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천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천시는 동해 영흥만에 접한 도시로, 강원도에 위치하며, 원산시, 천내군, 법동군과 인접해 있다.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주요 산맥으로는 마식령산맥, 속고산맥, 천불산맥이 있고, 최고봉은 굴뚝봉이다. 주요 하천은 남천강이며, 아연, 금, 은, 석회암 등 다양한 광물이 매장되어 있고, 무연탄 생산과 공업이 발달했다. 강원선과 고암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며, 16개의 동과 14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천시 - 옥평역
옥평역은 1915년 문천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함경선과 문천항선이 지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문천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과거 옥 생산지와 평동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 문천시 - 숙릉 (조선)
조선 태조 이성계가 4대조 정숙왕후 최씨의 무덤에 숙릉이라는 능호를 올렸으나, 선조의 능호 숙릉(肅陵)과 음이 같아 목릉으로 변경되었고, 대한민국 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 등재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항구 도시 - 원산시
원산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동해안의 항구 도시로, 개항 이후 주요 무역항으로 성장, 일제강점기 함경남도청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관광 산업과 수산물 가공업 등이 발달하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항구 도시 - 해주시
해주시는 황해남도 중앙부에 위치하며 해주만을 접하고 산을 등진 지형적 특징으로 정치·군사적 요충지이자 국제 무역항으로 지정된 해주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이 발달한 북한 9대 공업지구 중 하나이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역사 유적 및 문화재를 보유한 고구려 시대부터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 도시이다. - 1991년 설치 - 화도읍
화도읍은 1914년 상도면과 하도면을 합쳐 명명된 남양주시의 읍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기관과 학교, 의료 시설, 주거 시설, 문화재, 명소 등이 위치하고, 경춘선,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이 편리하다. - 1991년 설치 - 분당구
분당구는 1989년 분당신도시 개발로 설치된 성남시 남부의 일반구로, 분점리와 당우동의 이름을 따왔으며, 과거 광주군 돌마면과 낙생면 지역이 성남시에 편입된 후 중원구에서 분구되어 분당선, 신분당선, 경강선과 함께 네이버, KT 본사 등 여러 기업 및 공공기관이 위치한다.
문천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문천시 |
현지 명칭 (조선어) | 문천시 (문천시) |
현지 명칭 (한글) | 문천시 |
현지 명칭 (한자) | 文川市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Munch'ŏn si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 Muncheon-si |
IPA | /mun.tsʰʌn/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
![]() | |
기후 | 냉대 습윤 기후(Dwa) |
행정 구역 | |
종류 | 시 |
구성 | 16개 동, 14개 리 |
인구 정보 | |
인구 (2008년) | 122,934명 |
시간대 | |
시간대 | 평양 시간 |
UTC 오프셋 | +9 |
추가 정보 | |
목 | (정보 없음) |
꽃 | (정보 없음) |
새 | (정보 없음) |
2. 지리
문천시는 동해의 영흥만에 접해 있으며, 일부는 반도를 형성하고 있다. 남쪽으로 원산시, 북쪽으로 천내군, 남서쪽으로 법동군과 접한다. 북동쪽 해안은 평야이고, 남서쪽은 마식령산맥이 통과하는 산지이다. 속고산맥과 천불산맥 또한 이곳에 위치하며, 최고봉은 굴뚝봉(772m)이다. 주요 하천은 남천강이며, 산림이 전체 면적의 66%를 차지한다.
2. 1. 기후
문천시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wa'')를 보인다.[8]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1.3°C | 2.4°C | 7.6°C | 15.9°C | 20.9°C | 24.3°C | 27.2°C | 27.9°C | 24°C | 18.9°C | 10.4°C | 3.1°C |
평균 기온 (℃) | -3.9°C | -2.4°C | 2.8°C | 10.1°C | 15.3°C | 19.6°C | 23.3°C | 23.8°C | 19°C | 13.2°C | 5.6°C | -1.3°C |
평균 최저 기온 (℃) | -9°C | -7.2°C | -1.9°C | 4.4°C | 9.8°C | 15°C | 19.4°C | 19.8°C | 14.1°C | 7.5°C | 0.9°C | -5.7°C |
강수량 (mm) | 27mm | 28mm | 48mm | 64mm | 75mm | 125mm | 348mm | 365mm | 235mm | 57mm | 54mm | 24mm |
문천시는 옛부터 '물골'이라고 불렸으며, 고구려 광개토왕 때에는 매구루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수성, 이균 등으로 불렸고 문주방어사가 설치되었다. 1413년 조선 태종 때 주(州)가 들어간 지명을 산(山) 또는 천(川)으로 바꾼다는 규례에 따라 함경도 문천군으로 개칭되었다. 1936년 군내면과 도초면 남부를 합쳐 문천면을 설치했고, 도초면 북부는 천내읍으로 승격하였다. 1942년 덕원군 부내면, 북성면, 풍하면, 풍상면을 문천군에 편입하고, 부내면을 덕원면으로 개칭하였다.
3. 역사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 문천시는 함경남도 문천군이었다. 1946년 9월 북한에 의해 강원도에 편입되었다. 이후 법동군, 원산시와 행정 구역 조정을 거쳤다. 1972년 원산시와 천내군으로 나뉘어 폐지되었다가, 1976년 문천군이 다시 복원되었다. 1991년 문천군이 문천시로 승격하였다.[1]
3. 1. 고대
옛날부터 '물골'이라고 불렸으며, 고구려 광개토왕 때에는 매구루로 불렸다.[1] 고려 시대에는 수성, 이균 등으로 불렸고, 문주방어사가 설치되었다. 1413년 (조선 태종 13년)에는 주(州)가 들어간 지명을 산(山) 또는 천(川)으로 바꾼다는 규례에 따라 함경도 문천군으로 개칭되었다. '만주'는 한국어 이름 '물골'을 한자로 바꾼 것으로, 한국어 '물'과 발음이 비슷한 '문'으로 대체되었다.[2]
시대 | 명칭 | 비고 |
---|---|---|
한사군 시대 | 협두매현 | 임둔군 산하 |
후한 시대 | 동예의 일부 | |
3세기 | 고구려에 편입 | |
고구려 광개토대왕 시대 | 매구루(買溝婁)[1] | |
고려 | 수성(洙城), 이균(伊均) | 문주방어사 설치 |
1413년 (조선 태종 13년) | 문천군 | 주(州)로 끝나는 지역명을 천(川) 또는 산(山)으로 바꾸는 관례에 따름[2] |
3. 2.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는 수성(洙城), 이균(伊均) 등으로 불렸으며, 문주방어사가 설치되었다.[1] 1413년 주(州)가 들어간 지명을 산(山) 또는 천(川)으로 바꾼다는 규례에 따라 함경도 문천군으로 개칭되었다.[2]3. 3. 조선 시대
옛날부터 '물골'이라고 불렸으며, 고구려 광개토왕 무렵에는 매구루라고 불렸다.[1] 고려 시대에는 수성, 이균 등으로 불렸고 문주방어사가 설치되었다. 1413년에는 주(州)가 들어간 지명을 산(山) 또는 천(川)으로 바꾼다는 규례에 따라 함경도 문천군으로 개칭되었다. '만주'는 한국어 이름 '물골'을 한자로 바꾼 것으로, 한국어 '물'과 발음이 비슷한 '문'으로 대체되었다.[2]- 기원전 2세기 - 임둔군 사두미현이 설치되었다.
- 고구려 - 광개토왕 때 매구루(買溝婁)라고 불렸다.
- 고려 - 수성(洙城), 이균(伊均) 등으로 불렸다. 문주방어사가 설치되었다.
- 1413년 - 문천군으로 개칭되었다.
3. 4.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는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문천군에 군내면, 도초면, 명효면, 구산면, 운림면을 설치하였다.[6] 1936년에는 도초면이 폐지되고, 군내면과 도초면 남부를 합쳐 문천면을 설치하였으며, 도초면 북부는 천내읍으로 승격하였다.[6] 또한 명효면과 구산면을 합병하여 명귀면을 설치하였다.[6]1942년 4월에는 덕원군의 풍상면, 풍하면, 부내면, 북성면 및 적전면, 현면의 일부를 문천군에 편입하고, 부내면을 덕원면으로 개칭하였다.[6] 1943년에는 원산시의 일부가 적전면에 편입되었다.[6]
연도 | 행정 구역 변화 |
---|---|
1914년 | 문천군 설치 (5면): 군내면, 도초면, 명효면, 구산면, 운림면[6] |
1936년 | 도초면 폐지, 문천면 설치, 천내읍 승격, 명귀면 설치 (1읍 3면)[6] |
1942년 | 덕원군 일부 편입, 부내면→덕원면 개칭 (1읍 9면)[6] |
1943년 | 원산부 일부 편입 (1읍 9면)[6] |
3. 5. 광복 이후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 문천시는 함경남도 문천군이었다.[1] 1946년 9월 북한에 의해 강원도에 편입되었다.[1][2] 이후 법동군, 원산시와의 행정 구역 조정을 거쳤다.[1] 1972년에 원산시와 천내군으로 나뉘어 폐지되었다가,[1] 1976년에 문천군이 다시 복원되었으며,[1] 1983년에 가은로동자구를 가은리로 개편하고, 1991년에 시로 승격하였다.[1]문천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행정 구역 변화 |
---|---|
1946년 9월 | |
1952년 12월 | 군면리 통폐합으로 문천군 설치 (1읍 2노동자구 24리).[6] |
1958년 6월 | 야타노동자구가 문평노동자구로 개칭.[6] |
1967년 10월 | 옥평리가 옥평노동자구로 승격.[6] |
1972년 7월 | 문천군 폐지.[6] |
1976년 6월 | 원산시와 천내군 일부 지역을 합쳐 문천군 복원 (1읍 5노동자구 14리).[6] |
1984년 6월 | 가은노동자구가 가은리로 강등.[6] |
1991년 5월 | 문천군이 문천시로 승격 (16동 14리).[6] |
4. 경제
문천시에는 아연, 금, 은, 석회석, 백운암(돌로마이트), 흑연, 점토가 매장되어 있다. 무연탄 또한 생산되고 공업이 특히 발달해 있다. 어업, 축산업, 과수업도 활발하다.
4. 1. 산업
문천시에는 아연, 금, 은, 석회석, 백운암, 흑연, 점토가 매장되어 있다. 무연탄 또한 생산되고 공업이 특히 발달해 있다. 어업, 축산업, 과수업도 활발하다.4. 2. 농업 및 수산업
문천시에는 아연, 금, 은, 석회석, 돌로마이트, 흑연, 점토가 매장되어 있다. 무연탄 또한 생산되고 공업이 특히 발전해 있다. 어업, 축산업, 과수업도 활발하다. 수산업, 과일, 축산업은 이 지역의 주요 산업이며, 곡물이 주요 농산물이다.[3] 이 지역은 굴로도 유명하다.[5]5. 교통
강원선과 고암선이 지난다. 문천시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의 강원선이 지나가며, 고암동, 옥평동, 문천동에 역이 있다.
6. 행정 구역
동(洞) | 리(里) |
---|---|
valign="top" | | valign="top" | |
6. 1. 동 (洞)
문천시는 16개의 동과 14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동(洞) | 리(里) |
---|---|
valign="top" | | valign="top" | |
6. 2. 리 (里)
문천시는 16개의 동과 14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동(洞) | 리(里) |
---|---|
valign="top" | | valign="top" | |
참조
[1]
웹사이트
문천군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문천시
http://encykorea.aks[...]
[3]
웹사이트
문천시
https://terms.naver.[...]
[4]
웹사이트
Climate: Munch'ŏn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18-07-27
[5]
웹사이트
문천굴
https://terms.naver.[...]
[6]
웹사이트
강원도 문천시 역사
http://www.cybernk.n[...]
[7]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8]
웹인용
Climate: Munch'ŏn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18-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