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병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병동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하고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에서 윤이상을 사사한 작곡가이다. 대한민국 작곡상, 서울시 문화상, 한국음악상 등을 수상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명예교수 및 백석대학교 석좌교수로 후진을 양성하고 있다.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곡, 가곡, 국악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작곡했으며, 음악 이론 서적과 악보집을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현대음악 작곡가 - 윤이상
    윤이상은 서구 아방가르드 음악 기법과 한국 전통 음악의 융합을 통해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한국의 작곡가로서,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며 한국 현대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한민국의 현대음악 작곡가 - 엄대호
    엄대호는 '판타가'라는 독창적인 음악 형식을 창시하고 다양한 장르의 현대음악 작품을 작곡했으며, 한국음악평론가협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며 한국 음악 발전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작곡가이자 음악 평론가이다.
  • 대한민국의 클래식 작곡가 - 진은숙
    진은숙은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다수의 권위 있는 상 수상, 그리고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및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한국 현대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클래식 작곡가 - 윤이상
    윤이상은 서구 아방가르드 음악 기법과 한국 전통 음악의 융합을 통해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한국의 작곡가로서,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며 한국 현대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문 - 박근령
    박근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로, 육영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고, 2022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문 - 진은숙
    진은숙은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다수의 권위 있는 상 수상, 그리고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및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한국 현대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백병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백병동 작곡가
원어 이름白秉東
직업작곡가
장르음악
관련 인물
관련 활동작곡

2. 생애

백병동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하고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에서 윤이상을 사사했다. 1961년 신인 예술상을 시작으로, 1977년과 1990년에는 대한민국 작곡상, 1982년에는 대한민국 무용제 음악상, 1983년에는 서울시 문화상, 1995년에는 한국음악상, 2006년에는 올해의 예술상을 수상하였다.

2. 1. 학력 및 교육 활동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 후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에서 작곡가 윤이상을 사사했다.

학력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학사
독일 하노버 국립 음악대학 음악대학원 작곡과 석사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명예교수 및 백석대학교 석좌교수로서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2. 2. 주요 경력

wikitext

2. 3. 수상 경력

1961년 신인 예술상을 시작으로, 1977년1990년에는 대한민국 작곡상을, 1982년에는 대한민국 무용제 음악상을 수상하였다. 1983년에는 서울시 문화상, 1995년에는 한국음악상, 2006년에는 올해의 예술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음악 분야에서 업적을 인정받았다.

3. 작품 세계

백병동은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 기악독주곡, 가곡, 국악곡, 무용음악, 극음악, 어린이를 위한 음악, 합창곡, 칸타타, 오페레타,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작곡했다. 그의 작품들은 전통적인 음악 어법에 현대적인 감각을 융합하여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1. 주요 작품

백병동은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 기악독주곡, 가곡, 국악곡, 무용음악, 극음악, 어린이를 위한 음악, 합창곡, 칸타타, 오페레타,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작곡했다.

3. 1. 1. 관현악곡

제목연도
교향적 3장1962
침체된 음향1962
목관과 현을 위한 조곡1963
소프라노와 관현악을 위한 ‘진여(眞如)’1969
관현악을 위한 ‘정취(情趣)’1971
83주자를 위한 ‘변용(變容)’1974
3개의 오보에와 관현악을 위한 ‘진혼(鎭魂)’1974
관현악을 위한 ‘아비스’1978
2개의 혼과 현악합주를 위한 ‘추흥사(秋興詞)’1981
현악합주를 위한 ‘여울목’1982
관현악을 위한 ‘산수도(山水圖)’1983
비올라와 실내악을 위한 ‘파사칼리아’1983
관현악을 위한 ‘포구(浦口)’1986
관현악을 위한 ‘9월에’1987
관현악을 위한 ‘진혼(鎭魂)’1992
일본 악기를 위한 ‘시나위’1995
관현악을 위한 2장1996
콘체르탄테 오스티나토1999
혼과 관현악을 위한 ‘겨울잔치’2000
관현악을 위한 ‘해조음’2000
현을 위한 ‘부러진 기둥’2003
현을 위한 3장2006


3. 1. 2. 협주곡


  • 첼로 협주곡 `69 (1969)
  • 비올라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1972)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1974)

3. 1. 3. 실내악곡

3. 1. 4. 기악독주곡

제목발표 연도
어린이를 위한 조곡1957
송해섭의 주제에 의한 7변주곡1959
피아노 소나타1960
피아노를 위한 ‘세개의 소묘’1961
서정주제에 의한 ‘파라프레이즈’1963
피아노를 위한 고전조곡1963
오보에와 피아노를 위한 ‘운(韻)-I’1970
피아노를 위한 ‘운(韻)-II’1972
하프를 위한 ‘운(韻)-III’1973
피아노를 위한 3개의 바가텔1973
무반주 첼로를 위한 4개의 소품1975
피아노를 위한 ‘선에 관한 각서’1978
피아노를 위한 ‘연계(連繼)’1978
바이올린을 위한 ‘운(韻)-IV’1978
트럼본과 현을 위한 ‘운(韻)-V’1979
조그마한 밤의 노래1979
플륫과 피아노를 위한 ‘운(韻)-VI’1981
네손을 위한 ‘선에 관한 각서’1982
한 명의 플륫주자를 위한 ‘3부작’1982
피아노를 위한 ‘소나테 소노르’1985
챔발로를 위한 3개의 바가텔1988
기타를 위한 ‘담즙(淡汁)’1990
독주 바이올린을 위한 ‘파사칼리아’1997
스크럴 판타지2006


3. 1. 5. 가곡

제목연도
1957
동백꽃1957
1960
푸른 묘비들이여!1960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1960
기분전환1960
연정1960
소라1961
남으로 창을 내겠오1961
자장가1961
빠알간 석류1962
나그네1964
마을1964
빈약한 올훼의 회상1966
삼매 I1966
화장장에서1968
강강술래1968
어둠과 시간과1968
아리랑1968
진혼가1973
플륫과 소프라노를 위한 ‘아침’1973
곡(哭)! 신동엽1973
세 개의 플륫과 소프라노를 위한 ‘아침’1975
자주구름1976
아침1977
추억1987
삼매 II1987
바다와 나비1988
귀천1993
물수제비(관현악 반주)1994
계절그리기1995
꽃에 관한 네 개의 가곡(관현악 반주)1996
겨울1997
허행초2000
그리움이2008
어둠2008


3. 1. 6. 국악곡

제목연도
가야금을 위한 ‘실내음악’1965
가야금과 여섯 악기를 위한 ‘실내음악’ 2번1972
가야금을 위한 ‘신별곡(新別曲)’1972
가야금을 위한 ‘명(冥)’1975
국악합주곡 ‘운락(韻樂)’1976
국악합주를 위한 ‘대사(對斜)’1977
가야금을 위한 ‘정취’1977
대금과 양금을 위한 ‘대사-II’1978
타악기 합주곡 ‘사라진 영을 위하여’1983
합창과 국악 관현악을 위한 ‘가요삼제’1985
가야금, 훈, 좌고를 위한 ‘환명(還冥)’1988
가야금 3중주곡 ‘담즙(淡汁)’1992
대금5중주곡 ‘사잇소리’1994
해금과 양금을 위한 ‘오늘. 98년 9월’1998
합주곡 ‘녹향송’1998
합주곡 ‘99년을 땅에 묻다’1999
명(冥)II2004
여창가곡 ‘불꽃이 있어야 불을 붙이죠’2004
가야금과 다섯 개의 악기를 위한 실내음악 제 3번2006
가야금을 위한 주제와 변주2007
첼로와 국악 관현악을 위한 4장2007
가야금과 현 합주를 위한 서완조2010


3. 1. 7. 기타 장르

종류작품명
무용음악춘향전 (1972)
무용음악덫 (1978)
무용음악창살에 비친 3개의 그림 (1980)
무용음악징깽맨이의 편지 (1981)
극음악노비문서 (1973)
극음악이화부부 (1977)
극음악신화 1900 (1982)
어린이를 위한 음악파란풍선 (1977)
합창곡대사 더듬기 (1975)
합창곡밤의 강 (1976)
칸타타산하여! 아침이여! (1984)
칸타타교성곡 ‘육이오’ (1990)
오페레타석가탑 (1967)
오페라이화부부 (1986)
오페라사랑의 빛 (1999)
오페라눈물 많은 초인 (2001)


4. 저서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음악이론현대음악출판사1977
일곱 개의 페르마타문예비평사1979
소리 혹은 속삭임도서출판 은애1981
화성학수문당1984
교양의 음악지학사1985
현대음악의 흐름수문당1990
현대음악에의 접근을 위한 비교 작곡가론음악춘추사1996
新別曲 (가야금: 김해숙)1987
세 개의 바가텔 (쳄발로; 혼다 마찌오)The 17th Pan Music Festival1989
다섯 악기를 위한 冥한•소 교류 기념음반1990
9月에 (KBS 교향악단)창악회 작품집 Vol. 181991
여울목 (서울바로크 합주단)Korean Musicians 171994
CONTRA (M. Takahashi; Ultra Percussion)1995
백병동 작품집 Vol. I, Vol. II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