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하라 오사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라 오사무는 일본의 야구 선수, 감독, 그리고 구단 사장으로 활동하며 일본 프로 야구 발전에 기여했다. 193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이후 감독으로서 요미우리, 니시테쓰 라이온스, 다이요 웨일스, 긴테쓰 버펄로스, 야쿠르트 아톰스를 거치며 5개 구단의 지휘봉을 잡았다. 뛰어난 용병술과 선수 육성 능력으로 '미하라 매직'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일본 야구 연맹,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의 정규 시즌과 일본 시리즈에서 모두 우승을 이끈 유일한 인물로 기록되었다. 27년간의 감독 경력 동안 통산 3,248경기에 출전하여 일본 프로 야구 신기록을 세웠고, 1983년에는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언론인 - 김현우 (기자)
    김현우는 SBS 소속 기자이자 앵커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2005년 SBS 공채 13기 기자로 입사하여 현재 정치부 기자로 활동하며 평일 SBS 8 뉴스를 진행하고, 2019년 이여진 아나운서와 결혼하여 2020년에 아들을 출산했다.
  • 스포츠 언론인 - 오가타 고이치 (1968년 9월)
    오가타 고이치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해설가, 평론가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외야수로 활약하며 두 차례 도루왕을 차지했고, 은퇴 후 해설가와 코치로 활동하며 2009년 WBC 일본 대표팀 우승에 기여했다.
  • 가가와현 출신 야구 선수 - 미즈하라 시게루
    미즈하라 시게루는 일본 프로야구의 전설적인 선수이자 감독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주전 선수와 3개 구단 감독을 역임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고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도 활동하며 한국 프로야구 발전에도 기여했다.
  • 가가와현 출신 야구 선수 - 곤도 아키히토
    곤도 아키히토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다이요 웨일스에서 2루수로 활약하며 1960년 일본 시리즈 MVP를 수상했고, 은퇴 후에는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 지바 롯데 마린스 감독을 역임했다.
  • 가가와현 출신 - 오히라 마사요시
    오히라 마사요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68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외무대신 시절 한일 및 중일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총리 재임 중 환태평양 연대 구상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총선 직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 가가와현 출신 - 나리타 도모미
    나리타 도모미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되어 12선을 기록하고 사회당 위원장을 역임했으나 당내 갈등으로 사퇴 후 사망했다.
미하라 오사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하라 오사무 (1951년)
1951년, 니시테쓰 감독 시절
출생일1911년 11월 21일
출생지가가와현 나카타도군 간노촌 (현: 만노정)
사망일1984년 2월 6일
포지션내야수 / 감독
타석/투구우타/우투
선수 경력
구단대일본도쿄야구클럽/도쿄 교진군 (1934년, 1936년-1938년)
감독 경력
구단요미우리 자이언츠 (1947년-1949년)
니시테쓰 라이온스 (1951년-1959년)
다이요 웨일스 (1960년-1967년)
긴테쓰 버펄로스 (1968년-1970년)
야쿠르트 아톰스 (1971년-1973년)
NPB 경력
첫 출장 (데뷔)날짜: 1936년 9월 18일
팀: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지막 출장날짜: 1938년 11월 15일
팀: 요미우리 자이언츠
통계 (1938년 기준)
타율0.226
홈런0
안타92
기타 정보
명예의 전당 헌액종류: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 연도: 1983년
헌액 유형: 일본
신체 정보
신장168cm
체중64kg

2. 선수 경력

1934년 대일본도쿄야구클럽(현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계약 선수 1호로 입단했다.[26] 1936년 도쿄 교진군(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전신) 선수 겸 코치로 복귀하여 1937년 춘계 리그에서 3번 타자 겸 2루수로 활약하며 팀 내 2위의 타점을 기록했다. 중일 전쟁에 참전했다가 부상을 입기도 했으며, 1938년 추계 리그에 주전 2루수(1번 타자)로 복귀했다.

사회인 야구팀 젠오사카와 도쿄 교진군에서 리그 통산 67경기에 출전하여 231타수 68안타, 타율 0.294를 기록하고 1938년 시즌 종료 후 은퇴했다.

2. 1. 프로 입문 전

와세다 대학 시절의 미하라 오사무(가운데, 1931년 추계 소케이센 당시)


미하라 오사무는 1911년 11월 21일 가가와현 나카타도군 고노촌(현 만노초)에서 대지주의 막내 아들로 태어나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가가와 현립 마루가메 중학교 시절 야구에 심취했고, 관료가 되기를 원했던 아버지의 뜻에 따라 가가와 현립 다카마쓰 중학교로 전학했다. 다카마쓰 중학교에서는 '문무양도'(文武両道일본어)를 권장하여 야구부에 들어가는 조건으로 전학이 허용되었다. 다카마쓰 중학교에서 유격수로 활약하며 투수 가지와라 히데오(후에 도쿄 제국대학)와 함께 제14회 전국 중등 학교 우승 야구 대회(하계 고시엔 대회)에 출전,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우천 콜드 게임으로 패배했다. 당시 야구부 매니저는 훗날 일본사회당 위원장을 역임한 나리타 도모미였다.

중학교 졸업 후, 제4고등학교 진학 시험을 쳤으나, 와세다 대학에 재학 중이던 중학교 선배 미즈하라 요시아키의 권유로 와세다 대학에 입학하게 되었다.[26] 와세다 대학 야구부에서는 1학년 때부터 2루수로 활약, 특히 1931년 춘계 소케이센 2차전에서 게이오기주쿠 대학 투수 미즈하라 시게루를 상대로 홈스틸을 감행하여 소케이센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26] 이 홈스틸로 와세다 대학은 역전에 성공, 경기 흐름을 이어가며 6대 3으로 승리하여 1930년 추계 시즌부터 이어진 소케이센 5연패를 막아냈다.

그러나 1933년 결혼 직후 야구부를 탈퇴하고 대학을 중퇴, 고향으로 돌아갔다. 고향에서 특별한 일 없이 지내다가 대학 시절 친구의 부름으로 오사카부로 이사하여 사회인 야구팀 젠오사카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리그 통산 67경기에 출전하여 231타수 68안타, 타율 0.294를 기록했다.

1936년 당시의 미하라 오사무

2. 2. 프로 야구 선수 시절

1934년 대일본도쿄야구클럽(현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계약 선수 1호로 입단했다.[26] 1936년 도쿄 교진군(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전신)의 선수 겸 코치로 복귀했다. 1937년 춘계 리그에서 3번 타자 겸 2루수로 활약하며 팀 내 2위의 타점을 기록했다. 중일 전쟁 참전 중 부상을 입기도 했다. 1938년 추계 리그에는 주전 2루수로 복귀하여 1번 타자로 활약했다.

미하라는 사회인 야구팀 젠오사카와 도쿄 교진군에서 리그 통산 67경기에 출전하여 231타수 68안타, 타율 0.294를 기록하고 1938년 시즌 종료 후 은퇴했다.

3. 감독 경력

1948년, 나카지마를 대신해 미하라가 요미우리의 감독을 맡아 팀을 2위로 이끌었지만, 같은 해 오프 시즌에 벳쇼 다케히코의 이적을 둘러싼 '벳쇼 스카우트 사건'이 발생했다.[33] 당시 감독들은 대부분 등번호 30번을 달았지만, 미하라는 이전 조감독 겸임 시절에 21번을, 복귀 후에는 31번을 사용했다.[33] 이후 세이부 라이온즈 감독 시절에는 50번, 다이요 호에일즈에서는 60번, 킨테츠 버팔로즈에서는 70번, 야쿠르트 아톰즈에서는 80번으로 등번호가 점점 커졌다.[33] 세이부 시절 등번호 변경은 라이벌 미즈하라 시게루에 대한 대항 의식으로 두 배의 등번호를 선택했다는 설도 있지만, 미하라 본인은 특별한 고집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33]

3. 1. 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시절

1949년 경기 중에 상대 팀인 난카이 호크스 선수를 구타한 사건(일명 ‘미하라 폭행 사건’)을 일으켜 무기한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다.[33] 이후 구명 운동으로 출장 정지 기간은 100일로 단축되었고, 같은 해 7월 23일부터 복귀했다(미하라가 출장 정지 기간 동안 감독은 나카지마가 팀을 지휘했다).[33] 미하라의 중징계로 팀은 전력 이탈 등의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결국 우승을 달성했다(요미우리는 태평양 전쟁 이후 첫 우승을 달성했는데 이것은 일본 야구 연맹 리그의 마지막 우승으로 기록됐다).[33]

같은 해 7월, 학창 시절부터 라이벌이자 요미우리에 입단한 뒤 3루수를 맡고 있던 미즈하라 시게루시베리아 억류에서 복귀하여 팬이나 선수들로부터 미즈하라의 플레이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졌지만, 미하라는 미즈하라를 기용하지 않았다.[33] 요미우리에서 업적을 남긴 공로자로 평가받는 미즈하라를 기용하지 않은 것에 대해 팀 내에서도 비판이 있었다.[33]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 선수들을 중심으로 미하라를 배척하고 미즈하라를 옹립하려는 이른바 ‘미하라 감독 배척 소동’이 일어났다.[33] 구단은 이 상황을 지켜본 뒤 ‘총감독 미하라, 감독 미즈하라’라는 인사를 단행해 센트럴 리그에 가맹된 1950년의 지휘권은 미즈하라가 갖게 됐다.[33] 감독으로 취임한 미즈하라는 이때 미하라의 감독 교체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지만, “미하라는 부대표로 임명하는 것이 어떻습니까. 여하튼 제가 감독이라면 맡겨주십시오” 라며 구단에 제안했다.[33] 총감독이 된 미하라에게는 구단으로부터 일이 주어지지 않아서 하루 종일 심심풀이로 바둑을 두는 등의 하루를 보냈다.[33]

3. 2. 니시테쓰 라이온스 감독 시절

三原 脩일본어 감독은 1951년 니시테쓰 클리퍼스(후에 니시테쓰 라이온스로 구단명 변경)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오시타 히로시, 나카니시 후토시, 도요다 야스미쓰, 이나오 가즈히사 등 젊고 유망한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육성했다.[11]

1954년, 니시테쓰는 구단 창단 이후 처음으로 퍼시픽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56년부터 1958년까지는 3년 연속으로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하며 니시테쓰 라이온스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특히 1958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상대로 3연패 뒤 4연승이라는 대역전극을 연출하며 일본 프로 야구 역사에 남을 명승부를 펼쳤다. 당시 미하라는 3차전 다음 날 밤샘 마작 도중 비가 오는 것을 눈치채고 4차전 중단을 요청했는데, 이는 "운을 바꾸고 싶다"는 의도와 더불어 에이스 이나오에게 휴식을 주기 위함이었다. 이후 니시테쓰는 4차전부터 내리 승리하며 기적적인 역전 우승을 이뤄냈다. 이나오는 이 시리즈에서 6경기에 등판해 4완투승을 거두는 맹활약을 펼쳤고, "신, 부처, 이나오님"이라는 유명한 말이 이때 미하라의 입에서 나왔다.[11]

1959년 시즌에는 4위에 그쳤고, 미하라는 그해 11월 19일에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니시테쓰 감독직에서 사임했다.[11]

3. 3. 다이요 웨일스 감독 시절

당시 다이요 웨일즈는 6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고, "만년 최하위" 다이요에 명장 미하라 오사무가 감독으로 취임한 것은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12][13] 주변의 기대는 니시테츠를 강팀으로 만든 미하라가 다이요를 어떻게 변화시킬지에 쏠렸고, 미즈하라 시게루가 이끄는 자이언츠와의 대결은 "간류지마의 싸움의 재현"이라고 불렸다.

봄철 캠프 중에 기자로부터 "목표는 승률 5할입니까?"라는 질문을 받은 미하라는 "농담 아니야!"라고 일축하며, "승률 5할을 목표로 우승할 수 있습니까? 다이요의 목표는 '우승'입니다. 작년까지 최하위였다고 해도 올해도 최하위라는 법은 없습니다. 미국에는 작년 최하위 팀이 우승한 예가 많습니다"라고 말했다.

1960년 시즌 개막 후 6연패를 당하고, 에이스 아키야마 노보루마저 이탈하는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미하라는 선수 기용으로 반전을 꾀했다. 전년도에 부진했던 곤도 마사토시를 중간 계투로 기용하고, 스즈키 타카시 역시 중간 계투로 활용하며, 아키야마에게는 선발, 중간, 마무리를 모두 맡겼다. 빈 선발 자리에는 시마다 겐타로를 발탁하여 투수진을 강화했다.

타선에서는 곤도 가즈히코, 구와타 타케시 외에는 리그 최저 수준이었지만, 신인 곤도 아키히토를 2루수로 기용하는 등 야수진을 재편했다.

당시 프로야구 규칙은 4월 말까지 트레이드를 허용했고, 5월 이후에는 커미셔너 승인 하에 이적이 가능했다. 미하라는 이 점을 활용하여 긴테츠에서 스즈키 타케시를 영입, 유격수로 기용했다. 스즈키는 뛰어난 수비력으로 팀에 기여했다.

미하라는 선수들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폈다. 곤도에게는 커브, 시마다에게는 제구력, 하마나카 요시카즈에게는 주루 플레이를 연마시켰다. 미하라는 선수 조합을 통해 "초일류 선수"를 만들고, 접전에서 강한 팀을 구축했다. 실제로 이 해 다이요는 1점 차 승부에서 33승 17패를 기록, 센트럴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다이마이 오리온스를 상대로 모든 경기에서 1점 차 승리를 거두며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전년도 최하위 팀의 리그 우승 및 일본 시리즈 우승이라는 일본 프로야구 사상 최초의 기록이었다. 미하라는 3개 구단에서 우승을 달성한 최초의 감독이 되었고, 1961년에는 기쿠치 간 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1961년에는 다시 최하위로 추락했고, 1962년과 1964년에는 "메가톤 타선"을 구축하여 한신 타이거스와 우승 경쟁을 벌였으나 2위에 그쳤다. 이후 팀 성적이 부진하자, 1967년 10월 3일에 미하라는 성적 부진을 이유로 사임했다.[12][13]

3. 4. 긴테쓰 버펄로스 감독 시절

三原|미하라일본어 오사무는 1968년 긴테쓰 버펄로스의 감독으로 부임했다.[14] 부임 첫 해에는 팀을 4위로 이끌며 4년 연속 최하위에서 벗어나게 했다.[15] 그러나 1968년 11월 7일, "회사에 배신 행위가 있었다"며 사임을 신청했다.[15] 구단의 설득으로 유임되었지만, 미하라가 취임하기 전 긴테쓰에는 승부 조작이 만연해 있었고, 미하라는 승부 조작에 관여한 선수들을 방출하면서 구단과 대립했다. 하지만 1970년 검은 안개 사건으로 미하라의 판단이 옳았음이 증명되었다.

1969년에는 한큐 브레이브스와 우승 경쟁을 벌였다. 3년 계약의 마지막 해였던 1970년 10월 24일, 미하라는 임기 만료로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긴테쓰 시절에도 선수 지도력은 변함없어서, 나가후치 요조를 투수와 야수 겸업으로 기용하다가 야수로 전향시켜 수위 타자를 획득하게 했고, 이세 타카오, 오가와 토오루도 주력 선수로 성장시켰다.

3. 5. 야쿠르트 아톰스 감독 시절

ヤクルトアトムズ일본어 감독으로 1970년 11월 7일에 취임했다.[47] 미하라가 취임하기 전 해까지 승률 .264로, 드래프트 제도 도입 이후 최저 승률을 기록하며 붕괴된 팀이었지만, 1년 차에는 최하위이면서도 승률 .419를 기록했다. 2년 차인 1972년에는 승률 .472로 4위, 3년 차인 1973년에는 승률 .488로 4위를 기록하며 점차 승률을 끌어올렸다. 또한 선두 요미우리와의 게임 차를 4.5경기 차까지 좁히는 등, 단기간에 팀을 재건하는 데 성공했다.[47]

선수 기용 면에서도 입단 직후 와카마쓰 쓰토무의 타격 센스를 간파하여 주전으로 발탁했다. 미하라와 함께 타격 코치로 입단한 나카니시 후토시의 일대일 지도를 통해 이듬해 와카마쓰는 수위 타자를 획득했고, 이후 거포로 성장하는 계기를 만들었다.[47]

마쓰오카 히로무는 "미하라 감독은 1971년 오픈전에서 나를 자주 기용해 주었다. 그래서 아직 두 자릿수 승리를 거둔 적이 없는 4년 차인 내가 개막전 선발 투수가 되었다. 주변에서는 '왜 마쓰오카가'라며 불만을 가진 사람도 있었던 것 같지만, 미하라 감독은 나를 믿어주셨다. 그해 14승을 했고, 미하라 감독의 마법에 걸린 것이다. 거기서부터 72년에는 17승, 73년에는 21승을 했다. 미하라 감독을 필두로 팀에서 나를 키워주셨고, 역시 기대에 부응하려 노력하면서 나 또한 정신적으로 강해질 수 있었던 것"이라고 회고했다.[47]

1973년 10월 25일, 야쿠르트 아톰스 감독직에서 용퇴했다.[45]

4. 닛폰햄 파이터스 구단 사장 시절

1973년 11월 17일 닛폰햄의 닛타쿠 홈 플라이어스 인수에 관여하여 닛폰햄 파이터스(일본햄 구단 주식회사)의 대표이사 사장 겸 구단 대표로 취임했다. 감독으로는 딸의 남편인 나카니시 후미오를 영입했다. 그러나 경기 시작 직후 첫 회에 주자가 출루한 상황에서 희생 번트 사인을 낸 나카니시의 지휘를 보고 "감독의 그릇이 아니다"라고 판단했다.[17]

결국 팀은 1974년1975년 2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고, 미하라는 나카니시를 해임하고[18], 후임으로 오사와 게이지를 초빙했다. 오사와는 미하라의 기대에 부응하여 최하위만 맴돌던 팀을 우승 경쟁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성장시켰고, 미하라가 상담역으로 물러난 1981년에는 전신인 도에이 플라이어스 시절 이후 19년 만에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이 기간 동안 장훈, 오스기 가쓰오, 백인천, 오시타 쓰요시, 다카하시 나오키 등 도에이 시절 주축 선수들을 잇따라 방출하며 팀 체질 개선을 추진했다. 리그 우승 당시 남아있던 선수는 우다 히가시시게, 센도 미키오, 오카모치 가즈히코뿐이었고, 같은 해 오프 시즌에 우다는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했으며, 센도는 은퇴를 선언했다. 같은 시기에 발생한 에가와 사건에서는 요미우리를 제외한 11개 구단에서 에가와 스구루의 요미우리 입단을 반대했지만, 대세를 바꾸지는 못했다.

5. 업적 및 평가

三原 修|미하라 오사무일본어는 선수, 감독, 경영자로서 일본 프로 야구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뛰어난 용병술과 선수 육성 능력으로 '미하라 매직', '마술사', '지장' 등의 별명으로 불렸다.[49] 일본 프로 야구 역사상 일본 야구 연맹,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등 3개 대회에서 우승을 이끈 유일한 감독이기도 하다.

1949년에는 경기 도중 상대팀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츠츠이 케이조를 구타한 '미하라 포카리 사건'을 일으켜 무기한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 이후 100일로 감경되었다.[49]

감독직에서 물러난 후 1981년에는 호적상 이름을 '미하라 '로 개명했으며, 1983년에는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9]

6. 미하라 매직

미하라 오사무 감독은 뛰어난 통찰력을 바탕으로 선수들의 컨디션과 운을 파악하여, 주변의 예상을 뛰어넘는 선수 기용과 용병술을 선보였다. 이러한 선수 기용은 많은 명승부를 연출했고, '미하라 매직'(三原魔術일본어)이라는 감탄사와 함께 '마술사', '지주'라는 별명으로 불렸다.[49] 1960년에는 만년 최하위 팀이었던 다이요 웨일스를 이끌고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을 동시에 달성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미하라는 선수 개개인의 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역할을 부여하는 데 탁월했다. 아키야마 노보루에게는 선발, 중간 계투, 마무리 3역을 모두 맡겼고, 곤도 마사토시는 구원 전문 투수로 기용하여 부활시켰다. 스즈키 다케시를 영입하여 유격수로 기용하고, 아소 사네오는 대타, 하마나카 요시카즈는 대수비와 대주자로 기용하는 등 각 선수의 장점을 극대화했다. 또한 선수들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심리전을 펼치기도 했다.

6. 1. 유선형 타선

니시테쓰 라이온스 감독 시절, 번트나 이어지는 타격의 기대감이 큰 2번 타자 자리에 강타자를 배치하는 '유선형 타선'을 고안했다. 1954년 리그 우승 당시에는 2번 도요다 야스미쓰, 3번 나카니시 후토시, 4번 오시타 히로시로 이어지는 강력 타선을 구성하며 독자적인 타선론을 선보였다. 이때 니시테쓰의 강력 타선은 '수폭 타선'으로 불렸는데, 그 원조는 쇼치쿠 로빈스였다. 이 타선론은 현재까지 일본 프로 야구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6. 2. 초2류

미하라는 일류는 아니지만 수비, 타격 등 한 가지 재주가 뛰어난 선수를 기꺼이 기용했다. 이러한 선수들을 '초2류(超二流일본어) 선수'라고 불렀다.[49]

니시테츠에서는 낮은 타율에도 2루타를 많이 쳐서 상대 팀에게 '괴물'이라고 불린 고노 아키노부를 6번 타자로 기용했다. 또한, 다키우치 야스오를 대주자·수비 요원으로, 고부치 다이스케를 내야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 오기 아키라와 번갈아 기용했다.

다이요 시절에도 수비에 약점이 있는 아소 사네오를 대타 요원으로 기용하고, 주포 구와타 다케시에게는 "타율 2할 5푼이면 된다. 대신 홈런을 쳐라"라고 지시하는 등, 약팀 선수들의 특성을 간파해 성공을 거두었다.[49] 미하라는 ‘운’이나 ‘행운’의 유무를 선수 기용에 반영하기도 했는데, ‘행운’이 있는 선수는 실적과 관계없이 기용하여 성공을 거두는 경우가 많았다.

6. 3. 부담 경감을 위한 기용과 심리전

미하라 오사무는 선수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선수 기용 전략을 구사했다. 그는 "상대가 무언가 시도해 올 수도 있다"라고 생각하게 해놓고 실제론 상대의 예상에 어긋나거나 예상 이상의 결과를 이끌어 내는 경우가 많았다.[49]

다이요 감독 시절에는 등판 횟수가 많은 에이스 아키야마 노보루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스즈키 다카시, 오이시 마사히코를 주전 유격수로 기용했다.[49] 야쿠르트 감독 시절에는 고바야시 구니오, 에노모토 나오키 등 젊은 투수들을 3이닝 정도 던지게 한 뒤 주력 투수인 마쓰오카 히로무, 아사노 게이시를 구원 등판시켜 팀 평균 자책점을 리그 1위로 끌어올렸다.[49] 만루 상황에서 대타 오쓰카 도루에게 ‘모든 공을 간과하라’라는 지시를 내려 밀어내기 볼넷을 얻어내는 등 심리전을 활용하기도 했다.[49]

다이요 시절 앨 그룬왈드(그룬), 긴테쓰 시절 나가부치 요조, 야쿠르트 시절 도야마 요시아키 등 투수와 타격을 겸하는 선수들을 적극 기용했다.[49]

1958년 일본 시리즈에서 니시테쓰는 나가시마 시게오가 입단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게 3연패를 당했지만, 미하라는 4차전 우천 중단을 결정하여 이나오에게 휴식을 주고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미즈하라 자신이 전화를 걸어 격렬하게 따져 들어와서 '어차피 네가 이길 테니 괜찮잖아'라고 말하고 일방적으로 수화기를 내려놓았다"는 미하라의 회고는 그의 심리전을 보여준다. 결국 니시테쓰는 3연패 후 4연승이라는 기적을 이루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나오는 6경기에 등판하여 4완투, 4연승을 기록했고, "신, 부처, 이나오님"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7. 미즈하라 시게루와의 관계

미즈하라 시게루와는 와세다대학 야구부 시절부터 라이벌 관계였으며, 프로 야구 감독 시절에도 여러 차례 명승부를 펼쳤다. 특히 1956년 일본 시리즈부터 1958년 일본 시리즈까지 3년 연속 일본 시리즈에서 맞붙은 것은 '간류섬의 대결'이라고 불리며 큰 화제를 모았다.[37]

1956년 일본 시리즈에서 미하라 오사무가 이끄는 니시테쓰 라이온스는 미즈하라 시게루가 이끄는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상대로 4승 2패를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언론은 두 팀의 대결을 '간류섬의 대결'이라 칭하며 큰 관심을 보였다.[37] 미하라 감독은 니혼케이자이 신문에 기고한 '나의 이력서'에서 우승 축하연 자리에서 "나는 이겼노라"라고 적었다고 회고하며, 요미우리 감독 시절의 비판을 극복하고 니시테쓰의 황금시대를 열었다는 쾌감을 표현했다.

1958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니시테쓰가 요미우리에 3연패를 당한 후 4연승을 거두는 대역전극을 펼치며 일본 프로 야구 역사에 남을 명승부를 연출했다. 특히 3차전 다음 날 우천으로 경기가 취소된 것은 미하라 감독이 이나오 가즈히사에게 휴식을 주고 분위기를 반전시키기 위한 의도였다. 미하라는 미즈하라에게 "어차피 자네가 이길 거 아니냐"라며 전화를 끊었다고 회상했는데, 이는 선수들에게는 '감독은 아직 승부를 포기하지 않았다'는 신호로 해석되어 팀의 사기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37]

8. 어록


  • "야구는 각본 없는 드라마이다"[34]
  • "구심력 야구, 원심력 야구"[34]
  • "아직 머릿가죽 한 장으로 연결돼 있다"[34]
  • ‘神様、仏様、稲尾様일본어’(하느님, 부처님, 이나오님)[34]

9. 기타

한국의 김영덕, 김응용, 김성근, 김인식 감독 등이 미하라 오사무 감독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49]

10. 상세 정보

와세다 대학 야구부 시절 춘계 소케이전 2차전에서 미즈하라 시게루를 상대로 홈스틸을 성공시킨 일화는 현재까지도 회자되고 있다. 미하라와 미즈하라는 같은 가가와현 출신으로, 미야모토 무사시·사사키 코지로에 비견될 정도로 영원한 라이벌로 여겨졌다.[26] 1956년부터 3년간 일본 시리즈에서 맞붙어 "간류섬의 싸움"이라고 불렸다.

미하라가 니시테츠 라이온즈 감독으로 취임한 후 첫 캠프에서 "나는 언젠가 중원(중원)을 제패하리라"라고 첫마디를 했다고 한다. 야쿠르트 아톰즈 감독 시절에는 주니치 드래건스 감독이었던 미즈하라와 센트럴 리그 최종전에서 맞붙어, 양 팀의 대전 성적은 12승 12패 2무로 동률을 이루었다.

미하라와 미즈하라는 견원지간으로 평가받았지만, 유니폼을 벗은 후에도 교류를 계속했다. 만년에는 미하라가 퍼시픽 리그 회장, 미즈하라가 센트럴 리그 회장이 되는 계획도 있었지만, 실현되지 못하고 두 사람 모두 세상을 떠났다.

니시모토 유키오와는 대담 프로그램 이후에도 인연이 계속되었다. 미하라가 긴테쓰를 이끌며 첫 우승에 도전한 1969년, 한큐 브레이브스 감독으로서 긴테쓰의 독주를 저지한 사람이 니시모토였다. 10년 후, 니시모토가 긴테쓰의 지휘를 맡으면서 미하라가 이루지 못했던 긴테쓰 구단 역사상 최초의 우승을 이끌었다. 또한 미하라가 상담역을 맡고 있던 닛폰햄이 구단 양도 이후 첫 우승(1980년 후기)에 ‘매직넘버 1’을 남겨둔 시즌 최종전에서 니시모토가 이끄는 긴테쓰에게 대패하여 우승을 내주었다.

니시모토 유키오

10. 1. 출신 학교

미하라 오사무일본어와세다 대학 야구부 출신이다.

10. 2. 선수 경력

와세다 대학 야구부에서는 1학년 때부터 2루수로 활약했는데, 특히 1931년 춘계 시즌 소케이센 2차전에서 게이오기주쿠 대학의 투수 미즈하라 시게루를 상대로 홈스틸을 감행하여 소케이센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26] 이 홈스틸로 역전에 성공한 와세다 대학은 경기 흐름을 계속 이어나갔고, 이후에도 추가점을 올리면서 6대 3으로 승리하여, 와세다 대학은 상대 전적 1승 1패를 기록, 1930년 추계 시즌부터 이어진 소케이센 연패를 ‘5’에서 멈출 수 있었다.

그러나 미하라는 1933년에 결혼 직후 야구부를 탈퇴하여 대학을 중퇴하고 귀향했다. 고향에서 특별한 일 없이 지내다가 대학 시절 친구의 부름으로 오사카부로 이사하여 사회인 야구팀 젠오사카에서 야구를 했다. 리그 통산 67경기에 출전하여 231타수 68안타, 타율 0.294를 기록했다.

현역 은퇴 후, 도쿄 교진군을 퇴단한 미하라는 호치 신문 기자로 활동하면서도 세 번째로 징집되어 버마 전선에 종군했다. 태평양 전쟁 이후 요미우리 신문사 운동부 기자로서 야구 관련 평론을 집필했고,[28] 1947년에는 요미우리 신문사가 구단 경영에 참여하면서 팀 이름을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변경, 시즌 도중인 6월 3일 구단이 성적 부진을 이유로 감독 취임을 요청하여 합의했다. 같은 해 6월 6일, 와세다 대학 시절 후배였던 나카지마 하루야스 감독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조감독 겸 기술 고문으로 취임했다. 9월에는 총감독으로 부임하여 실질적인 지휘권을 잡았다. 그해 요미우리는 5위를 기록했다.

10. 3. 지도자 경력

三原 修|미하라 오사무일본어는 1948년에 모든 경기에서 팀의 지휘를 맡아 2위를 차지했고, 같은 해 시즌 종료 후 벳쇼 다케히코이적을 둘러싼 소동이 일어났다.[33] 당시 팀 감독 대부분이 등번호 ‘30’번을 착용했지만, 三原 修일본어는 조감독 겸임 시절에는 ‘21’, 요미우리에 복귀하거나 퇴단할 때까지 ‘31’, 니시테쓰 감독 시절에는 ‘50’, 다이요 감독 시절에는 ‘60’, 긴테쓰 시절에는 ‘3’, 야쿠르트 감독 시절에는 ‘80’번을 착용하는 등 시간이 지날수록 등번호가 커졌다.

니시테쓰 감독 시절의 미하라(1951년)


1950년 시즌 종료 후, 퍼시픽 리그니시테쓰 클리퍼스로 이적했던 전 요미우리 투수 가와사키 도쿠지와 구단 사장 니시 마타지로의 설득으로,[34] 1951년 1월 30일에 니시닛폰 파이레츠를 흡수 합병한 니시테쓰 클리퍼스(2월 28일부터 구단명을 ‘니시테쓰 라이온스’로 변경)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요미우리 총감독 시절의 괴로웠던 기분을 풀기 위해 니시테쓰를 강한 팀으로 이끌어 일본 시리즈에서 요미우리와 맞대결해서 이기겠다는 굳은 결심을 했다. 1952년에 나카니시 후토시나 ‘파란 배트’ 오시타 히로시를 영입하고 도요다 야스미쓰, 이나오 가즈히사 등 젊은 유망 선수를 영입하여 팀을 만들어 나갔다.

1954년에는 구단 창단 이후 최초로 퍼시픽 리그 우승을 달성했지만, 그 해 일본 시리즈에서는 주니치 드래건스에게 3승 4패로 우승을 양보했다. 1956년에는 2년 만에 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일본 시리즈에서 미즈하라 시게루가 이끄는 요미우리와의 맞대결이 성사, 4승 2패로 ‘요미우리를 물리친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1958년, 니시테쓰는 3년 연속으로 요미우리와 일본 시리즈 맞대결을 펼쳤다. 3연패 뒤 4연승으로 일본 시리즈 사상 최초의 기록을 세웠다. 이나오 가즈히사는 6경기에 등판, 4차례 완투, 4연승을 기록하여 미하라에게서 ‘'''하느님, 부처님, 이나오님'''’이라는 감사 인사를 받았다.

다이요 웨일스는 三原 修일본어의 감독 취임을 요청했고, 1959년 11월 19일에 니시테쓰 감독직에서 사임한 三原 修일본어는 이틀 후인 11월 21일에 다이요 감독으로 부임했다.

부임 첫 해인 1960년, 팀은 개막 이후 6연패를 당했지만, 선수 기용을 통해 요미우리와의 우승 경쟁을 펼쳤다. 곤도 마사토시를 구원 투수로 기용하고, 스즈키 다카시를 중간 계투로 활용, 에이스 아키야마 노보루에게 선발·중간 계투·마무리를 맡기는 전략으로 접전에서의 승리가 급증했다. 시마다 겐타로를 선발로 발탁하고, 곤도 아키히토를 2루수로 기용하는 등 야수진 재편도 단행했다.

또한, 긴테쓰에서 스즈키 다케시를 영입하여 유격수로 기용, 뛰어난 적응력을 보여 팀의 수비력이 크게 향상됐다. 三原 修일본어는 선수 개개인의 장점을 살리는 ‘초2류 선수’를 활용, 1점차 경기에서 33승 17패를 기록하며 팀 승률을 끌어올려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같은 해 일본 시리즈에서는 ‘미사일 타선’의 다이마이 오리온스를 상대로 4전 전승(모두 1점차 경기)으로 일본 시리즈 우승에 성공했다. 작년도 최하위 구단의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 동시 달성은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초였다.

하지만 1961년에는 리그 최하위로 떨어졌고, 1962년 이후 메가톤 타선을 구축했다. 1967년 10월 3일, 성적 부진을 이유로 사의를 표명[39]했고, 이튿날 4일에 구단측은 三原 修일본어의 사임을 받아들여 다이요를 퇴단했다.[40]

긴테쓰 버펄로스는 다이요에서 막 퇴단한 三原 修일본어에게 감독을 요청했고, 11월 6일, 三原 修일본어는 이를 승낙, 계약금 없이 1년 짜리 단기 계약을 맺었다.[41] 1968년 시즌 초반부터 우승 경쟁을 벌였고, 최종적으로 4년 연속 최하위에서 벗어나 4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 8일 ‘회사에 배신 행위가 있었다’는 이유로 사임을 신청했다.[42] 구단의 설득으로 같은 달 11일에 유임이 결정됐다.[43]

1969년에는 한큐 브레이브스와 리그 우승 경쟁 끝에 2위를 기록했고, 1970년에는 3년 임기 만료로 물러났다. 긴테쓰 감독 시절 나가부치 요조를 야수에 전념시켜 수위 타자로 만들고, 이세 다카오, 오가와 도루 등을 주력 선수로 성장시켰다.

1970년 11월 7일, 야쿠르트 아톰스 감독으로 부임했다. 1971년 최하위였지만 승률 0.419, 1972년 승률 0.472(4위), 1973년 승률 0.488(4위)로 팀을 단기간에 개편했다. 와카마쓰 쓰토무를 주전으로 발탁, 나카니시 후토시와 함께 지도하여 1972년에 수위 타자가 되도록 이끌었다.

야쿠르트 아톰스 감독을 1973년 10월 25일 자로 용퇴한 三原 修일본어는 같은 해 11월 17일, 닛폰햄의 닛타쿠홈 플라이어스 매수에 관여, 닛폰햄 파이터스의 대표이사 사장 겸 구단 대표로 취임했고, 사위인 나카니시 후토시를 감독으로 앉혔다.

10. 4. 수상 경력

주어진 자료에는 미하라 오사무의 수상 경력에 대한 내용이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해당 내용 없음"이라고 기술하는 것이 적절하다.

10. 5. 등번호

10. 6. 등록명

三原 修|미하라 오사무일본어

참조

[1] 블로그 真のライバル 3 (もう一人の水原)〈徒然想 2010年4月8日記事〉 https://shigekeura.e[...] 2010-04-08
[2] 뉴스 巨人軍年表 https://www.giants.j[...] 読売巨人軍公式サイト 2022-11-12
[3] 서적 野球殿堂 1959-2009
[4] 서적 巨人軍の男たち
[5] 서적 巨人軍の男たち
[6] 뉴스 【プロ野球仰天伝説89】バットを持って審判室へ。その後、罰金処分に怒って退団した三原脩【怒れる男たち】 https://topics.smt.d[...] 週刊ベースボールONLINE 2018-03-22
[7] 웹사이트 残された南海との遺恨 「ぽかり事件」で無期限出場停止/三原脩氏編4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12-10
[8] 웹사이트 三原脩が監督を務めた時代の年表 http://www.seibulion[...] 2011-11-07
[9] 웹사이트 三原「修→脩」 名監督の改名は筋書きのないドラマ https://reskill.nikk[...] 日本経済新聞社 2023-10-16
[10] 웹사이트 三原「修→脩」 名監督の改名は筋書きのないドラマ https://reskill.nikk[...] 日本経済新聞社 2023-10-16
[11] 간행물 西鉄・三原監督、辞任騒動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3
[12] 뉴스 三原監督が退陣表明 『来シーズン、大洋と契約しない』 読売新聞 1967-10-04
[13] 뉴스 三原監督の辞任了承 別当ヘッドコーチが代理監督に 読売新聞 1967-10-05
[14] 뉴스 三原近鉄監督正式に就任 読売新聞 1967-11-07
[15] 뉴스 三原監督、退団申し入れ 読売新聞 1968-11-09
[16] 간행물 わが愛しのスワローズ 国鉄から始まった栄光の軌跡、松岡弘が語るヤクルト初優勝まで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1
[17] 잡지 週刊現代 2016-12-31
[18] 웹사이트 追悼・中西太「オリックス時代は、どういうバッターにどういう指導をすればいいかが分かっていた。ワシの指導者人生の集大成と言っていいのかもしれん」/追悼・中西太 https://column.sp.ba[...] 週刊ベースボール
[19] 백과사전 三原脩 コトバンク
[20] 서적 勝つ 戦いにおける“ツキ”と“ヨミ”の研究 サンケイ新聞社
[21] 웹사이트 【9月22日】1962年(昭37) 三原監督、ルール守ってアテ馬7人 エースも三塁守らせる https://web.archive.[...] 2012-12-27
[22] 서적 南海ホークスがあったころ
[23] 방송 個性がプロ野球を救う NHK教育テレビジョン
[24] 서적 プロ野球大事典 新潮文庫
[25] 웹사이트 三原「修→脩」 名監督の改名は筋書きのないドラマ https://reskill.nikk[...] 日本経済新聞社 2020-10-22
[26] 블로그 真のライバル 3 (もう一人の水原)〈徒然想 2010年4月8日記事〉 http://shigekeura.ex[...] 2010-04-08
[27] 웹인용 巨人軍年表 https://www.giants.j[...] 요미우리 자이언츠 2022-11-12
[28] 서적 야구 전당 1959-2009
[29] 서적 일본 프로 야구 역대 명선수 명감
[30] 서적 교진군의 사나이들
[31] 서적 교진군의 사나이들
[32] 뉴스 【プロ野球仰天伝説89】バットを持って審判室へ。その後、罰金処分に怒って退団した三原脩【怒れる男たち】 슈칸 베이스볼 ONLINE 2018-03-22
[33] 웹인용 残された南海との遺恨 「ぽかり事件」で無期限出場停止/三原脩氏編4 https://www.nikkansp[...] 닛칸 스포츠 2021-12-10
[34] 서적 라이온스 60년사
[35] 웹사이트 미하라 오사무가 감독을 맡았던 시대의 연표 http://www.seibulion[...] 2011-11-07
[36] 웹인용 三原「修→脩」 名監督の改名は筋書きのないドラマ https://reskill.nikk[...] 니혼케이자이 신문사 2012-01-10
[37] 웹인용 三原「修→脩」 名監督の改名は筋書きのないドラマ https://reskill.nikk[...] 니혼케이자이 신문사 2012-01-10
[38] 간행물 西鉄・三原監督、辞任騒動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3
[39] 뉴스 三原監督が退陣表明 『来シーズン、大洋と契約しない』 読売新聞 1967-10-04
[40] 뉴스 三原監督の辞任了承 別当ヘッドコーチが代理監督に 読売新聞 1967-10-05
[41] 뉴스 三原近鉄監督正式に就任 読売新聞 1967-11-07
[42] 뉴스 三原監督、退団申し入れ 読売新聞 1968-11-09
[43] 뉴스 近鉄・三原監督は留任 読売新聞 1968-11-12
[44] 서적 週刊ベースボールプラス6 1950-2011 わが愛しのスワローズ 国鉄から始まった栄光の軌跡、松岡弘が語るヤクルト初優勝まで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1
[45] 뉴스 張勳(장훈),내년부터 監督(감독)겸해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73-07-05
[46] 뉴스 放棄試合…2軍監督へ降格 帰郷、古葉カープ見守る https://www.sankei.c[...] 산케이 신문 2015-08-14
[47] 잡지 슈칸 겐다이 2016-12-31
[48] 웹사이트 追悼・中西太「オリックス時代は、どういうバッターにどういう指導をすればいいかが分かっていた。ワシの指導者人生の集大成と言っていいのかもしれん」/追悼・中西太 https://column.sp.ba[...]
[49] 웹사이트 미하라 오사무
[50] 서적 勝つ 戦いにおける“ツキ”と“ヨミ”の研究 산케이 신문사
[51] 웹인용 【9月22日】1962年(昭37) 三原監督、ルール守ってアテ馬7人 エースも三塁守らせる http://www.sponichi.[...] 2007-09-22
[52] 서적 난카이 호크스가 있었을 무렵
[53] 방송 아는 것을 즐긴다 - ‘개성이 프로 야구를 구한다’
[54] 서적 프로 야구 대사전 신초 분코
[55] 웹인용 三原「修→脩」 名監督の改名は筋書きのないドラマ https://style.nikkei[...] 니혼케이자이 신문사, 닛케이 BP 2012-01-10
[56] 서적 仰木彬「夢実現」の方程式 野茂、イチローらを育てた男の実像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