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드나무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드나무속(Salix)은 약 350종의 낙엽성 나무와 관목으로 이루어진 속으로, 수분이 많은 수피와 수액, 살리실산을 함유한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온대, 한대 등에서 생육한다. 잎은 어긋나고 자웅이주이며, 이른 봄에 꽃차례가 나타난다. 버드나무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는데,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에서 약용으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아스피린의 원료로 활용된다. 또한, 바구니, 가구, 숯, 에너지 임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일부 종은 외래종으로 생태계를 교란시키기도 하며, 주거 지역에서는 배수 시스템을 막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드나무속 - 수양버들
수양버들은 아래로 처지는 가지와 가늘고 긴 잎이 특징인 버드나무속 낙엽활엽 교목으로, 잎은 가축 사료로, 목재는 건축 및 공예 재료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이별, 신성함, 생명력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버드나무속 - 갯버들
갯버들은 이른 봄에 잎보다 먼저 꽃을 피우는 낙엽활엽 관목으로, 하천이나 제방의 방수림 또는 정원수로 이용되며 꽃꽂이 재료로도 사용된다. - 비목재 임산물 - 송이
송이는 소나무 숲에서 자라는 고가의 식용 버섯으로, 독특한 향을 지니며 동아시아, 유럽, 북미 등지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과도한 채취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 위기종으로 등재되었고, 인공 재배가 어려워 자연산만이 유통된다. - 비목재 임산물 - 후추
후추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후추나무 열매를 말린 향신료로, 수확 및 가공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 세계 요리에 널리 사용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버드나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야나기 |
영어 이름 | Willow |
학명 | Salix |
학명 제정자 | L., nom. cons. |
종 다양성 | 약 350종 |
유형 종 | Salix alba |
유형 종 제정자 | L. |
![]() |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미분류) | 속씨식물 |
강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아강 (미분류) | 장미군 |
상목 (미분류) | 진정장미군 I |
목 | 말피기아목 |
과 | 버드나무과 |
속 | 야나기속 (Salix) |
크기 | |
높이 | 6 센티미터 |
하위 분류 | |
종 | 본문 참조 |
2. 특징
버드나무는 모두 수분이 많은 수피 수액을 가지고 있으며, 살리실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부드럽고, 일반적으로 유연하며, 질긴 목재, 가늘고 긴 가지, 크고 섬유질이며 종종 포복경이 있는 뿌리를 가지고 있다. 뿌리는 질김, 크기, 생존력으로 유명하며, 식물의 공중 부분에서 뿌리가 쉽게 싹을 틔운다.[2]
2. 1. 형태
버드나무속 나무는 습윤한 환경에서 건조한 환경까지, 고온에서 저온까지, 폭넓은 환경 조건에 적응하며 종류가 매우 많은 것이 특징이다.[80] 주로 온대에 생육하며, 한대에도 있다. 고산이나 툰드라에서는 아주 키가 작고 땅을 기는 듯한 나무가 된다. 종류가 많기 때문에 형태적인 차이도 다양하다.[80] 낙엽성의 목본이며, 고목에서 관목, 아주 키가 작아 기는 것까지 있다.[80] 고목성은 더 나아가 직립성과 수양성이 있으며, 관목성은 저지대성과 고산성으로 구분된다.[80]잎은 전형적으로 길쭉하지만 둥글거나 타원형일 수도 있으며,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갖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종은 낙엽성이며, 반상록 버드나무는 가죽질 잎을 가지고 있으며 드물다. 예를 들어 동부 지중해의 ''Salix micans''와 ''S. australior''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이며, 드물게 마주나기이다. 턱잎을 가지며, 잎자루는 짧다. 잎몸은 단엽으로 선형, 피침형, 난형 등 변화가 많다.

자웅이주로, 수꽃과 암꽃이 별도의 식물에 꽃차례로 나타난다. 꽃차례는 이른 봄, 흔히 잎이 나오기 전에 생산된다. 암수딴그루이며, 꽃은 꼬리 모양 꽃차례로, 이른바 "버들의 고양이"라고 형용되는 작은 꽃이 모인 이삭 모양이 특징이며[80], 질 때는 꽃차례 전체가 툭 떨어진다.
웅예 (수컷) 꽃은 꽃받침도 꽃잎도 없으며, 2개에서 10개까지 다양한 수의 수술로 구성되며, 꿀샘을 동반하고 꽃차례 또는 ament라고 하는 처진 총상화서의 축에 실린 비늘 밑부분에 삽입된다.
자예 (암컷) 꽃 또한 꽃받침이나 꽃잎이 없으며, 작은 평평한 꿀샘을 동반한 단일 씨방으로 구성되며, 마찬가지로 꽃차례의 축에 실린 비늘 밑부분에 삽입된다.
겨울눈은 1장의 덮개와 같은 인편에 싸여 있으며, 이것이 쏙 빠지거나 한쪽에 틈이 생겨 벗겨지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원래 2장의 인편이었던 것이 융합된 것으로 생각된다. 열매는 삭과이며, 씨앗은 작고 버들개지라고 불리며, 솜털을 가지고 있어 바람을 타고 흩어진다.
중국에서는 4월~5월 무렵의 풍물시가 되어 있으며, 예로부터 한시 등에 읊어지는 버들개지이지만, 최근에는 대기 오염이나 화재 유발, 알레르겐이 된다는 이유로 공해의 일종으로 인식되고 있다.[81]
2. 2. 생태
버드나무는 음지에서도 잘 자라지만 수명이 짧은 편이다. 침엽수나 큰 활엽수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교란이 필요하다.[12] 씨앗은 작고 많으며, 바람과 물에 의해 운반되며, 며칠 동안만 발아 가능하다.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따뜻하고 습한 조건이 필요하며, 머리가 잘린 그루터기와 가지로부터 무성생식도 가능하다.[12]

버드나무는 벌이 꿀을 만들 수 있는 적당량의 꽃꿀을 생성하며, 특히 이른 시기에 벌에게 꽃가루를 공급하는 중요한 원천이다.[67] 다양한 동물들이 잎을 먹거나[68] 식물 사이에서 서식한다. 비버는 댐을 짓기 위해 버드나무를 사용하며,[12] 검은큰수리팔랑나비와 같은 일부 나비목 곤충 유충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13] 붉은애집개미무리와 같은 개미는 진딧물이 서식하는 버드나무에서 흔히 발견되며, 진딧물 감로를 채취하기 위해 찾아오며, 때로는 말벌도 마찬가지이다.
버드나무는 수분이 많은 토양을 좋아하며, 주로 강가나 습지 등에 자생한다. 자연 상태의 강가에서는 하안림으로서 대규모로 생육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홍수 시 상류에서 유목화된 것이 하류에 퇴적되어 자연적인 꺾꽂이 상태로 일제히 생육하기 때문이다.
강의 침식을 막기 위해 강가에 조림되기도 한다.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서는 이주 시 호안 목적으로 조림되었지만, 침략적 외래종으로 지정되어 재래 수목으로 대체가 진행되고 있다.[84] 번식력뿐만 아니라, 강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가을에 대량으로 잎을 떨어뜨려 수질을 악화시켜 환경을 격변시키는 것이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관심을 끌고 있다.
3. 분류
칼 린네가 1753년에 ''Salix''라는 속명을 처음 사용했다.[5] 라틴어에서 유래된 ''Salix''는 로마인들이 이미 다양한 버드나무 종류를 지칭하는데 사용했다.[7] 일설에는 켈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sal'은 '가까운', 'lis'는 '물'을 의미하여 버드나무의 서식지를 나타낸다고 한다.[8]
버드나무속은 여러 아속으로 분류되는데, 이에 대한 견해는 유동적이다.[9] 형태학적 연구에서는 보통 ''Salix''(일부는 ''Longifoliae''와 ''Protitae''를 분리), ''Chamaetia'', ''Vetrix''의 3~5개 아속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계통발생학적 연구에서는 ''Chamaetia''와 ''Vetrix''가 하나의 계통군에 속해야 한다고 본다.[9]
일본에는 30종이 넘는 버드나무속 식물이 자생하며, 모두 암수딴그루이다. 꽃이 봄에 피고 잎이 나거나, 잎과 꽃이 동시에 생기거나, 잎이 펼쳐진 후 개화하는 등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그리고 자연계에서 잡종이 쉽게 생기기 때문에 버드나무의 동정은 매우 어렵다.
3. 1. 아속
버드나무속(''Salix'')은 약 350종의 낙엽성 나무와 관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잡종을 형성하여 160종 이상의 잡종이 명명되었다.[1]'''Salix''' 아속은 일부는 Longifoliae와 Protitae 아속으로 분리되기도 한다.
유럽 전역에는 약 450종의 버드나무가 자생하고 있지만, 공통점이 많아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 있어 이종 교배도 드물지 않다. 강가 등에 자라는 흰버들(Salix alba)이 잘 알려져 있으며, 성목이 되면 수고 30미터에 달하며, 잎은 가늘고 처음에는 털이 돋아 있어 멀리서 보면 은회색을 띤다.
일본에서는 버드나무라고 하면, 가로수, 공원수의 수양버들이 대표적이지만, 꽃꽂이에서는 줄기가 구부러진 용버들과 겨울눈에서 얼굴을 내미는 꽃 이삭이 은백색 털로 눈에 띄는 갯버들이 잘 알려져 있다. 버드나무 잎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수양버들의 가늘고 긴 잎이 연상되지만, 원형 또는 난형의 잎을 가진 종도 있다. 둥근잎버들이 그 대표이며, 야생에서 흔히 里山(사토야마)에 있으며, 도시부의 공원에도 섞여 있다.
실제로, 일반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버드나무의 종류는 많고, 게다가 주변에 분포하고 있다. 약간 자연이 남아있는 강가라면, 반드시 어떤 버드나무가 생육하고, 산지나 고원에도 생육하는 종이 있다. 그것들은 갯버들과 수양버들과는 언뜻 보기에도 매우 다른 모습을 하고 있으며, 꽤 큰 나무가 되는 것도 있다. 또한 고산이나 툰드라에서는, 땅을 기어가는 풀보다 작은 버드나무도 존재하지만, 솜털 모양의 꽃 이삭이나 솜털을 가진 종자 등의 특징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그 동정은 매우 어렵다. 일본에는 30종을 가볍게 넘는 버드나무속의 종이 있다. 이것들은 모두 암수 딴 그루이다. 꽃이 봄에 피고, 그 후에 잎이 돋아나는 것, 잎과 꽃이 동시에 생기는 것, 잎이 펼쳐진 후에 개화하는 것이 있다. 동정을 위해서는 수꽃의 특징, 암꽃의 특징, 잎의 특징을 알아야 한다. 게다가, 자연계에서도 잡종이 쉽게 생기는 것 같다.
Chamaetia 아속과 Vetrix 아속은 하나의 계통군을 형성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 ''Salix aegyptiaca'' L. – 사향버들
- ''Salix alba'' L. – 흰버들
- ''Salix amygdaloides'' Andersson – 복숭아잎버들
- ''Salix arctica'' Pall. – 북극버들
- ''Salix babylonica'' L. – 수양버들, 북경버들 또는 처진버들
- ''Salix bebbiana'' Sarg. – 부리버들, 긴부리버들 또는 벱버들
- ''Salix caprea'' L. – 산버들 또는 솜버들
- ''Salix cinerea'' L. – 회색버들
- ''Salix discolor'' Muhl. – 미국솜버들 또는 흰털버들
- ''Salix euxina'' I.V.Belyaeva – 동부 갈라진버들
- ''Salix exigua'' Nutt. – 사주버들, 가는잎버들 또는 코요테버들
- ''Salix'' × ''fragilis'' L. – 갈라진버들
- ''Salix glauca'' L. – 회색버들, 흰잎버들, 흰버들 또는 흰털버들
- ''Salix gooddingii'' C.R.Ball - 굿딩검은버들
- ''Salix herbacea'' L. – 난쟁이버들, 최소버들 또는 설상버들
- ''Salix humboldtiana'' Willd. - 훔볼트버들, 중앙 및 남아메리카 원산
- ''Salix integra'' Thunb.
- ''Salix laevigata'' Bebb – 붉은버들 또는 윤기나는버들
- ''Salix lasiolepis'' Benth. – 아로요버들
- ''Salix microphylla'' Schltdl. & Cham.
- ''Salix mucronata'' Andersson - 사프사프버들, 남아프리카 종
- ''Salix nigra'' Marshall – 검은버들
- ''Salix paradoxa'' Kunth
- ''Salix pierotii'' Miq. – 섬버들
- ''Salix purpurea'' L. – 자주버들 또는 자주류
- ''Salix scouleriana'' Barratt ex Hook. – 스쿨러버들
- ''Salix sepulcralis'' group – 잡종 버드나무
- ''Salix tetrasperma'' Roxb. – 인도버들
- ''Salix triandra'' L. – 아몬드버들 또는 아몬드잎버들
- ''Salix viminalis'' L. – 수양버들
- x 토게야나기
- x 하코다테야나기
- * x nothosubsp. 야마토야나기
- x 나가바노네코야나기
- x 코가네시다레
- x 네코시바야나기
- x 시구레야나기
- x 나스노시구레야나기
- x 카와오노에야나기
- x 롯코야나기
- x 이누카와야나기
- x 치쿠젠야나기
- x 류조지야나기
- x 히라오야나기
- * x nothosubsp. 쓰가루야나기
- x 후지야나기
- x 이케노야나기
- x 이와히사야나기
- x 시바키쓰네야나기
- x 카미코우치야나기
- x 묘진야나기
- x 토요하라야나기
- x 코이에야나기
- x 시로시다레야나기
- * x nothosubsp. 유우키시다레
- x 후리소데야나기
- x 오쿠야마사루코
- x 와케노카와야나기
- x 나스노이와야나기
- x 치시마오노에야나기
- x 밧코키누야나기
- x 오오미야마야치야나기
- x 센다이야나기
- * x nothosubsp. 콩고우밧코야나기
- x 후카오야나기
- x 코세키야나기
- x 스가야야나기
- x 스미요시야나기
- x 미야코야나기
- x 히타치야나기
- x 도아이야나기
- x 네코야나기 × 에조노키누야나기
3. 2. 한국 서식 종
한국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서식한다.[1]-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L.)
- 매자잎버들 (''Salix berberifolia'' Pall.)
- * 긴잎매자잎버들(''Salix berberifolia'' var. ''brayi'' Trautv. ex Herder)
- 쌍살버들 (''Salix bicarpa'' Nakai)
- 제주산버들(''Salix blinii'' H.Lev.)
- 닥장버들 (''Salix brachypoda'' (Trautv. & C.A.Mey.) Kom.)
- 호랑버들 (''Salix caprea'' L.)
- * 좀호랑버들 (''Salix caprea'' f. ''elongata'' (Nakai) Kitag.)
-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Kimura)
- * 털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var. ''pilosa'' (Nakai) Kimura)
- 개수양버들 (''Salix dependens'' Nakai)
- 눈산버들 (''Salix divaricata'' var. ''metaformosa'' (Nakai) Kitag.)
- * 난장이버들 (''Salix divaricata'' var. ''orthostemma'' (Nakai) Kitag.)
- 내버들 (''Salix gilgiana'' Seem.)
- 눈갯버들 (''Salix graciliglans'' Nakai)
- 갯버들 (''Salix gracilistyla'' Miq.)
- 떡버들 (''Salix hallaisanensis'' H.Lev.)
- * 긴잎떡버들 (''Salix hallaisanensis'' var. ''longifolia'' Nakai)
- 개키버들 (''Salix integra'' Thunb.)
- 섬버들 (''Salix ishidoyana'' Nakai)
- 강계버들 (''Salix kangensis'' Nakai)
-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Andersson)
- 키버들 (''Salix koriyanagi'' Kimura)
- * 붉은키버들 (''Salix koriyanagi'' f. ''rubra'' (Nakai) W.T.Lee)
- 용버들 (''Salix matsudana'' f. ''tortuosa'' Rehder)
- 쪽버들 (''Salix maximowiczii'' Kom.)
- 진퍼리버들 (''Salix myrtilloides'' L.)
- 반짝버들 (''Salix pentandra'' L.)
-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H.Lev.)
- 당키버들 (''Salix purpurea'' var. ''smithiana'' Trautv.)
- 분버들 (''Salix rorida'' Laksch.)
- * 좀분버들 (''Salix rorida'' var. ''roridaeformis'' (Nakai) Ohwi)
- 콩버들 (''Salix rotundifolia'' Trautv.)
- 큰산버들 (''Salix sericeocinerea'' Nakai)
- * 털큰산버들 (''Salix sericeocinerea'' f. ''lanata'' (Nakai) W.T.Lee)
- 참오글잎버들 (''Salix siuzevii'' Seem.)
- 꽃버들 (''Salix stipularis'' Sm.)
- 선버들 (''Salix subfragilis'' Andersson)
- 들버들 (''Salix subopposita'' Miq.)
- 육지꽃버들 (''Salix viminalis'' L.)
- * 좀꽃버들 (''Salix viminalis'' var. ''abbreviata'' Doell.)
- * 가는잎꽃버들 (''Salix viminalis'' var. ''angustifolia'' Turcz.)
- * 좊은잎육지꽃버들 (''Salix viminalis'' var. ''linearifolia'' Wimmer & Grabowski)
- 여우버들 (''Salix xerophila'' Flod.)
- * 유가래나무 (''Salix xerophila'' f. ''glabra'' (Nakai) Kitag.)
- * 긴잎여우버들 (''Salix xerophila'' f. ''manshurica'' (Siuzew) Kitag.)
- * 백산버들 (''Salix xerophila'' var. ''fuscescens'' (Nakai) W.T.Lee)
4. 용도
아시리아, 수메르, 이집트의 고대 문서에서 버드나무 잎과 껍질이 언급되었으며,[26] 고대 그리스의 의사 히포크라테스는 기원전 5세기에 그 약효에 대해 기록했다. 고대 이집트의 에버스 파피루스는 버드나무를 세 가지 치료법에서 언급하는데, ''met''을 유연하게 만드는 찜질, "대쇠약" 치료, 심장 작동을 위한 혼합물에 사용되었다.[28] 로마 작가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켈수스는 버드나무 잎을 식초에 삶아 자궁 탈출증 치료에 사용했다.[29][30]
니컬러스 컬페퍼는 ''완전한 허브(The Complete Herbal)''에서[31] 상처, 남녀의 "정욕의 열", 소변 촉진 등에 버드나무를 사용했지만, 진통 작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윌리엄 터너는 1597년경 잎과 껍질을 와인에 끓여 마시면 출혈을 멈추고, 푸른 가지를 방에 두면 열병을 식힌다고 기록했다.[32] 1763년 에드워드 스톤 목사는 왕립 학회에 흰 버드나무(''Salix alba'') 껍질 가루가 열병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했다.[33] 미국 남북 전쟁 중, 남부 연합군은 말라리아 치료에 버드나무를 사용했지만 실패했다.[35]
1876년 스코틀랜드 의사 토머스 맥라간은 살리신을 류마티즘 치료제로 실험하여 성공을 거두었고, ''The Lancet''에 보고했다.[37] 1897년 펠릭스 호프만은 ''Spiraea'' 식물에서 추출한 아세틸살리실산을 만들었고,[43] 1899년 바이엘 AG에 의해 "아스피린"으로 명명되었다.
1990년대 후반, 다니엘 모어먼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버드나무를 다양하게 사용했다고 보고했다. 현대 자료에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목감기, 결핵 등의 치료에 껍질을 사용했고, 두통 등의 진통제로 껍질을 씹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2] 20세기 초 모드 그리브는 흰 버드나무(''Salix alba'')의 껍질과 가루 뿌리를 허브 강장제, 항주기적 및 수렴성 효능으로 사용했다.[45]
인류는 초창기부터 버드나무로 어망(기원전 8300년경),[52] 바구니, 물고기 함정, 싸리 울타리, 욋가지 반죽 집 등을 만들었다. 얇거나 쪼개진 버드나무 막대기는 위커로 엮을 수 있다. 버드나무는 상자, 빗자루, 크리켓 배트, 요람판, 의자, 인형, 버드나무 피리, 깃대, 수증기 오두막, 장난감, 나무 무늬, 지팡이 등에 사용되며, 탄닌, 섬유, 종이, 로프 및 끈도 생산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군은 낙하산 바구니 제작에 버드나무 목재를 사용했다.[56] 버드나무는 숯(그림용), 살아있는 조각, 3차원 조각품, 정원 특징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버드나무는 바이오매스 또는 바이오 연료를 위한 에너지 임업 시스템에 사용되기도 한다.[60][61] 폐수의 생물 여과 연구도 있었지만 상업적으로 실행되지는 않았다.[63][64][65][66] 하천 제방 안정화, 토양 침식 제어, 방풍림 등에도 사용된다.
유럽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버드나무 가지를 사용하여 바구니, 배의 갈비대, 울타리, 물고기를 잡는 덫을 엮었다.[52] 베네룩스 3국에서는 버드나무가 번성하여 대표적인 전원 풍경이 되었으며, 수 세기에 걸쳐 지역 사람들에게 가지를 공급하고, 경계선의 표식이 되었으며, 회화의 모티프로서 반복적으로 그려졌다.[52]
버드나무는 치약 용 이쑤시개로 사용되었다. 많은 종이 이쑤시개로 사용되었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갯버들(Salix gracilistyla)의 가지로 만들었기 때문에, 楊枝(요지)라고 불렸다.
버드나무는 해열 진통제로 옛날부터 사용되어 온 역사가 있다. 수메르 시대의 점토판에는 통증의 약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버드나무 잎으로 만든 포션(약)을 진통제로, 발열과 두통의 치료에 사용했다.[85] 기원전 400년경에는 히포크라테스가 류마티스 환자에게 버드나무 껍질을 처방했다.[85] 19세기에는 생리 활성 물질인 살리신이 버드나무에서 분리되었고, 더 약효가 높은 살리실산을 얻는 방법이 발견되었다.[85] 이후 아스피린도 합성되어, 연간 1000억 정이나 소비되는 진통 해열제가 탄생했다.
4. 1. 전통적 용도
버드나무 잎과 껍질은 아시리아, 수메르, 이집트의 고대 문서에서 언급되었으며,[26] 고대 그리스의 의사 히포크라테스는 기원전 5세기에 그 약효에 대해 기록했다. 고대 이집트의 에버스 파피루스는 버드나무를 세 가지 치료법에서 언급하는데, ''met''을 유연하게 만드는 찜질, "대쇠약" 치료, 심장 작동을 위한 혼합물에 사용되었다.[28] 로마 작가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켈수스는 버드나무 잎을 식초에 삶아 자궁 탈출증 치료에 사용했다.[29][30]니컬러스 컬페퍼는 ''완전한 허브(The Complete Herbal)''에서[31] 상처, 남녀의 "정욕의 열", 소변 촉진 등에 버드나무를 사용했지만, 진통 작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윌리엄 터너는 1597년경 잎과 껍질을 와인에 끓여 마시면 출혈을 멈추고, 푸른 가지를 방에 두면 열병을 식힌다고 기록했다.[32] 1763년 에드워드 스톤 목사는 왕립 학회에 흰 버드나무(''Salix alba'') 껍질 가루가 열병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했다.[33] 미국 남북 전쟁 중, 남부 연합군은 말라리아 치료에 버드나무를 사용했지만 실패했다.[35]
1876년 스코틀랜드 의사 토머스 맥라간은 살리신을 류마티즘 치료제로 실험하여 성공을 거두었고, ''The Lancet''에 보고했다.[37] 1897년 펠릭스 호프만은 ''Spiraea'' 식물에서 추출한 아세틸살리실산을 만들었고,[43] 1899년 바이엘 AG에 의해 "아스피린"으로 명명되었다.
1990년대 후반, 다니엘 모어먼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버드나무를 다양하게 사용했다고 보고했다. 현대 자료에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목감기, 결핵 등의 치료에 껍질을 사용했고, 두통 등의 진통제로 껍질을 씹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2] 20세기 초 모드 그리브는 흰 버드나무(''Salix alba'')의 껍질과 가루 뿌리를 허브 강장제, 항주기적 및 수렴성 효능으로 사용했다.[45]
인류는 초창기부터 버드나무로 어망(기원전 8300년경),[52] 바구니, 물고기 함정, 싸리 울타리, 욋가지 반죽 집 등을 만들었다. 얇거나 쪼개진 버드나무 막대기는 위커로 엮을 수 있다. 버드나무는 상자, 빗자루, 크리켓 배트, 요람판, 의자, 인형, 버드나무 피리, 깃대, 수증기 오두막, 장난감, 나무 무늬, 지팡이 등에 사용되며, 탄닌, 섬유, 종이, 로프 및 끈도 생산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군은 낙하산 바구니 제작에 버드나무 목재를 사용했다.[56] 버드나무는 숯(그림용), 살아있는 조각, 3차원 조각품, 정원 특징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버드나무는 바이오매스 또는 바이오 연료를 위한 에너지 임업 시스템에 사용되기도 한다.[60][61] 폐수의 생물 여과 연구도 있었지만 상업적으로 실행되지는 않았다.[63][64][65][66] 하천 제방 안정화, 토양 침식 제어, 방풍림 등에도 사용된다.
유럽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버드나무 가지를 사용하여 바구니, 배의 갈비대, 울타리, 물고기를 잡는 덫을 엮었다.[52] 베네룩스 3국에서는 버드나무가 번성하여 대표적인 전원 풍경이 되었으며, 수 세기에 걸쳐 지역 사람들에게 가지를 공급하고, 경계선의 표식이 되었으며, 회화의 모티프로서 반복적으로 그려졌다.[52]
버드나무는 치약 용 이쑤시개로 사용되었다. 많은 종이 이쑤시개로 사용되었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갯버들(Salix gracilistyla)의 가지로 만들었기 때문에, 楊枝(요지)라고 불렸다.
버드나무는 해열 진통제로 옛날부터 사용되어 온 역사가 있다. 수메르 시대의 점토판에는 통증의 약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버드나무 잎으로 만든 포션(약)을 진통제로, 발열과 두통의 치료에 사용했다.[85] 기원전 400년경에는 히포크라테스가 류마티스 환자에게 버드나무 껍질을 처방했다.[85] 19세기에는 생리 활성 물질인 살리신이 버드나무에서 분리되었고, 더 약효가 높은 살리실산을 얻는 방법이 발견되었다.[85] 이후 아스피린도 합성되어, 연간 1000억 정이나 소비되는 진통 해열제가 탄생했다.
4. 2. 현대적 용도
버드나무 잎과 껍질은 아시리아, 수메르, 이집트의 고대 문서에서 언급되었으며,[26] 고대 그리스의 의사 히포크라테스는 기원전 5세기에 그 약효에 대해 기록했다. 메소포타미아의 쐐기 문자 기록, 고대 이집트의 에버스 파피루스, 로마 작가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켈수스의 기록, 니컬러스 컬페퍼와 윌리엄 터너의 기록에서도 버드나무의 효능이 언급되었다.[27][28][29][30][31][32] 1763년 에드워드 스톤 목사는 왕립 학회에 흰 버드나무(''Salix alba'') 껍질 가루로 실험한 내용을 보고했다.[33] 미국 남북 전쟁 중, 남부 연합군은 말라리아 치료를 위해 버드나무로 실험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35] 쥘 베른의 소설 ''신비의 섬''(1875)에서 버드나무 껍질은 효과가 없었고, 퀴닌이 등장인물을 구원했다.[36]1876년 스코틀랜드 의사 토머스 맥라간이 살리신을 류마티즘 치료제로 실험하여 성공을 거두었고,[37] 1897년 펠릭스 호프만이 아세틸살리실산을 만들었으며,[43] 1899년에 진통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바이엘 AG에 의해 "아스피린"으로 명명되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버드나무 껍질을 두통 및 기타 통증에 대한 진통제로 사용했으며,[12] 20세기 초 모드 그리브는 흰 버드나무(''Salix alba'')의 껍질과 가루 뿌리를 허브 강장제등으로 사용했다.[45] 현대 연구에 따르면 버드나무 추출물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진통 효과는 미미하며, 심지어 그 효과조차 살리실산만큼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에 기인할 수 있다.[51]


인류 초창기에는 버드나무로 어망을 만들었으며(기원전 8300년경),[52] 바구니, 물고기 함정, 싸리 울타리, 욋가지 반죽으로 만든 집 벽과 같은 기본적인 공예품들을 버들가지나 위시(막대 모양의 버드나무 싹)로 엮었다. 웨일스 코라클 보트의 골격에도 버드나무가 사용된다. 얇거나 쪼개진 버드나무 막대기는 위커로 엮을 수 있다.
버드나무는 상자, 빗자루, 크리켓 배트, 요람판, 의자, 기타 가구, 인형, 버드나무 피리, 깃대, 수증기 오두막, 장난감, 선반, 도구 손잡이, 나무 무늬],
5. 문화
조선 시대 중기에 살았던 기생 홍랑은 헤어진 연인(최경창)에게 "비 오는 저녁 버드나무 곁에서"라는 시를 지어주었다.[72] 홍랑은 "... 당신의 침대 곁의 버드나무가 되리라."라고 썼다.
식재용으로 강이나 연못 주변에 심어진 실적이 있으며, 선조들이 고안한 수해 방지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버드나무가 습윤한 환경을 좋아하고, 강인하고 뻗어나가는 뿌리를 가지며, 쓰러져 묻혀도 다시 발아하는 억센 생명력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시대극에 등장하는 해자 둑의 "수양버들"의 청초한 풍취는 괴담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게 되었다.
버드나무는 레위기 23:40에 언급된, 유대교 축제인 숙곳 또는 초막절과 관련된 4가지 종 중 하나이다. 버드나무 가지는 숙곳의 일곱 번째 날인 호샤나 라바의 회당 예배 동안 사용된다.[69]
불교에서 버드나무 가지는 자비의 보살인 관세음보살의 주요 속성 중 하나이다. 관세음보살의 전통적인 그림에서 그녀는 종종 옆에 물이 담긴 꽃병에 버드나무 가지가 있는 바위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동방 정교회는 성지 주일의 의식에서 종려나무 대신 버드나무 가지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일부 사람들이 청명절에 버드나무 가지를 가지고 다니며, 악령을 쫓기 위해 문이나 대문에 걸어놓기도 한다. 전설에 따르면 청명절에 저승의 지배자는 죽은 자의 영혼이 세상으로 돌아오도록 허락하는데, 버드나무 가지는 그들을 멀리한다고 알려져있다.[70] 도교의 마녀들은 버드나무 나무로 만든 작은 조각을 사용하여 죽은 자의 영혼과 소통한다.[71] 버드나무는 많은 동아시아 국가의 문화, 특히 중국과 일본의 수묵화에서 유명한 소재이다.
공해가 중국을 방문했던 시대에는 장안에서 떠나는 사람에게 버들 가지를 꺾어 건네는 풍습이 있었다. 이는 한시 등에도 널리 읊어졌으며, 왕유의 송별시 "원이의 안서에 가는 것을 전송하며"에서도 배경이 되고 있다. "객사 청청, 버들색은 새롭다"라는 구절에서, "버들"(柳)과 "머무르다"(留)가 통하는 데서, 버들 가지를 고리 모양으로 만들어 건네는 것이 당시 중국에서 여행객에게 작별을 고하는 관습이었다.[87]
일본의 전통에서 버드나무는 유령과 관련이 있으며, 버드나무가 자라는 곳에는 유령이 나타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73][74] 영국 민속에서 버드나무는 스스로 뿌리를 뽑고 여행자를 따라다닐 수 있는 매우 불길한 존재로 여겨진다.[75] 로마의 일곱 언덕 중 하나인 비미날 언덕은 버드나무의 라틴어 단어에서 이름을 따왔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은 "버드나무 아래에서"(1853)라는 이야기를 썼는데, 이 이야기는 아이들이 "버드나무 아버지"라고 부르는 나무에게 질문을 하는 내용이다.[76] "녹색 버드나무"는 일본 귀신 이야기이다.[77] "버드나무 아내"는 이와 유사한 또 다른 이야기이다.[78] "버드나무의 지혜"는 오세이지족의 이야기이다.[79]
수양버들(''Salix babylonica'')은 영어로 Weeping Willow(위핑 윌로우), 즉 "우는 버들"로 번역할 수 있다. 이 이름은 구약성서·시편 137 "바빌론 유수"의 한 구절인 "바빌론의 강가에 앉아 우리는 울었다. 시온을 생각하며. 우리의 수금은 강가의 버들나무에 걸었다"의 오역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언급된 나무는 버들이 아니라 유프라테스 포플러(''Populus euphratica'')라는 포플러의 일종이다.
5. 1. 한국
조선 시대 중기에 살았던 기생 홍랑은 헤어진 연인(최경창)에게 "비 오는 저녁 버드나무 곁에서"라는 시를 지어주었다.[72] 홍랑은 "... 당신의 침대 곁의 버드나무가 되리라."라고 썼다.식재용으로 강이나 연못 주변에 심어진 실적이 있으며, 선조들이 고안한 수해 방지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버드나무가 습윤한 환경을 좋아하고, 강인하고 뻗어나가는 뿌리를 가지며, 쓰러져 묻혀도 다시 발아하는 억센 생명력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시대극에 등장하는 해자 둑의 "수양버들"의 청초한 풍취는 괴담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게 되었다.
5. 2. 기타
버드나무는 레위기 23:40에 언급된, 유대교 축제인 숙곳 또는 초막절과 관련된 4가지 종 중 하나이다. 버드나무 가지는 숙곳의 일곱 번째 날인 호샤나 라바의 회당 예배 동안 사용된다.[69]불교에서 버드나무 가지는 자비의 보살인 관세음보살의 주요 속성 중 하나이다. 관세음보살의 전통적인 그림에서 그녀는 종종 옆에 물이 담긴 꽃병에 버드나무 가지가 있는 바위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동방 정교회는 성지 주일의 의식에서 종려나무 대신 버드나무 가지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일부 사람들이 청명절에 버드나무 가지를 가지고 다니며, 악령을 쫓기 위해 문이나 대문에 걸어놓기도 한다. 전설에 따르면 청명절에 저승의 지배자는 죽은 자의 영혼이 세상으로 돌아오도록 허락하는데, 버드나무 가지는 그들을 멀리한다고 알려져있다.[70] 도교의 마녀들은 버드나무 나무로 만든 작은 조각을 사용하여 죽은 자의 영혼과 소통한다.[71] 버드나무는 많은 동아시아 국가의 문화, 특히 중국과 일본의 수묵화에서 유명한 소재이다. 조선 시대 중기에 살았던 기생 홍랑은 헤어진 연인(최경창)에게 "비 오는 저녁 버드나무 곁에서"라는 시를 지어주었다.[72]
공해가 중국을 방문했던 시대에는 장안에서 떠나는 사람에게 버들 가지를 꺾어 건네는 풍습이 있었다. 이는 한시 등에도 널리 읊어졌으며, 왕유의 송별시 "원이의 안서에 가는 것을 전송하며"에서도 배경이 되고 있다. "객사 청청, 버들색은 새롭다"라는 구절에서, "버들"(柳)과 "머무르다"(留)가 통하는 데서, 버들 가지를 고리 모양으로 만들어 건네는 것이 당시 중국에서 여행객에게 작별을 고하는 관습이었다.[87]
일본의 전통에서 버드나무는 유령과 관련이 있으며, 버드나무가 자라는 곳에는 유령이 나타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73][74] 영국 민속에서 버드나무는 스스로 뿌리를 뽑고 여행자를 따라다닐 수 있는 매우 불길한 존재로 여겨진다.[75] 로마의 일곱 언덕 중 하나인 비미날 언덕은 버드나무의 라틴어 단어에서 이름을 따왔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은 "버드나무 아래에서"(1853)라는 이야기를 썼는데, 이 이야기는 아이들이 "버드나무 아버지"라고 부르는 나무에게 질문을 하는 내용이다.[76] "녹색 버드나무"는 일본 귀신 이야기이다.[77] "버드나무 아내"는 이와 유사한 또 다른 이야기이다.[78] "버드나무의 지혜"는 오세이지족의 이야기이다.[79]
수양버들(''Salix babylonica'')은 영어로 Weeping Willow(위핑 윌로우), 즉 "우는 버들"로 번역할 수 있다. 이 이름은 구약성서·시편 137 "바빌론 유수"의 한 구절인 "바빌론의 강가에 앉아 우리는 울었다. 시온을 생각하며. 우리의 수금은 강가의 버들나무에 걸었다"의 오역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언급된 나무는 버들이 아니라 유프라테스 포플러(''Populus euphratica'')라는 포플러의 일종이다.
6. 보전
일부 버드나무 종은 외래종으로 유입되어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호주에서는 버드나무가 침입종으로 지정되어 '국가 중요 잡초'로 간주되며, 많은 유역 관리 당국에서 버드나무를 제거하고 토종 나무로 대체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17][18] 버드나무 뿌리는 넓게 퍼져 수분을 찾는 데 매우 공격적이기 때문에 주거 지역에 심으면 프렌치 드레인, 배수 시스템, 정화조 시스템, 하수도 등을 막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54][55] 특히 오래된 타일, 콘크리트 또는 세라믹 파이프로 만들어진 파이프는 버드나무 뿌리에 취약하며, PVC 하수도관은 이음새 누수가 적어 이러한 문제에 덜 취약하다.
참조
[1]
웹사이트
"''Salix''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2-12-28
[2]
간행물
Poplars and willows: Trees for society and the environment
Centre for Agriculture Bioscience International
[3]
논문
The Genus ''Salix'' (Salicaceae)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Americ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4]
논문
"''Salix martiana'', a regularly hermaphrodite willow"
[5]
웹사이트
"''Salix'' L."
https://www.ipni.org[...]
2021-05-06
[6]
간행물
Introduction and Historical Perspective
https://www.nhm.ac.u[...]
The Natural History Museum
2022-10-24
[7]
서적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r botanischen Pflanzennamen
Nikol, Hamburg
[8]
서적
Flora of the U.S.S.R.
https://www.biodiver[...]
Israel Program for Scientific Translations
1970
[9]
논문
Highly Diverse Shrub Willows (''Salix'' L.) Share Highly Similar Plastomes
2021-09-03
[10]
논문
The early fossil history of Salicaceae: a brief review
https://www.cambridg[...]
1992
[11]
서적
The Plant 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Northwest Trees: Identifying & Understanding the Region's Native Trees
https://books.google[...]
Mountaineers Books
[13]
문서
Mourning Cloak
Fairfax County Public Schools
[14]
서적
Aphids on the World's Trees
http://www.aphidsonw[...]
CABI
[15]
서적
Pests of Ornamental Trees, Shrubs and Flowers
https://books.google[...]
Manson Publishing Limited
[16]
웹사이트
Leaf Rust
http://plantclinic.c[...]
[17]
웹사이트
Willows along watercourses: managing, removing and replacing
http://www.dse.vic.g[...]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State Government of Victoria
1998-12
[18]
웹사이트
Introduced willows can become invasive pests in Australia
http://www.hoadley.n[...]
[19]
서적
Aliens in the Backyard: Plant and Animal Imports Into Americ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0]
서적
The Flowering of the Landscape Garden: English Pleasure Grounds, 1720-18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1]
간행물
Salix: Botany and Global Horticulture
John Wiley & Sons, Inc.
2008-04-15
[22]
웹사이트
Ginza's Willow Dyeing
https://www.motoji.c[...]
[23]
웹사이트
The 12th Ginza Willow Festival
https://www.ginza.jp[...]
[24]
웹사이트
AGM Plants March 2020
https://www.rhs.org.[...]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0-09-09
[25]
논문
Compilation of the Checklist for Cultivars of Salix L. (Willow)
https://www.research[...]
2015
[26]
웹사이트
Investigating the healing arts of Ancient Mesopotamia
https://researchoutr[...]
2020-10-28
[27]
웹사이트
Proverbs 30:18-19 in the Light of Ancient Mesopotamian Cuneiform Texts
https://digital.csic[...]
[28]
서적
Ancient Egyptian Medicine: the Papyrus Ebers
https://babel.hathit[...]
Ares Publishing Inc.
1974
[29]
문서
De Medicina
[30]
서적
De Medicina
https://penelope.uch[...]
2022-01-04
[31]
서적
The Complete Herbal
https://www.gutenber[...]
1653
[32]
웹사이트
The Herball, or Generall Historie of Plantes
https://www.exclassi[...]
2022-01-08
[33]
웹사이트
An Account of the Success of the Bark of the Willow in the Cure of Agues
https://doi.org/10.1[...]
The Royal Society
2022-01-05
[34]
서적
Aspirin: the story of a wonder drug
Bloomsbury
2004
[35]
논문
Quinine Substitutes in the Confederate Army
2007
[36]
서적
The Mysterious Island
Wordsworth Editions Ltd.
2010
[37]
간행물
The treatment of acute rheumatism by salicin
https://www.thelance[...]
1876-10-28
[38]
간행물
The treatment of acute rheumatism
https://www.scienced[...]
1900
[39]
간행물
The Treatment of Acute Rheumatism by Salicin, by T. J. Maclagan — ''The Lancet'', 1876
2002
[40]
간행물
Does sodium salicylate cure rheumatic fever?
https://academic.oup[...]
1948
[41]
간행물
Letter by Fürstenwerth Regarding Article, "Aspirin: A Historical and Contemporary Therapeutic Overview"
[42]
서적
Aspirin the remarkable story of a wonder drug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08
[43]
웹사이트
All About Aspirin and its History
https://www.bayer.co[...]
[44]
문서
Assessment report on Salix [various species including S. purpurea L., S. daphnoides Vill., S. fragilis L.], cortex Final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017-01-31
[45]
서적
A Modern Herbal
https://archive.org/[...]
Dorset Press
1931
[46]
웹사이트
Hippocrates and willow bark? What you know about the history of aspirin is probably wrong
https://theconversat[...]
2022-01-10
[47]
웹사이트
The Mythology of Aspirin
https://skeptoid.com[...]
2022-01-10
[48]
서적
The Encyclopedia of Herbal Medicine
1998
[49]
간행물
The aspirin story – from willow to wonder drug
2017
[50]
웹사이트
Willow bark
https://www.mountsin[...]
2022-04-10
[51]
간행물
Willow species and aspirin: different mechanism of actions
https://pubmed.ncbi.[...]
2011
[52]
문서
The palaeoenvironment of the Antrea Net Find
https://tuhat.halvi.[...]
University of Helsinki
[53]
웹사이트
Review report for the basic substance Salix spp cortex finalised in the Standing Committee on Plants, Animals Food and Feed at its meeting on 29 May 2015 in view of the approval of Salix spp cortex as basic substance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EC) No 1107/2009
http://fisportal.mps[...]
[54]
문서
Salix spp. UFL/edu
http://hort.ufl.edu/[...]
United States Forest Service
[55]
문서
Rooting Around: Tree Root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Minnesota Extension
2003-10-01
[56]
웹사이트
History of Willows at Long Ashton Research Station, Bristol
http://www.wringtons[...]
2022-06-01
[57]
웹사이트
"銀座の柳"を使用した、銀座ならではの草木染 「『銀座の柳染』30周年記念展~いのちの輝き~」を銀座もとじにて開催
https://prtimes.jp/m[...]
2024-03-29
[58]
웹사이트
東京・銀座で「着物と柳」の伝統を継ぐ呉服店の奮闘 | 地域活性化の挑戦者たち | 櫻田弘文
https://mainichi.jp/[...]
[59]
웹사이트
The Best Vine and Willow Charcoal for New Effects on the Page
https://www.artnews.[...]
Art News
2023-06-13
[60]
간행물
Yield and spatial supply of bioenergy poplar and willow short-rotation coppice in the UK
[61]
간행물
Yield models for commercial willow biomass plantations in Sweden
[62]
웹사이트
Forestresearch.gov.uk
http://www.forestres[...]
Forestresearch.gov.uk
2011-12-18
[63]
문서
Willows for the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 long-term performance under different irrigation rates
2015
[64]
문서
Willow short-rotation coppice for treatment of polluted groundwater
2014
[65]
문서
Establishment techniques to using willow for phytoremediation on a former oil refinery in southern-Quebec: achievements and constraints
2012
[66]
문서
Trace element phytoextraction from contaminated soil: a case study under Mediterranean climate
2018
[67]
서적
The Heritage of Trees
Floris
2001
[68]
서적
Field Guide to Edible Wild Plants
https://archive.org/[...]
Stackpole Books
[69]
웹사이트
ChurchYear.net
http://www.churchyea[...]
ChurchYear.net
2011-12-18
[70]
서적
Social Life of the Chinese
Routledge
[71]
서적
Researches into Chinese Superstitions
Tusewei Press, Shanghai
[72]
뉴스
The Forest of Willows in Our Minds
http://www.arirang.c[...]
Arirang TV
2007-08-20
[73]
웹사이트
In Worship of Trees by George Knowles: Willow
http://www.controver[...]
2008-02-14
[74]
웹사이트
Mythology and Folklore of the Willow
http://www.treesforl[...]
2008-02-14
[75]
간행물
The Fairies in Tradition and Literature
http://dx.doi.org/10[...]
1968-04
[76]
웹사이트
Under The Willow Tree
http://hca.gilead.or[...]
Hca.gilead.org.il
2007-12-13
[77]
웹사이트
Green Willow
http://www.spiritoft[...]
Spiritoftrees.org
2011-12-18
[78]
웹사이트
The Willow Wife
http://live-artist.c[...]
[79]
웹사이트
Wisdom of the Willow Tree
http://tweedsblues.n[...]
Tweedsblues.net
2011-12-18
[80]
서적
日本の樹木
中央公論社
1995-04-25
[81]
웹사이트
漫天柳絮的春天,请小心过敏
https://www.baidu.co[...]
2023-04-11
[82]
웹사이트
ネコヤナギ(猫柳)
http://miyakanken.co[...]
株式会社宮城環境保全研究所
2016-02-29
[83]
문서
"米倉浩司・梶田忠 (2003-) 「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http://ylist.info/yl[...]
[84]
문서
Weeds of National Significance (WoNS)
https://pir.sa.gov.a[...]
南オーストラリア政府
[85]
웹사이트
An aspirin a day keeps the doctor at bay: The world's first blockbuster drug is a hundred years old this week
http://www.nobelpriz[...]
[[ノーベル財団]]
2021-11-19
[86]
간행물
Biosynthesis and metabolism of β-d-salicin: A novel molecule that exerts biological function in humans and plants
https://www.ncbi.nlm[...]
[87]
문서
桃源詩話
国文社
1987-11-25
[88]
문서
神社有職故実
神社本庁
1951-07-15
[89]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90]
웹사이트
【浅草物語】吉原遊郭 面影なき街に「見返り柳」 江戸文化の発信地、震災では悲劇も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2-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