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셸 드 몽테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셸 드 몽테뉴는 16세기 프랑스의 사상가이자 수필가로, 그의 저서 『수상록』을 통해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시했다. 법학을 공부하고 판사로 재직하며, 프랑스 종교 전쟁 시기에 온건파로서 활동했다. 몽테뉴는 인간의 불완전함과 회의주의적 관점을 강조하며, 관용과 중용의 가치를 옹호했다. 그의 수필은 프랑스 문학뿐 아니라 영국 문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20세기 독일 문헌학자 에리히 아우어바흐는 그를 최초의 현대인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르도뉴주 출신 - 에티엔 드 라 보에시
    에티엔 드 라 보에시는 프랑스의 시인이자 작가, 외교관으로 미셸 드 몽테뉴와 교류했으며, 폭군의 권력 유지가 피지배자들의 자발적 복종에 기인한다는 내용을 담은 대표작 『자발적 예속론』을 통해 전제군주제와 폭정을 비판하고 시민 불복종과 비폭력 저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무정부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도르도뉴주 출신 - 안 라카통
    프랑스 건축가이자 교육자인 안 라카통은 장-필리프 바살과 라카통 & 바살 건축 사무소를 설립하여 저비용 건축과 기존 건축물의 잠재력 활용에 집중하는 건축 활동을 펼치며 팔레스 드 도쿄 현대 미술관 재생안, 보르도 주거단지 재생 프로젝트 등의 건축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건축 설계 교수, 미스 반 데어 로에 상, 프리츠커상 수상 경력이 있다.
  • 프랑스의 여행 작가 -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은 프랑스 낭만주의 운동을 이끈 작가이자 정치가로, 소설을 집필하고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자유, 평등, 박애의 가치를 옹호하다가 1848년 혁명 중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여행 작가 -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2008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프랑스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인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경험을 바탕으로 실험적인 문체에서 평이한 문체로 변화하며 사막,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이주, 생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독특한 문학 세계를 구축했지만, 사회적 논란을 겪기도 했다.
  • 1533년 출생 - 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1세는 헨리 8세의 딸로 잉글랜드 여왕으로 즉위하여 국교회를 정비하고 스페인 무적함대를 격파하는 등 잉글랜드의 국제적 지위를 높였으며, 튜더 왕조의 마지막 군주로서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 1533년 출생 - 아사쿠라 요시카게
    아사쿠라 요시카게는 에치젠 아사쿠라 씨의 당주로, 문화와 외교에 능했으나 우유부단한 태도와 군사적 능력 부족으로 가문을 멸망시켰다.
미셸 드 몽테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570년대 몽테뉴의 초상화
1570년대 몽테뉴의 초상화
이름미셸 드 몽테뉴
출생 이름(없음)
출생일1533년 2월 28일
출생지샤토 드 몽테뉴, 기옌, 프랑스 왕국
사망일1592년 9월 13일
사망지샤토 드 몽테뉴, 기옌, 프랑스 왕국
미셸 드 몽테뉴의 서명
미셸 드 몽테뉴의 서명
학력
교육기옌 대학교
사상 및 철학
학파/전통반종교개혁
프랑스 르네상스
신 피론주의
르네상스 인문주의
르네상스 회의주의
주요 관심사기독교
고전 연구
윤리학
인간 본성
교육학
과학 철학

정치사
사교성
미덕
주요 사상일반적인 무리
에세이-글쓰기
몽테뉴의 수레바퀴 논증
영향아우구스티누스
에티엔 드 라 보에티
키케로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에피쿠로스
헤라클레이토스
호라티우스
루크레티우스
오비디우스
플라톤
플루타르코스
섹스투스 엠피리쿠스
세네카
소크라테스
테렌티우스
베르길리우스
영향을 준 사람한나 아렌트
프랜시스 베이컨
에티엔 드 라 보에티
알베르 카뮈
피에르 샤롱
찰스 다윈
르네 데카르트
C.H. 더글러스
랠프 월도 에머슨
조제프 드 메스트르
장 메슬리에
몽테스키외
미셸 푸코
지그문트 프로이트
에드워드 기번
윌리엄 해즐릿
앨버트 허시먼
에릭 호퍼
데이비드 흄
존 메이너드 케인스
장프랑수아 료타르
칼 마르크스
존 헨리 뉴먼
프리드리히 니체
블레즈 파스칼
알렉산드르 푸시킨
장자크 루소
주제 사라마구
애덤 스미스
장폴 사르트르
윌리엄 셰익스피어
마크 트웨인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버지니아 울프
풀턴 쉰
고어 비달
볼테르
슈테판 츠바이크

2. 생애

몽테뉴라는 마을의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법률을 공부한 후, 보르도 법원에서 법관을 지냈다. 그 후 1571년 고향으로 돌아와 저술에 몰두하였다. 1580년 유명한 <수상록>을 완성시켰는데, 그는 이 책에서 인간의 거짓 없는 모습을 그렸다. 그와 같은 인간의 연구가·관찰가를 프랑스 문학사에서는 모랄리스트(인간 연구가)라 부르고 있다. 그는 프랑스의 모랄리스트 문학의 토대를 쌓았을 뿐만 아니라 수필 문학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는 처음에는 금욕적인 인생관을 가르쳤으나, 천동설이 지동설로 바뀌고, 신대륙이 발견되는 등 상식이 붕괴되자 충격을 받아, 인간 이성의 한계를 주장하면서 개혁을 혐오하고 보수주의를 신봉하였다. 그러나 내심으로는 자유주의를 지지하고, 귀족보다는 농민의 태도를 찬양하였으며, 형식주의적 법 이론을 배척하여 인간애를 고취하는 등 인간의 가치를 추구하였다.

페리고르(Périgord) 지방, 보르도(Bordeaux) 근처에 있는 몽테뉴 성(Château de Montaigne)에서 태어났다. 집안은 상업을 하여 부유하였다. 외조부 라몽 에이켐(Ramon Eyquem)은 몽테뉴 땅을 사들여 귀족이 되었다. 아버지는 정치에 열심이었고 보르도 시장을 지낸 적이 있다. 어머니 쪽은 세파르딤(Sephardim)(스페인계 유대인) 가문이었다.[68]

미셸은 여섯 살이 될 때까지 가정교사 밑에서 주로 라틴어를 사용하며 자랐다. 라틴어는 당시 학문에 필수적인 지식이었지만, 이러한 교육 방법은 특이했다.

툴루즈(Toulouse)에서 법학을 배우고 프랑스 판사가 되었다. 1557년, 보르도 고등법원(Parlement)에서 근무하던 중 인문주의자 에티엔 드 라 보에시(Étienne de La Boétie)와 친분을 쌓았다. 에티엔은 1563년 사망하여 몽테뉴는 깊은 슬픔에 잠겼다. 1565년 결혼하여 여섯 딸을 두었으나, 성인이 된 것은 한 명뿐이었다. 1568년, 아버지의 죽음으로 몽테뉴 성을 상속받았다. 1570년, 37세에 판사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수상록(エセー, Essais)』 집필을 시작했다.

판사직 사임 후, 가톨릭의 샤를 9세(Charles IX), 앙리 3세(Henri III)로부터 侍従(비상근직)에 임명되는 한편, 1577년에는 프로테스탄트 나바라의 앙리(Henri IV)의 侍従에도 임명되었다(앙리는 즉위 전인 1584년, 1587년에 몽테뉴의 성을 방문한 적이 있다). 유그노 전쟁(프랑스 종교 전쟁)(1562-1598년) 시대에 몽테뉴 자신은 로마 가톨릭의 입장이었지만, 프로테스탄트와도 인맥을 가지고 온건파로서 양파의 화합에 힘썼다.

주저 『수상록(エセー, Essais)』을 1580년에 출판했다(초판, 2권).

1580년부터 1581년에 걸쳐 몽테뉴는 프랑스, 독일(Allemagne), 오스트리아(Autriche), 스위스(Suisse)를 거쳐 이탈리아(Italie)로 여행했다. 이때의 여러 에피소드와 도시별 종교적 차이를 상세히 기록한 원고가 몽테뉴 사후에 발견되어 1774년에 『여행일기(Journal de voyage)』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1581년, 이탈리아에 체류 중 보르도 시장에 선출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귀환하여 1585년까지(2기) 시장직을 수행하며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중재에 힘썼다. 임기 말 무렵 보르도에서 페스트가 유행하여 몽테뉴도 페스트를 피해 다른 곳으로 피신했다(1586-1587년).

몽테뉴는 앙리 4세 즉위 후인 1590년에 고문이 되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거절했다. 1592년 사망할 때까지 『수상록(エセー, Essais)』의 가필과 개정을 계속했다.

2. 1. 가문, 어린 시절 및 교육

몽테뉴는 프랑스 남서부 기옌(아키텐) 지역의 보르도 근처에 위치한 몽테뉴 성에서 부유한 상인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34] 그의 증조부 라몽 펠리페 에이켕은 청어 상인으로 부를 축적하여 1477년 몽테뉴 영지를 매입하고 영주가 되었다.[34] 아버지 피에르 에이켕은 이탈리아에서 프랑스 가톨릭 군인으로 복무했으며, 보르도 시장을 역임했다.[34] 어머니 안투아네트 로페스 드 비야누에바는 프로테스탄트로 개종한 스페인계 유대인(세파르딤) 가문 출신이었다.[7]

몽테뉴는 어린 시절 아버지의 독특한 교육 방침에 따라 라틴어를 모국어처럼 익혔다. 그의 아버지는 몽테뉴가 태어난 직후 농민 가족과만 함께 3년 동안 살게 했다.[14] 그후, 몽테뉴의 지적 교육은 프랑스어를 할 줄 모르는 독일인 가정교사에게 맡겨졌으며, 아버지는 라틴어를 구사할 수 있는 하인만 고용하여 몽테뉴에게 항상 라틴어로 말하도록 했다.[15] 몽테뉴의 라틴어 교육은 게임, 대화, 고독한 명상 연습을 활용하는 교육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15] 아침마다 음악을 연주하게 하는 등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다.[16]

1539년경 몽테뉴는 보르도의 명문 기숙학교인 기옌 콜레주에 입학하여 조지 버커낸의 지도 아래 라틴어 교육을 받았다.[17] 1546년에 기옌 콜레주에서 교육 과정의 첫 번째 단계를 마친 후, 법학을 공부했다.[18]

2. 2. 법조 경력과 결혼

몽테뉴는 페리그외의 국왕재정법원 고문관이었으며, 1557년에는 보르도 고등법원(Parlement) 고문관으로 임명되었다.[19] 보르도 고등법원에서 근무하는 동안 몽테뉴는 에티엔 드 라 보에시(Étienne de La Boétie)와 매우 가까운 친구가 되었으나,[20] 1563년 라 보에시가 사망하자 몽테뉴는 큰 슬픔에 잠겼다.[20][68]

1565년, 몽테뉴는 툴루즈와 보르도의 부유한 상인의 딸이자 조카였던 프랑수아즈 드 라 카사뉴(Françoise de la Cassaigne)와 결혼했다.[21] 이 결혼으로 여섯 명의 딸을 두었으나, 레오노르(Léonor)만이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다.[21][68] 레오노르는 프랑수아 드 라 투르(François de la Tour)와 결혼하여 딸 하나를 낳았고, 이후 샤를 드 가마슈(Charles de Gamaches)와 재혼하여 딸 하나를 낳았다.[23]

몽테뉴는 1561년부터 1563년까지 샤를 9세의 궁정에서 궁정 신하(courtier)로 일했으며,[19] 루앙 공성전에 참전하기도 했다.[19] 그는 프랑스 귀족 최고의 영예인 성 미카엘 훈장(Order of Saint Michael)을 받았다.[19]

1565년경 미셸 드 몽테뉴의 초상화 (익명의 화가)

2. 3. 은퇴와 저술 활동

1570년 몽테뉴는 상속받은 몽테뉴 성(Château de Montaigne)으로 돌아와 몽테뉴 영주가 되었다.[24] 이 무렵, 몽테뉴는 저택에서 승마 사고로 크게 다쳐 의식을 잃었다.[25] 수 주에서 수개월에 걸쳐 회복되었고, 이 죽음의 위기는 그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25] 사고 직후, 그는 보르도의 판사직을 그만두고, 1571년에는 공적인 생활에서 완전히 은퇴하여 샤토의 탑으로 들어가 사회적, 가족적인 모든 일로부터 거의 완전히 고립되었다.[27] 그는 약 1,500권의 책을 소장한 그의 서재[26]에 틀어박혀 저술 작업을 시작하여 1580년에 『수상록(Essais)』을 처음 출판했다.[27] 38세 생일이자 거의 10년간의 자발적 은둔 생활에 들어선 날, 그는 자신의 서재 책장 꼭대기에 다음과 같은 비문을 새겼다.[27]

서기 1571년, 38세의 나이에, 2월 마지막 날, 그의 생일에, 미셸 드 몽테뉴는 궁정의 속박과 공직에 오랫동안 지쳐, 아직 건강할 때 학식 있는 처녀들의 품으로 은퇴하여, 평온하고 모든 근심으로부터 자유롭게 남은 삶, 이미 절반 이상 지나간 삶을 보낼 것이다. 운명이 허락한다면, 그는 이 거처, 이 달콤한 조상의 휴식처를 완성할 것이며, 그는 이곳을 자신의 자유, 평온, 그리고 여유를 위해 바쳤다.[27]


몽테뉴는 아버지의 부탁으로 라임온드 세봉(Raymond Sebond)의 『자연신학』(Theologia naturalis)을 번역하여 아버지가 사망한 1568년 이후에 출판했다.[24]

2. 4. 여행

1578년, 몽테뉴는 신장결석을 앓기 시작했다.[34] 1580년부터 1581년까지 몽테뉴는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이탈리아를 여행했다.[30] 그는 각 지역의 관습과 문화적 차이를 기록하고,[31] 자신의 건강 상태와 개인적인 경험을 상세하게 기록한 『여행일기(Journal de voyage)』를 남겼다. 『여행일기』는 몽테뉴 사후인 1774년에 발견되어 출판되었다.[32]

몽테뉴는 로마를 방문하여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 치하에서 자신의 『수상록』에 대한 검토를 받았다.[33] 일부 내용에 대한 수정을 권고받았으나, 수정은 자신의 양심에 따르도록 허락받았다.[33]

2. 5. 보르도 시장 재임과 말년

1581년 루카 시에 머무는 동안 몽테뉴는 보르도 시장으로 선출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34] 이탈리아 여행에서 돌아온 그는 1583년에 재선되어 1585년까지 시장직을 역임하며 가톨릭교도와 프로테스탄트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했다.[34] 1585년 그의 두 번째 임기 말에 보르도에서 역병이 발생했고, 1586년 역병과 프랑스 종교 전쟁으로 인해 그는 2년 동안 자신의 샤토를 떠나야 했다.[34]

몽테뉴의 초상화, 익명의 화가, 1590년경


1589년 앙리 3세가 암살당했을 때, 몽테뉴는 종교 개혁의 원인에 대한 반감에도 불구하고 유혈 사태를 종식시킬 타협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했고, 나중에 앙리 4세가 되는 나바라의 앙리에게 지지를 보냈다.[35] 몽테뉴의 입장은 그를 종교적 충성심보다 평화, 국가 통합, 왕권을 우선시하는 기득권 세력인 폴리티크와 연결시켰다.[35] 몽테뉴는 앙리 4세 즉위 후인 1590년에 고문이 되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이를 거절하였다.

몽테뉴는 1592년, 59세의 나이로 몽테뉴 성(Château de Montaigne)에서 편도농양(Peritonsillar abscess, quinsy)으로 사망했다. 그의 경우 이 병은 "혀의 마비"를 가져왔다.[36] 특히 그는 한때 "마음의 가장 풍요롭고 자연스러운 놀이는 대화이다. 나는 그것을 삶의 다른 어떤 행위보다 더 달콤하다고 생각한다. 만약 내가 선택해야 한다면, 시력을 잃는 것보다 청력과 목소리를 잃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던 사람에게는 더욱 그러했다.[37] 다른 모든 능력을 유지한 채 미사를 청했고, 미사 중에 사망했다.[38] 그는 근처에 묻혔다. 나중에 그의 유해는 보르도의 생트완느 교회(Saint Antoine)로 옮겨졌으나, 그 교회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39]

3. 『수상록(Essais)』

몽테뉴의 인문주의는 1580년에 출판된 그의 ''수필집(Essais)''에서 잘 드러난다.[40] 이 책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짧고 주관적인 수필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 플루타르코스루크레티우스의 작품을 포함한 고전 연구에서 영감을 받았다.[40] 몽테뉴는 인간, 특히 자신을 완전하고 솔직하게 묘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40] 그는 인간 본성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으로 다양성과 변동성을 꼽았다.[40] 자신의 좋지 않은 기억력, 감정 개입 없이 문제를 해결하고 갈등을 중재하는 능력, 명성에 대한 경멸, 죽음을 준비하기 위해 세속적인 것들로부터 자신을 분리하려는 시도 등을 설명하며, 당시 종교 갈등에 대한 혐오감을 드러냈다.[40] 그는 인간이 진정한 확실성을 얻을 수 없다고 믿었으며, 그의 유명한 모토인 "나는 무엇을 아는가?"는 이러한 피론주의적 관점을 보여준다.[41]

몽테뉴는 결혼이 자녀 양육에 필요하다고 보았지만, 열정적인 사랑은 자유에 해롭다고 생각하여 싫어했다. 교육에 있어서는 비판 없이 받아들여지는 추상적 지식보다 구체적인 예와 경험을 선호했다.[40] 그의 수필 "어린이의 교육에 관하여(On the Education of Children)"는 푸아의 디아나에게 헌정되었다.

『수필(隨想錄)』(Essais)은 몽테뉴가 판사직에서 은퇴한 후 1572년부터 집필을 시작하여 1580년 보르도에서 초판(2권)이 출판되었다.[69] 1582년에 재판되었고, 1587년에는 파리루앙에서 출판되었다. 1588년에는 제3권과 초판(2권)에 대한 대폭적인 증보를 가하여 출판하였다(1588년판).[69] 이후에도 신판 출판을 위해 집필 활동을 계속했고, 사망 직전까지 책의 여백에 글을 써넣었는데, 이 부분도 정본으로 여겨진다.[69] 그의 사후 1595년, 마리 드 귈네르와 피에르 드 플라크는 크게 개정된 신판을 출판했다.[69]

'수필(Essais)'은 '시도'를 의미하며, 체계적인 철학서가 아니라 자신의 경험과 고전 인용을 바탕으로 한 고찰을 담고 있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플루타르코스, 세네카 등 고전 고대 문헌(서양 고전학)에서의 인용이 많고, 성경에서의 인용은 거의 없다.[69] 종교 전쟁의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몽테뉴는 관용의 정신을 가지고 정의를 내세우는 자들에게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17세기데카르트파스칼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후세에는 무신론 서적으로 금서(1676년)로 지정되기도 했다.[69]

''수필집(Essais)''은 사상과 스타일 면에서 프랑스 문학영국 문학 모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42] 프랜시스 베이컨의 ''수필집(Essays)'''은 몽테뉴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되며, 베이컨은 후기 수필에서 몽테뉴를 다른 고전적 자료들과 함께 언급한다.[43] 20세기 독일 출신의 문헌학자 아우어바흐는 저서 『미메시스』에서 『수필』이 최초로 인간의 삶, 자신의 삶을 근대적인 의미에서 문제 삼은 책이라고 평가했다.[70]

3. 1. 집필 배경과 구성

몽테뉴의 인문주의는 1580년에 출판된 그의 ''수필집(Essais)''에서 잘 드러난다.[40] 이 책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짧고 주관적인 수필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 플루타르코스루크레티우스의 작품을 포함한 고전 연구에서 영감을 받았다.[40] 몽테뉴는 인간, 특히 자신을 완전하고 솔직하게 묘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40] 그는 인간 본성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으로 다양성과 변동성을 꼽았다.[40] 자신의 좋지 않은 기억력, 감정 개입 없이 문제를 해결하고 갈등을 중재하는 능력, 명성에 대한 경멸, 죽음을 준비하기 위해 세속적인 것들로부터 자신을 분리하려는 시도 등을 설명하며, 당시 종교 갈등에 대한 혐오감을 드러냈다.[40] 그는 인간이 진정한 확실성을 얻을 수 없다고 믿었으며, 그의 유명한 모토인 "나는 무엇을 아는가?"는 이러한 피론주의적 관점을 보여준다.[41]

몽테뉴는 결혼이 자녀 양육에 필요하다고 보았지만, 열정적인 사랑은 자유에 해롭다고 생각하여 싫어했다. 교육에 있어서는 비판 없이 받아들여지는 추상적 지식보다 구체적인 예와 경험을 선호했다.[40] 그의 수필 "어린이의 교육에 관하여(On the Education of Children)"는 푸아의 디아나에게 헌정되었다.

『수필(隨想錄)』(Essais)은 몽테뉴가 판사직에서 은퇴한 후 1572년부터 집필을 시작하여 1580년 보르도에서 초판(2권)이 출판되었다.[69] 1582년에 재판되었고, 1587년에는 파리루앙에서 출판되었다. 1588년에는 제3권과 초판(2권)에 대한 대폭적인 증보를 가하여 출판하였다(1588년판).[69] 이후에도 신판 출판을 위해 집필 활동을 계속했고, 사망 직전까지 책의 여백에 글을 써넣었는데, 이 부분도 정본으로 여겨진다.[69] 그의 사후 1595년, 마리 드 귈네르와 피에르 드 플라크는 크게 개정된 신판을 출판했다.[69]

'수필(Essais)'은 '시도'를 의미하며, 체계적인 철학서가 아니라 자신의 경험과 고전 인용을 바탕으로 한 고찰을 담고 있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플루타르코스, 세네카 등 고전 고대 문헌(서양 고전학)에서의 인용이 많고, 성경에서의 인용은 거의 없다.[69] 종교 전쟁의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몽테뉴는 관용의 정신을 가지고 정의를 내세우는 자들에게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17세기데카르트파스칼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후세에는 무신론 서적으로 금서(1676년)로 지정되기도 했다.[69]

''수필집(Essais)''은 사상과 스타일 면에서 프랑스 문학영국 문학 모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42] 프랜시스 베이컨의 ''수필집(Essays)'''은 몽테뉴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되며, 베이컨은 후기 수필에서 몽테뉴를 다른 고전적 자료들과 함께 언급한다.[43] 20세기 독일 출신의 문헌학자 아우어바흐는 저서 『미메시스』에서 『수필』이 최초로 인간의 삶, 자신의 삶을 근대적인 의미에서 문제 삼은 책이라고 평가했다.[70]

3. 2. 주요 내용과 사상

몽테뉴는 그의 저서 『수상록』(Essais)을 통해 인간 본성의 다양성과 변동성을 강조하며, 인간이 진정한 확실성을 얻을 수 없다는 회의주의적 관점을 제시했다.[41] 특히 "나는 무엇을 아는가?(Que sais-je?)"라는 질문을 던지며 인간 이성의 한계를 지적했다.[41]

그는 자신의 좋지 않은 기억력, 감정 개입 없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등을 솔직하게 묘사하며 인간의 불완전함을 드러냈다.[40] 또한, 종교 전쟁으로 인한 갈등을 겪으며 관용의 정신을 강조하고, 정의를 내세우는 사람들에게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69]

몽테뉴는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플루타르코스, 세네카 등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 문헌을 폭넓게 인용했지만, 성경 인용은 거의 하지 않았다.[69] 이는 17세기 데카르트파스칼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후대에 무신론 서적으로 간주되어 금서 목록에 오르기도 했다(1676년).[69]

교육에 있어서 몽테뉴는 추상적 지식보다 구체적인 예와 경험을 통한 교육을 강조했다.[41] 그는 비판 없이 지식을 받아들이는 것을 경계하고, 경험과 비판적 사고를 통해 스스로 판단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아우어바흐는 그의 저서 『미메시스』에서 『수상록』이 최초로 인간의 삶, 자신의 삶을 근대적인 의미에서 문제 삼은 책이라고 평가했다.[70]

3. 3. 영향과 평가

몽테뉴의 『수필집(Essais)』은 프랑스 문학영국 문학 모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42] 특히 프랑스 도덕가 문학의 기초를 쌓았다는 평가를 받으며, 르네 데카르트, 블레즈 파스칼 등 근대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69] 몽테뉴의 사상은 17세기 프랑스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수상록』은 한때 금서로 지정되기도 했다.[69]

프랜시스 베이컨의 ''수필집(Essays)'''은 몽테뉴의 『수필집(Essais)』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며, 몽테뉴는 베이컨에 의해 후기 수필에서 다른 고전적 자료들과 함께 언급된다.[43] 1780년 에드워드 캐펠이 처음으로 그러한 주장을 제기한 이후로, 학자들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에게 몽테뉴가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해왔다.[53] 셰익스피어는 1603년 영어로 출판된 존 플로리오의 몽테뉴 『수필』 번역본을 접할 수 있었을 것이며, 『템페스트』의 한 장면은 "플로리오(몽테뉴의 『인육식 사람들』 번역본)의 어구를 너무나 정확하게 따라 해서 그의 빚을 부정할 수 없다".[52]

블레즈 파스칼은 자신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철학자로 몽테뉴와 에픽테토스를 꼽았으며,[55]팡세』에서 블레즈 파스칼의 회의론의 상당 부분은 몽테뉴를 읽은 결과로 설명되어 왔다.[54] 영국의 수필가 윌리엄 헤이즐릿은 몽테뉴에 대한 무한한 찬사를 표하며, "그는 작가로서 느낀 것을 인간으로서 말할 용기를 가진 최초의 사람이었다. … 그는 탁상공론가도 아니었고, 광신자도 아니었다. … 인간과 풍속에 관해 이야기할 때, 그는 미리 생각해 놓은 개념이나 추상적인 교리에 따라서가 아니라, 있는 그대로 이야기했다"고 외쳤다.[56] 랄프 왈도 에머슨은 셰익스피어와 플라톤 등과 함께 자신의 강의 시리즈인 『대표적인 인물들』에서 "몽테뉴, 혹은 회의주의자"를 주제로 삼았다.[58] 프리드리히 니체는 몽테뉴에 대해 "그러한 인물이 글을 썼다는 사실은 진정으로 이 지구상에서의 삶의 기쁨을 더해주었다"고 평가했다.[58]

20세기 독일 문헌학자 에리히 아우어바흐는 『미메시스』에서 몽테뉴의 『수필집(Essais)』을 인간의 삶을 근대적인 의미에서 문제 삼은 최초의 책이라고 평가했다.[70] 또한, 아우어바흐는 몽테뉴를 최초의 현대인이라고 칭하며, "그의 모든 동시대인들 중에서 그는 인간의 자기 방향 설정 문제, 즉 고정된 지지점 없이 존재 속에서 자신을 편안하게 만드는 과제에 대한 가장 명확한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라고 썼다.[62]

4. 몽테뉴의 심리학에 대한 영향

몽테뉴는 과학자는 아니었지만 심리학 분야에 대한 관찰을 남겼다.[44] 그는 자신의 수필에서 이러한 주제들에 대한 관찰을 발전시키고 설명했다. 그의 사상과 아이디어는 사고, 동기, 두려움, 행복, 아동 교육, 경험, 그리고 인간 행위와 같은 주제를 다루었다. 몽테뉴의 사상은 심리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학의 풍부한 역사의 일부이다.

4. 1. 아동 교육론

몽테뉴는 자신의 저서 『수상록』의 「어린이 교육에 관하여」, 「학자에 관하여」, 「경험에 관하여」 등의 장에서 아동 교육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44][45] 그는 당시 일반적인 교육 방식이었던 고전 읽기와 책을 통한 암기 위주의 획일적인 교육을 비판했다.[45]

몽테뉴는 학생이 정보를 단순히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자신의 것으로 소화해야 한다고 보았다.[45] 이를 위해 교사는 학생이 모든 것을 스스로 검토하고, 권위나 신뢰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7][48]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원리가 스토아 학파나 에피쿠로스 학파의 원리보다 더 중요하지 않다고 강조하며, 다양한 사상을 접하고 스스로 선택하거나 의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보았다.

몽테뉴는 좋은 교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교사는 학생의 학습 속도에 맞춰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5] 학생과의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학생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의 실수를 깨닫도록 돕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개별화된 학습이 중요하며, 학생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질문을 허용하는 교육 방식을 제안했다.[45]

몽테뉴는 경험을 통한 학습의 중요성 또한 강조했다.[45] 그는 책을 통한 학습보다는 연습, 여행, 인간 상호 작용과 같은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했다.[49]

몽테뉴의 이러한 교육론은 현대 교육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개별화된 학습과 경험 중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46][49]

5. 유산 및 평가

몽테뉴는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사상가이자 수필가로서, 인간의 본성과 삶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시했다.[65] 그의 『수상록』은 수필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근대 철학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65] 몽테뉴의 사상은 에라스무스, 토마스 모어, 존 피셔, 기욤 부데 등 당대의 사상가들과 유사성을 가지며, 특히 플루타르코스에게서 내용과 스타일 면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50][51] 몽테뉴의 『수필』에 나오는 플루타르코스의 인용문은 500개가 넘는다.[51]

블레즈 파스칼은 자신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철학자로 몽테뉴와 에픽테토스를 꼽았으며,[55] 파스칼의 회의론의 상당 부분은 몽테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54] 영국의 수필가 윌리엄 헤이즐릿은 몽테뉴를 "작가로서 느낀 것을 인간으로서 말할 용기를 가진 최초의 사람"이라고 칭송하며 그의 문체를 따르려 했다.[56][57] 랄프 왈도 에머슨은 몽테뉴를 "회의주의자"의 대표적인 인물로 꼽았고,[58] 프리드리히 니체는 몽테뉴의 글이 "이 지구상에서의 삶의 기쁨을 더해주었다"고 평가했다.[58]

셰익스피어는 존 플로리오가 번역한 몽테뉴의 『수필』을 접했으며, 『템페스트』의 한 장면은 플로리오의 번역본(몽테뉴의 『인육식 사람들』)의 어구를 정확하게 따르고 있어 몽테뉴의 영향을 부정하기 어렵다.[52] 하지만, 셰익스피어와 몽테뉴의 유사점은 세네카, 호라티우스, 오비디우스, 베르길리우스와 같은 라틴계 도덕 철학 작가들을 연구한 결과로 설명될 수도 있다.[53]

생투앵브는 "우리의 판단에 명료성과 비례를 회복하려면 매일 저녁 몽테뉴의 글 한 페이지를 읽어야 한다"고 조언한다.[59] 20세기 문학 비평가 에리히 아우어바흐는 몽테뉴를 최초의 현대인이라고 칭하며, "고정된 지지점 없이 존재 속에서 자신을 편안하게 만드는 과제에 대한 가장 명확한 개념"을 가진 인물이라고 평가했다.[62] 미국의 철학자 에릭 호퍼와 영국의 소설가 존 카우퍼 파우스 또한 몽테뉴의 철학에 대한 찬사를 표했다.[61] 주디스 N. 슐클라는 자신의 책 『평범한 악덕』(1984)에서 몽테뉴를 자신의 영웅으로 칭하며, 그의 정신이 책의 모든 페이지에 있다고 말했다.

몽테뉴의 회의주의적 관점, 관용과 중용의 가치, 경험주의적 교육관은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가치를 지닌다. 몽테뉴는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에서 높이 평가받는 인물이다. 그의 관용과 중용의 정신, 사회 통합에 대한 노력, 비판적 사고와 경험을 중시하는 교육관은 진보적 가치와 부합한다. 반면, 국민의힘과 보수 진영에서는 몽테뉴의 회의주의적 관점과 종교적 전통에 대한 비판적 태도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다.

보르도 대학교의 인문학부는 그의 이름을 따서 "Université Michel de Montaigne Bordeaux 3"로 명명되었다.[65] 몽테뉴의 생일은 미국에서 국가 에세이 데이(National Essay Day)를 제정하는 기준이 되었다. 2019년, 아키텐 박물관은 박물관 지하실에서 발견된 인골이 몽테뉴의 유해일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63]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연기되었던 인골 조사는 2020년 9월에 재개되었다.[64]

6. 관련 서적


  • 아라키 쇼타로(荒木昭太郎) 『몽테뉴: 초대 에세이스트의 질문』 중공신서(中公新書), 2000년
  • 아라키 쇼타로(荒木昭太郎) 『몽테뉴와의 대화』 춘추사(春秋社), 2007년
  • 아라키 쇼타로(荒木昭太郎) 『몽테뉴 원근』 다이슈칸쇼텐(大修館書店), 1987년
  • 마이클 스크리치 『몽테뉴와 멜랑콜리: 에세이의 지혜』 :아라키 쇼타로(荒木昭太郎) 역, 미스즈쇼보(みすず書房), 1996년, 저자는 타이몬 스크리치(タイモン・スクリーチ)의 아버지
  • 로베르 오로(Robert Aulotte) 『몽테뉴와 에세이』 아라키 쇼타로(荒木昭太郎) 역, 하쿠스이샤(白水社)〈분코 쿠세쥬(文庫クセジュ)〉, 1992년
  • 미야시타 시로(宮下志朗) 『몽테뉴: 인생을 여행하기 위한 7장』 이와나미 신쇼(岩波新書), 2019년
  • 호카리 미즈호(保苅瑞穂) 『몽테뉴 사기: 잘 살고 잘 죽기 위해』 츠쿠마쇼보(筑摩書房), 2003년/고단샤가쿠주츠분코(講談社学術文庫), 2015년
  • 호카리 미즈호(保苅瑞穂) 『몽테뉴의 서재: 「에세이」를 읽는다』 고단샤(講談社), 2017년
  • 야마가미 코지(山上浩嗣) 『몽테뉴 입문 강의』 치쿠마가쿠게이분코(ちくま学芸文庫), 2022년
  • 오니시 카츠토모(大西克智) 『「에세이」독해 입문: 몽테뉴와 서양의 정신사』 고단샤가쿠주츠분코(講談社学術文庫), 2022년
  • 오쿠보 야스아키(大久保康明) 『몽테뉴: 사람과 사상』 시미즈쇼인(清水書院)(신서판), 2007년, 신장판 2016년
  • 피터 버크(ピーター・バーク) 『몽테뉴』 오가사와라 히로치카(小笠原弘親)・우하노 아키코(宇羽野明子) 역, 코요쇼보(晃洋書房), 2001년
  • 장 스타로반스키(ジャン・スタロバンスキー) 『몽테뉴는 움직인다』 하야미 요타로(早水洋太郎) 역, 미스즈쇼보(みすず書房), 1993년
  • 이봉느 베랑제(イヴォンヌ・ベランジェ) 『몽테뉴: 정신을 위한 축제』 타카다 이사무(高田勇) 역, 하쿠스이샤(白水社), 1993년
  • 앙투안 콩파뇨(Antoine Compagnon) 『잠자리에 들기 전 5분의 몽테뉴: 「에세이」입문』 야마가미 코지(山上浩嗣)・미야시타 시로(宮下志朗) 역, 하쿠스이샤(白水社), 2014년
  • 사이토 히로노부(斎藤広信) 『여행하는 몽테뉴: 16세기 유럽 기행』 호세이대학출판국(法政大学出版局), 2012년
  • 호리타 요시에(堀田善衛) 『미셸: 성곽의 사람』 슈에이샤(集英社), 1991-1994년/슈에이샤(集英社) 분코(集英社文庫), 2004년
  • *「제1부 혼란의 시대」,「제2부 자연 이성 운명」,「제3부 정신의 축제」

참조

[1] 백과사전 Michel de Montaigne https://plato.stanfo[...] 2004-08-18
[2] 서적 The Problem of the Criter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95
[3] 뉴스 Small Talk: José Saramago http://www.ft.com/cm[...] FT.com
[4] 사전 Montaigne http://dictionary.re[...]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5] 문서 Essais Pléiade 1937
[6] 서적 L’Histoire Juive de Montaigne Flammarion 2001
[7] 서적 Civilization Harper & Row 1969
[8] 웹사이트 Zeitschrift für Französische Sprache und Literatur https://books.google[...]
[9] 백과사전 Montaigne, Michel de https://www.jewishvi[...] The Gale Group 2014-03-06
[10] 서적 Apology for Raymond Sebond Hackett 2003
[11] 서적 The Complete Essays of Montaign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9
[12] 서적 The History of Scepticism: From Savonarola to Bay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3-03-20
[13] 서적 Inquisition: The Reign of Fear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09-03-17
[14] 문서 Essays
[15] 서적 How to Live – or – A Life of Montaigne in One Question and Twenty Attempts at an Answer https://books.google[...] Vintage 2022-10-02
[16] 서적 The Essays of Michel Eyquem de Montaigne Encyclopædia Britannica
[1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ontaig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18] 서적 Bibliothèque d'humanisme et Renaissance: Travaux et documents, Volume 47 https://books.google[...] Librairie Droz 1985
[19] 서적 The Autobiography of Michel de Montaigne Nonpareil Books 1999
[20] 서적 The Complete Essays of Montaigne 1958
[21] 잡지 Me, Myself, And I https://www.newyorke[...] 2009-08-31
[22] 웹사이트 Montaigne the essayist. A biography https://archive.org/[...] London, Chapman and Hall 2019-03-16
[23] 웹사이트 Léonor de Montaigne – MONLOE : MONtaigne à L'Œuvre https://montaigne.un[...] 2015-02-27
[24] 학술지 Montaigne and la Boétie in the Chapter on Friendship https://www.jstor.or[...] 1950-06
[25] 서적 How to Live – or – A Life of Montaigne in One Question and Twenty Attempts at an Answer https://books.google[...] Vintage 2010
[26] 학술지 A la recherche de la ‘librairie’ de Montaigne 1997
[27] 문서 Essays
[2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ontaig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Wars of Religion in Europe https://books.google[...] Perennial Press 2016
[30] 서적 The Evolution of the Grand Tour: Anglo-Italian Cultural Relations since the Renaissance 2000
[31] 서적 Montaigne et la coutume http://editionsmimes[...] Mimésis
[32] 서적 Montaigne's Travel Journal 1983
[33] 웹사이트 Treccani.it, L'encicolpedia Italiana, Dizionario Biografico http://www.treccani.[...] 2013-08-10
[34] 백과사전 Montaigne, Michel, Seigneur
[3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ontaigne 2016
[36] 서적 Essays of Michel de Montaigne
[37] 서적 The Autobiography of Michel De Montaigne David R. Godine Publishing
[38] 백과사전 Biographical Note Encyclopædia Britannica "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
[39] 서적 How to Live – or – A Life of Montaigne in One Question and Twenty Attempts at an Answer
[40] 웹사이트 Titi Lucretii Cari De rerum natura libri sex (Montaigne.1.4.4) http://cudl.lib.cam.[...] Cambridge Digital Library 2015-07-09
[41] 웹사이트 Montainge, Apology for Raymond Sebond: Happiness and the Poverty of Reason http://www.blackwell[...] 2020-03-03
[42] 서적 The Western Canon https://archive.org/[...] Riverhead Books
[43] 서적 How to Live – or – A Life of Montaigne in One Question and Twenty Attempts at an Answer https://books.google[...] Vintage
[44] 서적 A History of Psychology: Ideas and Context Pearson Education, Inc.
[45] 간행물 Montaigne's Uses of Classical Learning
[46] 간행물 Influence of ten leading educators on American education
[47] PDF https://media.blooms[...] 2024-08-00
[48] 서적 Of the education of children The Great Books Foundation
[49] 간행물 Painting With Impasto: Metaphors, Mirrors, and Reflective Regression in Montagne's 'Of the Education of Children.'
[50] 서적 Montaign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1] 서적 The Classical Heritage in France BRILL
[52] 간행물 How Great Was Shakespeare's Debt to Montaigne?
[53] 간행물 Shakespeare and Montaigne: A Tendency of Thought
[54] 서적 Introduction to Pascal's Essays http://www.gutenberg[...] E. P. Dutton and Co.
[55] 서적 Blaise Pascal Thoughts, Letters, and Minor Works Cosimo 2007
[56] 서적 Hazlitt and the Spirit of the Age Oxford, Clarendon Press
[57] 서적 William Hazlitt: Critic of Power Columbia University Press
[58] 서적 Untimely Medit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서적 Montaigne New York: P. F. Collier & Son
[60] 서적 German writers and politics 1918 - 1939 MacMillan 1992
[61] 서적 Suspended Judgments https://archive.org/[...] G.A. Shaw
[62] 서적 Mimesis: Representations of Reality in Western Literature Princeton UP
[63] 웹사이트 French museum has 'probably' found remains of philosopher Michel de Montaigne https://www.japantim[...] 2019-11-21
[64] 웹사이트 'Mystery' endures in France over Montaigne tomb: archaeologist https://www.france24[...] 2020-09-18
[65] 웹사이트 Bordeaux's humanist university https://www.u-bordea[...] 2019-03-16
[66] 백과사전 Montaigne, Michel, Seigneur
[67] 웹사이트 【いつかできることはすべて、今日でもできる】 モンテーニュ |今週の名言 http://fukushima-net[...] 福島みんなのNEWS 2020-10-13
[68] 서적 世界の名著 モンテーニュ 中央公論社
[69] 서적 ラルース 図説 世界史人物百科 原書房
[70] 서적 ミメーシス ちくま学芸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