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주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주시는 황해남도 남부 중앙에 위치한 항만 도시이다. 북쪽에는 수양산이 있으며, 해주만에 접해 있다.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과거 정치·군사적 요충지였다. 주요 산업으로는 시멘트 공업, 농업, 수산업 등이 있으며, 북한의 9대 공업지구 중 하나이다. 교통으로는 철도, 도로, 해주공항이 있으며, 해주선이 경의선에 연결되어 있다. 해주교육대학 등이 위치해 있으며, 최충, 이승만, 안중근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주시 - 부용당
    부용당은 조선 시대의 당파 중 하나로, 더불어민주당의 뿌리가 되는 세력이며, 왕실 외척과 연계하여 권력을 추구하는 동시에 사회 개혁과 민생 안정을 위한 진보적인 정책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 해주시 - 해주비행장
    해주비행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주시 소재의 비행장으로, 과거 군용으로 사용되다 현재 민간 항공편도 운항하며, 한국 전쟁 당시 미군에 의해 K-19 비행장으로 지정되어 전략적 요충지였고, 현재 조선인민군이 관리하며 고려항공이 평양을 잇는 정기 노선을 운항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항구 도시 - 원산시
    원산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동해안의 항구 도시로, 개항 이후 주요 무역항으로 성장, 일제강점기 함경남도청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관광 산업과 수산물 가공업 등이 발달하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항구 도시 - 신의주시
    신의주는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며, 평의선의 종착역이자 조중우의교를 통해 중국 단둥시와 연결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시이다.
해주시
위치 정보
좌표북위 38도 3분 동경 125도 43분
지도 설명남황해도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이며, 해주 위치를 표시함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해주시
다른 이름해주
유형
번역 (한글)해주시
번역 (매큔-라이샤워 표기)Haeju-si
번역 (개정 로마자 표기)Haeju-si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하위 행정 구역25개 동, 4개 리
면적
총 면적 (km²)206.9
고도
인구
인구 (2008년)273,300
방언황해
시간대
시간대평양 시간
UTC 시간대+9
기타 정보
이미지
해주 시가지
해주 시가지
해주 호텔
해주 호텔
부용당
부용당
해주 거리
해주 거리
수양산 폭포
수양산 폭포

2. 지리

해주시는 한국반도 서쪽 끝에 위치하며, 군사분계선에서 북쪽으로 60km, 평양에서 남쪽으로 100km 떨어져 있다. 산이 많지 않고 대부분 평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내에 있는 모든 산의 높이는 1000m 미만이다. 해주만에 접한 항만 도시이며, 북쪽에 수양산이 있다.

해주시는 위도에 비해 온화하고 공기가 맑은 편이다.

2. 1. 자연

해주시는 황해도 남부 중앙에 위치하며, 시생누대에 형성된 화강편마암 지질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으로 수양산, 서쪽으로 선리산, 남쪽으로 남산이 있는 ㄷ자형 지형이다. 광석천의 범람원과 단구 위에 시가지가 발달했으며, 남쪽으로는 리아스식 해안의 해주만이 있다. 룡당반도가 돌출하여 진포반도(강령군) 사이에 좁은 용당 목을 이루며 해주만을 나누고, 서쪽으로 깊이 만입한 취야만을 분리한다. 해주항은 이 반도 돌단부에 만든 부동항이고 동측의 정도(鼎島)를 인공으로 육계도화하여 방파제를 삼고, 반도 동서 만입부에는 석천포와 결성포의 어항이 있다. 해주의 지형은 산을 등지고 바다를 바라보는 곳으로 신라 이래 정치·군사상의 요충지로 중시되어 사적이 많다.[3]

해주시는 한반도 서쪽 끝, 군사분계선에서 북쪽으로 60km, 평양에서 남쪽으로 100km 떨어져 있다. 산이 많지 않고 대부분 평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내 모든 산의 높이는 1,000m 미만이다. 해주는 냉량하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습한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분류: ''Dwa'')를 가지고 있다.[3]

해주시의 주요 산은 다음과 같다.

산 이름높이
수양산(수양봉)946m
장대산686m
남산122m



해주시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기온 (℃)-2.7-0.44.811.216.721.324.125.321.114.66.8-0.311.9
평균 강수량 (mm)9.617.627.551.4108.7108.0305.2252.896.242.634.815.01069.4
평균 상대 습도 (%)65.262.463.964.670.677.085.580.972.968.069.668.170.7


2. 2. 기후

해주시는 위도에 비해 온화하고 공기가 맑아 마산, 진해, 여수 등과 함께 전국적인 휴양도시로 알려져 있다.[16] 연평균 기온은 11.9°C이고, 1월 평균기온은 -2.7°C, 8월 평균기온은 25.3°C이다.[16] 연 강수량은 1069.4mm이며, 총 강수량의 60% 이상(622.1mm)이 여름(6·7·8월)에 집중되고, 겨울(12·1·2월)은 4%(40.3mm)에도 미달되는 건조기를 나타낸다.[16]

해주시는 냉량하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습한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분류: ''Dwa'')를 가지고 있다.

해주 (1991–2020 평년값, 극값 1957–현재)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12°C14.7°C22.9°C27.7°C34.5°C36°C36°C37.2°C34°C29.6°C25°C17.2°C37.2°C
평균 최고 기온 (°C)1.6°C4.1°C9.7°C16.3°C21.7°C25.6°C27.3°C29°C25.7°C19.7°C11.2°C3.7°C16.3°C
평균 기온 (°C)-2.7°C-0.4°C4.8°C11.2°C16.7°C21.3°C24.1°C25.3°C21.1°C14.6°C6.8°C-0.3°C11.9°C
평균 최저 기온 (°C)-6.6°C-4.5°C0.5°C6.6°C12.2°C17.6°C21.4°C22.1°C17°C9.9°C2.8°C-4°C7.9°C
최저 기온 기록 (°C)-18.9°C-19°C-12°C-6.1°C0°C2°C10.9°C9.8°C2.3°C-4.7°C-11.1°C-18°C-19°C
강수량 (mm)9.6mm17.6mm27.5mm51.4mm108.7mm108mm305.2mm252.8mm96.2mm42.6mm34.8mm15mm1069.4mm
평균 강수일수 (≥ 0.1mm)3.83.14.05.67.18.012.910.45.54.45.95.275.9
평균 강설일수5.53.31.20.10.00.00.00.00.00.12.15.918.2
평균 상대 습도 (%)65.262.463.964.670.677.085.580.972.968.069.668.170.7
평균 월간 일조시간1881842132242351971331882102151641692320

[3] [4][5] [6]

해주 (1981~201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기온 (°C)-3.4°C-1°C4.2°C10.8°C16°C20.7°C23.5°C24.9°C20.4°C14.1°C6.6°C-0.5°C
강수량 (mm)10.4mm24.1mm28.9mm57.6mm107.4mm128.8mm327.2mm257.3mm143.6mm51.6mm40.1mm16.9mm

[12]

해주 (1961 - 1990년 평균)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기온 (°C)-4.8°C-2.6°C2.8°C9.9°C15.6°C20°C23.6°C24.7°C19.7°C13.1°C5.7°C-1.6°C10.51°C

[13]

3. 역사

부용당. 2003년에 복원되었다.


해주시는 고구려 시대에는 내미홀군, 지성, 장지 등으로 불렸다. 신라 문무왕 이후에는 한주에 속했다가 경덕왕 21년(762)에 폭지로 이름이 바뀌었고, 지성을 쌓아 대륙 방면의 전초기지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고려 태조는 바다에 인접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해주라고 명명하였다. 983년(고려 성종 2년) 십이목을 설치하면서 해주목을 두었고, 절도사를 두었다. 현종 때 절도사를 폐지하고 안서도호부를 설치하였다. 예종 때는 대도호부로 승격되었고, 고종 때 다시 목으로 환원되어 조선까지 이어졌다.

광해군 때 잠시 현으로 강등되기도 했지만, 인조 원년에 복구되었다. 고종 32년(1895년) 23부제 실시에 따라 해주부가 되어 16개 군을 관할하였다. 1896년 13도제 실시로 황해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1920년 해주군 해주면이 시면으로 승격되었고, 1931년 4월 1일 해주면이 해주읍으로 승격되었다.[20] 1938년 10월 1일 해주읍이 해주부로 승격되었고,[21] 기존의 해주군은 벽성군으로 이름이 바뀌어 분리되었다. 1940년 개항장으로 지정되었으며, 1943년 10월 1일 벽성군 서석면 일부가 해주부에 편입되었다.[22]

1945년 9월 2일 미국소련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해주 지역 대부분은 38선 이북에 속하게 되었다. 38선 이남에 있던 용당포 지역은 미군정과 소련군정의 합의에 따라 38선 이북으로 간주되었다.[23] 광복 후 해주시로 이름이 바뀌었다.

1954년 황해도가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황해남도 도청소재지가 되었으며, 1961년 청단군 영양리와 벽성군 신광리, 1965년 청단군 작천리·장방리를 편입하였다. 1973년 국제 무역항이 되었다.

3. 1. 고대 ~ 조선



고구려 때는 내미홀군(內未忽郡)·지성(池城)·장지(長池)라 불렀고, 신라 문무왕 이후 한주(漢州)에 속하였다가 경덕왕 21년(762) 폭지(瀑池)라 개칭하고 지성을 쌓아 대륙 방면에 대한 전위부(前衛部)로 중요시되었다.[14]

고려 태조는 바다에 임한 까닭에 해주(海州)라 명하고, 983년(고려 성종 2년) 십이목을 설치할 때 해주목(海州牧)을 두었다. 이어서 절도사(節度使)를 두었고, 현종 때에는 절도사를 폐지하고 4도호부(都護府)의 하나인 안서도호부를 두었다. 예종 때는 대도호부로 올리고 고종 때 목으로 환원하여 조선에 계승되었다.[14]

광해군 때 일시 현(縣)으로 강등되었다가 인조 원년에 복구되고, 고종 32년(1895년) 23부 실시로 해주부가 되어 16군을 관하에 두었다가, 1896년 13도 실시로 황해도의 도청소재지로 되었다.[14]

3. 2. 일제강점기 ~ 현대


  • 1920년 해주군 해주면이 시면으로 승격되었다.[14]
  • 1931년 4월 1일 해주면이 해주읍(邑)으로 승격되었다.[20]
  • 1938년 10월 1일 해주읍이 해주부(府)로 승격되었다.[21] 종래의 해주군은 벽성군(碧城郡)으로 개칭하여 분리하였다.
  • 1940년 개항장으로 지정되었다.
  • 1943년 10월 1일 벽성군 서석면 일부를 편입하였다.[22]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벽성군 서석면 읍청리, 동양리, 율동리해주부 일부


  • 1945년 9월 2일 : 미국소련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할 때 대부분이 38선 이북에 속했다. 38선 이남의 용당포 지역은 미군정과 소련군정의 합의 끝에 38선 이북으로 간주하기로 합의하였다.[23]
  • 광복 후 해주시(市)로 개칭하였다.
  • 1954년 황해도가 2개 도로 나뉘면서 황해남도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 1961년 청단군 영양리와 벽성군 신광리를 편입하였다.
  • 1965년 청단군 작천리·장방리를 편입하였다.
  • 1973년 국제 무역항이 되었다.

4. 행정 구역

현재 해주시는 26개의 동(洞)과 5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7]

동(洞)리(里)


5. 산업

지리적 영향으로 일찍부터 상업·공업이 발달하였으며 1973년 해주항이 기존의 군항에서 국제무역항으로 확장되면서 북한 9대 공업지구의 하나가 되었다. 주요 공업으로 건재·화학·기계·금속조선·일용품·피복·유리·도자기 등이 있고, 특히 풍부한 양질의 석회석을 원료로 한 시멘트 공업이 대표적이다. 인산비료·페인트·염료·유산·가성소다 등은 화학공업과 연결되며, 농기계·콤바인·트랙터 등의 기계공업도 알려져 있다.[8]

농업은 남부 평야지대에서 주로 벼농사가 이루어지고, 교외에서 채소와 ·복숭아· 등의 과일이 생산된다. 또한 젖소·돼지·닭·오리 사육도 성하다. 대어장인 연평도가 해주만 앞에 자리하여 조기잡이가 성황을 이뤘으며, 숭어·전어·민어·새우·굴 등의 어획도 많다. 특산물로는 해주먹, 장산곶 부근 해저에서 채취한 돌로 만든 벼루가 있다.

해주 개발구역은 대한민국 대통령 노무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지도자 김정일 간의 제2차 남북정상회담에서 발표되었다. 이는 해주항을 중심으로 한 개발구역이 될 예정이었다. 이 구역은 16.5km2의 개발과 해주항 확장을 포함할 예정이었으며, 이 프로젝트의 추정 비용은 45억달러가 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8]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이러한 경제 합의는 북방한계선[9]을 넘어 인천과 해주 항구(두 항구는 불과 110km 떨어져 있음) 간의 무역을 허용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군사적 충돌로 인해 당분간 이러한 합의가 재개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6. 교통

해주에는 12/30 활주로를 갖춘 군사 및 민간 공용 비행장인 해주공항이 있다. 해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경제 및 군사 항구 중 하나이며, 사리원과는 조선국가철도 황해청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철도 교통으로는 해주와 사리원 사이 해주선이 경의선에 연결되어, 해주에서 토성(土城)·개성으로 이어지는 황해청년선, 해주 옹진 사이의 옹진선 등이 있다. 또한 개성에서 옹진에 이르는 50번 국도와 재령(載寧)을 경유하여 사리원에 닿는 국도가 있다.

7. 교육

해주에는 해주교육대학, 해주예술대학, 김제원해주농업대학이 있다. 유명한 학자 이율곡(1536~1584)이 세운 소현서원(소현서원)은 해주 서쪽의 운병골에 위치해 있다.

8. 문화

해주 시내에는 푸용정, 해주 다라니 경전탑, 해주석빙고와 여러 천연기념물들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시 외곽에는 수양산폭포, 석담구곡 경승지, 수양산성, 소현서원 등이 있다.

9. 출신 인물


  • 최충 (984년 ~ 1068년): 고려시대 유학자이자 시인이다.
  • 최윤의 (1102년 ~ 1162년): 고려시대 유학자이다.
  • 최만리 ( ? ~ 1445년): 조선시대 집현전 학자이다.
  • 인조 (1595년 ~ 1649년): 조선의 제16대 왕이다.
  • 이승만: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 김구 (1876년 ~ 194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마지막 주석이다.
  • 안중근 (1879년 ~ 1910년):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독립운동가이다.
  • 리미록 (1899년 ~ 1950년): 작가이다.
  • 강준호 (1928년 ~ 1990년): 1952년 헬싱키 올림픽 권투 동메달리스트이다.
  • 종송옥 (1974년 ~ ): 마라톤 금메달리스트이자 올림픽 선수이다.


해주는 해주 최씨해주 오씨의 본관이다.

참조

[1] 서적 Peace & Reconciliation Ashgate 2008
[2] 서적 Killing Hope: US Military and CIA Interventions Since World War II https://archive.org/[...] Zed Books Ltd.
[3] 웹사이트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4
[4] 웹사이트 Klimatafel von Haeju / Korea (Nordkorea)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1-24
[5] 웹사이트 Station 47069 Haeju https://web.archive.[...] Deutscher Wetterdienst 2016-11-06
[6] 웹사이트 Station Haeju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11-06
[7] 웹사이트 중앙일보 - 아시아 첫 인터넷 신문 http://nk.joins.com/[...]
[8] 웹사이트 해주 개발땐 비용 46억달러ㆍ경제효과 33억달러 https://www.mk.co.kr[...] 2023-03-27
[9] 웹사이트 Importance of the Koreas' Northern Limit Line http://www.stratfor.[...] STRATFOR 2010-12-04
[10] 웹사이트 Agreements Signed between DPRK and Ecuador https://web.archive.[...]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8-04-27
[11] 웹사이트 Sister Relations Established between Cities in DPRK and Russia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7-12-03
[12]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海州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3-04
[13] 웹사이트 Haeju, North Korea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www.climate-c[...] World Climate Home 2013-04-01
[14] 웹사이트 황해남도 해주시 역사 http://www.cybernk.n[...]
[15] 웹사이트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16] 웹인용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 https://data.kma.go.[...] 대한민국 기상청 2022-01-31
[17] 웹인용 Klimatafel von Haeju / Korea (Nordkorea) http://www.dwd.de/DW[...] 독일 기상청 2016-01-24
[18] 웹인용 Station 47069 Haeju https://web.archive.[...] 독일 기상청 2016-11-06
[19] 웹인용 Station Haeju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2016-11-06
[20]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21]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22]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296호 1943-09-29
[23] 논문 미소의 38선 정책과 남북갈등의 기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