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운모는 '모스크바 유리'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얇고 투명한 판으로 분리되는 특징을 가진 운모 광물이다. 주로 화성암이나 변성암에서 발견되며, 유리 대용, 절연 재료, 충전재, 안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화학식은 KAl2(AlSi3O10)(OH)2로 표시되며, 칼륨, 알루미늄 등이 다른 원소로 대체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운모군 - 흑운모
흑운모는 벽개를 가져 쉽게 벗겨지는 판상 광물로, 화성암과 변성암에서 흔히 발견되며 연대 측정 및 변성암 연구에 활용되고, 대륙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풍부하다. - 운모군 - 레피돌라이트
레피돌라이트는 흑운모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엽상 규산염 광물로, 알루미늄과 리튬이 마그네슘과 철을 대체하며 분홍색, 보라색, 빨간색을 띠고, 루비듐의 주요 공급원이며 리튬 추출 등에 사용된다. - 칼륨 광물 - 흑운모
흑운모는 벽개를 가져 쉽게 벗겨지는 판상 광물로, 화성암과 변성암에서 흔히 발견되며 연대 측정 및 변성암 연구에 활용되고, 대륙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풍부하다. - 칼륨 광물 - 초석
초석은 질산칼륨의 천연 광물로, 건조 지역에서 주로 산출되며 흑색화약, 염료, 비료, 식육 보존제 등으로 사용되는 무색 또는 백색의 광물이다. - 단사정계 광물 - 석고
석고는 황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광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건축, 농업,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단사정계 광물 - 모나자이트
모나자이트는 M(III)PO4 형태의 란타넘족 원소의 중요한 원천 광물이며, 희토류 금속 추출 및 핵폐기물 처리에 활용된다.
백운모 | |
---|---|
광물 정보 | |
![]() | |
종류 | 필로규산염 |
화학식 | KAl₂ (AlSi₃O₁₀) (F,OH)₂ |
IMA 기호 | Ms |
스트룬츠 분류 | 9.EC.15 |
데이나 분류 | 71.02.02a.01 |
결정계 | 단사정계 |
공간군 | C2/c |
격자 상수 | a = 5.199 Å, b = 9.027 Å, c = 20.106 Å, β = 95.78°; Z = 4 |
색상 | 흰색, 회색, 은색 |
결정형 | 덩어리 모양에서 판 모양 |
쌍정 | [310]에서 흔하고, {001}에서는 덜 흔함 |
쪼개짐 | {001}에서 완전함 |
파단면 | 운모형 |
굳기 | {001}에 평행하게 2–2.5, {001}에 직각으로 4 |
광택 | 유리질, 비단, 진주 |
굴절률 | nα = 1.552–1.576, nβ = 1.582–1.615, nγ = 1.587–1.618 |
복굴절 | δ = 0.035 – 0.042 |
광학적 성질 | 이축 (−) |
분산 | r > v 약함 |
다색성 | 유색일 때 약함 |
형광 | 없음 |
조흔색 | 흰색 |
비중 | 2.76–3 |
투명도 | 투명에서 반투명 |
기타 정보 | |
특징적인 성질 | 탄성 |
추가 정보 (일본어 위키백과) | |
종류 상세 | 규산염 광물(필로규산염 광물) |
광택 상세 | 진주 광택 |
변종 | |
변종 종류 | 견운모(미세한 백운모), 크롬 백운모(크롬 함유 백운모) |
2. 명칭
백운모(Muscovite)라는 이름은 16세기 엘리자베스 시대의 잉글랜드에서 유래되었으며, 중세 러시아(모스크바)에서 창문에 유리를 대체하는 저렴한 재료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모스크바 유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러한 사용법은 1568년 러시아 차르 이반 뇌제에게 보낸 잉글랜드 대사의 비서인 조지 터버빌의 편지에 처음 언급되면서 16세기에 잉글랜드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운모는 가짜 육각형 결정 모양과 완벽한 쪼개짐으로 다른 광물과 구별되는데, 이는 결정을 매우 얇고 탄성 있는 시트로 떼어낼 수 있게 해준다. 엽납석과 활석은 운모보다 부드럽고 미끈거리는 느낌이 나는 반면, 녹니석은 녹색을 띠고 쪼개짐 시트가 비탄성적이다. 다른 흔한 운모 광물인 흑운모는 백운모보다 색상이 훨씬 더 어두운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패라고나이트는 백운모와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훨씬 덜 흔하며, 종종 백운모로 오인될 정도로 흔하게 발견될 수 있다. 브라질산 백운모는 망가니즈(3+) 때문에 붉은색을 띤다.[1]
모든 운모 광물과 마찬가지로, 백운모는 ''TOT-c'' 구조를 가진 엽상 규산염 광물(판상 규산염)이다. 즉, 백운모 결정은 칼륨 양이온(''c'')에 의해 서로 결합된 층(''TOT'')으로 구성된다.[10]
백운모는 화성암(화강암 등)이나 변성암(편마암이나 결정편암)에 매우 흔하게 포함된 조암 광물이다. 페그마타이트에서는 큰 결정이 산출된다.
백운모는 매우 얇고 투명한 시트로 쪼개질 수 있어 유리, 특히 산업용 용광로나 오븐 창과 같은 고온 환경에서 유리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광범위한 전자 제품 제조에 사용되며, 페인트, 플라스틱 및 석고보드의 충전재로 사용된다. 벽지에 부드러운 광택을 부여하고, 타이어 제조 시 이형제, 시추 진흙 및 다양한 화장품에 광택을 내기 위해 사용된다.
운모는 '키라라'라는 별명이 있다. 미카와국(아이치현) 기라 지명은 아오토리 산 주변의 지질에서 보이는 반려암을 관통하는 페그마타이트 속에 백운모가 있어 채취가 이루어졌던 것에서 유래한다.[18] 18세기에 사용되던 명칭인 "모스크바의 유리"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명칭은 우랄 산맥산 백운모가 모스크바를 경유하여 유럽으로 수출된 것에 기인한다.
3. 특징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백색 또는 투명하며, 조성에 따라 황색, 갈색 등의 색을 띠는 것도 있다.[1]
비중은 2.9이다.[1] 모스 굳기는 2.5이다.[1]
4. 구조 및 조성
각 층은 세 개의 시트로 구성된다. 외부 시트('T' 또는 사면체 시트)는 규소-산소 사면체와 알루미늄-산소 사면체로 구성되며, 각 사면체의 산소 음이온 중 3개가 인접한 사면체와 공유되어 육각형 시트를 형성한다. 각 사면체 시트의 네 번째 산소 음이온을 ''정점'' 산소 음이온이라고 한다.[10] 알루미늄 양이온 하나당 3개의 규소 양이온이 있지만 알루미늄과 규소 양이온의 배열은 대체로 무질서하다.[11]
중간 팔면체(''O'') 시트는 각각 6개의 산소 또는 수산화물 음이온으로 둘러싸여 팔면체를 형성하는 알루미늄 양이온으로 구성되며, 팔면체는 음이온을 공유하여 사면체 시트와 유사한 육각형 시트를 형성한다. 외부 ''T'' 시트의 정점 산소 음이온은 안쪽을 향하고 팔면체 시트와 공유되어 시트를 단단하게 결합한다. 칼륨 양이온이 층 사이에 약하게 결합하는 것과 비교하여 층 내의 산소 음이온과 알루미늄 및 규소 양이온 사이의 비교적 강한 결합은 백운모에 완벽한 기저 벽개(basal cleavage)를 부여한다.[10]
백운모에서 번갈아 가며 층이 서로 약간 오프셋되어 구조가 두 층마다 반복된다. 이를 일반적인 운모 구조의 1''M'' 다형이라고 한다.[10]
백운모의 화학식은 일반적으로 KAl2(AlSi3O10)(OH)2로 표시되지만, 다른 원소가 주성분을 대신하는 경우가 흔하다. 나트륨, 루비듐, 세슘과 같은 알칼리 금속은 칼륨을 대체한다. 마그네슘, 철, 리튬, 크롬, 티타늄, 또는 바나듐은 팔면체 시트에서 알루미늄을 대체할 수 있다. 플루오린 또는 염소는 수산화물을 대체할 수 있다.
칼륨의 최대 10%는 나트륨으로, 수산화물의 최대 20%는 플루오린으로 대체될 수 있다. 염소는 수산화물의 1% 이상을 드물게 대체한다. 규소의 몰 분율이 알루미늄보다 크고 마그네슘 또는 철이 알루미늄의 일부를 대체하여 전하 균형을 유지하는 백운모를 페나이트라고 한다.
크롬이 풍부한 백운모와 바나듐이 풍부한 백운모는 각각 푸크사이트와 로스코엘라이트로 알려져 있다.
5. 산출지
일본에서는 각지의 페그마타이트 광상에서 광범위하게 산출되며, 후쿠시마현 이시카와마치 주변은 대형 결정을 다량 산출하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6. 용도
백운모는 내열성을 가진 절연 재료로, 진공관이나 다리미 내부, 마이카 콘덴서 등에 사용되었다. 내열성을 가진 투명 재료로, 스토브의 들여다보는 창에 끼우는 등 사용되기도 한다. 미분쇄한 것은 플라스틱이나 도료에 섞어 진주 광택을 내는 안료로도 사용된다.
7. 변종
참조
[1]
논문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2021
[2]
웹사이트
Mineralienatlas
https://www.minerali[...]
[3]
웹사이트
Muscovite mineral information and data Mindat
http://mindat.org/mi[...]
[4]
웹사이트
Muscovite Mineral Data Webmineral
http://webmineral.co[...]
[5]
웹사이트
Handbook of Mineralogy
http://rruff.geo.ari[...]
[6]
웹사이트
Muscovite
http://www.britannic[...]
[7]
논문
The largest crystals
http://www.minsocam.[...]
[8]
서적
Petrology
Freeman
[9]
웹사이트
Minerals Colored by Metal Ions
http://minerals.gps.[...]
2023-03-01
[10]
서적
Introduction to minera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1]
논문
Muscovite dehydroxylation; high-temperature studies
https://pubs.geoscie[...]
2021-12-15
[12]
서적
理科年表 平成20年
丸善
[13]
웹사이트
2012-04-14
[14]
웹사이트
https://webmineral.c[...]
2012-04-14
[15]
서적
学術用語集 地学編
日本学術振興会
[16]
서적
日本産鉱物型録
東海大学出版会
[17]
웹사이트
https://www.mindat.o[...]
2015-01-08
[18]
웹사이트
4.青鳥山
https://www.pref.aic[...]
愛知県
2022-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