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쿠다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츠쿠다니는 생선, 조개, 해조류, 채소 등을 간장, 설탕, 미림 등으로 졸여 만든 일본의 보존식품이다. 에도 시대 어부들이 츠쿠다섬에서 잡어와 조개류를 보존하기 위해 만들기 시작했으며, 참근교대 무사들을 통해 전국으로 퍼졌다. 츠쿠다니는 수산, 농산, 기타 츠쿠다니로 분류되며, 다양한 재료와 지역 특산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최근에는 건강을 고려하여 저염분, 무첨가 제품도 출시되고 있으며, 남은 식재료를 처리할 때 "츠쿠다니로 만들 정도"라는 비유적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츠쿠다니 | |
---|---|
츠쿠다니 정보 | |
종류 | 일본 요리, 조림 |
주재료 | 작은 물고기, 해조류, 조개, 곤충 |
주요 양념 | 간장, 미림, 설탕 |
기원 | 에도 시대 |
지역 | 도쿄도 츠쿠다 (현재의 츠쿠다 3정목과 4정목) |
상세 정보 | |
츠쿠다니란 | 간장, 미림, 설탕 등으로 조린 일본의 반찬 |
어원 | 도쿄도 츠쿠다 (현재의 츠쿠다 3정목과 4정목) 지명에서 유래 |
역사 | 에도 시대, 츠쿠다 섬의 어부들이 잡은 작은 물고기를 조려 보존한 것에서 유래 |
주요 재료 | 작은 물고기 (뱅어, 새우, 멸치 등) 해조류 (다시마, 김, 미역 등) 조개 (모시조개, 바지락 등) 곤충 (메뚜기, 벌의 유충 등) |
보관 방법 | 상온 보관 가능 (개봉 후 냉장 보관 권장) |
먹는 방법 | 밥반찬 오니기리 속재료 오차즈케 고명 술안주 |
2. 역사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셋쓰국 츠쿠다 촌(현재의 오사카시니시요도가와구츠쿠다)의 솜씨 좋은 어부들을 에도로 불러들였다. 이들은 스미다강하구의 간석지를 매립하여 만든 '''츠쿠다섬'''(현재의 도쿄도 주오구 츠쿠다)에 살게 되었다.[5][6][7] 츠쿠다섬 어민들은 작은 물고기나 조개류를 소금이나 간장으로 졸여 보존식으로 먹었는데, 이것이 츠쿠다니의 기원이다.[6][8]
츠쿠다니는 보존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여 에도 서민들에게 널리 보급되었고, 참근교대를 통해 전국으로 퍼져나갔다.[8][7]
츠쿠다니의 유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다른 설도 있다.
- 1858년(안세이 5년) 아오야기 사이스케가 츠쿠다섬의 소금 조림에서 "츠쿠다니"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설.[9]
- 1862년(분큐 2년) 아사쿠사 가와라정의 후나야 사키치가 기존의 소금 조림 츠쿠다니를 개량하여 현재 츠쿠다니의 원형을 만들었다는 설.[9][10]
- 니혼바시의 이세야 다헤이가 창시했다는 설.[9]
- 오사카의 스미요시 신사를 에도의 츠쿠다섬에 스미요시 신사로 분령(分霊)하고, 제례에 잡어를 졸인 것을 바친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6][9]
전국 조리 식품 공업 협동 조합에서는 츠쿠다섬에 스미요시 신사를 모신 쇼호 2년(1646년) 6월 29일을 "츠쿠다니의 날"로 제정하였다.[11]
2. 1. 츠쿠다니의 유래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명주였던 모리 손에몬에게 셋쓰국 츠쿠다 촌(현재의 오사카시니시요도가와구츠쿠다)의 솜씨 좋은 어부들을 에도로 불러들이도록 했다. 스미다강하구의 이시카와지마 남쪽에 있던 간석지를 매립하여 어부들이 살게 하였고, 그곳이 '''츠쿠다섬'''(현재의 도쿄도 주오구 츠쿠다)이라고 불리게 되었다.[5][6][7] 츠쿠다섬의 어민들은 악천후 시의 식량이나 출어 시의 선내 식사로 하기 위해, 소어(小魚)나 조개류를 소금이나 간장으로 졸여 상비식이나 보존식으로 해 먹었다.[6][8] 잡어가 많이 잡히면, 츠쿠다니(佃煮)를 대량으로 만들어 많이 팔게 되었고, 보존성이 높고 가격이 저렴하여 에도 서민들에게 보급되었다. 더 나아가 참근교대의 무사들이 에도의 명물·토산품으로 각지에 가져갔기 때문에 전국으로 퍼졌다고 한다.[8][7]이상의 설이 일반적이지만, 다음과 같은 이설도 있다.
- 1858년(안세이 5년)에 아오야기 사이스케가 창시했다는 설.[9] 사이스케는 츠쿠다섬의 소금 조림에서 "츠쿠다니"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 1862년(분큐 2년)에 아사쿠사 가와라정의 후나야 사키치가 창시했다는 설.[9] 사키치는, 지금까지 소금 조림이었던 츠쿠다니를 독자적으로 개량(종류별 재료를 나누고, 당시 고급이었던 간장을 처음 사용한다는 참신한 발상)하여 현재의 츠쿠다니의 원형을 만들었다.[10]
- 니혼바시의 이세야 다헤이가 창시했다는 설.[9]
- 오사카의 스미요시 신사를 에도의 츠쿠다섬에 스미요시 신사로 분령(分霊)하고, 그 제례에서는 잡어를 졸인 것을 바쳤다(간장 조림 설과 소금 조림 설이 있다).[6] 이것으로, 스미요시 신사에 잡어를 졸인 것을 "츠쿠다니"로 바쳤다는 데에서 유래되었다는 설.[9]
전국 조리 식품 공업 협동 조합에서는, 츠쿠다섬에 스미요시 신사를 모신 것이 쇼호 2년(1646년) 6월 29일이라는 것과, 2(영어 two = 투)와 9(く)의 어구 맞춤에서, 6월 29일을 "츠쿠다니의 날"로 하고 있다.[11]
2. 2. 츠쿠다니의 발전
佃煮|쓰쿠다니일본어는 에도 시대에 조닌들의 서민 음식으로 보급되었고, 참근교대를 위해 에도에 머물던 전국의 무사들이 고향으로 돌아갈 때 가져가면서 전국으로 퍼져나갔다.[1]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 세이난 전쟁(1877년)과 청일 전쟁(1894년)을 거치며 군용 식량으로 대량 생산되어 더욱 대중화되었다.[1]3. 종류
츠쿠다니는 사용 재료에 따라 수산 츠쿠다니, 농산 츠쿠다니, 기타 츠쿠다니로 분류된다.[13]
- '''수산 츠쿠다니''': 다시마, 뱅어, 정어리, 바지락, 새우 등을 원료로 한다.
- '''농산 츠쿠다니''': 머위, 잎고추, 콩 등을 원료로 한다.
- '''기타 츠쿠다니''': 메뚜기, 호두 등을 원료로 한다.
원래 츠쿠다니는 뱅어, 멸치, 바지락 등의 조개류나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사용했다. 나가노현 이나 계곡이나 군마현처럼 바다와 인접하지 않은 내륙 지방에서는 해산물 대신 메뚜기 등 곤충류를 조려 만든 츠쿠다니를 먹었다.[14] 미에현의 카키야스에서는 남은 쇠고기 채를 활용한 쇠고기 츠쿠다니(쇠고기 시구레니)를 개발하여 1978년 공장을 신설, 널리 알렸다.[15][16]
츠쿠다니는 주요 종류만 118가지에 달하며, 지방 특산물 츠쿠다니, 2~3가지 원료를 함께 조린 혼합 츠쿠다니, 그리고 제조 방법에 따른 아메니, 덴부, 시구레니 등 매우 다양하다.
- '''아메니'''(飴煮): 조림 국물에 물엿을 넣어 윤기 있게 조린 츠쿠다니.
- '''시구레니''': 생강을 얇게 썰어 넣고 설탕과 간장으로 조린 츠쿠다니.
- '''덴부''': 생선살이나 닭고기를 삶아 으깬 후, 술, 미림, 설탕, 소금 등과 섞어 볶은 츠쿠다니.
츠쿠다니 조미액에는 술, 미림, 산초 열매, 생강, 고추, 유자, 참깨, 차조기 등 다양한 조미료가 첨가된다.
3. 1. 수산 츠쿠다니
뱅어, 정어리, 바지락, 새우, 다시마 등 해산물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든다. 원래는 뱅어나 멸치, 바지락 등의 조개류, 다시마 등의 해조류가 사용되었다.[13] 츠쿠다니 조미액에는 술, 미림, 산초 열매, 생강, 고추, 유자, 참깨, 차조기 등 다양한 조미료를 첨가한다.[13]어패류나 해조류 외에도, 참갯지렁이, 크릴새우, 아미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3. 1. 1. 어패류 츠쿠다니
붕장어, 뱅어, 멸치, 빙어, 장어, 잉어, 붕어, 가다랑어, 참치, 망둥어 등 다양한 어류를 사용한 츠쿠다니가 있다. 바지락, 대합, 재첩, 피조개, 굴 등 조개류를 사용한 츠쿠다니도 있다.- わかさぎの佃煮|와카사기노 츠쿠다니일본어(Wakasagi no Tsukudani): 작은 연못 빙어를 사용하여 만들며, 아키타현의 하치로가타 호수에서 잡힌다.
- あさりの佃煮|아사리노 츠쿠다니일본어(Asari no Tsukudani): 바지락으로 만들어진다. (지바현)
- いかなごのくぎ煮|이카나고노 쿠기니일본어(Ikanago no Kugini): 실고등어로 만들어진다. (효고현)
3. 1. 2. 해조류 츠쿠다니
다시마, 김, 톳 등을 재료로 하여 만든다.3. 2. 농산 츠쿠다니
머위, 잎고추, 콩 등을 원료로 하여 만든다.[13]3. 2. 1. 채소 츠쿠다니
머위, 산초, 표고버섯, 송이버섯, 씀바귀, 고추 등으로 츠쿠다니를 만들 수 있다. 츠쿠다니 조미액에는 술, 미림, 산초 열매, 생강, 고추, 유자, 참깨, 차조기 등을 첨가한다.[13]3. 3. 기타 츠쿠다니
츠쿠다니는 사용하는 원료에 따라 수산 츠쿠다니, 농산 츠쿠다니, 기타 츠쿠다니로 분류된다.[13] 해산물이나 농산물이 아닌 재료를 사용한 츠쿠다니는 '기타 츠쿠다니'로 분류할 수 있다. 기타 츠쿠다니에는 메뚜기를 사용한 이나고노 츠쿠다니(후쿠시마현과 나가노현), 날도래와 각시파리 유충으로 만든 자자무시노 츠쿠다니(나가노현 이나시) 등이 있다.3. 3. 1. 곤충 츠쿠다니
나가노현 이나 계곡이나 군마현 등 내륙 지방에서는 해산물을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메뚜기 등 곤충류를 조려 만든 츠쿠다니를 먹었다.[14] 곤충 츠쿠다니의 재료로는 메뚜기, 말벌 애벌레, 누에 (번데기) 등이 있다.3. 3. 2. 견과류 및 기타 재료 츠쿠다니
호두 외에도 쇠고기, 유바, 밀 글루텐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츠쿠다니가 있다.[13] 나가노현 이나 계곡이나 군마현처럼 바다와 멀리 떨어진 내륙 지방에서는 해산물 대신 메뚜기 등 곤충류를 조려 만든 츠쿠다니를 먹기도 했다.[14] 쇠고기 츠쿠다니(쇠고기 시구레니)는 미에현의 카키야스에서 처음 개발되어 널리 알려졌다.[15][16]3. 4. 지역별 특산 츠쿠다니
지역 | 츠쿠다니 종류 | 설명 |
---|---|---|
아키타현 하치로가타 호수 | わかさぎの佃煮|와카사기노 츠쿠다니일본어 | 빙어 사용 |
지바현 | あさりの佃煮|아사리노 츠쿠다니일본어 | 바지락 사용 |
효고현 | いかなごのくぎ煮|이카나고노 쿠기니일본어 | 실고등어 사용 |
후쿠시마현, 나가노현 | いなごの佃煮|이나고노 츠쿠다니일본어 | 메뚜기 사용 |
나가노현 이나시 | ざざむしの佃煮|자자무시노 츠쿠다니일본어 | 날도래와 각시파리 유충 사용 |
원래 츠쿠다니는 뱅어, 멸치, 바지락 등의 조개류,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사용했다. 나가노현 이나 계곡이나 군마현과 같이 내륙 지방에서는 해산물을 구하기 어려워 메뚜기 등 곤충류를 조려 츠쿠다니를 만들어 먹었다.[14]
쇠고기 츠쿠다니(쇠고기 시구레니)는 미에현의 카키야스에서 처음 만들어졌으며, 1978년에 제조 공장이 신설되어 널리 알려졌다.[15][16]
츠쿠다니는 주요한 것만 118종류나 되며, 지방 특산물 츠쿠다니와 혼합 츠쿠다니 제품, 그리고 아메니, 덴부, 시구레니 등 모양과 제조 방법도 다양하다. 인기 상품인 다시마 츠쿠다니만 해도 소금 다시마, 각진 다시마, 다시마 말이, 차조기 다시마 등 세분화하면 매우 다양하다.[13]
츠쿠다니 조미액에는 술, 미림, 산초 열매, 생강, 고추, 유자, 참깨, 차조기 등 다양한 조미료가 첨가된다.
4. 제조 방법 및 특징
에도마에 츠쿠다니는 간이 진하고 보존성이 높아 여름철 상온에서도 상하지 않아 주먹밥이나 도시락에 애용되었다. 현재도 일부 장인들이 옛 방식대로 간이 진한 츠쿠다니를 만들고 있다.
20세기 말부터 생활 습관병 예방을 위해 염분 섭취를 줄이자는 의견이 많아지면서, 시판되는 츠쿠다니는 대체로 맛이 옅고 냉장 보관이 필요하다. 진공 포장으로 보존성을 높이거나, 증점 안정제를 첨가하기도 하지만, 인공 첨가물을 넣지 않은 제품도 있다.
4. 1. 전통 제조 방식
원래의 에도마에 츠쿠다니는 매운맛으로 간이 진하고 보존성이 높아 여름철 상온에서 주먹밥이나 도시락에 넣어도 상하지 않아 식중독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안심하고 애용되었다. 현재도 몇몇 곳에서는 장인의 손으로 만들어 옛날처럼 간이 진한 츠쿠다니를 계승하고 있다.[1]4. 2. 현대 제조 방식
20세기 말부터 생활 습관병 예방을 위해 염분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 늘어남에 따라, 현재 시판되는 츠쿠다니는 과거에 비해 옅은 맛이며 보존성도 높지 않아 냉장 보관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대신 진공 포장 기술을 활용하여 개봉 전까지의 보존성을 높인 제품도 등장하였다. 증점 안정제가 첨가된 제품도 있지만, 반대로 인공 첨가물을 일절 넣지 않는 것을 강조하는 제품도 있다.4. 3. 아메니, 덴부, 시구레니
물엿을 조림 국물에 넣어 윤기 있게 조린 츠쿠다니를 '''아메니'''(飴煮)라고 한다.[13] 생강을 얇게 썰어 넣고 설탕과 간장으로 조린 것은 '''시구레니'''라고 부른다.[13] 생선살이나 닭고기를 삶아 껍질과 뼈를 제거하고 절구로 으깬 후, 술, 미림, 설탕, 소금 등과 섞어 볶은 것은 '''덴부'''라고 한다.[13]츠쿠다니 조미액에는 술, 미림, 산초 열매, 생강, 고추, 유자, 참깨, 차조기 등 다양한 재료가 첨가된다.[13]
5. 츠쿠다니 관련 문화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츠쿠다니 관련 문화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으므로, 이전 답변은 유효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6. 비유적 표현
츠쿠다니는 남은 식재료를 활용한 보존식품이었기 때문에[4], 물건이 남아돌아 감당하기 어려울 때를 "츠쿠다니로 만들 정도로"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to: Homemade shio kombu or kombu no tsukudani
http://justbento.com[...]
[2]
웹사이트
Seasoned preserved foods
https://traditional-[...]
2024-12-03
[3]
웹사이트
全国調理食品工業協同組合「佃煮を知る」、佃煮とは
https://zenchoshoku.[...]
[4]
웹사이트
佃煮の世界
https://www.jfa.maff[...]
2023-02-23
[5]
문서
なお、{{harvnb|岡田|2003|p=297}}によれば、まず、日本橋東詰に移住した後に1645年に佃島に移住したとされている。
[6]
문서
"{{harvnb|マルハ|2000|p=119}}"
[7]
문서
"{{harvnb|岡田|2003|p=297}}"
[8]
문서
"{{harvnb|おさかな雑学|2002|p=216}}"
[9]
문서
"{{harvnb|岡田|2003|p=297}}(諸説ある中の一説として紹介)"
[10]
간행물
食の起源を訪ねて
エモーチオ21
1994-09
[11]
웹사이트
6月29日は「佃煮の日」について
https://zenchoshoku.[...]
全国調理食品工業協同組合
[12]
뉴스
"{{出典無効|date=2023-07-08 |title=新聞なのか、単行本なのか、どんな題名で何時刊行された資料なのか不明なため。}}"
日本食品新聞社
[13]
웹사이트
全国調理食品工業協同組合 公式サイト「佃煮の種類について」
https://zenchoshoku.[...]
[14]
웹사이트
いなごの佃煮 長野県 {{!}} うちの郷土料理
https://www.maff.go.[...]
2023-02-23
[15]
웹사이트
https://www.kakiyasu[...]
[16]
웹사이트
https://shun-gate.co[...]
[17]
문서
乾物のヤツメウナギを焼いて甘辛く煮つけたもの。独特の風味があり、ビタミンAが多く含まれるため、一種の健康食品として食べられることが多い。
[18]
서적
広島政財界人物誌
東京自治調査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