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중역은 홍콩 지하철 췬완선, 홍콩섬선, 동철선, 남부선이 지나는 지하철역으로, 1980년 췬완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004년 열차 내 방화 사건, 2014년 홍콩 반정부 시위로 인한 봉쇄 등의 사건이 있었으며, 2016년 남부선, 2022년 동철선이 연장되어 연결되었다. 이 역은 지하 6층 구조로, 췬완선과 홍콩섬선 간의 평면 환승이 가능하며, 출퇴근 시간대 승객 과밀 문제가 발생한다. 주변에는 사무 빌딩과 쇼핑몰, 호텔 등이 위치해 있으며, 버스, 트램, 택시 등 다양한 교통 수단으로 환승할 수 있다.
항철공사는 처음에 정부에 이 일대 5600m2 규모의 부지 사용을 신청했으나 반려되었다. 이후 협상을 통해 1976년 약 2억홍콩 달러 상당의 현물과 주식을 대가로 해당 부지를 항철공사 측에 넘기는 계약이 체결되었다.[28][4] 역 건설이 결정된 후에는 역 바로 위 지상부에 애드미럴티 센터, 유나이티드 센터, 퀸스웨이 플라자 등의 상업 시설 개발 계획이 진행되었다.[28]
1980년2월 12일, 중완역과 짐사저이역을 잇는 지하철 노선이 처음 개통되었다. 당시 홍콩섬에 위치한 홍콩 지하철 역은 감중역과 중완역, 단 두 곳뿐이었다.[29][5] 개통 초기에는 군통선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노선 개편 후 1982년5월 10일부터는 췬완선 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29]
감중역은 계획 단계부터 공도선과의 환승역으로 설계되었다. 1985년5월 31일, 공도선 1단계 구간인 감중역-차이완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감중역은 공도선의 서쪽 임시 종착역으로서 운영을 시작했다.[30][6] 이때 승객들의 편리한 평면환승을 위해 승강장 구조가 조정되었다. 췬완 방면(췬완선)과 차이완 방면(공도선) 승강장은 아래층의 넓은 섬식 승강장에 배치되었고, 중완 방면(췬완선)과 당시 임시 종착 승강장(공도선)은 위층의 섬식 승강장을 공유하도록 만들어졌다.[30][6] 몇 달 뒤인 1986년, 공도선 2단계 구간인 감중역-성완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위층의 임시 종착 승강장은 성완행 승강장으로 변경되어 현재와 같은 구조로 운행을 이어가게 되었다.[30][6]
2. 2. 2004년 화재 사건
2004년 1월 5일 오전 9시 14분, 짐사저이역에서 중완역으로 가던 췬완선 열차 첫 번째 칸에서 화재 사건이 발생했다.[31][7]망상장애를 앓던 55세 남성이 시너가 담긴 가스통 두 개에 불을 붙였으며, 이 사건으로 승객 14명이 경상을 입었다.[31][7] 열차 기관사는 운행을 계속하여 감중역에 열차를 정차시켰고, 승객들은 해당 역에서 대피하였다.[32][8]
2. 3. 확장 공사 및 신규 노선 연결 (2016-현재)
감중역은 남공도선과 동철선 두 개의 노선을 추가로 수용하기 위해 확장 공사를 진행했다.[12] 지하 6층(L6)에는 남공도선이, 지하 5층(L5)에는 동철선이 지나게 된다.[36]
남공도선 승강장은 2016년 12월 24일 일반에 공개된 후,[10] 12월 28일에 정식 개통되었다.[9][33][34][25] 이로써 남구 주민들이 홍콩섬의 중심업무지구로 더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본래 2015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새로운 승강장 건설을 위한 깊은 터널 공사 과정에서 기술적 문제가 발생하여 개통이 1년 정도 연기되었다.
동철선은 2022년 5월 15일 감중역까지 연장 운행을 시작했다.[12][11] 이를 통해 신계 북동부에서 오는 통근자들이 환승 없이 감중역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36][35]
확장 공사를 통해 기존 역 대합실 동쪽에는 자연 채광이 들어오는 지하 환승 대합실이 추가로 건설되어 신규 노선으로의 환승 편의성을 높였다. 안마당(아트리움) 역시 확장되었다. 하코트 공원 아래에 위치한 이 확장 구역은 기존 역 시설과 통합되어 총 34대의 에스컬레이터와 5대의 엘리베이터로 지상과 연결된다.[12][36] 동철선 승강장은 환승 대합실 바로 아래인 지하 5층에, 남공도선 승강장은 그 아래인 지하 6층에 자리 잡고 있다.[12][11][36][35] 기존의 E1, E2 출입구는 환승 대합실의 유리 지붕 설치를 위해 하나의 E 출입구로 통합 재건되었으며, 동철선 개통과 함께 개방되었다.[36] 동철선 선로는 역 남쪽에 열차 회차 및 유치를 위한 대피선이 설치되었으나,[11] 남공도선 선로는 역 북쪽의 차단막에서 끝나며 추가적인 오버런 트랙은 설치되지 않았다.[11]
기존 지하 3층(L3) 승강장 중 폭이 좁았던 일부 구간은 췬완선 열차의 첫 두 칸과 홍콩섬선 열차의 마지막 두 칸 승객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확장되었다. 이를 통해 특히 췬완 방면으로 가는 홍콩섬선 승객들의 환승이 더욱 편리해졌다.[13][37]
확장 공사 구역 내에는 승차 구역 내 화장실, 대합실과 지상을 잇는 엘리베이터 등 새로운 편의 시설이 추가되었다.[37]
또한 역 확장과 함께 두 개의 예술 작품이 새로 설치되었다.[36] 하나는 토니 입(Tony Ip)의 <녹색의 감> (Sense of Green)으로, 하코트 공원으로 이어지는 에스컬레이터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36] 다른 하나는 오토 리(Otto Li)의 <도시의 여정> (Mapping Our Journey)으로, 신역사와 구역사를 잇는 에스컬레이터 양쪽 면에 설치되어 감중역 이용객들의 이동 경로를 묘사하고 있다.[36]
이 확장 공사를 통해 감중역의 규모는 크게 늘어났다. 승강장 수는 4개에서 8개로 두 배가 되었고, 역의 층수는 3개 층에서 8개 층으로 증가했으며, 에스컬레이터 수는 8개에서 42개로 늘어났다.[3]
2. 3. 1. 2014년 홍콩 민주화 시위 (우산 혁명)
2014년9월 28일, 2014년 홍콩 반정부 시위 (우산 혁명)이 발생하면서 감중역이 봉쇄되었다.
3. 역 구조
지하역으로, 총 6개의 지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의 가장 깊은 곳은 지하 43m로, 홍콩 지하철 시스템 내에서는 홍콩 대학교역(지하 70m)과 사이잉푼역(지하 50m) 다음으로 깊다.[26] 모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초기에는 췬완선과 공도선의 환승역으로 건설되었으며, 두 노선 간 편리한 평면환승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30][44] 이 초기 승강장들은 곡선 형태로 지어져 열차와 승강장 사이 간격이 넓은 편이며, 바닥에는 '틈새 주의'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14]
이후 확장 공사를 통해 남공도선(L6층)과 동철선(L5층)이 추가로 정차하게 되어 총 4개 노선이 만나는 주요 환승역이 되었다.[36][44] 이 확장 공사 과정에서 역 동쪽으로 시설이 확장되었고, 자연 채광이 들어오는 아트리움 구조와 함께 환승 편의를 위한 다수의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추가되었다.[12][15] 기존 승강장의 일부 협소했던 공간도 확장되었으며,[13][37] 역 내 편의 시설 확충 및 예술 작품 설치도 이루어졌다.[37][36]
3. 1. 층별 안내
동철선 7번 승강장 (L5)
감중역은 지하역으로, 총 6개의 지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의 가장 깊은 곳은 지하 43m로, 홍콩에서는 홍콩 대학교역 (지하 70m)과 사이잉푼역 (지하 50m)에 이어 세 번째로 깊다.[26] 모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L1층은 대합실로, 개찰구와 고객 서비스 센터, 상점, 은행 등 주요 편의 시설이 모여 있다.[14]
L2층과 L3층은 각각 췬완선과 홍콩섬선 승강장이 있는 곳이다. L2층에는 4번(췬완선 중완행)과 3번(홍콩섬선 차이완행) 승강장이 있고, L3층에는 1번(췬완선 췬완행)과 2번(홍콩섬선 케네디타운행) 승강장이 있다.[14] 두 층 모두 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같은 층에서 다른 노선으로 쉽게 갈아탈 수 있는 평면환승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홍콩섬 동부나 완자이구에서 온 승객은 L3층에서 내린 후 바로 맞은편 1번 승강장으로 건너가 구룡반도, 콰이청, 췬완 방면 췬완선 열차를 탈 수 있다. 반대로 췬완선 이용객은 L2층에서 내려 3번 승강장으로 건너가 홍콩섬선 차이완행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14] L2와 L3층의 승강장 사이 통로는 매우 넓으며, 승강장 자체가 곡선 형태를 띠고 있어 열차와 승강장 사이 간격이 넓은 곳이 있다. 이 때문에 스크린도어에는 'Mind the gap'(틈새 주의) 문구가 강조되어 붙어 있다.[14] 확장 공사를 통해 L3층 승강장의 좁았던 일부 구간(췬완선 첫 두 칸, 홍콩섬선 마지막 두 칸 정차 위치)이 넓혀져 승객들의 편의성이 향상되었다.[13]
L4층은 각 승강장들을 연결하는 환승 통로 역할을 한다.[27]
L5층과 L6층은 확장 공사를 통해 신설된 승강장이다. L5층에는 2022년 5월 15일에 개통한 동철선 승강장이 있으며,[12][11] 신가이 북동부 지역과의 접근성을 높였다. L6층에는 2016년 12월 28일에 개통한 남항도선 승강장이 있어,[9][10] 남부 구 주민들이 중심업무지구로 더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역 확장 공사를 통해 기존 대합실 동쪽에는 자연 채광이 들어오는 아트리움과 지하 환승 로비가 추가되었고, 하코트 공원 아래까지 역 시설이 확장되었다. 이 과정에서 에스컬레이터 34개와 엘리베이터 5개가 추가 설치되어 기존 역 시설과 통합되었다.[12] 또한 승객 편의를 위해 요금 구역 내 화장실, 대합실과 지상을 잇는 엘리베이터 등의 시설이 추가되었다.[13]
3. 2. 승강장 특징
지하역으로, 총 6개의 지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의 가장 깊은 곳은 지하 43m로, 홍콩에서는 홍콩 대학교역 (지하 70m)과 사이잉푼역 (지하 50m)에 이어 세 번째로 깊다.[26] 모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L2층과 L3층에는 각각 섬식 승강장 1면 2선이 있으며, 췬완선과 공도선 열차가 정차한다. L5층에는 동철선 승강장이, L6층에는 남공도선 승강장이 있다.[44][36]
L2층 (상부 승강장): 4번 승강장(췬완선 중완 방면)과 3번 승강장(공도선차이완 방면)이 있다.[44]
L3층 (하부 승강장): 1번 승강장(췬완선 췬완 방면)과 2번 승강장(공도선케네디타운 방면)이 있다.[44]
L2층과 L3층의 승강장은 평면환승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홍콩섬 동구나 완자이구에서 온 승객은 L3층에서 1번 승강장으로 바로 건너가 췬완선 췬완 방면 열차를 탈 수 있고, 반대로 가우룽, 콰이충, 췬완 등지에서 온 승객은 L2층에서 3번 승강장으로 건너가 공도선 차이완 방면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44] 이 두 층의 승강장 사이에는 넓은 통로가 있으며, 승강장 구조가 곡선 형태를 띠고 있어 사다리꼴 모양이다.[44] 승강장이 굽어있고 환승객이 많아 스크린도어 앞 바닥에는 '틈새 주의' 문구가 크게 표시되어 있다.
기존 L3층 승강장의 좁았던 부분은 확장 공사를 통해 넓혀졌다. 이를 통해 췬완선 열차의 첫 두 칸과 공도선 열차의 마지막 두 칸 접근성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공도선에서 췬완선 췬완 방면으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13][37]
L5층 (동철선 승강장): 7번 승강장(로우/록마차우 방면)과 8번 승강장(종착)이 있는 분할 승강장 구조이다. 2022년 5월 15일 개통되어 신가이 북동부 지역과의 접근성을 높였다.[12][11] 동철선 선로는 역 남쪽에 종착 및 회차를 위한 대피선(측선)이 설치되어 있다.[11]
L6층 (남공도선 승강장): 5번과 6번 승강장(호이이분도 방면)이 있는 섬식 승강장이다. 2016년 12월 28일 개통되어 홍콩섬 남구 주민들의 중심업무지구 접근성을 향상시켰다.[9][10] 남공도선 선로는 역 북쪽에서 끝나며 추가 연장 선로는 없다.[11]
감중역은 췬완선과 공도선이 교차하는 중요한 환승역으로, 두 노선 간 편리한 평면환승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L2층 승강장에서는 중완 방면 췬완선(4번 승강장)과 차이완 방면 공도선(3번 승강장)이 마주보고 있으며, L3층 승강장에서는 췬완 방면 췬완선(1번 승강장)과 케네디타운 방면 공도선(2번 승강장)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14][44]
이러한 구조 덕분에 홍콩 동구와 완자이 구에서 오는 승객들은 L3층에서 내린 후 바로 반대편 1번 승강장으로 건너가 구룡, 콰이충, 췬완 방면 췬완선 열차로 쉽게 갈아탈 수 있다. 반대로 구룡, 콰이충, 췬완에서 오는 승객들은 L2층에서 내려 3번 승강장으로 건너가 차이완 방면 공도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14][44] L2층과 L3층의 승강장 사이에는 매우 넓은 통로가 있으며, 승강장 자체가 곡선 형태를 띠고 있어 사다리꼴 모양이다.[14][44] 곡선 승강장으로 인해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어, 스크린도어 앞에는 'Mind the gap'(틈새 주의) 문구가 적힌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14]
2016년 남공도선 (L6층), 2022년 동철선 (L5층)이 추가로 개통되면서 감중역은 4개 노선이 만나는 주요 환승 거점이 되었다.[12][36] 남공도선 개통으로 난 구 주민들의 홍콩섬 중심업무지구 접근성이 향상되었고,[33][34] 동철선 개통으로 신가이 북동부에서 오는 통근자들이 감중역까지 바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12][11][36][35]
새로운 노선 수용을 위해 역 시설이 대폭 확장되었다. 기존 대합실 동쪽에는 자연 채광이 들어오는 지하 환승 대합실이 추가되었고, 하코트 공원 아래에는 30m 높이의 아트리움이 지하 5층까지 이어져 있다.[12][15] 이 확장 구역에는 에스컬레이터 34대와 엘리베이터 5대가 추가 설치되어 기존 역과 유기적으로 연결된다.[12] L5층 동철선 승강장과 L6층 남공도선 승강장은 이 새로운 환승 공간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12][11][15]
기존 L3층 승강장 중 가장 좁았던 부분은 췬완선 열차의 첫 두 칸과 공도선 열차의 마지막 두 칸 탑승이 용이하도록 확장되었다. 이를 통해 특히 췬완 방면으로 가는 공도선 승객들의 환승 편의성이 개선되었다.[13][37] 확장 공사로 승강장 수는 4개에서 8개로, 역 층수는 3개 층에서 6개 층(실제 운영 기준)으로, 에스컬레이터 수는 8개에서 42개로 크게 늘어났다.[3] 또한, 승차 구역 내 화장실, 대합실과 지상을 잇는 엘리베이터 등 편의 시설도 추가되었다.[37]
애드미럴티역은 췬완선, 홍콩섬선, 동철선, 사우스 아일랜드선의 4개 노선이 교차하는 주요 환승역으로, 특히 출퇴근 시간에는 극심한 혼잡을 겪는다. 가우룽과 홍콩섬을 잇는 홍콩 지하철 노선 중 췬완선과 홍콩섬선 간 평면 환승은 애드미럴티역과 박곡역에서만 가능하며, 사우스 아일랜드선의 유일한 환승역이라는 점 때문에 승객이 집중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열차는 2.1분의 짧은 간격으로 운행되지만, 환승하려는 승객들은 다음 열차나 심지어 다다음 열차까지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혼잡은 MTR-KCR 합병 이후 요금이 인하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38][16]
4. 1. 혼잡 완화 노력
애드미럴티역은 췬완선과 홍콩섬선이 지나는 주요 환승역이며, 사우스 아일랜드선의 유일한 환승역이기도 하다. 가우룽과 홍콩섬을 잇는 노선 간의 평면 환승역이 홍콩 지하철 전체에서 애드미럴티역과 박곡역 정도밖에 없어 출퇴근 시간에는 승객이 집중되어 매우 혼잡하다. 열차 배차 간격이 2.1분 정도로 짧음에도 불구하고, 환승객들은 다음 열차나 심지어 다다음 열차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잦다. 이러한 상황은 항철공사와 구광철로의 합병 이후 요금 인하 조치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38][16]
이러한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피크 시간대에는 역 승무원을 추가 배치하고 에스컬레이터 방향을 조정하는 등의 임시 조치가 시행된다.[39][17] 또한, 홍콩 유명인사가 혼잡 안내 방송을 하기도 한다.[40][18] 저녁 피크 시간대에는 센트럴역에서 일부 췬완선 열차 운행을 중단하고 애드미럴티역에서 운행을 재개하여 역의 수요를 분산시키기도 한다.[41][42][19][20]
장기적인 대책으로는 2018년까지 탈레스 교통 및 보안과 협력하여 췬완선의 신호 체계를 개선할 계획이 있었다.[43][21] 또한, 역 확장 공사를 통해 사우스 아일랜드선 (2016년 12월 28일 개통[9])과 동철선 (2022년 5월 15일 개통[12][11])을 위한 새로운 승강장이 추가되었다. 동철선 연장 개통으로 신계 북동부에서 오는 승객들이 직접 애드미럴티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췬완선의 해저 터널 구간 수요를 분산시켜 혼잡 완화에 기여했다.[22]
새로운 노선 환승을 위해 기존 대합실 동쪽에 자연 채광이 들어오는 단층 지하 환승 로비가 건설되었고, 아트리움도 확장되었다.[12] 기존 L3 승강장(췬완선 및 홍콩섬선 승강장) 중 가장 좁은 부분을 확장하여 특정 객차로의 접근성을 개선했다.[13] 대합실과 홍콩섬선 승강장 층에는 '해저 터널 이용 안내'라는 새로운 승객 정보 안내판이 설치되어, 해저 터널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췬완선과 동철선 중 어느 노선을 이용할지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안내판은 다음 두 열차의 도착 예정 시간과 각 승강장의 실시간 혼잡도 시뮬레이션을 보여준다.
5. 출입구
홍콩섬 중심업무지구에 자리한 감중역 주변에는 사무 빌딩이 밀집해 있다. 대형 쇼핑몰인 퍼시픽 플레이스는 F 출입구에서 보도를 통해 갈 수 있다.[45][24]
'''A''': 애드미럴티 센터
*애드미럴티 센터, 하콧 로드, 전용 소형 버스 정류장, 홍콩특별행정구 정부청사, 팀 메이 공원, 푸드 트럭 파일럿 스킴, 홍콩대학 전문진수학원(HKU SPACE), 센트럴 및 서구 해안 산책로
'''B''': 드레이크 스트리트
*드레이크 스트리트, 홍콩 시청, 뱅크 오브 아메리카 타워, 중국은행 타워, 리포 센터, 애드미럴티 (웨스트) 버스 터미널, 씨티은행 빌딩, 코튼 트리 드라이브, 페어몬트 하우스, 극동 금융 센터, 오버시즈 트러스트 뱅크 빌딩, 피크 트램, 애드미럴티 (타마르 스트리트) 버스 터미널
'''C''': 애드미럴티 보행자 육교
*'''C1''': 퀸즈웨이 플라자
**주홍콩 영국 총영사관, 홍콩 시각 예술 센터, 퀸즈웨이 정부청사, 홍콩 자키 클럽 약물 정보 천지, 홍콩 브리티시 카운슬, 홍콩 공원, 홍콩 고등법원, 애드미럴티 보행자 육교, 퀸즈웨이, 아시아 소사이어티 홍콩 센터, 다구 문물관
**시각 장애인 안내 경로가 지상으로 연결되어 있음
*'''C2''': 택시 승강장
**시각 장애인 안내 경로가 지상으로 연결되어 있음
'''D''': 유나이티드 센터
*홍콩 아트센터, 하콧 하우스, 홍콩 경찰 본부, 홍콩 사회복지 협의회, 홍콩 운수서, 동아은행 하버뷰 센터, 애드미럴티 (이스트) 대중교통 환승센터, 홍콩 보이 스카우트 협회, 윈저 공작 사회 서비스 빌딩, 홍콩 총상회, 홍콩 청각 장애인 복지 증진회, 유나이티드 센터, 에버그란데 센터
'''E''': 로드니 스트리트
*'''E1''': CITIC 타워
**CITIC 타워, 로드니 스트리트, 타마르
**휠체어 이용객을 위한 셔틀 서비스 휠체어 이용객을 위한 셔틀 서비스가 지상으로 운행됨
*'''E2''': 하콧 로드
**글로스터 로드, 하콧 하우스, 하콧 로드, 홍콩 공연 예술 학원, 홍콩 아트센터, 홍콩 적십자사, 시티뱅크 플라자, 홍콩 경찰 본부
'''F''': 퍼시픽 플레이스
*애드미럴티 주차장, 중항 대하, 퍼시픽 플레이스, 메소디스트 교회 홍콩, 콘래드 홍콩, 아일랜드 샹그릴라, JW 메리어트 호텔 홍콩, 더 어퍼 하우스, 성 프란시스 카노시안 칼리지, 선시 보험 빌딩, 대생 상업 빌딩, 아시아 소사이어티 홍콩 센터
첫 번째 작품은 홍콩의 건축가 토니 입(Tony Ip영어)의 ''녹색의 감각(Sense of Green영어)''으로, 하코트 정원(Harcourt Garden) 위에 대나무로 덮인 새로운 조경 데크이다.[12]
두 번째 작품은 오토 리(Otto Li영어)의 ''도시의 음향 풍경(Urban Soundscape영어)''으로, 신규 역과 기존 역 사이의 에스컬레이터 샤프트 양쪽에 위치해 있다. 이 작품은 애드미럴티(Admiralty)를 통과하는 승객들의 여정을 묘사한다.[12]
세 번째 작품은 아트리움을 장식하는 미국 예술가 탈리 피셔(Talley Fisher영어)의 알루미늄 조각 작품 ''우리의 여정 지도(Mapping Our Journey영어)''이다. 이 작품은 역에서 교차하는 MTR 4개 노선과 개인 및 공동체의 교차점을 상징한다.[23]
8. 주변 시설
감중역(애드미럴티역)은 홍콩섬 중심업무지구에 자리하고 있어, 역 주변에는 사무용 빌딩이 밀집해 있다.[45][24] 대형 쇼핑몰인 퍼시픽 플레이스는 F 출구와 보행자 통로로 연결되어 있어 쉽게 찾아갈 수 있다.[4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