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벌컨 (스타 트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벌칸은 스타 트렉 세계관에 등장하는 외계 종족으로, 감정을 억제하고 논리를 중시하는 문화를 발전시켰다. 2063년 지구인과의 첫 만남 이후 지구, 안도리아, 텔라라이트와 함께 행성 연방을 창립했으며, 텔레파시 능력과 마인드 멜드 기술을 사용한다. 7년마다 폰 파라는 생리 현상을 겪으며, 뾰족한 귀, 녹색 혈액, 높은 신체 능력 등의 생물학적 특징을 지닌다. IDIC는 벌칸의 평등 철학을 상징하며, 정략결혼 풍습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벌칸인으로는 스팍, 사렉, 투폴, 투복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타 트렉의 종족 - 클링온
    클링온은 《스타 트렉》 시리즈에 등장하는 호전적인 외계 종족으로, 명예를 중시하는 문화와 독특한 외모, 클링온어를 사용하며 우주 연방의 주요 적대 세력이자 동맹으로 묘사되고 외형은 시리즈에 따라 변화했다.
  • 스타 트렉의 종족 - 보그 (스타 트렉)
    보그는 스타 트렉 시리즈에 등장하는 사이버네틱 종족으로, 다른 지적 생명체를 강제로 동화시켜 집단 의식의 일부로 만들고 기술을 흡수하여 완벽을 추구하며, "저항은 무의미하다"라는 메시지로 대표되는 강력한 악당이다.
벌컨 (스타 트렉)
기본 정보
종족 이름벌컨
원어 이름Vulcan
다른 이름벌케인
고향 행성벌컨
소속행성 연방
특징
첫 등장The Cage (1965년, 미방영)
창조자진 로덴베리
언어
언어벌컨어, 불칸수, 고급 벌컨어
문화 및 철학
종교벌컨 철학 및 전통
외형적 특징
신체적 특징뾰족한 귀, 구릿빛 피부

2. 역사

벌컨 문명은 고대 문명으로, "아모크 타임"에서 스팍은 "쿤-우트-칼-이프-피" 장소가 그의 가문에 의해 2,000년 동안 유지되어 왔다고 언급한다. 고대 벌컨인들은 매우 감정적이고 호전적인 성향을 지녔으며[43], 전쟁으로 인해 거의 멸망 직전까지 갔던 역사가 있다. ''TOS'' 에피소드 "야만적인 커튼"에서 철학자 수락의 이미지는 벌컨이 논리를 삶의 방식으로 받아들이기 전의 이러한 과거를 언급한다. 수락의 가르침과 수행을 통해 벌컨인들은 감정을 억제하고 논리적 사고를 중시하는 문화를 발전시켰다.[43] 한때 다신교를 믿었으며, 이는 ''TNG'' 에피소드 "갬빗"의 골 석상 유물에 묘사된 전쟁, 평화, 죽음의 신들을 통해 알 수 있다.

1957년, 벌컨 함선은 지구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를 관측하던 중 펜실베이니아 카본 크릭에 추락했다. 여러 승무원이 몇 달간 고립되었으나, 당시 인간들은 이들이 외계인임을 알지 못했다.[40]

2063년 4월 5일, 지구 과학자 제프람 코크레인이 최초의 워프 가능 우주선 실험에 성공하자, 벌컨인들은 몬태나주, 보즈먼 근처에서 인간과 공식적인 첫 접촉(퍼스트 컨택트)을 가졌다. 이는 지구인이 외계 종족과 처음으로 만난 공식적인 사건이다.(극장판 8편 《스타 트렉: 퍼스트 컨택트》)[44]

이후 벌컨은 기술적으로 성숙해가는 인류에게 정신적 성숙을 요구하며, 2151년까지 인류의 항성간 항행을 보류시키기도 했다. 2097년에는 안도리아의 행성 웨이탄을 합병하고 판 모카르로 개명했으며, 2105년에는 타협안에 합의했지만 양측 간의 긴장은 지속되었다.

22세기 초, 벌컨 사회는 군사 정권 형태의 '벌컨 최고 사령부'에 의해 통치되었다. 최고 사령부는 지구의 우주 진출을 견제하고 엔터프라이즈 (NX-01)를 감시하는 등[41] 인간에 대해 불신과 경계심을 보였다. 당시 지구 주재 벌컨 대사였던 소발은 인간에 대해 특히 불신하는 태도를 보였으며, 종종 아처와 그의 승무원과 대립했다. 소발은 나중에 시즌 4 에피소드 "대장간"에서 이러한 행동을 정당화했다.

> "우리는 인간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할지 모릅니다. 우리가 접촉한 모든 종족 중에서 당신의 종족만이 우리가 정의할 수 없습니다. 당신은 안도리아인의 오만함, 텔라라이트인의 완고한 자존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순간 당신은 클링온인처럼 감정에 의해 이끌리고, 다음 순간에는 갑자기 논리를 받아들여 우리를 혼란스럽게 합니다."

소발은 또한 지구가 제3차 세계 대전에서 벌컨이 그에 상응하는 전쟁에서 회복된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구와 같이 빠르게 성장하고 감정적인 사회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라하는 많은 벌컨인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최고 사령부는 또한 파'나르 증후군 환자나 마인드 멜드 시술자를 박해하고, 수락의 가르침을 따르는 지하 반체제 인사 단체인 시라나이트를 추적하고 체포하는 등 비논리적이고 억압적인 행동을 보였다. 2151년, 부사령관 T'폴은 지구 스타플릿 함선 ''엔터프라이즈'' (NX-01)의 승무원이 되었고, 2154년에는 스타플릿의 위임 장교가 되었다.

2154년, 최고 사령부의 수장이자 로뮬란의 비밀 요원이었던 V'라스는 안도리아 침공을 시도하는 동시에 시라나이트를 제거하기 위해 벌컨에 있는 연합 지구 대사관에 폭탄을 투하했다. 그의 음모는 ''엔터프라이즈''의 승무원에 의해 저지되었다. 이 사건들 동안, 수락의 원본 글이 담긴 장치인 키르'샤라가 조나단 아처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는 최고 사령부의 즉각적인 해체와 벌컨 전통 가치의 재평가를 이끌었으며, 벌컨이 우주 탐사 문제에서 지구를 감시하는 것을 중단하는 결과를 낳았다. 부패한 최고 사령부의 전복과 맥스웰 포레스트 제독의 희생 이후, 벌컨과 인류의 관계는 점차 개선되었다. 아처 함장의 중재는 지구, 안도리아와의 관계 완화에 기여했다.

2161년 8월 12일, 벌컨은 지구, 안도리아, 텔라라이트와 함께 행성 연방의 창립 멤버 중 하나가 되었다.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 에피소드 "통일 III"에서는 32세기에 스팍 대사가 추구했던 벌컨과 로뮬란의 재통합의 꿈이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 로뮬러스 파괴 이후 살아남은 로뮬란인들이 그들의 조상 고향으로 돌아왔고, 행성 이름은 '''니'바'''(Ni'Var)로 변경되었다. 니'바는 '연소'(The Burn)라고 알려진 종말론적 사건 이후 연방에서 탈퇴했으나, 이후 에피소드 "모든 것이 가능하다"에서 니'바는 연방에 다시 가입했다.

2009년 영화 《스타 트렉》에서 만들어진 대체 현실(켈빈 타임라인)에서는, 2258년 미래에서 시간 여행을 한 로뮬란인 네로가 로뮬러스 파괴에 대한 복수의 일환으로 벌컨 행성의 핵에 특이점을 생성시켜 행성을 파괴했다. 그 결과 발생한 내파로 벌컨이 파괴되었고, 60억 명에 달하는 주민 대부분이 사망했다. 약 1만 명만이 탈출에 성공했으며,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스팍 프라임은 젊은 스팍에게 살아남은 벌컨인들을 위한 식민지를 건설할 적합한 행성이 발견되었고, 이 세계는 "뉴 벌컨"으로 명명되었다고 말한다.

3. 생물학적 특징

벌컨은 《The Original Series》 제작 당시 예산 제약으로 인해 정교한 분장이 어려워 인간과 유사한 외모로 묘사되었다.[3] 모든 벌컨은 둥글고 위로 솟은 눈썹과 뾰족한 귀를 가지고 있으며, 호리호리한 체형과 정수리에서 똑바로 뻗은 머리 모양이 특징이다.[4][45] 백인 배우가 벌컨을 연기할 때는 피부에 약간 노란색을 띠게 분장하기도 한다.[4]

벌컨의 혈액구리 기반의 헤모시아닌 때문에 녹색을 띤다.[4][46] 또한, 강한 빛으로부터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안쪽 눈꺼풀, 즉 순막을 가지고 있다. 이는 가상의 고향 행성 벌컨이 항성과 매우 가까워 강한 빛에 적응하며 진화한 특성으로 여겨지며,[5][6] 이 이중 눈꺼풀 덕분에 지구인이라면 실명할 정도의 강렬한 빛에도 견딜 수 있다.[47] 벌컨의 심장은 인간과 달리 몸통의 오른쪽, 갈비뼈와 골반 사이에 위치한다.[7][46]

신체 능력 면에서 벌컨은 일반적으로 인간보다 더 강하고 빠르며 오래 산다. 이는 모성 벌컨의 높은 중력(지구의 1.4배)과 희박한 대기에 적응한 결과로 추정된다.[46] 근력과 순발력은 인간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수명은 지구력으로 200년 이상이며, 220년 이상 산 사례도 보고되었다.[45] 사막 행성에서 진화했기 때문에 인간보다 더 오랫동안 물 없이 생존할 수 있으며, 최대 2주 동안 잠을 자지 않고 지낼 수도 있다. 그러나 인간보다 추위에는 약한 편이다.

벌컨은 선택적으로 채식주의를 따르지만, 과거에는 잡식성이었다.[8] 벌컨의 관습 중 하나는 집에 초대받은 손님이 주인을 위해 식사를 준비하는 것이다.[9] 술을 마시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작중에서 술을 마시는 모습이 묘사되기도 한다.[10] 스타 트렉: 딥 스페이스 나인의 한 에피소드에서는 벌컨이 초콜릿을 섭취하면 취하게 된다는 설정이 등장했으며,[11] 이는 스타 트렉 4: 귀환의 항해 소설판에서 자당이 인간의 알코올과 유사한 효과를 낸다는 설명으로 뒷받침된다. 스타 트렉: 보이저에서는 벌컨 커피가 인간에게 유독하다는 언급이 나온다.

벌컨은 높은 지성을 가지고 있으며,[45] 베타조이드인만큼 강력하지는 않지만 텔레파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능력으로 접촉한 상대와 정신적으로 소통하거나 상대를 기절시킬 수도 있다.[45] 또한, '''벌칸 신경 압박'''(Vulcan nerve pinch)이라는 기술을 사용하는데, 목덜미의 특정 신경점을 눌러 상대를 기절시키는 방식이다. 이 기술은 보그를 제외한 대부분의 휴머노이드 종족에게 유효하며, 전투를 선호하지 않는 벌컨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벌칸 신경 압박은 매우 강한 악력과 섬세한 손기술이 필요하여 다른 종족은 습득하기 어렵다.[48]

벌컨의 인사법인 벌칸식 경례("🖖")는 엄지와 약지, 소지를 모으고 검지와 중지 사이를 벌려 손바닥을 보이며 "장수와 번영을"(Live long and prosper|eng)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스타 트렉 팬덤 외부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3. 1. 폰 파 (Pon Farr)

7년마다 벌칸 남성과 여성은 폰 파(pon farr)라고 알려진 심각한 호르몬 불균형을 경험한다. 폰 파가 시작되면, 벌칸은 반드시 누군가와 성교를 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화학적 불균형으로 인해 정신 이상, 자제력 상실,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12]

하지만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TOS의 작가이자 스토리 편집자인 D. C. 폰타나는 폰 파가 벌칸이 성적 욕구를 느끼거나 성관계를 갖는 유일한 시기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는 "벌칸은 원할 때 언제든지 정상적으로 짝짓기를 한다. 그러나 7년마다 의식, 즉 의례를 치르는 것이다. 이는 생물학적 욕구이며 반드시 해야 하지만, 그 외의 시간은 다른 감정, 즉 인간형 감정에 따른다. 사랑에 빠졌을 때, 원할 때, 욕구가 있을 때 그렇게 한다. 이 7년마다의 일은 너무 많은 사람들이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 오해한 부분이다. 우리는 단지 7년마다를 의미한 것이 아니다. 만약 그렇다면 좀 심했을 것이고, 다양한 연령대의 벌칸들을 설명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13]

만약 짝을 찾을 수 없는 경우, 명상, 폭력적인 행위,[14] 외부로부터의 "충격",[15] 또는 시뮬레이션과 같은 다른 방법을 통해 폰 파의 영향을 완화할 수도 있다.[16]

4. 심리학

벌칸은 일상생활에서 감정을 배제하고 논리를 따르는 존재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오리지널 시리즈의 주요 인물인 스팍은 인간과 벌칸의 혼혈이라는 정체성 때문에 이러한 감정과 논리 사이에서 끊임없이 고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벌칸 사회가 감정 통제를 중시하게 된 것은 과거의 경험 때문이다. 엔터프라이즈 시리즈의 투폴은 벌칸들이 수락(Surak)의 가르침에 따라 감정 통제 규약을 받아들이기 전에는 편집증과 살인적인 분노가 만연했다고 언급한다.

고대의 벌칸은 매우 격렬하고 감정적이며 호전적인 종족이었다. 심지어 종교적 광신주의로 인해 사회와 종족 전체의 존속마저 위협받는 상황이었다. 기원전 4세기경, 철학자 수락(Surak)은 감정을 억제하고 논리를 중시하는 사상을 통해 평화로운 사회를 건설하고자 했다. 그의 가르침은 모든 벌칸이 종족의 안전을 위해 감정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모든 벌칸이 이 생각에 동의한 것은 아니었고, 결국 내전이 발발했다. 이 전쟁 끝에 감정을 거부하고 논리를 택한 이들은 오늘날의 벌칸이 되었고, 감정을 유지하기를 원했던 이들은 벌칸을 떠나 훗날 로뮬란인이 되었다.[20]

현대의 벌칸 역시 감정을 느끼고 경험하지만, 이를 겉으로 드러내거나 감정에 따라 행동하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수양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정신적인 붕괴를 겪기도 한다.[20] 벌칸의 감정은 인간의 감정보다 훨씬 강렬한 것으로 묘사된다. TNG 에피소드 ''사렉''에서 사렉 대사는 피카드 함장에게 "벌칸의 감정은 극도로 강렬합니다. 우리는 그것들을 억제하는 법을 배웠습니다."라고 설명하며, 정신 융합 중 자신의 통제되지 않는 감정에 피카드가 압도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실제로 피카드는 융합 과정에서 사렉의 억눌린 사랑과 후회 등 강렬한 감정을 경험하며 자신을 통제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었다.

벌칸 중에서도 '콜리나르'(Kolinahr)라는 엄격한 정신 수련을 통해 마음에서 모든 감정을 완전히 제거한 이들도 있다. 스팍은 ''스타 트렉: 더 모션 픽쳐''에서 콜리나르를 시도했지만, 인간적인 감정 때문에 결국 실패했다.

모든 벌칸이 감정을 완전히 억제하는 길을 택한 것은 아니다. 일부 벌칸들은 논리와 함께 감정을 받아들이는 삶을 추구하기도 했다. 이러한 신념을 가진 벌칸 집단은 ''스타 트렉: 엔터프라이즈'' 에피소드 "융합"에서 등장했으며, 영화 ''스타 트렉 5: 최후의 결전''에 등장하는 스팍의 이복형제 사이복 역시 감정을 중요시하는 인물이었다.

벌칸에게는 7년마다 돌아오는 '폰파'(Pon farr)라는 발정기가 있다. 이 시기에는 강력한 생식 충동과 함께 감정 통제가 어려워지며, 극심한 고통과 공격성을 보이기도 한다. 폰파를 해소하지 못하면 죽음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에, 벌칸에게는 피할 수 없는 생리적 현상이자 정신적 시련이다.[49] 이 기간 동안 벌칸은 평소의 논리적인 모습과 달리 매우 감정적이고 위험해질 수 있다.

벌칸은 '이딕'(Idic, Infinite Diversity in Infinite Combinations; 무한한 다양성 속의 무한한 조합)이라는 사상을 통해 정신 수양을 하며, 명상이나 '칼토'(Kal-toh)와 같은 논리 게임을 통해 정신을 단련한다. 이러한 수양은 격렬한 본성을 다스리고 논리적인 사고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하위 섹션에서 다루는 정신 융합 역시 감정을 이해하고 통제하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여겨진다.

4. 1. 텔레파시와 마인드 멜드

벌칸은 텔레파시 능력자이다. 오리지널 시리즈부터 스팍은 다른 존재와 접촉하여 생각을 공유하는 마인드 멜드를 할 수 있었다.[22] 벌칸은 또한 먼 거리에서나 벽과 같은 장애물을 통해서도 텔레파시 능력을 보여주었다.[23]

마인드 멜드는 다른 개인과 생각, 경험, 기억, 지식을 공유하는 기술로, 본질적으로 제한된 형태의 텔레파시이다. 일반적으로 마인드 멜드를 위해서는 대상과의 신체적 접촉이 필요하지만, 접촉 없이 이루어진 사례도 있다. TOS 에피소드 "마음의 단검"에서 처음 묘사되었을 때는 이 과정에 약간의 집중과 준비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언급되었으나, 이후 에피소드에서는 거의 즉시 정신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려진다. 마인드 멜드는 대부분 인간형 종족에게 사용되지만, 다른 종족 구성원과도 수행할 수 있다. 스팍은 기계 우주 탐사선 V'ger, 실리콘 기반 생명체인 호르타, 심지어 혹등고래와도 성공적으로 마인드 멜드를 통해 텔레파시적 접촉을 한 바 있다.

마인드 멜드는 기억을 지우거나 복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스팍은 TOS 세 번째 시즌 동안 커크 함장에게 이 두 가지를 모두 수행했다. 또한 스타 트렉 3: 스팍을 찾아서에서는 카트라를 육체와 재결합하는 데에도 마인드 멜드가 사용되었다. 마인드 멜드는 둘 이상의 마음이 기억과 감각을 함께 경험하고 때로는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종족은 마인드 멜드에 저항할 수 있다. 페렌기 종족은 뇌 구조(4엽 뇌) 때문에 다른 종족이 텔레파시적으로 생각을 읽기 어렵다. 또한, 충분한 훈련을 받은 카대시안 군인이나 옵시디언 오더 요원은 정보를 추출하려는 마인드 멜드에 저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 두캇이 마퀴에게 포로로 잡혔을 때, 한 벌칸 마퀴 대원의 오랜 마인드 멜드 시도에도 성공적으로 저항하여 그녀를 좌절시킨 바 있다.

4. 1. 1. 카트라 (Katra)

벌칸은 죽기 직전에 마인드 멜드를 통해 자신의 "카트라"를 다른 사람에게 이식할 수 있다. 사렉은 커크에게 스팍의 카트라가 "그의 본질, 육체에 속하지 않은 모든 것, 그의 카트라, 그의 살아있는 정신...그가 가진 모든 것, 그가 아는 모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전이가 "육체의 끝이 가까워졌을 때 벌컨의 방식"이라고 덧붙였다.[24] 카트라는 벌칸의 정신, 기억, 경험 등을 담고 있으며, 육체가 죽은 후에도 정신적인 연속성을 유지하는 방법, 즉 벌칸의 영혼과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다. DS9 에피소드 "승객"에서 줄리안 배시어 박사는 이 현상을 "시냅스 패턴 변위"라고 언급했다.

''ENT'' 시즌 4의 3부작 에피소드("대장간", "각성", "키르-샤라")는 마인드 멜드의 역사와 함께 수락의 카트라가 어떻게 현대까지 이어져 왔는지 그 여정을 보여준다.

카트라는 단순히 정신적 연속성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벌컨의 치유 능력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여 심각한 부상 회복을 돕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사렉은 어린 시절의 마이클 번햄 (''DIS'' 시즌 1, 에피소드 6, "레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카트라 일부를 마이클에게 전달했다. 이로 인해 마이클은 사렉과 정신적으로 연결되었으며, 그녀는 이 과정을 "영혼 이식"이라고 표현했다.

카트라는 적절한 의식을 통해 다시 육체로 되돌릴 수 있다. 스타 트렉 2: 칸의 분노의 마지막 장면에서, 스팍은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카트라를 맥코이 박사의 마음에 이식했다. 이후 스타 트렉 3: 스팍을 찾아서에서, "팔 토르 판"("재결합")이라는 마인드 멜드 의식을 통해 맥코이에게서 카트라를 추출하여 스팍의 재생된 육체에 성공적으로 이식했다. 하지만 이 의식은 관련된 인물 모두에게 상당한 위험을 동반하는 과정이었다.

5. 문화

벌컨 문화의 상징 중 하나는 벌컨 경례이다. 이는 손바닥을 앞으로 하고 엄지손가락을 편 채, 가운데손가락과 약지 사이를 벌리는 손짓으로, 유대교 사제의 축복 제스처에서 유래했다. 경례 시에는 보통 "Live long and prosper|오래 살고 번영하라eng"는 말을 하며, 이는 사제의 축복인 "주님께서 당신을 축복하시고 지켜주시기를"을 변형한 것이다. 이에 대한 적절한 응답은 같은 손짓과 함께 "오래 살고 번영하라" 또는 "Peace and long life|평화와 장수eng"라고 말하는 것이다.

벌컨은 스타 트렉 세계관 내에서 고유한 언어를 가지고 있다. 벌컨어 단어와 대화는 오리지널 시리즈의 "아목 타임" 에피소드를 시작으로 여러 TV 시리즈와 영화 ''스타 트렉: 더 모션 픽처'', ''스타 트렉 2: 분노의 칸'', ''스타 트렉 3: 스포크를 찾아서'', ''스타 트렉 5: 최후의 결전'' 등에서 들을 수 있다.[25][26] 언어학자 마크 오크랜드는 ''스타 트렉 2: 분노의 칸'' 제작 시 벌컨어를 창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우들은 대부분 영어로 연기한 후 벌컨어로 더빙하는 방식으로 촬영했다.[27]

벌컨인의 이름 작명 방식은 시리즈 제작 과정에서 일관되지 않았다. 초기에는 여성 벌컨 이름이 "T'"로 시작하고 'p'가 뒤따르는 형태(예: T'Pring, T'Pol)로 주로 묘사되었다. 1966년 로버트 H. 저스트먼이 진 로덴베리에게 보낸 메모에서는 모든 벌컨 이름이 "SP"로 시작하고 "K"로 끝나며 다섯 글자여야 한다는 제안이 있었으나, 이는 농담으로 의도된 것으로 보인다.[28] 벌컨인에게는 공식적으로 성이 없으며, 알려진 이름들은 실제 벌컨 이름을 라틴 문자와 영어식 발음으로 근사하게 표기한 것이다. TOS 에피소드 "낙원의 이쪽"에서 스팍은 다른 이름이 있냐는 질문에 "발음할 수 없을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벌컨족은 철저한 논리적 사고와 감정 억제를 특징으로 하는 외계 종족으로, 지구인과 가장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종족 중 하나이다. 고대에는 지구인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거칠고 격렬한 감정을 지녔으나, 철학자 수락(Surak)의 가르침과 혹독한 수련을 통해 감정을 통제하고 논리를 중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감정 억제에 반발하여 벌컨을 떠난 이들이 후에 로뮬란인이 되었다는 설정이 있다. 벌컨인들은 행성 연방의 주요 구성원으로, 지구인을 비롯한 타 종족과 협력하면서도 때로는 의견 충돌을 겪기도 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동반자로 그려진다. 대표적인 벌컨인 캐릭터로는 스팍(벌컨인과 지구인 혼혈), 투복, 투폴 등이 있다.[43]

벌컨은 2063년 4월 5일, 워프 항법에 성공한 지구인 제프람 코크레인과 퍼스트 컨택트를 가진 첫 외계 종족이다.[44] 이는 지구인의 공식적인 첫 외계 문명과의 조우로 기록된다 (영화 ''스타 트렉: 퍼스트 컨택트''). 이후 벌컨은 기술적으로 미성숙했던 인류에게 정신적 성숙을 요구하며 항성간 항행 기술 전수를 2151년까지 보류하기도 했다. 초기에는 지구인이나 안도리아인과 긴장 관계에 있었으나, 엔터프라이즈 NX-01의 조나단 아처 함장의 중재를 통해 관계가 개선되어 2161년 지구, 안도리아, 테랄라이트인과 함께 행성 연방을 공동 창립했다. 31세기에는 다이리튬 고갈 문제로 연방을 탈퇴하고 모성의 이름을 "니바(Ni'Var)"로 바꾸었으나, 이후 U.S.S. 디스커버리 승무원들의 노력으로 잠정적으로 연방에 복귀했다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

5. 1. IDIC

IDIC를 상징하는 Kol-Ut-Shan 펜던트의 그래픽 표현


''스타 트렉''에서 IDIC(Infinite Diversity in Infinite Combinations|무한한 조합 속의 무한한 다양성영어)는 벌컨의 핵심적인 평등 철학을 나타낸다. 이는 서로 다른 존재들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이상을 추구하는 사상이다. IDIC는 시각적으로 서로 위에 놓인 원과 삼각형이 있는 황금색과 백금색 펜던트로 상징되며, 중앙에는 흰색 보석(파블라이트)이 장식되어 있다.[33] 철학자 슬락(Surak)이 제창한 이 사상은 벌칸인들이 텔레파시를 이용한 정신 융합을 통해 격렬한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는 기초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감정 기복이 심한 청년기에는 IDIC 수련이 필수적이며, 논리를 부정하는 이에게는 벌칸 마스터라 불리는 장로가 이를 직접 가르치기도 한다. 투복 역시 이러한 과정을 거쳤다.

IDIC 펜던트는 원래 ''스타 트렉''의 창시자 진 로덴베리가 팬 대상 우편 주문 상품으로 직접 디자인한 것이다. 첫 시즌 방영 이후 팬들의 관련 상품 요청이 늘자, 로덴베리의 우편 주문 회사인 링컨 엔터프라이즈를 통해 스크립트 사본, 필름 클립 등과 함께 판매되었다.[34] 로덴베리는 원과 삼각형 디자인을 선호하여 첫 시즌의 "아콘의 귀환" 에피소드부터 사용하려 했다. ''인사이드 스타 트렉'' 편집자 루스 버먼에 따르면, 보석 애호가이자 아마추어 보석 세공인이었던 로덴베리는 레너드 니모이에게 직접 만든 펜던트(광택 처리된 황금색 원과 플로렌티네 백금색 삼각형, 중앙에는 레이저 산업에서 개발된 인공 보석 파블라이트 장식)를 선물한 뒤, 이에 어울리는 벌컨 철학으로서 IDIC 개념을 고안해냈다.[35]

윌리엄 샤트너는 그의 저서 ''스타 트렉 메모리즈''에서 IDIC가 상업적 목적으로 "진실에는 아름다움이 없는가?" 에피소드에 뒤늦게 삽입되었다고 주장했다. 배우들은 이것이 상품 홍보용 소품임을 인지했으며, 레너드 니모이가 착용을 거부하자 샤트너에게 제안되었으나 그 역시 거절했고, 결국 니모이가 마지못해 착용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촬영 직전 로덴베리가 스팍의 장황한 IDIC 설명 장면을 추가하려 했으나, 배우들의 반대로 수정되었다고 한다.

한편, 마젤 배럿은 ''휴머니스트''와의 인터뷰에서 IDIC 철학이 랍비 마이모니데스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36]

IDIC는 상업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이후 작가와 세트 디자이너들에 의해 ''스타 트렉'' 프랜차이즈 전반에서 중요한 테마로 자리 잡았다. 스팍은 중요한 의식에서 정복의 일부로 IDIC 상징을 착용했다. ''TOS'' 에피소드 "진실에는 아름다움이 없는가?"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스타 트렉 2: 칸의 분노'', ''스타 트렉 3: 스포크를 찾아서'', ''스타 트렉 6: 미지의 세계''에서 스팍의 숙소 장식으로 등장했다. 시리즈 ''스타 트렉: 엔터프라이즈''에서는 T'Pol이 어머니 T'Les에게 IDIC 펜던트를 받았고, "테라 프라임" 에피소드에서 이를 들고 슬퍼하는 모습이 나온다. "안도리아 사건" 에피소드에서는 P'Jem 지하 묘지 지도 제작에 사용된 놀이 조각에 IDIC 상징이 나타난다. ''DS9'' 에피소드 "제머해더"에서는 쿼크가 벌컨 IDIC 핀 판매를 언급하며, "홀로스위트로 데려가 줘" 에피소드에서는 솔록 선장과 그의 벌컨 팀 로지션들이 IDIC 상징이 새겨진 야구 모자를 착용한다.

IDIC 철학에 동의하지 않고 감정을 중시하며 벌칸을 떠난 이들이 후일 로뮬란인이 되었다는 설정이 있다. 스팍은 24세기에 로뮬란과 벌칸의 재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며, 3189년경에는 두 종족이 "니바"라는 이름 아래 재통합되었다 (''DSC'' 시즌 3).

벌칸인들은 IDIC 철학에 따라 논리적 사고와 정신 수양을 중시하며, 개인 시간에 명상이나 칼토(퍼즐의 일종) 같은 활동을 한다. 정신 융합은 정신 수양의 중요한 방법이지만, 양날의 검이 될 수 있어 높은 수준의 정신 연마가 요구된다. 정신 융합은 벌칸인 외 다른 종족도 사용할 수 있으며 (''PIC'' 시즌 1에서 인공 생명 수트라가 사용), 언어 장벽 극복이나 정보 추출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무술 역시 정신 수양의 일환으로 행해지며, 투복은 궁술의 달인이고 사렉은 뛰어난 격투 실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모든 벌칸인이 감정 억제만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감정 개방이나 논리와의 조화를 주장하는 이들도 존재하지만, 이들은 주류 벌칸 사회에서 이단으로 간주된다. 아이러니하게도, 벌칸 정신 수양의 핵심인 정신 융합을 고대 문헌에서 재발견한 것은 이들 이단파였다. 반대로, 벌칸의 논리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행성 연방 탈퇴를 주장하는 분파도 존재한다.

5. 2. 결혼

벌컨 사회에서는 어린 시절 남성과 여성을 미리 정해두는 정략결혼 풍습이 있다.[29] 이 관계는 단순한 "약혼"보다는 더 깊지만 완전한 "결혼"보다는 덜한 개념으로, 스팍은 이를 인간 사회의 방식으로는 정확히 설명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스팍이 처음에 T'Pring을 자신의 "아내"라고 불렀다가 나중에 정정한 것도 이 때문이다.

성인이 된 후 정해진 상대와 결혼이 이루어지며, 폰 파(pon farr) 상태가 결혼의 필수 조건은 아니다. 결혼한 부부는 일반적으로 벌컨 행성에서 최소 1년을 머무는 것이 관례이지만, 남성의 가족과 협의하여 이 기간을 조정할 수도 있다.

벌칸 여성은 koon-ut-kal-if-fee|쿤-웃-칼-리프-피eng("결혼 아니면 도전")를 선언하여 정해진 결혼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자와 약혼한 남성은 목숨을 건 결투를 벌여야 한다.[29] 또한, 약혼한 남성은 약혼녀를 거부하고 다른 상대를 선택할 권리가 있다. 남성이 배우자를 결혼 관계에서 "해방"시키는 것, 즉 사실상의 이혼도 가능하다.[30] 여성에게도 동일한 권리가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T'Pring은 "아목 타임" 에피소드에서 쿤-웃-칼-리프-피 도전이 스팍과 법적으로 헤어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언급했다.[29]

대부분의 벌컨 결혼이 어린 시절 정해지지만, 배우자가 없는 성인 벌칸은 koon-ut-so-lik|쿤-웃-소-릭eng이라는 의례적인 결혼 제안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안받은 상대는 결혼을 수락하거나 도전할 수 있다.

5. 3. 전투 및 자기 방어

TOS 에피소드 "야만적인 커튼"에서 수락은 커크에게 벌칸의 폭력적인 역사와 그들의 문명을 구원한 평화로의 전환에 대해 설명하며 싸우지 않겠다고 말한다. 반면 스팍은 자신이 과거에 싸웠고 앞으로도 싸울 수 있지만, 그 역시 "평화를 위해 길러진 벌칸인"이라고 언급한다. 이는 벌칸족이 평화를 중시하지만 필요할 때는 자신을 방어할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벌칸인들은 "벌칸 신경 압박"(Vulcan nerve pinch) 또는 "목 조르기"로 알려진 독특한 자기 방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머리와 어깨 사이의 목 부분을 정확히 압박하여 상대를 즉시 무의식 상태로 만드는 방식이다. 이 기술은 ''TOS'' 에피소드 "벌거벗은 시간"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정확한 작동 원리는 설명된 바 없다.

주로 벌칸인들이 사용하는 기술이지만, 벌칸 종족만의 전유물은 아니다. 조나단 아처와 장 뤽 피카드는 각각 벌칸의 텔레파시 의식(아처는 수락의 카트라, 피카드는 사렉과의 마음 융합)을 경험한 후 이 기술을 사용했다. 보이저 시리즈의 세븐 오브 나인 역시 ''보이저'' 에피소드 "까마귀"에서 이 능력을 사용했으며, 안드로이드인 데이터도 ''TNG'' 에피소드 "통일, 파트 II"에서 신경 압박을 선보여 스팍으로부터 "나쁘지 않군"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에서는 마이클 번햄이 필리파 조지우 함장에게 신경 압박을 가하고 반란을 시도하는 장면이 나온다.

벌칸 신경 압박 기술(대본에서는 "FSNP" 또는 "유명한 스팍 목 조르기"[31]로 불림)은 스팍 역을 맡은 배우 레너드 니모이가 직접 고안했다. 그는 `TOS` 에피소드 "내부의 적"에서 스팍이 사악한 분신 커크를 페이저 자루로 때려 기절시키는 장면에 반대했다. 니모이는 이러한 폭력적인 방식이 논리적인 벌칸인 스팍의 성격에 맞지 않다고 생각했고, 비감정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제압 수단으로 신경 압박을 제안했다.[32]

이 기술은 전투를 선호하지 않는 벌칸인들이 부득이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최후의 수단으로 여겨진다. 벌칸 신경 압박은 매우 강한 악력과 섬세한 손끝 감각을 요구하기 때문에 다른 종족이 습득하기는 매우 어렵다.[48] 이 기술은 휴머노이드 형태의 생명체 대부분에게 효과적이지만, 보그와 같이 특수한 생리 구조를 가진 종족에게는 통하지 않을 수 있다.

벌칸인들은 모성의 높은 중력과 희박한 대기에 적응하여 강인한 신체 능력을 지니고 있다. 인간과 비교했을 때 근력과 순발력이 약 3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7], 이는 전투나 자기 방어 상황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또한, 오랜 수련을 통해 발달한 텔레파시 능력을 사용하여 상대방과 정신적으로 접촉하거나, 경우에 따라 상대를 기절시킬 수도 있다.

6. 대표적인 벌칸인


  • 스팍 (TOS, 극장판 1~6편, 11편, SNW)
  • 벌칸인 아버지 사렉과 지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로, 오리지널 시리즈부터 다양한 작품에 등장하는 핵심 인물이다. 철저한 논리와 감정 억제를 중시하는 벌칸 사회와 감성적인 인간 사이에서 정체성의 고민을 겪지만, 뛰어난 능력으로 엔터프라이즈 호의 중요한 임무들을 수행하며 커크 함장의 가장 신뢰받는 동료이자 친구가 된다. 그의 존재는 서로 다른 문화와 종족 간의 이해와 화합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1965년 오리지널 파일럿 에피소드 "더 케이지"에 처음 등장했으며, 배우 레너드 니모이가 연기했다.[2] 영화 리부트 시리즈에서는 재커리 퀸토가 젊은 시절의 스팍을 연기했다.
  • 사렉 (TOS, 극장판, TNG, DSC)
  • 스팍의 아버지이자 존경받는 벌칸 대사. 행성연방과 다른 종족들 사이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지구와의 관계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논리적인 벌칸 사회의 일원이면서도 아들 스팍이나 인간 아내 아만다와의 관계를 통해 감정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그의 외교적 노력은 행성연방의 평화와 협력이라는 이상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 투복 (VOY)
  • USS 보이저 호의 보안 장교이자 전술 장교. 벌칸인 특유의 냉철한 판단력과 뛰어난 전투 능력, 그리고 정신 융합 능력을 바탕으로 델타 분면에서 길을 잃은 보이저 승무원들의 안전을 지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캐서린 제인웨이 함장의 신뢰받는 조언자였으며, 때로는 인간 동료들의 감정적인 면에 당황하면서도 그들을 이해하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 투폴 (ENT)
  • 22세기 초, 인류 최초의 워프 5 우주선 엔터프라이즈 NX-01에 파견된 벌칸 과학 장교. 처음에는 미숙하고 감정적이라고 여겼던 인간들을 관찰하고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조나단 아처 함장 및 승무원들과 함께 여러 위기를 헤쳐나가면서 점차 그들을 신뢰하고 존중하게 된다. 그녀의 존재는 벌칸과 지구 사이의 초기 불신 관계를 극복하고 미래의 행성연방 창립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했다.[43]
  • 투플링 (TOS, SNW)
  • TOS 제34화 "벌칸인의 비밀"에 등장한 스팍의 약혼녀. SNW에서는 그녀와의 약혼 과정과 범죄자 갱생 관련 일을 하는 모습 등이 더 자세히 그려진다.
  • 소발 (ENT)
  • 22세기 중반의 지구 주재 벌칸 대사. 초기에는 지구인을 미숙하고 위험한 종족으로 여겨 우주 진출을 견제하는 입장이었다. 특히 엔터프라이즈 NX-01의 임무 수행에 비판적이었으나, 조나단 아처 함장과 승무원들이 보여준 능력과 외교적 성과, 특히 진디 위기 해결 등을 통해 점차 지구인에 대한 인식을 바꾸게 된다. 2154년 지구 대사관 폭탄 테러 사건 당시 자신을 구하려다 맥스웰 포레스트 제독이 희생된 이후, 명확하게 친지구적인 입장을 취하며 양측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 겉으로는 고압적으로 보였지만, 사실은 인정 많고 지구인에게도 친밀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선천적으로 정신 융합 능력을 가진 융합자이기도 했다.
  • 블라스 (ENT)
  • 22세기 중반 벌칸 정부의 행정 장관. 로뮬란과 비밀리에 내통하며 설락의 가르침을 왜곡하고, 벌칸 사회를 불관용적이고 편협하게 만들려 했다. 이는 벌칸 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행위로 평가받으며, 2154년 시민 혁명으로 결국 실각하게 된다.
  • 콰크 (ENT)
  • 22세기 중반 벌칸 정부 대신. 블라스의 잘못된 정책에 반대하며 대립각을 세웠다. 2154년 혁명 이후 블라스가 실각하자 벌칸 정부의 중심 인물로 부상하여, 과거의 잘못된 간섭 정책을 폐기하고 지구와의 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 투파우 (ENT, TOS)
  • 22세기 중반의 반정부 활동가이자 설락의 참된 가르침을 따르는 시라나이트의 지도자. 블라스 정권의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활동했으며, 2154년 혁명 이후 새로운 최고 사령관으로 취임하여 왜곡되었던 설락의 가르침을 바로 세우고 벌칸 사회를 재건하는 데 헌신했다. TOS 제34화 "벌칸인의 비밀"에서는 노년의 모습으로 등장하여 여전히 벌칸 사회에서 존경받는 지도자임을 보여준다.
  • 블라 대사 (ENT)
  • 22세기 중반 마자르 행성 대사를 지낸 외교관. 마자르 정부의 부정을 폭로하기 위해 스스로 오명을 쓰고 추방당하는 길을 택했다. 벌칸의 문화와 관습을 객관적으로 보면서도 지구의 문화와 예절, 심지어 농담까지 이해하고 구사할 줄 아는 등, 이종 문화를 존중하는 매우 유연하고 사교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ENT 제23화 "Fallen Hero")
  • 밸릭 (ENT)
  • 2137년에 찰스 터커 3세에게 이성 생물학을 가르쳤던 교사.
  • 메노스 (ENT)[51]
  • 22세기 중반, 아갈론 행성의 부패한 정치 조직을 소탕하기 위해 성형 수술을 받고 잠입했던 벌칸 요원 중 한 명. 임무는 성공했지만, 일부 요원들처럼 그 역시 부패의 영향을 받아 범죄에 연루되었다. (ENT 제33화 "The Seventh")
  • 투레스 (ENT)
  • 투폴의 어머니이자 전 벌칸 과학 아카데미 교사. 프젬 수도원 파괴 사건 이후 벌칸 보안성의 압력으로 퇴직했다. 숨겨진 시라나이트였으며, 젊은 투파우에게 영향을 주고 조나단 아처 함장의 생명을 존중하는 등 동시대 벌칸인들에 비해 온화하고 개방적인 모습을 보였다. 터커에게 투폴에 대한 마음을 전하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ENT 제84화 "Awakening"에서 사망한다.
  • 투미아 (ENT)[52]
  • 1957년 지구 최초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관측 임무 중 펜실베이니아주 카본 크릭에 불시착한 벌칸 과학 조사선의 부함장. 투폴의 증조할머니이다. 처음에는 지구인을 미개하다고 혐오했지만, 마을 사람들과 교류하며, 특히 학문에 대한 열정을 가진 청년 잭을 만나면서 인식을 바꾸어 간다. 자신이 발명한 벨크로 기술을 팔아 잭의 대학 학비를 몰래 지원해주기도 했다. 구조 후 벌칸으로 귀환했지만, 지구에 남기를 원한 동료 메스트랄을 위해 허위 보고를 해주는 등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그녀가 지구에서 가져간 가방은 200년 후 투폴에게 전해진다.
  • 메스트랄 (ENT)
  • 1957년 투미아와 함께 지구에 불시착한 벌칸 과학 조사선 승무원. 당시 벌칸인답지 않게 매우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를 가졌다. 지구의 문화(야구, 텔레비전 등)에 매료되고 지구인들에게 호감을 느껴 귀환을 거부하고 지구에 남았다. 그의 결정은 문화적 다양성과 교류의 가치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벌칸 공식 기록에는 사망한 것으로 처리되었다. 그의 이름은 훗날 엑셀시어 II급 연방 우주선 U.S.S. 메스트랄 NCC-42027에 붙여졌다. (PIC 시즌3 제6화)
  • 스트란 (ENT)
  • 1957년 투미아, 메스트랄과 함께 지구에 불시착한 벌칸 워프 필드 엔지니어. 카본 크릭에서 배관공으로 일했다. 지구인에게 혐오감을 느꼈지만, 벌칸인답게 성실하여 구조선 도착이 임박했음에도 "약속했으니까"라며 수리 약속을 지켰다. 메스트랄의 잔류 결정을 못마땅해했지만, 투미아의 허위 보고를 묵인해주었다.
  • 소록 (DS9)
  • 행성연방 우주 함대 대령이자 네뷸라급 U.S.S. 투칸브라의 함장. 벌칸인 우월주의에 빠져 자신의 함선 승무원을 모두 벌칸인으로만 구성했다. 타 종족과의 경쟁에서 이겨 상대가 분해하는 모습을 즐기는 뒤틀린 성격을 가졌으나, 지휘관으로서는 유능하여 도미니언 전쟁에서 활약하고 크리스토퍼 파이크 훈장을 2회 수훈했다. 벤자민 시스코 사령관과는 함대 아카데미 시절부터 이어진 악연이 있다. 그의 모습은 벌칸 사회 내에서도 존재할 수 있는 배타성과 차별 의식의 문제점을 보여준다.
  • 투리나 (DSC)
  • 3189년 시점, 벌칸과 로뮬란이 통합된 니바르 행성의 대통령. 분열과 고립주의를 넘어 행성 연방으로의 재가입을 추진하며 미래지향적인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투폴 역의 조린 블레이록.

참조

[1] episode Court Martial
[2] 웹사이트 An Oral History of "Star Trek"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21-08-04
[3] 웹사이트 Star Trek: 20 Alien Races That Completely Changed (And It Made No Sense) https://screenrant.c[...] 2021-08-04
[4] 웹사이트 How Star Trek Almost Failed to Launch https://newrepublic.[...] The New Republic 2021-08-04
[5] episode Operation -- Annihilate!
[6] episode The Forge
[7] episode A Private Little War
[8] 문서 Star Trek: The Original Series episode "All Our Yesterdays"
[9] 문서 Star Trek: Enterprise episode: "Home"
[10] 문서 Star Trek: Voyager episode "Repression"
[11] 문서 The Maquis (Star Trek: Deep Space Nine)
[12] 문서 Star Trek:TOS "Amok Time"
[13] 서적 Captains' Logs: The Unauthorized Complete Trek Voyages Little Brown & Co
[14] 문서 Voyager episode "Blood Fever"
[15] 문서 TOS episode "Amok Time"
[16] 문서 USS Voyager episode pon farr
[17] episode This Side of Paradise
[18] episode Sarek
[19] episode Muse
[20] 웹사이트 How Do Vulcans Get in the Mood for Sex if They Are Emotionless? | Read | The Take https://the-take.com[...] 2016-03-20
[21] 서적 The Making of Star Trek 1967
[22] 문서 "Dagger of the Mind" and "Devil in the dark"
[23] 문서 "The Immunity Syndrome", "A Taste of Armageddon", and "By Any Other Name"
[24] 문서 Star Trek III: The Search for Spock
[25] 웹사이트 The Star Trek Transcripts http://www.chakoteya[...] 2015-09-26
[26] 웹사이트 Excellent Vulcan research, all canon sources: compiled by Brightstar on Geocities http://www.spockands[...] 2015-09-26
[27] AV media Marc Okrand on Klingon https://www.youtube.[...] 2015-09-26
[28] 서적 The Making of Star Trek Ballantine
[29] 웹사이트 Star Trek http://www.startrek.[...] 2015-09-26
[30] 간행물 Babel One Star Trek: Enterprise, Episode 4/12 2005-01-28
[31] 서적 The Star trek encyclopedia : a reference guide to the future Pocket Books 1999
[32] 뉴스 The Day Leonard Nimoy Created Spock's Neck-Pinch https://www.prnewswi[...] 2021-10-27
[33] video Star Trek: Voyager - Gravity Paramount Pictures 1999-02-03
[34] 서적 The City on the Edge of Forever Open Road
[35] 간행물 Inside Star Trek 1968-07
[36] 간행물 "The Legacy of ''Star Trek''" The Humanist 1995-07
[37] 서적 Star Trek: Star Charts Pocket Books 2002
[38] 웹사이트 Vulcan's Sun https://web.archive.[...] 2011-04-21
[39] 뉴스 Spock's home world has been discovered (sort of) https://www.science.[...] 2018-09-18
[40] episode Carbon Creek
[41] episode Breaking the Ice
[42] 문서 英語表記に準じたカタカナ表記は'''ヴァルカン'''だが、シリーズ作品の日本語字幕では基本的に'''バルカン'''と表記されている。
[43] 문서 宇宙大作戦の時代の後付け設定では「男性名は必ず『S―』、女性名は必ず『T'-』から始まる」とされていたが、宇宙大作戦の劇場版以降の作品ではなかったことにされている。ちなみに、英語の綴りは、トゥヴォックは「Tuvok」、トゥポルは「T'Pol」(後者は「T」の後に母音がない)と、明確に区別されている。
[44] 문서 あくまで公式なのは、1947年にはクワークらが、1950年代にはトゥポルの曾祖母がすでに地球に降り立っている等の例があるため
[45] 문서 ENTでは太目のバルカン人も出ている。
[46] 문서 TOS第20話「宇宙軍法会議」では心臓の鼓動音が確認されているのに、宇宙大作戦「細菌戦争の果て」では心臓そのものが無いと描写される等の矛盾がある。また劇場版第13作[[スター・トレック BEYOND]]では人間の肝臓の位置に心臓があることになっている。
[47] 문서 TOS第29話「デネバ星の怪奇生物」、ENT第83話「狙われた地球大使館」
[48] 문서 劇場版第3作『[[スタートレックIII ミスター・スポックを探せ!]]』においてスポックが[[レナード・マッコイ|ドクター・マッコイ]]に乗り移っている時に試みた際には失敗している。『[[新スタートレック]](TNG)』に登場するアンドロイド・[[データ (スタートレック)|データ]]はこれを簡単にやってのけ、スポックから「やるね(Not bad)」と称賛を受けた。
[49] 문서 VOYの[[トゥヴォック]]は、妻に会えないのでポンファーの時期をホロデッキで過ごす。さらに[[トム・パリス]]や[[ハリー・キム]]にポンファーの時にできた娘から年齢を計算されている。
[50] 문서 熱血漢のカークが思わず漏らした[[スラング]](例えば「[[光子魚雷]]をぶちまけろ!」など)に対して、スポックが「船長、その表現は非論理的です」と反応するやりとり等。
[51] 문서 メノス(Menos)役は、ブルース・デーヴィソン (Bruce Davison)が演じている。日本語版の吹替えは[[牛山茂]]で、[[牛山茂]]は他に『[[新スタートレック]]』の[[ローア]]と「[[スタートレックV 新たなる未知へ|【映画】スタートレックV 新たなる未知へ]]」では[[ヒカル・スールー]]等の吹替えをしている。
[52] 문서 トゥミア役はトゥポル役のジョリーン・ブレイロックが演じ、日本語版の吹替もトゥポル役の[[本田貴子]]が担当し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