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덕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덕준은 서울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을 전공하고,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목회학 석사 및 성경해석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신학자이다.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구약신학 교수로 재직하며, 평생교육원장, 성경역사지리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그는 구약성경을 구속사적 관점에서 해석하며, 특히 이사야서의 농원 은유 연구를 통해 하나님의 구속 역사를 조명했다. 주요 저서로는 욥기에 대한 설교집이 있으며, 다양한 논문을 통해 구약신학 연구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 박영선 (목사)
    박영선은 남서울교회 부목사, 남포교회 개척 및 30년간 목회,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교수를 역임하고 칼뱅주의에 입각한 설교와 신학 서적 출간을 통해 한국 교회에 영향을 미친 대한민국의 목사이다.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 김명혁
    김명혁은 순교자 김관주 목사의 아들이자 한국의 대표적인 복음주의 신학자 겸 목회자로, 월남 후 서울대 사학과 졸업, 미국 유학을 통해 다양한 신학 학위를 취득하고 총신대학교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강변교회 담임목사, 한국복음주의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교회 연합 운동에 기여했으며 어거스틴 연구 권위자로도 알려졌으나 2024년 별세했다.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동문 - 팀 켈러
    팀 켈러는 미국의 목사이자 신학자, 기독교 변증가로서, 리디머 장로교회를 개척하여 도시 중심 사역에 헌신했으며 복음 연합 공동 설립자로서 복음 중심 신앙을 전파하고 《하나님의 이유》, 《탕자의 하나님》 등의 저서를 통해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하며 영향을 미쳤다.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동문 - 박윤선
    박윤선은 한국의 장로교 목사이자 신학자로, 30여 년에 걸쳐 성경 66권 전체에 대한 주석을 완성하여 한국 교회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개혁주의 신학에 기반한 주석으로 목회자와 신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고려신학교와 총신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한국 교회의 보수 신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성서학자 - 게르하르트 폰 라트
    게르하르트 폰 라트는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로서 구약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형식 비평과 전승사 연구를 통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구약학 교수로 재직하며 저서 《구약성서신학》 등을 저술했다.
  • 성서학자 -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는 영국의 성공회 주교이자 신약성서 학자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등에서 신약성서학을 가르쳤으며 더럼 주교를 역임했고 현재는 세인트앤드류스 대학교에서 신약성경학과 초기 기독교 역사를 가르치며 역사적 예수 연구와 바울 신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으로 인정받고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제시하고 전통적인 칭의론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신학적 관점은 많은 지지와 함께 논란과 비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박덕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박덕준 교수
이름박덕준
원어 이름朴德濬
활동 기간2010년 ~ 현재
출생일1970년 8월 22일 (만 53세)
직업대학 교수
저술가
사용 언어한국어
영어
분야구약신학
선지서
신학
저술
종교개신교(예장합신)
설명박덕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국적대한민국
학력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2. 학력

2. 1.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B.A.)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인문학적 소양을 쌓았다. 이는 훗날 박덕준이 성경 원문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1]

2. 2.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목회학 석사 (M.Div.)

박덕준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목회학 석사(M.Div.) 과정을 밟았다.

2. 3.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성경해석학 박사 (Ph.D.)

김희석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여호와는 농부 시온은 그의 농원: 이사야서의 농원은유 연구"(YWHW IS A GARDENER AND ZION HIS GARDEN : A STUDY OF THE GARDEN METAPHOR IN THE BOOK OF ISAIAH영어)라는 논문으로 성경해석학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1] 이 논문은 이사야서에 나타난 농원 은유를 통해 하나님의 구속 역사를 조명하는 독창적인 연구로 평가받는다.[1]

3. 경력

박덕준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구약신학 교수이자,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부서기, 한국성경신학회 협동총무를 맡고 있다.

3. 1.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구약신학 교수

3. 2.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원장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원장을 역임했다.

3. 3.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성경역사지리연구소 소장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성경역사지리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1]

3. 4.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및 한국성경신학회 활동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부서기, 한국성경신학회 협동총무를 역임했다.

4. 구약의 구속사적 해석

김희석은 아모스에 나타난 정의와 공의에 대한 해석에서도 구속사를 염두에 두고 주해와 설교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구약의 언약 백성과 신약의 새 언약 백성 모두에게 정의와 공의의 실천이 요구되지만, 율법주의는 위험성을 내포한다고 지적한다. 아모스의 메시지를 일반화하여 성도들에게 직접 적용하면, 성도들이 자신의 능력과 의지에만 의존하여 스스로 우월감에 빠지거나 자신의 무능에 절망하는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고 경고한다.

따라서 김희석은 그리스도 중심적 또는 구속사적 해석을 제시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미 그의 공생애와 십자가를 통해 정의와 공의의 요구를 성취하셨고, 성도들은 그리스도와 연합한 가운데 이미 성취된 정의와 공의를 경험하며 살아간다는 것이다. 또한, 내주하시는 성령께서 성도들에게 정의와 공의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과 의지를 주신다고 강조한다.[8]

4. 1. 구속사의 정의와 중요성

김희석은 구속사란 하나님께서 이루시는 구원의 역사라고 정의한다. 그는 성경과 역사를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것을 강조한다.[5][6][7]

하나님이 어떻게 타락한 인류를 구원하는지를 보여주는 관점에서 성경과 역사를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구약성경을 읽을 때에 구속사적 맥락을 무시하면, 큰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 하나하나를 살피는 것과 같다고 한다. 구약은 인류를 구원하시기 위해서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어주시겠다는 약속으로 되어 있다. 신약은 그 구원자가 정말로 이 세상에 오셔서 우리를 구원하셨으며, 이제 우리로 하여금 그 구원의 역사에 동참시키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큰 그림 속에서 구약과 신약의 세밀한 부분들을 살펴보아야 제대로 성경을 읽는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성경을 묵상할 때, 구속사적 맥락에서 성경을 읽는 것은 필수적이다.

하나님의 구원의 이야기(구속사)는 창조와 타락, 이스라엘과의 언약, 언약 백성의 배역과 심판, 언약 백성의 회복과 새 언약의 약속,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회복의 성취와 새 언약의 설립, 교회를 통한 새 언약의 성취, 재림을 통한 새 언약의 완성으로 연결된다고 한다.

4. 2.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

김희석은 구속사란 하나님께서 이루시는 구원의 역사라고 보며, 성경과 역사를 하나님께서 타락한 인류를 어떻게 구원하시는지를 보여주는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구약성경은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주시겠다는 약속이며, 신약성경은 그 구원자가 세상에 와서 우리를 구원하고 구원의 역사에 동참시키는 이야기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큰 틀 안에서 구약과 신약의 세부적인 부분들을 살펴야 성경을 제대로 읽는 것이라고 강조한다.[5][6][7]

하나님의 구원 이야기는 창조와 타락, 이스라엘과의 언약, 언약 백성의 배역과 심판, 회복과 새 언약의 약속,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회복의 성취와 새 언약의 설립, 교회를 통한 새 언약의 성취, 재림을 통한 새 언약의 완성으로 이어진다고 한다.[5][6][7]

김희석은 아모스에 나타난 정의와 공의에 대한 해석도 구속사를 염두에 두고 주해와 설교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한다. 구약의 언약 백성과 신약의 새 언약 백성 모두에게 정의와 공의의 실천이 요구되지만, 율법주의는 위험성을 내포한다고 한다. 아모스의 메시지를 일반화하여 성도들에게 직접 적용하면, 성도들이 스스로 우월감에 빠지거나 자신의 무능에 절망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그리스도 중심적 또는 구속사적 해석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미 그의 공생애와 십자가를 통해 정의와 공의의 요구를 성취하셨고, 성도들은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이미 성취된 정의와 공의를 경험하며 살아간다고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내주하시는 성령께서 성도들에게 정의와 공의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과 의지를 주신다고 한다.[8]

4. 3. 구속사적 해석의 적용: 아모스서의 정의와 공의

김희석은 아모스서에 나타난 정의와 공의에 대한 해석에서도 구속사적 관점을 적용한다. 구속사란 하나님께서 이루시는 구원의 역사로, 하나님께서 타락한 인류를 어떻게 구원하는지를 보여주는 관점이다. 성경과 역사를 이러한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구약성경을 읽을 때 구속사적 맥락을 무시하면 큰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 하나하나를 살피는 것과 같다. 구약은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주시겠다는 약속이고, 신약은 그 구원자가 세상에 오셔서 우리를 구원하시고 그 구원의 역사에 동참시키시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성경을 묵상할 때 구속사적 맥락에서 읽는 것은 필수적이다. 하나님의 구원 이야기는 창조와 타락, 이스라엘과의 언약, 언약 백성의 배역과 심판, 회복과 새 언약의 약속,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회복의 성취와 새 언약의 설립, 교회를 통한 새 언약의 성취, 재림을 통한 새 언약의 완성으로 이어진다.[5][6][7]

김희석은 아모스서의 정의와 공의에 대한 해석에서도 구속사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구약과 신약의 백성 모두에게 정의와 공의의 실천이 요구되지만, 율법주의는 위험성을 내포한다. 아모스의 메시지를 일반화하여 성도들에게 직접 적용하면, 성도들이 자신의 능력에 의존하여 우월감에 빠지거나 무능에 절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중심적, 구속사적 해석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미 그의 공생애와 십자가를 통해 정의와 공의의 요구를 성취하셨고, 성도들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해 이미 성취된 정의와 공의를 경험하며 살아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내주하시는 성령께서 성도들이 정의와 공의를 실천할 수 있도록 능력과 의지를 주신다고 한다.[8]

5. 학위논문

박덕준의 박사 학위 논문은 YWHW IS A GARDENER AND ZION HIS GARDEN : A STUDY OF THE GARDEN METAPHOR IN THE BOOK OF ISAIAH|여호와는 농부 시온은 그의 농원 : 이사야서의 농원은유 연구영어이다. 이 논문은 이사야서에 나타난 농원 은유를 통해 하나님의 구속 계획을 조명한다.

5. 1. "여호와는 농부 시온은 그의 농원: 이사야서의 농원은유 연구"

이 논문은 이사야서에 등장하는 '농원'이라는 은유를 분석하여,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간의 관계, 그리고 하나님의 구속 계획을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6. 저서 및 논문

박덕준은 다양한 저서와 논문을 통해 자신의 신학 사상을 펼쳐왔다.

'''주요 저서'''


  • Park, Young Sun|박영선영어, 《욥기 강해: 갈 곳 없는 인생, 하나님을 만나다》, 합신대학원출판부, 2018.
  • Baker Ilustrated Bible Dictionary|영어 공저. Peter Enns, Tremper Longman, and Mark Strauss|영어 편집. Grand Rapids영어: Baker영어, 2013.
  • 〈이사야서에 나타난 종말적 구원: 민족적 유대인을 위한 특별한 섭리〉, 《가난하나 부요케: 조병수 박사 은퇴기념논총》, 은퇴기념논총 출판위원회, 가르침, 2020, 271-292쪽.


'''주요 논문'''

논문 제목학술지명발표 연도 및 쪽수
칼빈의 이사야 주석에 나타나는 구속사적 해석: 이사야 61:1-3을 중심으로구약논집 132018년 6월, 134-161쪽
아모스에 나타난 정의와 공의교회와 문화 422019년, 38-73쪽
이사야의 하나님 주권 사상신학정론 37/22019년, 53-111쪽
여호와는 목자, 이스라엘은 그의 양이라: 미가서의 목양 은유 연구구약논집 192021년 3월, 132-171쪽
느헤미야서의 언약의 회복: 느헤미야 8-10장을 중심으로교회와 문화 452021년 3월, 13-40쪽


6. 1. 주요 저서


  • Park, Young Sun|박영선영어, 《욥기 강해: 갈 곳 없는 인생, 하나님을 만나다》, 합신대학원출판부, 2018.
  • Baker Ilustrated Bible Dictionary|영어 공저. Peter Enns, Tremper Longman, and Mark Strauss|영어 편집. Grand Rapids영어: Baker영어, 2013.
  • 〈이사야서에 나타난 종말적 구원: 민족적 유대인을 위한 특별한 섭리〉, 《가난하나 부요케: 조병수 박사 은퇴기념논총》, 은퇴기념논총 출판위원회, 가르침, 2020, 271-292쪽.

6. 2. 주요 논문

논문 제목학술지명발표 연도 및 쪽수
칼빈의 이사야 주석에 나타나는 구속사적 해석: 이사야 61:1-3을 중심으로구약논집 132018년 6월, 134-161쪽
아모스에 나타난 정의와 공의교회와 문화 422019년, 38-73쪽
이사야의 하나님 주권 사상신학정론 37/22019년, 53-111쪽
여호와는 목자, 이스라엘은 그의 양이라: 미가서의 목양 은유 연구구약논집 192021년 3월, 132-171쪽
느헤미야서의 언약의 회복: 느헤미야 8-10장을 중심으로교회와 문화 452021년 3월, 13-40쪽


참조

[1] 웹사이트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진 https://www.hapdong.[...]
[2] 서적 The Baker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3] 뉴스 아모스 등 선지서는 '사회개혁' 초점 아니다…'신학적 개혁'이 그 중심 https://www.christia[...] 기독일보 2018-08-21
[4] 뉴스 “엔대믹 시대, 말씀으로 영적 재충전 http://www.igoodnews[...] 아이굿뉴스 2022-05-04
[5] 웹사이트 구속사적 해석과 말씀 묵상 http://www.jjvision.[...]
[6] 뉴스 바울신학원 여름 특강 구속사적 해석과 말씀묵상 https://www.kidoknew[...] 기독뉴스 2021-06-16
[7] Youtube 구속사적 관점으로 읽는 구약성경 - 박덕준 교수 https://www.youtube.[...]
[8] 간행물 성경신학회 제42회 논문발표 아모스 주해와 설교 http://www.woolrimst[...] 2018-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