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환 (바둑 기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정환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2006년 프로에 입단하여,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2개를 획득하며 9단으로 승단했다. 2011년 후지쯔배 우승을 시작으로 LG배, 월드 바둑 챔피언십, 몽백합배 등 주요 국제 기전에서 우승했으며, 국내 기전에서도 다수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2년에는 이세돌을 제치고 한국 기사 랭킹 1위에 올랐으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59개월 연속 1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아시안 게임 바둑 참가 선수 - 커제
커제는 중국 저장성 출신의 바둑 기사로, 2008년 프로 입단 후 국내외 바둑 대회에서 다수 우승하며 세계적인 기사로 인정받았고, 알파고와의 대결과 몽백합배, 삼성화재배, 백령배 등 국제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칭화대학교 졸업 후 프로 기사와 사회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 2022년 아시안 게임 바둑 참가 선수 - 신진서
신진서는 2010년 어린이 국수전 우승을 시작으로 국내외 기전에서 우승하며 활약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바둑에 관한 - 커제
커제는 중국 저장성 출신의 바둑 기사로, 2008년 프로 입단 후 국내외 바둑 대회에서 다수 우승하며 세계적인 기사로 인정받았고, 알파고와의 대결과 몽백합배, 삼성화재배, 백령배 등 국제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칭화대학교 졸업 후 프로 기사와 사회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이야마 유타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 이야마 유타는 최연소 우승 및 다수의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우고 7관왕을 달성하는 등 일본 바둑계 최고 기사로 인정받으며, 독창적인 기풍과 강력한 공격력으로 역대 최다 타이틀 획득 기록을 경신하였다. - 대한민국의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팀으로, 2004년 IIHF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했으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남북 단일팀으로 참가하여 8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의 국가대표팀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박정환 (바둑 기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박정환 |
한글 | 박정환 |
한자 | 朴廷桓 |
로마자 표기 | Bak Jeong-hwan |
출생일 | 1993년 1월 11일 |
출생 국가 | 대한민국 |
거주지 | 대한민국 |
스승 | 권갑용 |
소속 | 한국기원 |
프로 입단 | 2006년 |
단 | 9단 |
수상 경력 | |
아시안 게임 | 2022 항저우 남자 단체전 금메달 2010 광저우 남자 단체전 금메달 2010 광저우 혼성 페어 금메달 |
2. 약력
## 주요 경력
박정환은 2006년 13세의 나이로 입단하였다. 2010년 아시안 게임 바둑 종목에 출전, 금메달 2개를 획득하여 9단으로 특별 승단하였다. 2011년 후지쯔배에서 추쥔 8단을 꺾고 우승함으로써 주요 세계 기전 첫 우승을 이루었다.
- 2007년 엠게임 마스터스 챔피언십 우승
- 2009년 십단전 우승
- 2009, 2014년 박카스배 천원전 우승
- 2010년 바둑대상 신예기사상 수상
- 2010년 원익배 십단전 우승
- 2010년 한중통합천원전 우승
- 2010년 제16회 광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혼성 페어 금메달, 남자 단체전 금메달
- 2011~2013년 KBS 바둑왕전 3연패
- 2011년 후지쯔배 우승 (추쥔/邱峻중국어)
- 2011년 제16기 GS칼텍스배 우승
- 2012년 제13기 맥심커피배 우승
- 2013년 제14기 맥심커피배 2연승
- 2013년 제7회 응씨배 준우승(1:3판팅위/范廷鈺중국어)
- 2014년 바둑대상 대상 수상
- 2014년 제58기 국수전 우승
- 2015년 제19회 LG배 세계기왕전 우승(2:1김지석/金志錫ko-Hani)
- 2016년 KBS 바둑왕전 우승
- 2016년 제59기 국수전 우승
- 2016년 제8회 응씨배 준우승 (2:3탕웨이싱/唐韦星중국어)
- 2017년 월드바둑챔피언십 우승
- 2017년 제18기 맥심커피배 우승
- 2017년 제1회 크라운해태배 우승
- 2018년 제3회 몽백합배 우승 (3:0박영훈/朴永訓ko-Hani)
- 2018년 월드바둑챔피언십 2연패
- 2018년 국수산맥배 국제바둑대회 세계부문 우승
- 2018년 CCTV 하세배 우승
- 2019년 CCTV 하세배 2연패
- 2019년 월드바둑챔피언십 3연패
- 2019년 제12회 춘란배 우승 (2:0박영훈/朴永訓ko-Hani)
- 2019년 제1기 바둑TV배 마스터스 우승
- 2019년 제2기 용성전 우승
- 2020년 CCTV 하세배 3연패
- 2020년 제24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준우승 (0:2신진서/申眞諝ko-Hani)
- 2020년 제1기 쏘팔코사놀배 준우승 (0:3신진서/申眞諝ko-Hani)
- 2020년 제3기 용성전 준우승 (0:2신진서/申眞諝ko-Hani)
- 2021년 제2기 쏘팔코사놀배 준우승 (2:3신진서/申眞諝ko-Hani)
- 2021년 제4기 용성전 준우승 (1:2신진서/申眞諝ko-Hani)
- 2021년 제26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우승 (2:1신진서/申眞諝ko-Hani)
- 2021년 제40기 KBS 바둑왕전 준우승(0-2신진서/申眞諝ko-Hani)
- 2022년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선수권전 우승(3:0이동훈/李東勳ko-Hani)
- 2022년 제23기 맥심커피배 우승(2:0이동훈/李東勳ko-Hani)
- 2022년 제1기 YK건기배 준우승(0:2강동윤/姜東潤ko-Hani)
- 2023년 제2기 한국기원선수권전 우승(3:2설현준/偰玹準ko-Hani)
- 2024년 제47기 명인전 우승(2-0이지현/李知炫 (바둑 기사)ko-Hani)
2012년 응씨배 결승에서 판팅위에게 1-3으로 패하여 준우승했다. 2016년 응씨배 결승에서 탕웨이싱과 맞붙었고, 8월 중순에 열린 첫 두 경기에서 1승 1패를 기록했다. 10월 22일부터 26일까지 열린 마지막 3경기에서 박정환은 세 번째 경기를 이겼으나, 네 번째와 다섯 번째 경기에서 탕웨이싱에게 연달아 패하며 최종 2-3으로 준우승했다.
2016년 10월, 백령배에서 천야오예에게 패하며 한국 선수의 국제 대회 연승 행진이 막을 내렸다. 11월에는 LG배 8강에서 구리를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저우루이양에게 패했다.
2017년 일본기원이 주최한 월드 바둑 챔피언십에서 이야마 유타, DeepZenGo, 미위팅을 꺾고 우승했다.
2018년 제3회 몽백합배 결승에서 박영훈을 3-0으로 꺾고 우승했다.
한국 바둑 리그에서는 2013년 최다승(12승), 2014-16년 3년 연속 MVP를 수상했다. 2017년 10월 16일, 한국 바둑 리그 최연소 통산 100승(24세 9개월)을 달성했다.
한국 기사 랭킹에서는 2007년 25위, 2010년 2위, 2012년 6월에 이세돌을 제치고 처음으로 1위에 올랐으며, 2013년 12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59개월 연속 1위를 기록했다.
2020년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 대국으로 진행되었는데, 제12국 판팅위와의 대국에서 박정환의 컴퓨터 오류로 인해 중단, 재대국을 치러 승리했고, 이후 최종국에서 커제에게 패했다.
연도 | 승 | 패 | 승률 |
---|---|---|---|
2007 | 11 | 8 | 57.9% |
2008 | 15 | 14 | 51.7% |
2009 | 24 | 14 | 63.2% |
2010 | 35 | 15 | 70.0% |
2011 | 41 | 19 | 68.3% |
2012 | 79 | 31 | 71.8% |
2013 | 79 | 28 | 73.8% |
2014 | 75 | 26 | 74.3% |
2015 | 58 | 20 | 74.4% |
2016 | 57 | 24 | 70.4% |
2017 | 55 | 16 | 77.5% |
2018 | 58 | 19 | 75.3% |
2019 | 72 | 23 | 75.8% |
2020 | 17 | 9 | 65.4% |
합계 | 676 | 269 | 71.5% |
## 국제기전 성적
박정환은 후지쯔배(2011년), LG배(2015년), 월드 바둑 챔피언십(2017, 2018, 2019년), CCTV 설날배 바둑전(2018, 2019, 2020년),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2018년), 국수산맥배 세계 바둑 최강전 개인전(2018년),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2019년),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2021년)에서 우승했다.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2012, 2016년)와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 대회(2013, 2015년), LG배 세계 기왕전(2020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이슬아와 함께 남녀 페어 바둑에서, 그리고 남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9단으로 승단했고, 병역 면제 혜택을 받았다. 2011년 스포츠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스 남자 단체전에서는 준우승을, 2013년에는 우승을 차지했다.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에서는 2013년 2승, 2014년 2승 1패, 2015년 1승 1패, 2017년 2승 1패, 2018-19년 2승 1패, 2019-20년 4승 1패, 2021-22년 1승 1패, 2022-23년 2승 1패를 기록했다.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 대국으로 진행된 제12국 판팅위와의 대국에서 컴퓨터 오류로 인해 중단, 재대국을 치러 승리했지만, 최종국에서 커제에게 패했다.
대회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잉씨배 | - | × | - | 준우승 | - | 준우승 | - | 16강 | - | 16강 | ||||||||
후지쯔배 | × | × | × | 16강 | 우승 | 중지 | - | |||||||||||
삼성화재배 | 16강 | 32강 | 32강 | 4강 | 32강 | 4강 | 8강 | 4강 | 8강 | 8강 | 8강 | 16강 | 8강 | 32강 | 우승 | 8강 | 4강 | 32강 |
LG배 | × | × | × | 32강 | 32강 | 16강 | 32강 | 우승 | 16강 | 4강 | 16강 | 8강 | 준우승 | 4강 | 8강 | 16강 | 16강 | 8강 |
춘란배 | - | × | - | × | - | 8강 | - | 8강 | - | 16강 | - | 우승 | - | 16강 | - | 16강 | - | |
BC카드배 | - | × | 4강 | 4강 | 64강 | 중지 | - | |||||||||||
바이링배 | - | 8강 | - | 4강 | - | 8강 | - | 16강 | - | 중지 | - | |||||||
몽백합배 | - | 64강 | - | 16강 | - | 우승 | - | 16강 | - | - | - | 64강 | - | |||||
신아오배 | - | 64강 | - | 중지 | - | |||||||||||||
천부배 | - | 4강 | - | 중지 | - | |||||||||||||
란커배 | - | 16강 | 8강 | |||||||||||||||
난양배 | - | 32강 | ||||||||||||||||
TV바둑아시아 | × | × | × | × | 1회전 | 4강 | 준우승 | 4강 | 준우승 | 4강 | × | 4강 | × | 중지 | - | |||
농심배 | × | × | × | × | × | 2-0 | 2-1 | 1-1 | 0-1 | 2-1 | 0-0 | 2-1 | 4-1 | 0-0 | 1-1 | 2-1 | 0-1 |
## 승단 기록
2006년 입단대회 통과로 프로 기사에 입단했다. 2007년 2단, 2008년 3단으로 승단했다. 2009년에는 백홍석을 꺾고 제4회 시십단에서 우승하여 4단, 김지석을 꺾고 제14기 천원에서 우승하여 5단으로 승단했다. 2010년에는 이창호를 꺾고 제5회 시십단에서 우승하여 6단, BC카드배 본선 진출로 7단, 한국기원 승단 규정에 따라 8단으로 승단했다. 같은 해 아시안 게임에서 우승하며 17세의 나이로 최연소 한국 9단에 등극했다.
## 기타
박정환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남자 단체전과 남녀 페어 바둑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1년 스포츠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스 남자 단체전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나, 2013년에는 우승을 거머쥐었다.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2년과 2016년에 준우승을 기록했고,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도 2013년과 2015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BC카드배 월드 바둑 챔피언십에서는 2010년과 2011년에 4강에 진출했고,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에서는 2010년, 2012년, 2014년에 4강,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22년에 8강에 올랐다. 바이링배 세계 바둑 오픈전에서는 2014년에 4강, 2016년에 8강에 진출했다. LG배 세계 기왕전에서는 2020년에 준우승, 2016년에 4강, 2018년과 2021년에 8강에 올랐다.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에서는 2013년부터 꾸준히 출전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9-20년에는 이야마 유타, 미위팅, 판팅위, 셰얼하오를 연파하며 4승 1패를 기록했으나, 커제에게 패하며 연승을 마감했다.
국수산맥배 국제 바둑 대회에서는 2014년에 2승 1패, 2015년에 3승, 2016년에 2승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IMSA 엘리트 마인드 게임스와 세계 마스터스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6년에 남자 단체전과 남녀 페어전(최정 9단과 함께)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2017년에는 남자 단체전 우승과 남자 개인전 준우승을 기록했다.
국내 기전에서는 SK 가스배 신예 프로 십걸전에서 2008년에 준우승을, KBS 바둑왕전에서는 2014년, 2015년, 2019년, 2021년, 2022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맥심커피배 입신 연승 최강전에서는 2014년에 준우승, 명인전에서는 2016년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한국 바둑 리그에서는 2007년부터 2022-23년까지 꾸준히 활약하며 여러 차례 MVP를 수상했다. 특히 2014년, 2015년, 2016년에는 T브로드 팀 소속으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중국 바둑 갑조 리그에서도 2012년부터 활약하며 다롄 상팡, 쑤보얼 항저우, 청두 이진 콩구, 청두 농상 은행, 선전 룽화 등 여러 팀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한국 기원 바둑 대상에서는 2009년 신예 기사상을 시작으로, 최우수 기사상, 다승, 승률, 연승상을 여러 차례 수상하며 최고의 기사로 인정받았다.
2. 1. 주요 경력
박정환은 2006년 13세의 나이로 입단하였다.[1] 2010년 아시안 게임 바둑 종목에 출전, 금메달 2개를 획득하여 9단으로 특별 승단하였다.[1] 2011년 후지쯔배에서 추쥔 8단을 꺾고 우승함으로써 주요 세계 기전 첫 우승을 이루었다.[1]- 2007년 엠게임 마스터스 챔피언십 우승
- 2009년 십단전 우승
- 2009, 2014년 박카스배 천원전 우승
- 2010년 바둑대상 신예기사상 수상
- 2010년 원익배 십단전 우승
- 2010년 한중통합천원전 우승
- 2010년 제16회 광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혼성 페어 금메달, 남자 단체전 금메달
- 2011~2013년 KBS 바둑왕전 3연패
- 2011년 후지쯔배 우승 (추쥔/邱峻중국어)
- 2011년 제16기 GS칼텍스배 우승
- 2012년 제13기 맥심커피배 우승
- 2013년 제14기 맥심커피배 2연승
- 2013년 제7회 응씨배 준우승(1:3판팅위/范廷鈺중국어)[1]
- 2014년 바둑대상 대상 수상
- 2014년 제58기 국수전 우승
- 2015년 제19회 LG배 세계기왕전 우승(2:1김지석/金志錫ko-Hani)[2][3]
- 2016년 KBS 바둑왕전 우승
- 2016년 제59기 국수전 우승
- 2016년 제8회 응씨배 준우승 (2:3탕웨이싱/唐韦星중국어)
- 2017년 월드바둑챔피언십 우승[4]
- 2017년 제18기 맥심커피배 우승
- 2017년 제1회 크라운해태배 우승
- 2018년 제3회 몽백합배 우승 (3:0박영훈/朴永訓ko-Hani)[8]
- 2018년 월드바둑챔피언십 2연패
- 2018년 국수산맥배 국제바둑대회 세계부문 우승
- 2018년 CCTV 하세배 우승
- 2019년 CCTV 하세배 2연패
- 2019년 월드바둑챔피언십 3연패
- 2019년 제12회 춘란배 우승 (2:0박영훈/朴永訓ko-Hani)
- 2019년 제1기 바둑TV배 마스터스 우승
- 2019년 제2기 용성전 우승
- 2020년 CCTV 하세배 3연패
- 2020년 제24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준우승 (0:2신진서/申眞諝ko-Hani)
- 2020년 제1기 쏘팔코사놀배 준우승 (0:3신진서/申眞諝ko-Hani)
- 2020년 제3기 용성전 준우승 (0:2신진서/申眞諝ko-Hani)
- 2021년 제2기 쏘팔코사놀배 준우승 (2:3신진서/申眞諝ko-Hani)
- 2021년 제4기 용성전 준우승 (1:2신진서/申眞諝ko-Hani)
- 2021년 제26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우승 (2:1신진서/申眞諝ko-Hani)
- 2021년 제40기 KBS 바둑왕전 준우승(0-2신진서/申眞諝ko-Hani)
- 2022년 제1기 우슬봉조배 한국기원선수권전 우승(3-0이동훈/李東勳ko-Hani)
- 2022년 제23기 맥심커피배 우승(2-0이동훈/李東勳ko-Hani)
- 2022년 제1기 YK건기배 준우승(0-2강동윤/姜東潤ko-Hani)
- 2023년 제2기 한국기원선수권전 우승(3-2설현준/偰玹準ko-Hani)
- 2024년 제47기 명인전 우승(2-0이지현/李知炫 (바둑 기사)ko-Hani)
2012년 응씨배 결승에서 판팅위에게 1-3으로 패하여 준우승했다.[1] 2016년 응씨배 결승에서 탕웨이싱과 맞붙었고, 8월 중순에 열린 첫 두 경기에서 1승 1패를 기록했다.[1] 10월 22일부터 26일까지 열린 마지막 3경기에서 박정환은 세 번째 경기를 이겼으나, 네 번째와 다섯 번째 경기에서 탕웨이싱에게 연달아 패하며 최종 2-3으로 준우승했다.[1]
2016년 10월, 백령배에서 천야오예에게 패하며 한국 선수의 국제 대회 연승 행진이 막을 내렸다.[1] 11월에는 LG배 8강에서 구리를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저우루이양에게 패했다.[1]
2017년 일본기원이 주최한 월드 바둑 챔피언십에서 이야마 유타, DeepZenGo, 미위팅을 꺾고 우승했다.[4]
2018년 제3회 몽백합배 결승에서 박영훈을 3-0으로 꺾고 우승했다.[8]
한국 바둑 리그에서는 2013년 최다승(12승),[9] 2014-16년 3년 연속 MVP를 수상했다.[9] 2017년 10월 16일, 한국 바둑 리그 최연소 통산 100승(24세 9개월)을 달성했다.[10]
한국 기사 랭킹에서는 2007년 25위, 2010년 2위, 2012년 6월에 이세돌을 제치고 처음으로 1위에 올랐으며,[11] 2013년 12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59개월 연속 1위를 기록했다.[11]
2020년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 대국으로 진행되었는데, 제12국 판팅위와의 대국에서 박정환의 컴퓨터 오류로 인해 중단, 재대국을 치러 승리했고, 이후 최종국에서 커제에게 패했다.[12]
연도 | 승 | 패 | 승률 |
---|---|---|---|
2007 | 11 | 8 | 57.9% |
2008 | 15 | 14 | 51.7% |
2009 | 24 | 14 | 63.2% |
2010 | 35 | 15 | 70.0% |
2011 | 41 | 19 | 68.3% |
2012 | 79 | 31 | 71.8% |
2013 | 79 | 28 | 73.8% |
2014 | 75 | 26 | 74.3% |
2015 | 58 | 20 | 74.4% |
2016 | 57 | 24 | 70.4% |
2017 | 55 | 16 | 77.5% |
2018 | 58 | 19 | 75.3% |
2019 | 72 | 23 | 75.8% |
2020 | 17 | 9 | 65.4% |
합계 | 676 | 269 | 71.5% |
2. 2. 국제기전 성적
박정환은 후지쯔배(2011년), LG배(2015년), 월드 바둑 챔피언십(2017, 2018, 2019년), CCTV 설날배 바둑전(2018, 2019, 2020년),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2018년), 국수산맥배 세계 바둑 최강전 개인전(2018년),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2019년),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2021년)에서 우승했다.[8]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2012, 2016년)와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 대회(2013, 2015년), LG배 세계 기왕전(2020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이슬아와 함께 남녀 페어 바둑에서, 그리고 남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9단으로 승단했고, 병역 면제 혜택을 받았다.[11] 2011년 스포츠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스 남자 단체전에서는 준우승을, 2013년에는 우승을 차지했다.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에서는 2013년 2승, 2014년 2승 1패, 2015년 1승 1패, 2017년 2승 1패, 2018-19년 2승 1패, 2019-20년 4승 1패, 2021-22년 1승 1패, 2022-23년 2승 1패를 기록했다.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 대국으로 진행된 제12국 판팅위와의 대국에서 컴퓨터 오류로 인해 중단, 재대국을 치러 승리했지만, 최종국에서 커제에게 패했다.[12]
대회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잉씨배 | - | × | - | 준우승 | - | 준우승 | - | 16강 | - | 16강 | ||||||||
후지쯔배 | × | × | × | 16강 | 우승 | 중지 | - | |||||||||||
삼성화재배 | 16강 | 32강 | 32강 | 4강 | 32강 | 4강 | 8강 | 4강 | 8강 | 8강 | 8강 | 16강 | 8강 | 32강 | 우승 | 8강 | 4강 | 32강 |
LG배 | × | × | × | 32강 | 32강 | 16강 | 32강 | 우승 | 16강 | 4강 | 16강 | 8강 | 준우승 | 4강 | 8강 | 16강 | 16강 | 8강 |
춘란배 | - | × | - | × | - | 8강 | - | 8강 | - | 16강 | - | 우승 | - | 16강 | - | 16강 | - | |
BC카드배 | - | × | 4강 | 4강 | 64강 | 중지 | - | |||||||||||
바이링배 | - | 8강 | - | 4강 | - | 8강 | - | 16강 | - | 중지 | - | |||||||
몽백합배 | - | 64강 | - | 16강 | - | 우승 | - | 16강 | - | - | - | 64강 | - | |||||
신아오배 | - | 64강 | - | 중지 | - | |||||||||||||
천부배 | - | 4강 | - | 중지 | - | |||||||||||||
란커배 | - | 16강 | 8강 | |||||||||||||||
난양배 | - | 32강 | ||||||||||||||||
TV바둑아시아 | × | × | × | × | 1회전 | 4강 | 준우승 | 4강 | 준우승 | 4강 | × | 4강 | × | 중지 | - | |||
농심배 | × | × | × | × | × | 2-0 | 2-1 | 1-1 | 0-1 | 2-1 | 0-0 | 2-1 | 4-1 | 0-0 | 1-1 | 2-1 | 0-1 |
2. 3. 승단 기록
2006년 입단대회 통과로 프로 기사에 입단했다. 2007년 2단, 2008년 3단으로 승단했다. 2009년에는 백홍석을 꺾고 제4회 시십단에서 우승하여 4단, 김지석을 꺾고 제14기 천원에서 우승하여 5단으로 승단했다. 2010년에는 이창호를 꺾고 제5회 시십단에서 우승하여 6단, BC카드배 본선 진출로 7단, 한국기원 승단 규정에 따라 8단으로 승단했다. 같은 해 아시안 게임에서 우승하며 17세의 나이로 최연소 한국 9단에 등극했다.2. 4. 기타
박정환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남자 단체전과 남녀 페어 바둑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1년 스포츠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스 남자 단체전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나, 2013년에는 우승을 거머쥐었다.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2년과 2016년에 준우승을 기록했고,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도 2013년과 2015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BC카드배 월드 바둑 챔피언십에서는 2010년과 2011년에 4강에 진출했고,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에서는 2010년, 2012년, 2014년에 4강,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22년에 8강에 올랐다. 바이링배 세계 바둑 오픈전에서는 2014년에 4강, 2016년에 8강에 진출했다. LG배 세계 기왕전에서는 2020년에 준우승, 2016년에 4강, 2018년과 2021년에 8강에 올랐다.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에서는 2013년부터 꾸준히 출전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9-20년에는 이야마 유타, 미위팅, 판팅위, 셰얼하오를 연파하며 4승 1패를 기록했으나, 커제에게 패하며 연승을 마감했다.
국수산맥배 국제 바둑 대회에서는 2014년에 2승 1패, 2015년에 3승, 2016년에 2승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IMSA 엘리트 마인드 게임스와 세계 마스터스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6년에 남자 단체전과 남녀 페어전(최정 9단과 함께)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2017년에는 남자 단체전 우승과 남자 개인전 준우승을 기록했다.
국내 기전에서는 SK 가스배 신예 프로 십걸전에서 2008년에 준우승을, KBS 바둑왕전에서는 2014년, 2015년, 2019년, 2021년, 2022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맥심커피배 입신 연승 최강전에서는 2014년에 준우승, 명인전에서는 2016년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한국 바둑 리그에서는 2007년부터 2022-23년까지 꾸준히 활약하며 여러 차례 MVP를 수상했다. 특히 2014년, 2015년, 2016년에는 T브로드 팀 소속으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중국 바둑 갑조 리그에서도 2012년부터 활약하며 다롄 상팡, 쑤보얼 항저우, 청두 이진 콩구, 청두 농상 은행, 선전 룽화 등 여러 팀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한국 기원 바둑 대상에서는 2009년 신예 기사상을 시작으로, 최우수 기사상, 다승, 승률, 연승상을 여러 차례 수상하며 최고의 기사로 인정받았다.
3. 주요 기사들과의 전적
2019년 7월 1일 갱신됨.[5][6]
국제 기전 우승 경력이 있는 기사는 굵은 글씨로 표시.
상대기사 | 전적 |
---|---|
이세돌 | 14:18 |
박영훈 | 21:9 |
김지석 | 20:6 |
이창호 | 16:7 |
최철한 | 14:6 |
윤준상 | 9:8 |
조한승 | 13:3 |
이영구 | 13:2 |
신진서 | 10:5 |
강동윤 | 7:7 |
백홍석 | 11:2 |
원성진 | 7:4 |
오소진 | 7:3 |
목진석 | 6:4 |
홍성지 | 8:1 |
최철한은 박정환의 도장 선배로서 박정환을 아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정환이 어릴 때 최철한이 박정환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인터넷 바둑을 두던 사진이 유명하다. 입단 초기에는 호각을 유지했으나 박정환이 빠르게 성장하여 최철한과의 상대전적을 벌려 현재는 14승 6패로 박정환이 앞선다.[5]
이세돌은 국내 10위권에서 박정환의 유일한 천적이다. 2007~2012년까지는 이세돌에게 1승 6패의 압도적인 열세를 보였으나 2013년 맥심배에서 2대0으로 승리하며 우승한 것을 포함해 3연승을 하며 상대전적을 좁혔다. 하지만 2013년 말 국수전 도전자결정전 0대2 패배, 2014년 KBS 바둑왕전 결승 1:2 패배, 맥심커피배 결승 0:2 패배를 포함해 현재는 14승 18패로 열세이다.[5]
박정환은 김지석의 천적이다. 2007년 마스터스 챔피언십 결승에서 2:1로 승리하였고 2008년 SK가스배 본선에서 패한 이후 박카스배 천원전 결승 3대 0 완봉승을 포함해 7연승을 거두었으며 2012년 한국물가정보배 준결승에서 패한 이후 다시 최근까지 5연승을 거두어 통산전적은 20승 6패로 압도적인 우세를 보이고 있다.[5] 특히 국내기전 준결승과 같은 주요 길목에서 잇달아 승리하고 있어 그 의미가 크다.
박정환은 백홍석의 천적이기도 하다. 2007년 한국물가정보배 예선과 2011년 명인전 16강에서 두번 패했으나 2009년 제4회 원익배 십단전 결승에서 2대 0, 제29회, 제30회 KBS 바둑왕전 결승에서 모두 2:0으로 승리하는 등 통산전적은 11승 2패의 압도적인 우세를 보이고 있다.[5]
박정환은 박영훈의 천적이기도 하다. 2009~2011년 6월까지 박영훈에게 1승 3패로 열세였으나 그 후로 GS칼텍스배에서 3대 0으로 완봉승하는 등 6연승을 포함해 최근까지 7승 1패로 압도하며 통산전적은 21승 9패로 앞선다.[5]
원성진과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서로 승패를 주고받으며 4승 5패의 근소한 차이로 원성진이 앞서 있었으나 2012년부터 현재까지 박정환이 5연승을 기록하며 통산전적은 7승 4패로 앞선다.[5]
윤준상은 박정환의 천적이다. 공식대국에서는 윤준상이 4:1로 앞서 있으며 2010년 아시안게임 선발전까지 포함하면 박정환이 1:6으로 극히 열세이다. 박정환 스스로도 "윤준상이 가장 까다롭다"고 말한 바 있다. 가장 최근 대국은 박정환이 승리했다. 통산전적은 9승 8패이다.[5]
이창호와의 첫 대결이었던 2007 한국바둑리그에서는 축을 착각하며 일찍 패배했으나 그 후 원익배 십단전 결승, 잉씨배 준결승, KBS 바둑왕전 결승 등 주요 길목에서 잇달아 승리하며 통산전적은 박정환이 16승 7패로 앞선다.[5][6]
박정환은 구리에게 공식전적 1승 4패, 비공식대국 포함 4승 5패로 밀리는 등 성적이 좋지 않았다.[5][6] 2010년 4월 12일 제23회 후지쓰배 본선 16강,[5][6] 2012년 11월 12일과 14일에 열린 2012 삼성화재배 월드바둑 마스터스 준결승 1, 2국,[5][6] 2013년 9월 12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15회전에서[5][6] 구리에게 패했다. 2013년 9월 4일 2013 삼성화재배 월드바둑 마스터스 본선 H조 승자2회전에서는[5][6] 박정환이 구리에게 승리했다.
저우루이양에게는 12승 3패로 매우 강한 면모를 보였다.[5][6] 2010년 9월 9일 제15회 삼성화재배 본선 32강 E조 2회전(승자조),[5][6] 2010년 11월 23일 2010 광저우 아시아 경기대회 남자 예선 2차전,[5][6] 2011년 3월 31일 제3회 비씨카드배 월드바둑 챔피언십 본선 8강전,[5][6] 2013년 10월 8일 2013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 본선 16강전,[5][6] 2013년 11월 16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20회전,[5][6] 2014년 2월 27일 제1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본선 13국,[5][6] 2014년 3월 21일 제4회 초상부동산배 한중단체전 본선 1회전에서[5][6] 박정환이 저우루이양에게 승리했다. 다만, 2012년 8월 23일 제1회 바이링배 세계바둑오픈전 본선 8강전에서는[5][6] 저우루이양이 박정환을 이겼다.
천야오예에게는 초반 4연패를 당하며 '천적'이라는 말을 들었으나, 이후 6승 4패로 앞서나가며 극복했다. 통산 전적은 13승 18패이다.[5][6] 2009년 9월 10일과 12일 제14회 삼성화재배 본선 32강 1R, 3R,[5][6] 2010년 6월 7일 제15회 LG배 본선 32강,[5][6] 2010년 7월 11일 제14회 박카스배 한중천원전 1국,[5][6] 2011년 8월 25일 제16회 삼성화재배 본선 B조 2회전,[5][6] 2012년 12월 4일 제9회 춘란배 본선 8강전,[5][6] 2013년 6월 10일 제18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본선 32강,[5][6] 2013년 11월 23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21회전에서[5][6] 천야오예가 박정환에게 승리했다. 반면, 2010년 7월 12일과 13일 제14회 박카스배 한중천원전 2, 3국,[5][6] 2012년 7월 13일 2012 중국 갑조리그 본선 10회전,[5][6] 2013년 3월 21일 제3회 초상부동산배 한·중 바둑 단체 대항전 본선 2회전,[5][6] 2013년 7월 7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10회전,[5][6] 2013년 12월 22일 제1회 주강배 세계 바둑 단체 선수권대회 본선 4회전에서는[5][6] 박정환이 천야오예를 이겼다.
스웨에게는 통산전적 6승 8패로 밀리고 있다.[5][6] 2012년 3월 25일 제2회 초상부동산배 본선 2회전,[5][6] 2012년 11월 24일 2012 중국 갑조리그 본선 20회전,[5][6] 2013년 5월 18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6회전,[5][6] 2013년 10월 10일 2013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 8강전,[5][6] 2013년 10월 20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17회전,[5][6] 2014년 2월 28일 제1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본선 14국(최종국)에서[5][6] 스웨가 박정환에게 승리했다. 2014년 3월 23일 제4회 초상부동산배 한중단체전 본선 2회전(주장전)에서는[5][6] 박정환이 스웨에게 승리했다.
3. 1. 한국 기사
최철한은 박정환의 도장 선배로서 박정환을 아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정환이 어릴 때 최철한이 박정환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인터넷 바둑을 두던 사진이 유명하다. 입단 초기에는 호각을 유지했으나 박정환이 빠르게 성장하여 최철한과의 상대전적을 벌려 현재는 14승 6패로 박정환이 앞선다.[5]이세돌은 국내 10위권에서 박정환의 유일한 천적이다. 2007~2012년까지는 이세돌에게 1승 6패의 압도적인 열세를 보였으나 2013년 맥심배에서 2대0으로 승리하며 우승한 것을 포함해 3연승을 하며 상대전적을 좁혔다. 하지만 2013년 말 국수전 도전자결정전 0대2 패배, 2014년 KBS 바둑왕전 결승 1:2 패배, 맥심커피배 결승 0:2 패배를 포함해 현재는 14승 18패로 열세이다.[5]
박정환은 김지석의 천적이다. 2007년 마스터스 챔피언십 결승에서 2:1로 승리하였고 2008년 SK가스배 본선에서 패한 이후 박카스배 천원전 결승 3대 0 완봉승을 포함해 7연승을 거두었으며 2012년 한국물가정보배 준결승에서 패한 이후 다시 최근까지 5연승을 거두어 통산전적은 20승 6패로 압도적인 우세를 보이고 있다.[5] 특히 국내기전 준결승과 같은 주요 길목에서 잇달아 승리하고 있어 그 의미가 크다.
박정환은 백홍석의 천적이기도 하다. 2007년 한국물가정보배 예선과 2011년 명인전 16강에서 두번 패했으나 2009년 제4회 원익배 십단전 결승에서 2대 0, 제29회, 제30회 KBS 바둑왕전 결승에서 모두 2:0으로 승리하는 등 통산전적은 11승 2패의 압도적인 우세를 보이고 있다.[5]
박정환은 박영훈의 천적이기도 하다. 2009~2011년 6월까지 박영훈에게 1승 3패로 열세였으나 그 후로 GS칼텍스배에서 3대 0으로 완봉승하는 등 6연승을 포함해 최근까지 7승 1패로 압도하며 통산전적은 21승 9패로 앞선다.[5]
원성진과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서로 승패를 주고받으며 4승 5패의 근소한 차이로 원성진이 앞서 있었으나 2012년부터 현재까지 박정환이 5연승을 기록하며 통산전적은 7승 4패로 앞선다.[5]
윤준상은 박정환의 천적이다. 공식대국에서는 윤준상이 4:1로 앞서 있으며 2010년 아시안게임 선발전까지 포함하면 박정환이 1:6으로 극히 열세이다. 박정환 스스로도 "윤준상이 가장 까다롭다"고 말한 바 있다. 가장 최근 대국은 박정환이 승리했다. 통산전적은 9승 8패이다.[5]
이창호와의 첫 대결이었던 2007 한국바둑리그에서는 축을 착각하며 일찍 패배했으나 그 후 원익배 십단전 결승, 잉씨배 준결승, KBS 바둑왕전 결승 등 주요 길목에서 잇달아 승리하며 통산전적은 박정환이 16승 7패로 앞선다.[5][6]
''국제 기전 우승 경력이 있는 기사는 굵은 글씨로 표시.''
상대기사 | 전적 |
---|---|
천야오예 | 16:22 |
이세돌 | 14:18 |
박영훈 | 21:9 |
김지석 | 20:6 |
이창호 | 16:7 |
커제 | 11:10 |
최철한 | 14:6 |
스웨 | 11:9 |
탄샤오 | 12:5 |
윤준상 | 9:8 |
조한승 | 13:3 |
저우루이양 | 11:5 |
탕웨이싱 | 9:7 |
이영구 | 13:2 |
신진서 | 10:5 |
판팅위 | 8:7 |
강동윤 | 7:7 |
백홍석 | 11:2 |
미위팅 | 7:6 |
원성진 | 7:4 |
오소진 | 7:3 |
목진석 | 6:4 |
구리 | 5:5 |
홍성지 | 8:1 |
3. 2. 중국 기사
박정환은 구리에게 공식전적 1승 4패, 비공식대국 포함 4승 5패로 밀리는 등 성적이 좋지 않았다.[5][6] 2010년 4월 12일 제23회 후지쓰배 본선 16강,[5][6] 2012년 11월 12일과 14일에 열린 2012 삼성화재배 월드바둑 마스터스 준결승 1, 2국,[5][6] 2013년 9월 12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15회전에서[5][6] 구리에게 패했다. 2013년 9월 4일 2013 삼성화재배 월드바둑 마스터스 본선 H조 승자2회전에서는[5][6] 박정환이 구리에게 승리했다.저우루이양에게는 12승 3패로 매우 강한 면모를 보였다.[5][6] 2010년 9월 9일 제15회 삼성화재배 본선 32강 E조 2회전(승자조),[5][6] 2010년 11월 23일 2010 광저우 아시아 경기대회 남자 예선 2차전,[5][6] 2011년 3월 31일 제3회 비씨카드배 월드바둑 챔피언십 본선 8강전,[5][6] 2013년 10월 8일 2013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 본선 16강전,[5][6] 2013년 11월 16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20회전,[5][6] 2014년 2월 27일 제1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본선 13국,[5][6] 2014년 3월 21일 제4회 초상부동산배 한중단체전 본선 1회전에서[5][6] 박정환이 저우루이양에게 승리했다. 다만, 2012년 8월 23일 제1회 바이링배 세계바둑오픈전 본선 8강전에서는[5][6] 저우루이양이 박정환을 이겼다.
천야오예에게는 초반 4연패를 당하며 '천적'이라는 말을 들었으나, 이후 6승 4패로 앞서나가며 극복했다. 통산 전적은 13승 18패이다.[5][6] 2009년 9월 10일과 12일 제14회 삼성화재배 본선 32강 1R, 3R,[5][6] 2010년 6월 7일 제15회 LG배 본선 32강,[5][6] 2010년 7월 11일 제14회 박카스배 한중천원전 1국,[5][6] 2011년 8월 25일 제16회 삼성화재배 본선 B조 2회전,[5][6] 2012년 12월 4일 제9회 춘란배 본선 8강전,[5][6] 2013년 6월 10일 제18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본선 32강,[5][6] 2013년 11월 23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21회전에서[5][6] 천야오예가 박정환에게 승리했다. 반면, 2010년 7월 12일과 13일 제14회 박카스배 한중천원전 2, 3국,[5][6] 2012년 7월 13일 2012 중국 갑조리그 본선 10회전,[5][6] 2013년 3월 21일 제3회 초상부동산배 한·중 바둑 단체 대항전 본선 2회전,[5][6] 2013년 7월 7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10회전,[5][6] 2013년 12월 22일 제1회 주강배 세계 바둑 단체 선수권대회 본선 4회전에서는[5][6] 박정환이 천야오예를 이겼다.
스웨에게는 통산전적 6승 8패로 밀리고 있다.[5][6] 2012년 3월 25일 제2회 초상부동산배 본선 2회전,[5][6] 2012년 11월 24일 2012 중국 갑조리그 본선 20회전,[5][6] 2013년 5월 18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6회전,[5][6] 2013년 10월 10일 2013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 8강전,[5][6] 2013년 10월 20일 2013 중국 갑조리그 본선 17회전,[5][6] 2014년 2월 28일 제1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본선 14국(최종국)에서[5][6] 스웨가 박정환에게 승리했다. 2014년 3월 23일 제4회 초상부동산배 한중단체전 본선 2회전(주장전)에서는[5][6] 박정환이 스웨에게 승리했다.
4. 수상 기록
대한민국 개인 타이틀 총 랭킹에서 5위에 올랐으며, 세계 기전 타이틀 총 랭킹에서도 5위에 공동으로 랭크되어 있다.
국내 기전 | ||
---|---|---|
기전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바둑 마스터스 신의 한 수 | 1 (2007) | |
십단전 | 2 (2009-2010) | |
GS칼텍스배 | 1 (2011) | |
물가정보배 | 1 (2013) | |
천원전 | 2 (2009, 2014) | |
국수전 | 2 (2014–15) | |
명인전 | 1 (2016) | |
맥심커피배 | 3 (2012–13, 2017) | 1 (2014) |
KBS 바둑왕전 | 5 (2011–2013, 2016, 2018) | 3 (2014–15, 2019) |
하찬석배 | 1 (2018) | |
바둑TV배 | 1 (2019) | |
용성전 | 1 (2019) | 1 (2020) |
한국프로기사 최강전 | 1 (2020) | |
합계 | 20 | 7 |
대륙 기전 | ||
기전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중국 한국 천원전 | 1 (2010) | |
합계 | 1 | 0 |
세계 기전 | ||
기전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후지쓰배 | 1 (2011) | |
아시안 TV 컵 | 2 (2013, 2015) | |
응씨배 | 2 (2013, 2016) | |
LG배 | 1 (2015) | 1 (2020) |
IMSA 엘리트 마인드 게임, 남자 단기전 | 1 (2017) | |
몽백합배 | 1 (2018) | |
국수산맥 세계프로최강전 | 1 (2018) | |
월드 바둑 챔피언십 | 3 (2017–19) | |
춘란배 | 1 (2019) | |
합계 | 8 | 6 |
통산 | ||
합계 | 29 | 13 |
대회 | 우승 | 준우승 |
---|---|---|
아시안 게임 남자 단체전 | 1 (2010) | |
아시안 게임 혼합 복식 | 2 (2010) | |
스포츠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 단체전 | 1 (2011) | |
스포츠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 남자 단체전 | 1 (2013) | |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 1 (2013) | 4 (2014-2017) |
IMSA 엘리트 마인드 게임 혼합 복식 | 1 (2016) | |
IMSA 엘리트 마인드 게임 남자 단체전 | 1 (2017) | |
총계 | 7 | 5 |
국제 기전에서는 중한 천원전에서 2010년과 2014년에 천야오예를 상대로 승리했다.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2011년), LG배 세계 기왕전(2015년), 월드 바둑 챔피언십(2017, 18, 19년), CCTV 설날배 바둑전(2018, 19, 20년),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2018년), 국수산맥배 세계 바둑 최강전 개인전(2018년),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2019년),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2021년)에서 우승했다.
국내 기전에서는 바둑 마스터스 전기전(2008년), 원익배 십단전(2009-10년), 바카스배 천원전(2009, 14년), KBS 바둑왕전(2011-13, 16, 18년), GS칼텍스배 프로 기전(2011년), 맥심커피배 입신연승 최강전(2012-13, 17, 22년), 물가정보배 프로 기전(2013년), 명인전(2014년, 24년), 국수전(2015-16년), 크라운-해태배(2018년), 바둑TV배 마스터스(2019년), 용성전(2019년), 우슬봉조배 한국기원 선수권전(2022년)에서 우승했다.
참조
[1]
웹사이트
Ing Cup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3-08-31
[2]
웹사이트
Park Junghwan wins 19th LG Cup – Breaking international title drought
https://gogameguru.c[...]
2015-02-12
[3]
웹사이트
-바둑- 박정환, 김지석 꺾고 LG배 세계기왕전 우승(종합)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15-02-12
[4]
웹사이트
World Go Championship
http://www.worldgoch[...]
Nihon Ki-in
2017-03-10
[5]
웹사이트
Park Junghwan | Search by Player | Go4Go
http://www.go4go.net[...]
[6]
웹사이트
朴廷桓 统计数据
http://hotongo.com/m[...]
2018-11-01
[7]
웹사이트
【韓国話題】2016年プロ棋士賞金ランキング…イ・セドル、8億ウォンで1位 nitro15
http://nitro15.ldblo[...]
[8]
웹사이트
第3回 夢百合杯 世界オープン戦 囲碁の日本棋院
http://www.nihonkiin[...]
[9]
웹사이트
HANGAME「박정환, 3년 연속 KB바둑리그 MVP」
http://baduk.hangame[...]
[10]
웹사이트
HANGAME「박정환, 바둑리그 최연소 100승」
https://baduk.hangam[...]
[11]
웹사이트
韓国棋院「랭킹 1위 다툼 치열, 박정환 59개월 연속 1위 질주」
http://www.baduk.or.[...]
2018-10-05
[12]
웹사이트
新浪体育「农心杯戏剧性事件!朴廷桓胜势下突然超时」
http://sports.sin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