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링 (심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러링(심리학)은 사람들이 대화 중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의 행동을 따라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미소, 찡그림, 자세 등을 포함하며, 공감과 관계 형성에 기여한다. 미러링은 면접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내고, 자폐증 환자에게는 나타나기 어려울 수 있다. 뇌 연구에 따르면, 미러링은 인간과 원숭이의 뇌 영역에서 유사하게 나타나며, 특히 영아-부모 간 상호작용에서 아이의 자아 개념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라포르 형성에 도움을 주며, 힘의 역학 관계에서 상대를 설득하는 도구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사소통 - 번역
번역은 출발어 텍스트를 목표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직역과 의역 등의 방식을 통해 완역 또는 축약역으로 나뉘며, 기계 번역과 인간 번역의 차이, 그리고 문화와 사상의 교류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의사소통 -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은 인간과 컴퓨터 간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설계, 구현, 평가하는 학제간 분야로, 사용자 중심 설계 원칙을 통해 사용성, 효율성, 접근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며, 인공지능, 감정 컴퓨팅,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그리고 보안 상호작용 등의 새로운 연구 영역이 발전하고 있다. - 인간 관계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인간 관계 - 연인
연인은 서로 사랑하는 관계를 뜻하며, 일본어의 '이모세', '오모히비토', '애인'과 영어의 'boyfriend', 'girlfriend', 'steady' 등 다양한 표현이 존재하지만, '아베크'는 점차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미러링 (심리학) | |
---|---|
개요 | |
유형 | 심리학적 현상 |
설명 | 무의식적인 모방 행동 |
관련 용어 | 거울 신경 세포 공감 사회적 상호 작용 비언어적 의사소통 |
상세 내용 | |
정의 | 다른 사람의 행동, 몸짓, 표정을 무의식적으로 모방하는 행위 |
특징 | 사회적 유대감 강화 긍정적인 상호작용 촉진 타인에 대한 호감도 증가 |
관련 연구 | Chartrand와 Bargh의 "카멜레온 효과" 연구 (1999) Iacoboni의 "Mirroring People" (2008)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Chartrand, T. L., & Bargh, J. A. (1999). The chameleon effect: The perception-behavior link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6), 893–910. Iacoboni, M. (2008). Mirroring people: The new science of how we connect with others. Picador. |
2. 발생
미러링은 일반적으로 개인이 특정 상황에 반응하는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대화 중에 듣는 사람이 말하는 사람을 따라 미소를 짓거나 얼굴을 찡그리는 경우가 흔하며, 이야기 주제에 대한 몸의 자세나 태도를 따라 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자신과 비슷한 관심사나 믿음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더 공감하고 받아들이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대방을 미러링하는 것은 사람들 사이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 1. 인터뷰
미러링은 개인이 취업 면접에서 얼마나 좋은 성과를 내는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23][5] 워드(C.O. Word), 자나(M.P. Zanna), 쿠퍼(J. Cooper)가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면접관은 실험 조건에 따라 특정 바디랭귀지를 보이도록 지시받았다. 한 조건에서는 면접관이 등을 돌리거나 눈맞춤을 피하는 등 거리감을 두고 무관심한 듯한 태도를 보였고, 다른 조건에서는 미소를 짓거나 눈맞춤을 하는 등 환영하고 관심을 보이는 태도를 보였다.[23][5]그 결과, 면접자들은 면접관의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따라 하는 미러링 현상을 보였다. 즉, 덜 우호적인 태도의 면접관을 만난 면접자들은 자신도 비슷한 행동을 하게 되었고, 결국 우호적인 태도의 면접관을 만난 면접자들보다 면접에서 더 낮은 평가를 받았다.[23][5] 이 연구는 면접관이 면접 대상자에게 처음 보이는 태도가 미러링을 통해 면접자의 행동과 면접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23][5]
2. 2. 미러링 부재 시의 효과
자폐증이나 다른 사회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타인의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때로는 의식적으로도 잘 알아차리지 못하기 때문에 미러링을 덜 보이는 경향이 있다.[31][13] 미러링은 다른 사람과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부족하면 관계를 맺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미러링이 없으면 상대방에게 덜 비슷하고 덜 우호적으로 보일 수 있어, 다른 사람들이 라포르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의 제스처나 표정을 알아채지 못하면, 명시적인 설명 없이는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사회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숨겨진 신호(covert cue)나 은밀한 단서를 놓치게 만들어 사회적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자폐증이 있는 사람들은 이러한 사회적 단서들을 의도적으로 배우고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24][6]2. 3. 인간에게서의 실험
비침습적 fMRI 연구를 통해 인간의 미러링 현상이 원숭이와 유사하다는 증거가 밝혀졌다. 이러한 미러링 활동은 주로 아래마루소엽과 아래이마이랑 일부 영역에서 관찰된다.[7][25] 하지만 인간은 영장류에게서는 미러링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소뇌와 같은 뇌 영역에서도 추가적인 미러링 신호를 보인다.[8][26]미러링은 신경전형성 아동이 어떤 행동의 전체 과정을 보지 않고도 그 의도를 파악하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27] 이로 인해 아이는 다른 사람이 음식을 먹기 위해 집는 것을 보고, 자신도 음식을 집어 먹는 데 필요한 일련의 운동 과정을 활성화하여 따라 할 수 있다. 반면, 자폐증이 있는 아동은 이러한 운동 사슬 반응이 부족하여, 비슷한 행동을 하기 위해 시각이나 체감각과 같은 다른 감각 정보에 의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0][28]
3. 발전
영아와 부모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미러링은 부모가 아이의 표정을 모방하고, 그 표정에 담긴 감정을 목소리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29][11] 이러한 모방은 영아가 자신의 감정과 표정을 연결하는 데 도움을 주며, 부모의 모방을 통해 자신의 감정이 인정받는다고 느끼게 한다. 연구에 따르면 미러링은 아동 및 영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인츠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론에 따르면, 사람은 자기개념을 형성하기 위해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소속감을 느낄 필요가 있다.[30][12]
부모가 아이를 미러링할 때, 아이는 부모의 얼굴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확인하며 더 나은 자의식과 자기통제감을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영아는 부모가 보여주는 새로운 감정, 얼굴 표정, 몸짓 등을 배우고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미러링 과정은 영아가 감정과 표현을 연결하고, 나아가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준다.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모방해주면 아이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더 쉽게 인지하게 되고, 자신의 감정에 대해 안정감과 타당성을 느끼는 법을 배우게 된다.
미러링은 일반적으로 특정 상황에 반응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대화 중에 듣는 사람이 말하는 사람을 따라 미소를 짓거나 찡그리고, 상대방의 신체 자세나 태도를 모방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신과 관심사나 신념이 비슷하다고 느끼는 사람에게 더 공감하고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미러링은 사람들 간의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1. 자기개념
미러링은 유아의 자기개념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1][13] 유아는 주로 부모로부터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데, 미러링이 부족한 가정 환경은 아이의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 미러링이 없다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사회적으로 학습된 표현과 연결 짓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자폐증이나 다른 사회적 어려움을 겪는 개인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덜 무의식적이거나 의식적으로 인식하여 미러링을 덜 보일 수 있다.[13] 이는 미러링 부족으로 인해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데 추가적인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이 부족하면 다른 사람에게 다르게 보이거나 덜 친근하게 느껴질 수 있어, 타인이 그 사람과 라포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미러링 제스처를 무의식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개인은 다른 사람의 관점을 명시적으로 듣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암묵적인 신호를 이해하지 못해 사회적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자폐증을 가진 사람은 이러한 단서를 의도적으로 배우고 인식할 수도 있다.[6]
3. 2. 공감
다른 사람을 적절히 미러링하는 능력이 부족하면 아이의 사회성 발달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32][14] 이는 미러링 부족으로 인해 타인이 아이에게서 거리감을 느끼거나, 아이 스스로 타인에게 공감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미러링은 다른 사람의 자세나 몸짓을 따라 하면서 그 사람의 감정을 더 쉽게 경험하도록 돕기 때문에 공감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다친 사람을 볼 때 그 고통을 주관적으로 느끼게 되는 것도 미러링의 영향이다.[33][15] 이러한 공감 능력은 다른 사람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사회적 상황에 잘 대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러링 행동은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비슷하다고 느끼게 만들며, 이러한 유사성 인식이 관계 형성의 기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방의 가치관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미러링은 보통 특정 상황에 반응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일어난다. 대화 상황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듣는 사람은 말하는 사람의 미소나 찡그림을 따라 하거나 신체 자세나 태도를 모방하는 경향이 있다. 사람들은 자신과 관심사나 신념이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더 공감하고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므로, 대화 상대를 미러링하는 것은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4. 라포르
흔히 미러링은 개인들이 상황에 반응하는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나타난다. 미러링은 대화 중에 청자가 화자를 따라 미소짓거나 얼굴을 찡그릴 때 흔히 나타나며, 또한 주제에 대한 몸짓(body posture)이나 태도를 모방하기도 한다. 개인들은 비슷한 흥미와 믿음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더욱 공감하고 그들을 수용하고자 하며, 따라서 이야기 하고 있는 사람을 미러링하는 것은 사람들 간의 연결을 구축한다.
라포르(rapport)는 사회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타인과의 라포르 형성은 그 사람과 친구가 되거나 지인이 되는 첫 단계이다.[22][4] 미러링은 라포르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데, 비슷한 행동, 태도, 발성 패턴을 보이는 것이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과 비슷하며 친구가 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믿게 만들기 때문이다. 사람은 상대방이 자신의 몸짓을 모방하는 것을 보고 그 사람이 자신과 비슷한 신념과 태도를 가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서로를 높이 평가하고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 때문에, 미러링은 절친한 친구 관계나 연인 관계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친구 사이는 낯선 사람들보다 더 많은 유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미러링과 별개로 비슷한 바디랭귀지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거울뉴런(mirror neuron)의 활성화는 타인의 움직임을 미러링하는 사람에게 일어나며, 이는 미러링 대상과의 연결감 및 이해도를 높인다. 동시에 미러링을 당하는 사람 역시 상대방과의 연결 강도를 더 크게 느끼게 된다.[34][16]
4. 1. 힘 역학
사람들은 자신보다 지위나 힘이 높거나 신체적으로 매력을 느끼는 상대를 미러링하는 경향이 있다.[35][36][17][18] 힘이 더 강한 사람을 미러링하면, 마치 자신도 더 높은 지위를 가진 것처럼 보이게 하거나 힘 있는 사람과의 라포르를 형성하여 호의를 얻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미러링을 통해 형성된 관계는 지위가 높은 사람이 낮은 지위의 사람을 돕도록 설득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힘이 더 강한 사람과 협상해야 하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접, 승진 요청과 같은 직장 내 상황,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 또는 교수에게 부탁하는 경우 등이 해당된다. 이런 상황들은 보통 협상력이 약한 쪽과 상대방의 요구를 들어줄 힘은 있지만 굳이 그럴 필요는 없는 쪽 사이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미러링은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사람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상대를 설득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미러링은 개인이 면접에서 얼마나 좋은 성과를 내는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5] 워드(Word), 자나(Zanna), 쿠퍼(Cooper)가 진행한 연구에서는 면접관들에게 실험 조건에 따라 특정 신체 언어를 사용하도록 지시했다. 한 조건에서는 면접관이 몸을 뒤로 젖히거나 눈맞춤을 피하는 등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도록 했고, 다른 조건에서는 미소를 짓고 눈을 맞추는 등 더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도록 했다. 그 결과, 면접자들은 면접관의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따라 했으며, 무관심한 태도를 보인 면접관을 만난 면접자들은 우호적인 태도를 보인 면접관을 만난 면접자들보다 면접 결과가 더 나빴다. 이 연구는 면접관이 면접자에 대해 처음부터 가지고 있는 태도가 미러링 현상을 통해 면접자의 실제 수행 능력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참조
[1]
논문
The chameleon effect: The perception-behavior link and social interaction
http://www.yale.edu/[...]
[2]
논문
The effect of psychological mirroring in telecommunicative dialogue.
null
2023
[3]
서적
Mirror Neuron Systems
Springer
[4]
서적
Mirroring people: The new science of how we connect with others
Picador
2008
[5]
논문
The nonverbal mediation of self-fulfilling prophecies in interracial interaction
1974
[6]
서적
Autism and masking : how and why people do It, and the impact it can have
2022
[7]
논문
Assessing human mirror activity with EEG mu rhythm: A meta-analysis.
2016
[8]
논문
Brain regions with mirror properties: A meta-analysis of 125 human fMRI studies
https://espace.libra[...]
[9]
논문
The mirror system and its role in social cognition
[10]
논문
Impairment of actions chains in autism and its possible role in intention understanding
2007-10-26
[11]
논문
The social biofeedback theory of parental affect-mirroring: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self-awareness and self-control in infancy
[12]
서적
Self Psychology and the Humanities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
1985
[13]
서적
Foundations for developing a concept of self: The role of imitation in relating self to other and the value of social mirroring, social modeling, and self-practice in infan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0
[14]
서적
From mirroring to guiding: A review of the state of art technology for supporting collaborative learning
https://hal.archives[...]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2001
[15]
논문
Why are injuries disgusting? Comparing pathogen avoidance and empathy accounts.
2018-10
[16]
논문
Neural mirroring and social interaction: Motor system involvement during action observation relates to early peer cooperation
http://dx.doi.org/10[...]
2017-01-01
[17]
서적
Sweetness and Power
Penguin
1985
[18]
논문
How Leaders Influence Followers Through the Use of Nonverbal Communication
http://www.lindatall[...]
2015
[19]
논문
The chameleon effect: The perception-behavior link and social interaction
http://www.yale.edu/[...]
[20]
논문
The chameleon effect: the perception-behavior link and social interaction
https://pubmed.ncbi.[...]
[21]
서적
Mirror Neuron Systems
Springer
[22]
서적
Mirroring people: The new science of how we connect with others
Picador
2008
[23]
논문
The nonverbal mediation of self-fulfilling prophecies in interracial interaction
1974
[24]
서적
Autism and masking : how and why people do It, and the impact it can have
2022
[25]
논문
Assessing human mirror activity with EEG mu rhythm: A meta-analysis.
2016
[26]
논문
Brain regions with mirror properties: A meta-analysis of 125 human fMRI studies
https://espace.libra[...]
[27]
논문
The mirror system and its role in social cognition
[28]
논문
Impairment of actions chains in autism and its possible role in intention understanding
2007-10-26
[29]
논문
The social biofeedback theory of parental affect-mirroring: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self-awareness and self-control in infancy
[30]
서적
Self Psychology and the Humanities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
1985
[31]
서적
Foundations for developing a concept of self: The role of imitation in relating self to other and the value of social mirroring, social modeling, and self-practice in infan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0
[32]
서적
From mirroring to guiding: A review of the state of art technology for supporting collaborative learning
https://hal.archives[...]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2001
[33]
논문
Why are injuries disgusting? Comparing pathogen avoidance and empathy accounts.
2018-10
[34]
논문
Neural mirroring and social interaction: Motor system involvement during action observation relates to early peer cooperation
http://dx.doi.org/10[...]
2017-01-01
[35]
서적
Sweetness and Power
Penguin
1985
[36]
저널
How Leaders Influence Followers Through the Use of Nonverbal Communication
http://www.lindatall[...]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