 Anchistrotos kojimensis sp. nov. (Copepoda: Taeniacanthidae) parasitic on Acanthogobius flavimanus (Pisces: Teleostei) in Kojima Bay, Japan https://www.jstage.j[...] 1983-01-01
[8] 웹사이트 Acanthogobius flavimanus https://nas.er.usgs.[...] 2013-01-01
[9] 웹사이트 Acanthogobius flavimanus http://www.issg.org/[...] 2013-01-01
[10] 논문 The Oriental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Temminck and Schlegel), an introduced fish in the coastal waters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http://onlinelibrary[...] 1982-01-01
[11] 웹사이트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http://www.dpi.nsw.g[...] 2013-06-03
[12] 뉴스 【お宝発見ご当地食】焼きハゼ(埋蔵エリア 宮城県)伝統の雑煮の味 いまや高級品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12-19
[13] 웹인용 Acanthogobius flavimanus http://portal.nfrdi.[...] 2014-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