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족 청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족 청소는 특정 지역에서 다른 민족 또는 종교 집단의 사람들을 제거하기 위해 폭력이나 협박을 사용하여 해당 지역을 민족적으로 동질적인 것으로 만드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etničko čišćenje"를 영어로 번역하면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발칸 지역에서 민족 간 학살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유엔과 국제형사재판소는 민족 청소를 반인도 범죄로 규정하며, 강제 추방, 살인, 고문, 성폭행, 재산 파괴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민족주의, 전쟁, 불안정한 정세 속에서 발생하며, 집단 학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역사적으로 신아시리아 제국, 스페인의 모리스코 추방,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 보스니아 전쟁, 미얀마의 로힝야 탄압 등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종청소 - 캅카스 전쟁
    캅카스 전쟁은 캅카스 지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전쟁과 분쟁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다양한 세력 간의 무력 충돌, 민족, 종교, 문화 간의 갈등, 강대국의 개입, 영토 분쟁 등 복잡한 원인과 결과를 보인다.
  • 인종청소 - 달레트 계획
    달레트 계획은 1948년 하가나가 이스라엘 건국을 위해 작성한 군사 계획으로, 유대인 점령 지역 확장을 목표로 하였으며 팔레스타인인 강제 이주와 마을 파괴를 초래했다.
민족 청소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조직적인 특정 민족 또는 종교 집단 제거
목표특정 영토에서 원하지 않는 민족을 추방
방법간접적 강압: 억압적인 법률, 차별 조치, 폭력 방관, 대리 폭력, 기반 시설 파괴, 남성 투옥, 여성에 대한 성폭력 위협, 살해 위협
강제 이주: 신체적 괴롭힘, 재산 몰수
강제 추방: 국가 기관이 주도하는 강제 이주
살인 청소: 일부를 잔인하게 살해하여 나머지 구성원을 강제로 추방
용어 사용은폐적인 표현으로 사용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법적 정의국제법상 명확한 정의는 없음
추방, 강제 이주와 유사하게 간주
'제노사이드'와 구분되는 개념
역사 및 기원
최초 사용1982년 뉴욕 타임스에서 사용
널리 사용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에서 사용되며 알려짐
어원세르비아어 "етничко чишћење(etničko čišćenje)"에서 유래
유래 배경'인종 청소'라는 표현을 피하기 위한 의도
유고슬라비아 전쟁 기간 중 사용
특징
목적특정 지역에서 특정 민족이나 종교 집단을 제거
영토의 인구 구성을 변경
방법폭력과 강압을 동원
대량 학살, 강제 이주, 강제 추방, 재산 파괴 등
결과난민 발생
인구 변화
사회적 분열 심화
논쟁
개념의 모호성'제노사이드'와의 구별 어려움
법적 정의의 불확실성
비판'제노사이드'를 은폐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비판
범죄 행위를 정당화하거나 경감시키려는 시도라는 비판
국제법적 관점
정의 부재국제법에서 '민족 청소'라는 용어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없음
관련 법규제네바 협약 위반 행위로 간주
인도에 반한 죄로 처벌 가능
국제 사법 재판소과거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서 '추방' 관련 사안 다룸
'민족 청소'에 대한 직접적인 법적 정의를 내리지는 않음
관련 용어
제노사이드민족, 인종, 종교 집단을 말살하려는 의도를 가진 행위
대량 학살 포함
'민족 청소'와 구별되는 명확한 정의를 가짐
강제 이주특정 지역에서 사람들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행위
'민족 청소'의 주요 방법 중 하나
인구 이동'민족 청소'로 인한 결과
사회적 혼란과 난민 문제 야기

2. 어원

"민족 청소"라는 용어는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현지 언어(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인 "етничко чишћење / etničko čišćenje|에트니치코 치슈체네sr"를 번역한 것이다. 영어로는 "ethnic cleansing"으로 번역되며, 이는 미국의 광고 대행사 루더 핀(Ruder Finn)이 보스니아 정부와의 PR 계약을 통해 널리 퍼뜨렸다.[69][70] 루더 핀은 처음에 "홀로코스트"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나, 유대인 단체의 반발로 인해 대체 용어를 찾게 되었고, "ethnic cleansing"이 더 잔혹한 인상을 준다는 이유로 선택되었다.

이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발칸 지역에서 민족 간 학살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71] 당시 나치의 괴뢰 국가였던 크로아티아 독립국우스타샤와 함께 영내 유대인, 세르비아인, 로마인 등의 절멸이나 추방을 목표로 했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 정권 성립 이후 유고슬라비아는 다민족 국가로 재출발하면서 민족 간 협력을 강조했기 때문에 이 용어는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0년대 티토 사후 민족주의 감정이 고조되면서, 각 민족은 "민족 청소"의 희생자라는 논조로 다른 민족에 대한 증오를 부추기는 데 이 용어를 사용했다.

1992년, 독일어 학회는 ""을 올해의 금기어로 선정했는데, 이는 완곡하고 부적절한 성격 때문이다.[32]

3. 정의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780호에 따라 설립된 전문가 위원회는 민족 청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한 민족 또는 종교 집단이 다른 민족 또는 종교 집단의 민간인 인구를 특정 지리적 지역에서 폭력적이고 공포를 조장하는 수단으로 제거하기 위해 고의적으로 계획한 정책. 구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민족 청소'가 살인, 고문, 자의적 체포 및 구금, 법적 절차 없이 자행된 처형, 강간 및 성폭행, 격리 지역에 민간인 수용, 강제 이주, 민간인 인구의 강제 이동 및 추방, 민간인과 민간 지역에 대한 고의적인 군사 공격 또는 공격 위협, 그리고 재산의 무분별한 파괴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러한 행위는 반인도 범죄를 구성하며 특정 전쟁 범죄와 동일시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행위는 집단 학살 협약의 의미에 포함될 수도 있다.[33][34]

유엔의 공식적인 민족 청소 정의는 "주어진 지역에서 다른 민족 또는 종교 집단의 사람들을 제거하기 위해 폭력이나 협박을 사용하여 해당 지역을 민족적으로 동질적인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35] 앤드류 벨-피알코프는 "민족 청소는... 쉽게 정의하기 어렵다. 한쪽 끝에서는 강제 이주와 인구 교환과 거의 구별이 안 되는 반면, 다른 쪽 끝에서는 추방과 집단 학살과 겹친다. 그러나 가장 일반적인 수준에서 민족 청소는 주어진 영토에서 인구를 추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36]

테리 마틴은 민족 청소를 "주어진 영토에서 민족적으로 정의된 인구를 강제로 제거하는 것"이라고 정의했고, "한쪽 끝에는 집단 학살, 다른 쪽 끝에는 비폭력적인 압력에 의한 민족 이주가 있는 연속체의 중심 부분을 차지한다"라고 설명했다.[37]

집단 학살 감시의 설립자인 그레고리 스탠튼은 "민족 청소"라는 용어의 등장과 그가 "집단 학살"이라고 부르는 사건에 대한 사용을 비판했다. 왜냐하면 "민족 청소"는 법적 정의가 없기 때문에 미디어에서의 사용이 집단 학살로 기소되어야 하는 사건에 대한 관심을 덜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17][38]

4. 국제법상 범죄

국제법상 민족 청소만을 특정하는 범죄를 명시하는 조약은 없다.[39] 그러나 넓은 의미의 민족 청소, 즉 인구의 강제 추방은 국제형사재판소(ICC)와 전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의 규정에 따라 반인도 범죄로 규정된다.[40] 심각한 인권 침해는 반인도 범죄의 국제 공법에 해당하는 별개의 범죄로 간주되며, 특정 상황에서는 대량 학살로 간주될 수 있다.[41]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인 추방과 같이 법적 구제 없이 민족 청소가 발생한 경우도 있다. (프로이센 트뢰한트 대 폴란드 참조). ''Timothy v. Waters''(사건이 아닌 개인)은 유사한 민족 청소가 미래에도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42]

5. 원인

마이클 만(Michael Mann)은 그의 저서 『민주주의의 어두운 면(The Dark Side of Democracy)』(2004)에서 살인적인 민족 청소가 민주주의의 창출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살인적인 민족 청소가 시민권을 특정 민족 집단과 연관시키는 민족주의의 부상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민주주의는 민족적, 국가적 배제의 형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수 민족이 헌법적 보장을 받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민족 청소를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은 민주주의 국가가 아니다. 나치 및 공산주의 정권을 제외하고 안정적인 권위주의 정권도 살인적인 민족 청소의 가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 오히려 민주화 과정에 있는 정권이 그렇다.[46]

민족적 적대감은 민족이 사회 계층화의 원초적인 체계로서 사회 계급을 압도하는 곳에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깊이 분열된 사회에서 계급과 민족과 같은 범주는 깊이 얽혀 있으며, 어떤 민족 집단이 다른 집단을 억압하거나 착취하는 것으로 여겨질 때 심각한 민족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마이클 만은 두 민족 집단이 동일한 영토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고 위협을 느낄 수 있을 때, 그들의 차이점이 심각한 불만과 민족 청소의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살인적인 민족 청소는 불안정한 지정학적 환경과 전쟁 상황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46]

민족 청소에는 높은 수준의 조직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국가 또는 기타 권위 있는 세력이 주도하기 때문에, 가해자는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것처럼 실패한 국가가 아니라 일정한 일관성과 역량을 갖춘 국가 권력 또는 기관이다. 가해자 세력은 민족주의, 국가주의, 그리고 폭력의 조합을 선호하는 핵심 구성원으로부터 지원을 받는 경향이 있다.[46]

민족 청소는 유럽의 민족주의 시대(19세기와 20세기)에 널리 퍼져 있었다.[47][48] 다민족 유럽은 분리와 영토 손실을 선제적으로 막기 위해 소수 민족에 대한 민족 청소를 자행했다.[47] 민족 청소는 특히 국가 간 전쟁 기간 동안 널리 퍼져 있었다.[47]

6. 집단 학살과의 관계

민족 청소는 가장 극단적인 형태가 집단 학살인 폭력의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민족 청소는 강제 추방 또는 인구 이동과 유사하다. 민족 청소와 집단 학살은 동일한 목표와 방법(예: 강제 이주)을 공유할 수 있지만, 민족 청소는 특정 지역에서 박해받는 인구를 이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집단 학살은 집단을 파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50][51]

일부 학자들은 집단 학살을 "살인적인 민족 청소"의 하위 집합으로 간주한다.[52] 노먼 네이마크는 이러한 개념들이 다르지만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문자 그대로 그리고 비유적으로 민족 청소는 집단 학살로 이어지며, 대량 살인은 땅에서 사람들을 제거하기 위해 저질러진다"는 것이다.[53] 윌리엄 샤바스는 "민족 청소는 또한 다가올 집단 학살의 경고 신호이다. 집단 학살은 좌절한 민족 청소자의 최후 수단이다"라고 말한다.[50] 여러 집단 학살 학자들은 민족 청소와 집단 학살을 구분하는 것을 비판해 왔으며, 마틴 쇼는 강제 추방은 필연적으로 집단의 파괴로 이어지며, 이는 가해자들이 예측해야 한다고 주장한다.[54][17][38]

스미르나 방화 이후 촬영된 사진
1914년부터 1923년까지 트라키아와 소아시아의 오스만 그리스인들은 학살과 강제 추방을 포함한 공격을 받았다. 국제학살학자협회(IAGS)는 이를 집단 학살로 인정하고 이 공격을 "그리스 대량학살"이라고 부른다.[49]

7. 군사, 정치, 경제적 전략

민족 청소는 특정 지역의 인구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정치적 합의의 일환으로 강제될 경우 분쟁 후 국가의 장기적인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67] 민족 청소 과정 중에는 사원, 책, 기념비, 묘지, 거리 이름 등 피해자들의 물리적 상징이 파괴될 수 있다.[68]

이스라엘 목동들은 요르단강 서안 C 지역에서 팔레스타인 목동들을 체계적으로 몰아내는 행위를 민족주의적, 경제적 전쟁의 한 형태로 사용했다.[64][65][66]

1980년대 레바논 내전과 크로아티아 전쟁, 코소보 전쟁, 보스니아 전쟁에서 민족 정화는 흔한 현상이었다. 이는 원치 않는 민족 집단에 대한 협박, 강제 추방, 또는 살인과 함께 그 민족 집단의 예배 장소, 묘지, 문화 및 역사적 건물을 파괴하여 특정 지역의 인구 구성을 다른 민족 집단이 다수가 되도록 변경하는 것을 포함했다.

수많은 ICTY 판결과 기소장에 따르면 세르비아[60][61][62]와 크로아티아[63]군은 정치 지도부의 계획에 따라 민족적으로 순수한 국가(세르비아 공화국과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헤르체크-보스니아)를 건설하기 위해 영토를 민족 정화했다.

8. 사례

1993년 크로아티아군에 의해 집과 마을에서 쫓겨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트라브니크 인근 라슈바 계곡의 보스니아인들


보스니아 전쟁 당시 민족 정화의 일환으로 세르비아군이 자행한 스레브레니차 학살의 희생자 유해 발굴 현장


나치 독일이 폴란드인들을 추방하는 모습. 1939년 폴란드 침공 이후 독일 제국에 병합된 서부 폴란드의 민족 정화의 일환으로, 독일군의 호위를 받으며 폴란드인들이 기차에 오르는 모습


터키의 타우루스 산맥에서 아르메니아인 학살 당시 난민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독일인 추방




체르케스 원주민을 표적으로 한 러시아 군사 작전인 "치체쿤"의 학살 작전을 조직한 러시아 백작 니콜라이 예브도키모프.


러시아의 체르케스 침략 이후 고향 마을에서 쫓겨난 체르케스 난민들의 모습.

  • 신아시리아 제국의 재정착 정책 (기원전 9세기-7세기): 일부 학자들은 신아시리아 제국의 재정착 정책을 최초의 민족 정화 사례 중 하나로 간주한다.[59]
  • 모리스코 추방 (1609년-1614년): 스페인에서 일어난 모리스코 추방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근대 서구 세계에서 국가가 후원한 최초의 민족 청소 사건 중 하나로 여겨진다.[15]
  • 체르케스인 학살 (19세기): 19세기 산업 시대 동안 국가가 주도한 최초의 대규모 민족 청소 운동으로 자주 언급된다.[18][19] 러시아 제국 장군 니콜라이 예브다키모프는 무슬림 체르케스인들을 고향에서 추방해야 할 "전염병"으로 비인간화했고, 러시아의 목표는 토지 병합이었다.[55] 러시아 군사 작전은 예브다키모프에 의해 "''오치슈체니예''"(청소)로 지칭되었다.[55]
  • 발칸 전쟁 (1913년): 카네기 재단 보고서는 민족 집단에 대한 잔혹 행위를 묘사하는 다양한 새로운 용어를 포함하여 발칸 전쟁에 참여한 모든 참가자들의 행동을 비난했다.[21]
  • 홀로코스트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은 유럽을 "유대인이 없는 곳"( judenreinde)으로 만드는 정책을 추진했다.[22]
  • 나치 독일의 슬라브 민족에 대한 집단 학살 및 민족 청소 계획: 나치의 일반 계획 동방de은 독일인을 위한 더 많은 생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중앙 및 동유럽의 대부분의 슬라브 민족에 대한 집단 학살과 민족 청소를 요구했다.[23]
  • 독립 국가 크로아티아에서의 세르비아인 학살: 크로아티아 우스타샤는 비크로아티아인들이 의도적으로 체계적으로 살해되거나 집에서 쫓겨나는 군사 행동을 묘사하기 위해 čišćenje terenahr("지역 정화")라는 완곡어를 사용했다.[24][25]
  • 소련의 폴란드인 강제 이주 (1930년대 초): 러시아어 구문 очистка границru (; 문자 그대로 "국경 청소")은 1930년대 초 소비에트 문서에서 폴란드인의 강제 이주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37]
  • 1948년 팔레스타인 추방과 탈출 (나크바): 1947년부터 1949년까지 적어도 75만 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이 현재 이스라엘인 곳에서 집에서 추방당하거나 탈출을 강요당했다.[27]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인 추방: 1945년 이후 축소된 국경의 독일에 거주하는 독일계 민족의 강제 재정착은 분쟁 후 국가의 장기적인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67]
  • 그리스-터키 전쟁 이후 터키와 그리스의 상호 민족 청소: 1914년부터 1923년까지 트라키아와 소아시아의 오스만 그리스인들은 학살과 강제 추방을 포함한 공격을 받았다. 국제학살학자협회(IAGS)는 이를 집단 학살로 인정하고 이 공격을 "그리스 대량학살"이라고 부른다.[49]
  •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1980년대 소비에트는 아제르바이잔이 아르메니아인들을 나고르노-카라바흐에서 몰아내려는 노력을 묘사하기 위해 "etnicheskoye chishcheniye"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민족 청소"로 번역된다.[29][30][31]
  • 보스니아 전쟁: 서구 언론에 의해 널리 보급되었다(1992-1995). 크로아티아, 코소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에서 민족 정화는 흔한 현상이었다.
  • 미얀마 정부의 로힝야 탄압 (2017년): 국제 연합의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이 상황을 “민족 정화”라고 평가했다.

참조

[1] 논문 The history and politics of ethnic cleansing 2000
[2] 논문 'Ethnic Cleansing' and Genocide: Similarities and Distinctions 2003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ostwar European History OUP Oxford 2012
[4] 서적 Peace, preference, and property : return migration after violent conflict University of Michigan
[5] 논문 Settling the Genocide v. Ethnic Cleansing Debate: Ending Misuse of the Euphemism Ethnic Cleansing https://heinonline.o[...] 2021–2022
[6] 논문 'Ethnic Cleansing': An Analysis of Conceptual and Empirical Ambiguity 2023-09-27
[7] 웹사이트 Who first coined the euphemism "ethnic cleansing" for racial murder and persecution? Surely it must have been a dictator? Notes and Queries guardian.co.uk https://www.theguard[...] 2024-09-13
[8] 뉴스 Exodus of Serbians stirs province in Yugoslavia https://www.nytimes.[...] 1982-07-12
[9] 논문 The state of the field and debates on ethnic cleansing 2018
[10] 웹사이트 Ethnic cleansing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Office on Genocide Prevention and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2020-12-20
[11] 서적 Crimes Against Humanity: A Beginner's Guide Simon and Schuster 2012
[12] 논문 'Ethnic Cleansing' and Genocide: Similarities and Distinctions 2003
[13] 서적 The Young Turks' Crime Against Humanity: The Armenian Genocide and Ethnic Cleansing in the Ottoman Empi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14] 서적 The Kosovo Tragedy: The Human Rights Dimens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서적 Deleuze and Race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2
[16] 논문 Raphael Lemkin as historian of genocide in the Americas 2005
[17] 논문 Ethnic Cleansing and the Indian: The Crime That Should Haunt America by Gary Clayton Anderson http://dx.doi.org/10[...] 2016
[18]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Rutgers University Press
[19] 서적 Genocide in the Age of the Nation-State Volume II: The Rise of the West and the Coming of Genocide 175 Fifth Avenue, New York NY 10010
[20] 서적 Diasporas and Ethnic Migrants: Germany, Israel and Russia in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8-31
[21] 논문 The Two Carnegie Reports: From the Balkan Expedition of 1913 to the Albanian Trip of 1921 https://balkanologie[...] 2017-04-03
[2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erman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8-31
[23] 논문 'Generalplan Ost' zur Versklavung osteuropäischer Völker https://www.rosalux.[...] 2004-09
[24] 서적 Bosnia Remade: Ethnic Cleansing and Its Reversa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3-01
[25] 서적 Tito and the Rise and Fall of Yugoslavia Carroll & Graf
[26] 서적 Genocide on the River Drin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08-31
[27] 뉴스 The Nakba did not start or end in 1948 https://www.aljazeer[...] 2017-05-23
[28] 서적 Ethnopolitical Temptations Reach Southeastern Europe: Wartime Policy Papers of Vasa Čubrilović and Sabin Manuilă CEU Press
[29] 서적 The media of conflict: War reporting and representations of ethnic violence Zed Books 1999
[30] 논문 The Meaning of Concepts: Some Reflections on the Difficulties in Analysing State Crimes https://ojs.ub.rub.d[...] 2023-04-04
[31] 간행물 Nagorno Karabakh: Forgotten People in a Forgotten War. https://search.ebsco[...] 1997
[32] 웹사이트 Ein Jahr, ein (Un-)Wort! http://einestages.sp[...] 2013-02-17
[33] 웹사이트 Final Report of the Commission of Experts Established Pursuant to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780 (1992) https://www.refworld[...]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1994-05-27
[34] 웹사이트 Final Report of the Commission of Experts Established Pursuant to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780 (1992) https://www.un.org/g[...]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2020-05-25
[35] 논문 Schindler's Fate: Genocide, Ethnic Cleansing, and Population Transfers https://www.jstor.or[...] 1996
[36] 간행물 A Brief History of Ethnic Cleansing http://www.foreignaf[...] 1993-06-01
[37] 논문 The Origins of Soviet Ethnic Cleansing https://www.jstor.or[...] 1998
[38] 간행물 Ethnic Cleansing and Genocidal Intent: A Failure of Judicial Interpretation? 2010-04-01
[39] 논문 The Interaction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Approaches in the Repression of International Crimes http://www.ejil.org/[...]
[40] 웹사이트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ttps://www.un.org/l[...]
[41] 논문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http://www.ejil.org/[...]
[42] 논문 On the Legal Construction of Ethnic Cleansing http://law.bepress.c[...] University of Mississippi School of Law 2006
[43] 서적 When God Comes to Town: Religious Traditions in Urban Context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9-05-01
[44] 논문 Religion as a factor in Caucasian conflicts 1998-09-01
[45] 서적 The Reconstruction of Nations: Poland, Ukraine, Lithuania, Belarus, 1569–1999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4-07-11
[46] 서적 The Dark Side of Democracy: Explaining Ethnic Cleansing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47] 논문 "Right-Peopling" the State: Nationalism, Historical Legacies, and Ethnic Cleansing in Europe, 1886–2020 http://journals.sage[...] 2024
[48] 서적 The Politics of Nation-Building: Making Co-Nationals, Refugees, and Minoriti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49] 웹사이트 Genocide Scholars Association Officially Recognizes Assyrian, Greek Genocides https://web.archive.[...] 2007-12-16
[50] 서적 Genocide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다양한 출처 Ethnic cleansing versus genocide
[52] 서적 The Dark Side of Democracy: Explaining Ethnic Cleans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백과사전 Theoretical Paper: Ethnic Cleansing http://www.massviole[...] 2007-11-04
[54] 서적 What is Genocide Polity Press
[55]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Rutgers University Press
[56] 서적 Genocide in the Age of the Nation-State Volume II: The Rise of the West and the Coming of Genocide
[57] 서적 Genocid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8]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Rutgers University Press
[59] 백과사전 Ethnic cleansing https://www.britanni[...]
[60] 웹사이트 Prosecutor v. Vujadin Popovic, Ljubisa Beara, Drago Nikolic, Ljubomir Borovcanin, Radivoje Miletic, Milan Gvero, and Vinko Pandurevic http://www.icty.org/[...]
[61] 웹사이트 ICTY: Radoslav Brđanin judgement https://web.archive.[...]
[62] 웹사이트 Tadic Case: The Verdict http://www.icty.org/[...]
[63] 웹사이트 Prosecutor v. Jadranko Prlic, Bruno Stojic, Slobodan Praljak, Milivoj Petkovic, Valentin Coric and Berislav Pusic http://www.icty.org/[...]
[64] 논문 The slow violence of Israeli settler-colonialism and the political ecology of ethnic cleansing in the West Bank
[65] 뉴스 'The most successful land-grab strategy since 1967' as settlers push Bedouins off West Bank territory https://www.theguard[...] 2023-10-21
[66] 뉴스 While the eyes are on the south and Gaza, the ethnic cleansing in the West Bank is accelerating https://www.mekomit.[...] 2023-10-19
[67] 서적 Postwar: A History of Europe Since 1945 Penguin Press
[68] 서적 Fires of Hatred: Ethnic Cleansing in Twentieth-Century Europ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09-19
[69] 웹사이트 OUR TEAM - Washington DC Hub http://www.globalcom[...] Global Communicators
[70] 서적
[71] 논문 2019-08-29
[72] 논문 2019-08-29
[73] 뉴스 ロヒンギャを「民族浄化」 国連、ミャンマーへ批判噴出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7-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