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곡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곡역은 1985년 홍콩 지하철 홍콩섬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다. 2001년 관탕선이 연장되면서 두 노선 간 환승역이 되었으며, 2002년 장군오선이 개통되어 현재 홍콩섬선과 장군오선의 환승역이자 장군오선의 시종착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역 내에는 건축가 타오호와 지역 아이들이 제작한 예술 작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2013년 스크린도어 화재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박곡역은 킹스로에 출구가 있으며, 페리, 버스, 트램 등 다양한 교통 수단으로 환승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관오선 - 쿼리베이역
쿼리베이역은 1985년 개통된 홍콩 지하철역으로, 홍콩 섬 동부의 교통 허브 역할을 하며, 과거 공도선의 종착역이자 현재는 군통선과의 환승역으로서 혼잡 완화 공사 등을 통해 이용 편의성을 높였으나, 평행 환승 불가 및 긴 환승 통로로 인한 불편함도 존재한다. - 둥구 (홍콩) - 코즈웨이베이
코즈웨이베이는 홍콩섬의 쇼핑,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며, 과거 어촌에서 간척 사업을 통해 개발되어 소고 백화점, 타임스 스퀘어 등 대형 쇼핑몰과 빅토리아 공원 등의 명소가 위치하고 MTR 등 대중교통이 발달했다. - 둥구 (홍콩) - 사우게이완역
사우게이완역은 홍콩 지하철 섬 라인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 역으로, 1985년 개통 이후 스크린도어 설치를 통해 안전을 강화했으며, 주변 대중교통 환승 및 문화 시설 접근성이 용이하다. - 공도선 - 사우게이완역
사우게이완역은 홍콩 지하철 섬 라인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 역으로, 1985년 개통 이후 스크린도어 설치를 통해 안전을 강화했으며, 주변 대중교통 환승 및 문화 시설 접근성이 용이하다. - 공도선 - 감중역
감중역은 1980년 췬완선 개통과 함께 운영을 시작하여 현재 홍콩섬 북부와 중국 대륙을 잇는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하는, 지하 6층 규모의 환승역이다.
박곡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원어 명칭 | 北角 (Bak1gok3) |
위치 | 홍콩 홍콩섬 동구 북각 킹스로드 로카 센터 부근 |
운영 정보 | |
노선 | MTR 항도선 MTR 장군오선 |
연결 | 홍콩 전차 전차 페리 버스, 미니버스 |
구조 | 지하 |
승강장 | 4면 (2개 섬식 승강장) |
개업 | 항도선: 1985년 5월 31일 관탕선: 2001년 9월 27일 |
접근성 | https://www.mtr.com.hk/en/customer/services/free_search.php?query_type=search&station=31 |
역 코드 | NOP |
운영사 | MTR 공사 |
서비스 | |
항도선 | 이전 역: 포트리스 힐 역 다음 역: 쿼리베이 역 |
장군오선 | 다음 역: 쿼리베이 역 (보람 또는 로하스 파크 방면) |
과거 서비스 (관탕선) | |
관탕선 (2001-2002) | 이전 역: 쿼리베이 역 (야우마테이 방면) |
미래 서비스 (북섬선 연장) | |
장군오선 | 이전 역: 전시 센터 역 (전시 센터 역 방면) 다음 역: 쿼리베이 역 |
2. 역사
1985년5월 31일 항도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한동안 공도선의 중간 역으로만 남아있었으며, 당시 복층 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성완역 방면 열차는 상층 승강장에, 차이완역 방면 열차는 하층 승강장에 정차하였다.[4]
2001년9월 27일 관탕선의 자우케이웡 ~ 북각 구간이 개통하여 당역에 연결되면서 평면환승이 가능한 두 노선 간의 환승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기존의 복층 승강장 반대편에 새로운 승강장이 부설되었으며, 관탕선의 종착역이 되었다.[4]
2002년8월 4일 홍콩 지하철의 도항 터널 통과 노선의 개편으로 기존에 들어오던 군통선을 대신하여 장군오선이 이 역까지 들어오게 되었으며, 야우통 구간에 대해 일반운행을 개시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관탕선의 람틴역 ~ 북각역 구간은 폐지되었다.[4] 2002년8월 18일부터는 공도선과 정관오선 간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정관오선의 시종착역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역내에는 2001년 환승역 공사 당시 새로 설치된 작품이 하나 있는데, 건축가 타오호와 지역 아이들이 함께 제작한 <박곡, 나의 동네> (North Point, My Neighbourhood)이다. 박곡 주변의 친숙한 동네 풍경을 묘사하였다.
2013년1월 24일 3번 승강장의 스크린도어에 단락(쇼트)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 역이 일시 폐쇄되었다. 승강장 일부가 그을렸으나 부상자는 없었다.[5]
2. 1. 홍콩섬선
박곡역은 1985년 5월 31일 홍콩섬선(당시 '공도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한동안 홍콩섬선의 중간역으로만 남아 있었으며, 당시 복층 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성완역(현 케네디타운역) 방면 열차는 상층 승강장에, 차이완역 방면 열차는 하층 승강장에 정차하였다.2001년 군통선 선로가 이곳까지 연장되면서 평면환승이 가능한 두 노선 간의 환승역으로 바뀌었다. 기존 복층 승강장 반대편에 새 승강장이 부설되었고, 군통선의 임시 종착역으로 사용되었다. 2002년 8월 4일, 홍콩 지하철의 도항 터널 통과 노선 개편으로 군통선 대신 정관오선이 이 역까지 들어오게 되었으며, 야우통역까지의 구간에 대해 일반 운행을 개시하였다. 같은 해 8월 18일부터는 홍콩섬선과 정관오선 간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정관오선의 시종착역으로 자리 잡았다.
역내에는 2001년 환승역 공사 당시 새로 설치된 작품이 하나 있는데, 건축가 타오호와 지역 아이들이 함께 제작한 <박곡, 나의 동네> (North Point, My Neighbourhood)이다. 박곡 주변의 친숙한 동네 풍경을 묘사하였다.
역 시공사는 역 대합실 공사를 담당한 레이턴 아시아(Leighton Contractors (Asia))와 터널 및 플랫폼 공사를 담당한 폴 Y. 엔지니어링(Paul Y.)이다.
2013년 1월 24일에는 3번 승강장의 스크린도어에서 단락(쇼트)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 역이 일시 폐쇄되기도 했다. 승강장 일부가 그을렸으나 부상자는 없었다.[5]
2. 2. 군통선 및 장군오선
1985년 5월 31일 항도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한동안 공도선의 중간 역으로만 남아있었으며, 당시 복층 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성완역 방면 열차는 상층 승강장에, 차이완역 방면 열차는 하층 승강장에 정차하였다.[4] 2001년 9월 27일 군통선 선로가 이곳까지 연장되면서 평면환승이 가능한 두 노선 간의 환승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기존의 복층 승강장 반대편에 새로운 승강장이 부설되었으며, 군통선의 임시 종착역으로 사용된 것이다.[4]2002년 8월 4일 홍콩 지하철의 도항 터널 통과 노선의 개편으로 기존에 들어오던 군통선을 대신하여 정관오선이 이 역까지 들어오게 되었으며, 야우통역까지의 구간에 대해 일반운행을 개시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관탕선의 람틴역 ~ 박곡역 구간은 폐지되었다.[4] 2002년 8월 18일부터는 공도선과 정관오선 간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정관오선의 시종착역으로 자리잡게 되었다.[4]
역내에는 2001년 환승역 공사 당시 새로 설치된 작품이 하나 있는데, 건축가 타오호와 지역 아이들이 함께 제작한 <박곡, 나의 동네> (North Point, My Neighbourhood)이다. 박곡 주변의 친숙한 동네 풍경을 묘사하였다.
2013년 1월 24일에는 3번 승강장의 스크린도어에 단락(쇼트)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 역이 일시 폐쇄되었다. 승강장 일부가 그을렸으나 부상자는 없었다.[5]
2. 3. 예술 작품
2001년 환승역 공사 당시 건축가 타오호/Tao Ho영어와 지역 아이들이 함께 제작한 <박곡, 나의 동네 (North Point, My Neighbourhood)>가 설치되었다. 이 작품은 박곡 주변의 친숙한 동네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3. 역 구조
박곡역은 지하역으로, 지하 1층은 대합실, 고객센터, MTR 샵, 자동판매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 옥토퍼스 카드 발급기, 화장실(개찰구 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6][1] 지하 2층과 3층은 승강장으로, 섬식 승강장 형태를 갖추고 있다.
지하 2층에는 홍콩섬선 케네디타운 방면 승강장(2번 승강장)과 장군오선 당역 종착 승강장(4번 승강장)이 있으며, 지하 3층에는 홍콩섬선 차이완 방면 승강장(1번 승강장)과 장군오선 보우람/로하스파크 방면 승강장(3번 승강장)이 있다.[6][1]
홍콩섬선과 장군오선 간의 동일 방향 환승은 동일 플랫폼에서 가능하지만, 플랫폼 간 거리가 다소 떨어져 있어 환승 거리가 긴 편이다.[6][1] 그러나 쿼리베이역보다는 환승이 편리하여 출퇴근 이용객에게 선호된다.[6][1]
4. 출구
5. 교통 환승
박곡역 A1 출구로 나가 수국가를 따라가면 박곡 페리부두가 위치해 있다. 박곡 페리부두에서는 가우룽반도로 넘어가는 훙함, 가우룽싱, 군통 등지로 가는 페리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8] 페리부두 인근에는 대규모 버스터미널이 있으며, B1, B3 출구로 나가 킹스로에서 버스, 트램, 택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8]
매일 아침 출근 시간대 공도선 케네디타운 방면 승강장은 승객으로 붐비기 때문에, 차이완 차량기지에서 출발하는 일부 열차가 무정차 통과 후 박곡역에서 운행을 시작하기도 한다.[8][3]
6. 역내 상점
박곡역에는 세븐일레븐, 서클K, 미심 서빙(메이삼사이벵/美心西餅중국어), 알롬 베이커리(둥호이통/東海堂중국어) 등의 상점이 있다.
7. 역 주변
북각, 자화도, 홍콩중국여행사, 소비자위원회, 홍콩 세관, 이비스 홍콩 노스포인트, 자화도 시정청사, 북각위(North Point Atrium), 북각 페리 터미널, 와푸 센터, 홍콩 웨위 호텔, 킹케이 학교, 춘양가, 마바오 로드, 레이톤 힐, 서국가, 직업 안전 및 건강 위원회, 옥스팜, 카리타스 커뮤니티 칼리지, 키아오관 빌딩, 선두청 빌딩, 선광극원, 화마우 그룹(화마우 트레이딩 광장 2단계), 홍콩 대학교 전문 연구원, 항운성, 금행가, 푸야 가든, 준위에, 치지메이 로드
8. 차후 계획
북섬선 공사가 완료되어 정관오선이 서쪽 방면으로 연장되면 박곡역은 정관오선의 중간역이 된다. 공도선과 평행하게 달리며 포트리스 힐역, 코즈웨이베이노스역, 우이진역을 거쳐 타마르역까지 이어지는 연장구간으로, 아침시간대 케네디타운역 방면 승강장의 과밀 현상을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참조
[1]
간행물
layout
MTRsource
2014-07-31
[2]
간행물
map
MTRsource
2014-06-30
[3]
웹사이트
Scheduled train service level
https://checkfare.sw[...]
MTR Service Update
[4]
문서
[5]
뉴스
北角站火警 200人疏散 港鐵封站三小時 乘客不滿無接駁巴
http://hk.apple.next[...]
蘋果日報
2013-01-25
[6]
간행물
layout
MTRsource
2014-07-31
[7]
간행물
map
MTRsource
2014-06-30
[8]
웹인용
Scheduled train service level
https://checkfare.sw[...]
MTR Service Upda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