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바는 '지팡이를 든 자' 또는 '마법 지팡이를 든 자'를 의미하며, 고대 게르만 사회에서 예언, 치유, 저주 등 다양한 주술적 행위를 수행한 여성 예언자를 지칭한다. 이들은 세이드라는 의식을 통해 미래를 예견하고 공동체에 봉사했으며, 사회 지도층과 연결되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역사적으로는 간나, 발루부르크, 감바라 등이 기록되었으며, 그들의 활동은 로마 작가들에 의해 언급되기도 했다. 볼바는 지팡이, 환각 식물 등을 사용했으며, 기독교화 과정에서 부정적인 시각으로 변화하며 점차 소멸되었다. 현대에는 게르만 신이교주의 운동에서 부활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문학, 예술, 소행성 명명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샤머니즘 - 세이드
세이드(Seiðr)는 고대 노르드 마법의 한 형태로, 주로 여성인 볼바가 시술했지만 남성도 행했으며, 점술과 조작 마법을 포함하는 종교적 의식으로, 바이킹 시대에는 남성이 행하는 것이 남성답지 못하다고 여겨졌으나, 프레이야 여신과 오딘 신도 관련되어 현대 이교주의에서도 재해석된다. - 유럽의 샤머니즘 - 노아이디
노아이디는 사미족의 전통적인 치유자이자 보호자로서, 정령과의 소통을 통해 질병 치료, 사냥 성공 등을 돕고, 북과 요이크를 중요한 도구로 사용했으며, 역사적으로는 탄압받기도 했다. - 공희 - 부장품
부장품은 고인과 함께 매장되는 물건으로, 장례 의식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사회적 지위, 신앙, 사후 세계관을 반영하는 지표로서 고고학 연구에 활용되고 현대 장례 문화에도 남아있다. - 공희 - 봉선
봉선은 고대 중국 황제가 하늘과 땅에 제사를 지내는 의식으로, 태산에서 주로 거행되었으며, 진시황부터 건륭제까지 여러 황제에 의해 거행되었고, 현대에는 전통을 계승하는 축제가 열리고 있다.
볼바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스파코나 (spákona), 뵐바 (völva) |
유형 | 예언자 또는 마법사 |
성별 | 여성 |
문화 | 게르만족 |
어원 | |
뵐바 (völva) | 고대 노르드어로 "지팡이를 든 자"를 의미 |
세이드 (seiðr) | "앉기"를 의미하는 단어와 관련 |
역할 및 능력 | |
주요 역할 | 미래를 예언하고 마법을 행하는 것 |
능력 | 영혼과 소통 미래를 보는 능력 저주나 축복을 내리는 능력 날씨를 조종하는 능력 질병을 치료하는 능력 |
도구 | 마법 지팡이 (vǫlva의 상징) 세이드 의식 도구 |
사회적 위치 | |
지위 | 존경받는 동시에 두려움의 대상 |
역할 | 공동체의 중요한 구성원 |
의식 | |
세이드 (Seiðr) | 트랜스 상태 유도 영혼과의 소통 미래 예지 |
특징 | 노래와 주문 사용 특정한 장소와 도구 사용 |
역사적 증거 | |
문헌 기록 | 사가 에다 |
고고학적 증거 | 무덤에서 발견된 마법 지팡이 의식 도구 |
종교적 의미 | |
노르드 신화 | 신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 역할 수행 |
게르만족 이교 | 중요한 종교적 인물 |
현대적 영향 | |
신이교주의 | 현대 이교에서 중요한 역할 |
대중 문화 | 판타지 문학 및 게임 등에서 등장 |
2. 명칭 및 어원
볼바(vǫlvanon)는 "지팡이를 든 자" 또는 "마법 지팡이를 든 자"를 의미하며,[16] 이는 볼바가 의식에 사용한 지팡이와 관련이 있다. 게르만 조어의 은 wand (고대 노르드어로 vǫlrnon)의 어원이다.[17] 발라(vala)는 볼바(vǫlvanon)에 기반한 문학적인 형태이다.[17]
로마 시대 기록에는 게르만족 사회에서 여성 예언자의 역할과 영향력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킴브리족의 여성 예언자들은 흰 옷을 입고 전쟁 포로를 제물로 바쳐 미래를 예측했다.[3]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게르만족의 안주인들이 점을 쳐서 전쟁의 결과를 예측했다고 기록했고[22], 타키투스는 게르만족이 여성을 예언자로 존경하고 신성하게 여겼다고 기록했다.[2] 요르다네스는 고트족의 할리우루나스(haliurunas)라는 여성 예언자들이 부족에서 추방되어 훈족을 낳았다고 기록했으며[23], 파울루스 디아코누스는 랑고바르드족의 전설에서 감바라라는 여성 예언자가 오딘의 아내 프리그의 도움을 받아 부족의 승리를 이끌었다고 기록했다.[25]
스파코나(spákona 또는 spækona)는 "예언하는 여자"를 의미하며,[19] 예언 능력을 강조한다. 고대 노르드어의 spá 또는 spæ는 예언과 관련되며, 영어 단어 spy와 어원이 같다.[20]
피요르쿤니그(fjǫlkunnignon)는 "많은 것을 아는 자"를 의미하며,[16] 볼바의 다양한 지식과 능력을 나타낸다.
세이즈코나(seiðkona)는 세이드라는 주술을 행하는 여성을 의미한다.[16]
3. 역사적 기록
카시우스 디오는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와 게르만 민족인 케루스키 출신의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여성과의 만남을 묘사했는데, 그 여성은 드루수스의 죽음을 예견했고, 그는 그 직후에 사망했다고 한다.[4] 타키투스는 브룩테리족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던 미혼 여성 벨레다에 대해서도 기록하고 있다.[1]
카시우스 디오는 간나라는 예언자를 언급했는데, 간나는 셈노네스족의 왕인 마시요스와 함께 로마로 소환되어 로마 황제를 알현하고 명예로운 대우를 받은 후 귀국할 정도로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2]
볼가 불가르로 파견된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의 기록에는 인신공양에 대한 상세한 목격 기록이 나오는데, 스칸디나비아의 족장의 장례식 묘사에 따르면, 자원한 노예 소녀가 주인을 위해 죽었고, 10일간의 제사 후, 그녀는 노파("죽음의 천사"라고 불리는 무당의 일종)에게 찔려 죽었고, 족장의 배에서 그와 함께 불태워졌다고 한다. (오세베르그 배 참조)
3. 1. 주요 인물
이름 | 시기 | 부족/국가 | 출전 | 비고 |
---|---|---|---|---|
벨레다 | 1세기 | 브룩테리족 | 타키투스의 역사 | 로마인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한 미혼 여성 예언자. 게르만의 성공과 로마 군단의 전멸을 예언했다.[1] |
간나 | 1세기 | 셈노네스족 | 카시우스 디오 | 마시요스와 함께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를 알현하고 명예로운 대우를 받았다. 그녀의 이름은 "마법 지팡이를 가진 자"로 해석될 수 있다.[2] |
발루부르크 | 2세기 | 셈노네스족 | 이집트 엘레판티네 섬에서 발견된 그리스어 비문 | 이름이 새겨진 오스트라콘이 발견되었다. "Waluburg. Se[m]noni Sibylla" (발루부르크, 셈노네스족의 시빌)로 기록되었다.[3] |
감바라 | 7세기 | 랑고바르드족 | 오리고 젠티스 랑고바르도룸, 히스토리아 랑고바르도룸 | 부족의 이주와 관련된 전설에 등장한다. 프리그의 도움을 받아 오딘을 속여 부족에게 승리를 가져다주었다. "지팡이 소지자"로 해석될 수 있다.[4] |
Heiðr (헤이드) | ? | ? | 흐롤프 사가 크라카, 란데모북, 외르바르-오드 사가 | 고대 노르드어 문헌에 등장하는 다양한 예언자의 이름. 굴베이그와 동일시되기도 한다.[5] |
토르비요르그 리틸볼바 | ? | 그린란드 | 에이리크 사가 라우다 | 그린란드의 스칸디나비아 농장을 방문하여 미래를 예측했다. 상세한 복장과 의식 묘사가 남아있다. |
토르디스 스포코나 | 10세기 | 아이슬란드 | 바트스달라 사가, 코르마크 사가 | 10세기 아이슬란드 예언자이자 지역 지도자[6] |
토르디르 스포코나 | ? | 아이슬란드 | 란데모북 | |
투리드 선다필리르 | ? | 아이슬란드 | 란데모북 | |
이름 없는 예언자 | ? | ? | 볼루스파, 볼루스파 힌 스캄마 | 고대 노르드어 코퍼스에서 다양한 맥락으로 등장한다. 볼루스파에서는 오딘에게 과거와 미래에 대한 정보를 읊는다. |
4. 북유럽 사회에서의 역할
볼바는 샤머니즘, 마법, 예언 등 다양한 주술적 행위를 통해 공동체에 봉사했다. 이들은 정착지를 돌아다니며 예언, 치유, 저주 등 다양한 의뢰를 수행하고 그 대가를 받았다.[28] 볼바는 사회 최고위층과 연결되어 있었고, 상당한 권위와 존경을 받았다.[21]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는 저서 ''게르마니아''에서 고대 게르만 사회에서 여성과 예언자의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타키투스는 게르만족이 로마 황제보다 게르만 여인들과 함께 하는 것이 더 명예롭다고 언급하며 그들의 힘을 강조했다.[2]
여성 볼바는 여신 프레이야와 연결되어, 프레이야의 지상 대리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졌다.[7] 프레이야는 사랑의 여신일 뿐만 아니라 고통, 유혈 사태, 죽음을 일으키는 호전적인 신이기도 했다. 프레이야가 신들의 세계인 아스가르드에서 이러한 역할을 했다면, 볼바는 인간의 세계인 미드가르드에서 그 역할을 수행했다.[21]
키예프의 올가는 기독교로 개종하기 전 볼바, 즉 "프레이야의 여사제"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있다.[7] 그녀는 새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었는데, 이는 마법(세이드)의 여신 프레이야에게도 해당되는 특징이다.[7]
남성 볼바도 존재했지만, 여성 볼바만큼 존경받지 못했고, 때로는 멸시와 박해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26] 노르웨이의 기독교화 과정에서 올라프 1세 트리그바손은 남성 마법사(seiðmenn)들을 묶어 조수 때 암초에 던져 익사시켰다.[45] 이는 마법이 여성의 영역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며, 남성이 마법을 행하는 것은 에르기(여성스러움)로 간주되어 멸시와 박해를 받았다.[45]
5. 주술 행위
볼바는 샤머니즘, 마법, 예언 등을 포괄하는 세이드(seiðr), 예언(spá), 갈드르(galdr) 등 여성과 관련된 다양한 주술 행위를 했다. 특히 세이드는 남성에게 굴욕적인 에르기(ergi)를 동반했다.
역사적, 신화적 기록에 따르면 볼바는 매우 존경받았으며, 오딘조차 조언을 구할 정도로 강력한 존재였다. 《무녀의 예언》, 《스비프다그의 노래》, 《붉은 머리 에이리크의 사가》, 《윙글링가 사가》 등에 등장하는 그로아, 솔비요르그, 훌드 등이 대표적인 볼바이다.
볼바는 무해한 존재만은 아니었다.[21] 마법에 능숙한 여신 프레이야처럼, 볼바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전투에 영향을 미쳤다.[21]
세이드(seiðr)스칸디나비아 자료에서 예언자들은 세이드라고 불리는 의식을 수행하며 예언자 역할을 했다. 이는 샤머니즘과 연관된 '세이드할르'(seiðhjallr)라고 불리는 의식 플랫폼 위에서 이루어졌다. 이들은 정착지를 돌아다니며 의식을 수행하는 전문가로 묘사되었으며, 후기 자료에 따르면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받았다.
갈드르(galdr)로마 시대에 암송에 대한 게르만어 단어는 원시 게르만어 *''ʒalđran''과 유사했으며, 이는 나중에 고대 노르드어 ''galdr''("노래, 매력; 마법, 요술")로 진화했다. 이는 *''ʒalanan''에서 파생되었으며, 영어 ''나이팅게일'' 및 ''yell'', 라틴어 ''gallus''("수탉")와 관련이 있다. 암송의 많은 용도는 ''galdr''에서 파생된 단어에서 드러나며, 예를 들어 ''galdrabók''("마법서"), ''galdrasmiðja''("마법에 사용되는 물건") 등이 있다. 현대 스웨덴어 단어 ''galen''("미친", 문자 그대로 "암송된")은 이 관행에서 파생되었다.
노래에 대한 다른 이름은 ''varðlok(k)ur''와 ''seiðlæti''이며, 후자는 단순히 "세이드르 노래"를 의미한다. 전자는 "영혼을 유혹하는 것" 또는 "예언자의 힘 아래 영혼을 가두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암송은 높은 음조로 불렸으며, 듣기 좋았다고 전해진다. 《락스델라 사가》에서 암송(''seiðlæti'')의 달콤함은 의도대로 한 소년을 죽음으로 유혹하며, 듣기 좋은 소리는 소환자에게 영혼을 끌어들이는 것으로 이해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높은 음조와 듣기 좋은 암송에 가장 가까운 것은 전통적인 스웨덴의 목축 호출(Kulning)이라고 추정된다.
우티세타(útiseta)모든 볼바가 솔비외른처럼 수행원을 거느리거나 준비를 갖추었던 것은 아니며, 혼자서 세이드를 행할 수 있었는데, 이는 우티세타(útiseta, 문자 그대로 "밖에 앉는 것")라고 불렸다.[42][43] 이는 점을 치기 위한 명상이나 내관을 포함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용어는 "『밖에 앉아 트롤을 깨우고 이교를 행하는』자는 추방된다( útiseta at vekja trǫll upp ok fremja heiðni )"라는 13세기 아이슬란드 법에서 파생되었다.[44]
영혼 투사
''varðlok(k)ur''가 마법사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보호 영을 끌어들였다면, 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보내진 동물 영이 있었다. 마법사의 임무는 영을 제어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영과 마법의 여러 다른 측면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이름은 ''gandr''(복수형 ''gandir'')이다. ''gandr''의 원래 의미는 "마법사의 영혼과 연결되어 잠자는 동안 또는 황홀경에 그 또는 그녀로부터 보낼 수 있는 것"인 것으로 보인다.
''gandr''의 기원은 "마법"을 의미하는 단어 ''gan''-이며, 이는 원초적 심연 ''긴눙가가프''의 이름에서 발견될 수 있다.
''gan''- 공명 변화 등급은 접미사 -''đra''-와 결합되었으며, 이는 ''galdr''의 ''gala''("주문")와 같다. "마법사의 영"(''gandr'')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소환되거나 보내질 수 있으며, 이 영은 동물의 형태를 띠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닐 수 있다.
고대 노르드어 자료에서 명사 ''gandreið''와 동사 ''renna gand''(또는 ''renna gǫndum'')는 아스트랄체에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나가는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물리적인 의미에서 지팡이를 타고 마법적으로 날아가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언자가 얻은 정보를 청중에게 전달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6. 속성
볼바(vǫlva)라는 용어는 '지팡이 소지자'를 의미하며, 점술에 지팡이를 사용하는 것은 고대부터 바이킹 시대까지 이어져 왔다.[8] ''vǫlva''와 그 파생어는 자료에 23번 나타난다.[8] 두 번째로 흔한 용어는 ''spákona''('예언 여성')이며, ''spákerling''('늙은 예언 여성'), ''spámey''('예언 처녀') 등의 변형이 있고, 22번 나타난다. 이 용어들은 ''vǫlva'', ''seiðkona''와 번갈아 사용되어 동일한 여성을 가리킨다.[8] ''vísendakona''('아는 여성')라는 이름도 자료에 8번 나타난다. 에이리크 사가 라우다의 토르비오르그 리틸볼바는 ''vísendakona'', ''vǫlva'', ''spákona''로 불린다.[8]
- 지팡이: 볼바의 상징이자 주술 도구로, 마법적인 힘을 부여하고 영혼을 소환하는 데 사용되었다.[10] 스칸디나비아 고고학자들은 약 40개의 여성 묘에서 지팡이를 발견했는데, 호화로운 부장품과 함께 발견되어 볼바가 사회 최고 지위에 속했음을 나타낸다.[32] 출토된 지팡이 중 일부는 실 감는 막대가 아니라 음경(남근)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 고대 북유럽 사회에서 마법 사용과 성적 특성이 밀접하게 관련되었음을 알 수 있다.[38]
- 의식용 단상(seiðhjallr): 세이드 의식을 거행할 때 사용되는 높은 단상이다.[8] ''세이드얄''이라는 단어는 마법을 수행하는 '주문 발판'을 의미한다.[8]
- 환각제: 독말풀,[8] 대마[9] 등의 환각 식물을 사용하여 의식 상태에 돌입하고 예언 능력을 강화했다.
- 고양이: 여신 프레이야와 관련된 동물로,[9] 볼바의 의상이나 장신구에 자주 등장한다.[9] 에이리크의 붉은 사가에 따르면, 토르비요르그 리틸볼바는 흰색 고양이 가죽 안감의 검은 양 가죽 후드와 고양이 가죽 장갑을 착용했다.[9]
7. 기독교화와 소멸
볼바는 기독교 전파와 함께 이교의 상징으로 여겨져 탄압받았다. 특히 마녀 사냥 시기에는 볼바의 주술 행위가 악마 숭배와 연결되어 박해의 대상이 되었다.[4] 볼바는 악마와의 성관계, 유아 살해 등의 혐의를 받았다.[4] 이러한 혐의는 여성의 성에 대한 교회의 태도를 보여준다.[4]
가톨릭교회는 볼바를 단속하기 위한 법을 제정했다.[5] 10세기 잉글랜드 왕 에드거 치세에 성립된 "제16 교회법"은 마녀, 마법사 등을 추방하고 이교주의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5]
기독교로의 개종은 북유럽 종교를 대체하여 볼바의 소멸로 이어졌다.[5] 중세 이후 볼바의 전통은 점차 소멸되었지만, 민간 신앙과 전설 속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현대에는 유럽과 미국에서 이교 부흥주의와 함께 볼바의 가르침이 부활하고 있다.
8. 현대적 영향
게르만 신이교에서는 게르만 여예언자(볼바)의 개념을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13] 특히 미국의 신이교 분파에서는 게르만 여예언자들의 가르침을 전통적인 미국 가정 생활에 적용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14]
볼바는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는데, 프리드리히 드 라 모트 푸케의 1818년 소설 ''Welleda und Ganna'', 프랑스 조각가 이폴리트 맹드롱의 1844년 대리석 조각상, K. 지그리스트의 삽화 ''Veleda, die Prophetin der Brukterer'', 에두아르트 소볼레프스키의 1836년 오페라 ''Velleda'' 등이 대표적이다.[15]
1965년 아이슬란드 학자 시구르두르 노르달은 컴퓨터에 대한 아이슬란드어 용어인 ''tölva''를 고안했는데, 이는 ''tala''(숫자)와 ''völva''를 결합한 것이다.[12]
소행성 131 발라는 고대 노르드어 ''vǫlva''에서 이름을 따왔다.[15]
"Spaewife"라는 용어는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시 ''The Spaewife'', 존 갈트의 ''The Spaewife: A Tale of the Scottish Chronicles'', 폴 페퍼그래스(Paul Peppergrass)라는 필명으로 존 보이스가 쓴 ''The Spaewife, or, The Queen's Secret'' 등 여러 문학 작품의 제목으로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Shamanism and Old English poetry
https://archive.org/[...]
New York : Garland
1989
[2]
문서
Birley
1999
[3]
문서
Jones
1924
[4]
문서
Cary
1917
[5]
문서
Wellesley
1964
[6]
웹사이트
Þórdís spákona (Þjóðsagnasafn Jóns Árnasonar)
https://www.snerpa.i[...]
2021-05-08
[7]
문서
Harrison & Svensson
2007
[8]
웹사이트
A seeress from Fyrkat?
https://en.natmus.dk[...]
2019-08-21
[9]
웹인용
The magic wands of Viking seeresses?
https://en.natmus.dk[...]
2019-08-21
[10]
간행물
Religious Paraphernalia, Amulets, and Other Elements of the Sorcerer’s Toolkit: An Introduction to Part 5
https://www.jstor.or[...]
Oxbow Books
2024-12-14
[11]
서적
The Well of Remembrance: Rediscovering the Earth Wisdom Myths of Northern Europe
https://books.google[...]
Shambhala Publications
[12]
문서
Zhang
2015
[13]
문서
Blain
2002
[14]
서적
American Heathens: The Politics of Identity in a Pagan Religious Movement
https://www.jstor.or[...]
Temple University Press
2015
[15]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16]
문서
Mercatante & Dow
2004
[17]
웹사이트
Hellquist 1922:1081
http://runeberg.org/[...]
[18]
문서
Hellquist
1922
[19]
문서
The Tale of Norna-Gest
[20]
웹사이트
Hellquist 1922:851
http://runeberg.org/[...]
[21]
문서
Harrison & Svensson
2007
[22]
문서
地理誌
[23]
문서
Die Goten: Sprache und Kultur
1973
[24]
문서
Harrison & Svensson
2007
[25]
문서
Harrison & Svensson
2007
[26]
문서
Steinsland, G. & Meulengracht Sørensen, P
1998
[27]
웹사이트
Viking seeresses - National Museum of Denmark
http://en.natmus.dk/[...]
2017-05-25
[28]
웹사이트
The Tale of Norna-Gest
http://www.snerpa.is[...]
[29]
문서
Mercatante & Dow
2004
[30]
웹사이트
The prologue of Heimskringla
http://www.heimskrin[...]
[31]
웹사이트
The prologue of Heimskringla in translation
http://www.gutenberg[...]
[32]
문서
Harrison & Svensson
2007
[33]
문서
Harrison & Svensson
2007
[34]
문서
Harrison & Svensson
2007
[35]
문서
Harrison & Svensson
2007
[36]
서적
Harrison & Svensson
2007
[37]
서적
Harrison & Svensson
2007
[38]
서적
Harrison & Svensson
2007
[39]
서적
Harrison & Svensson
2007
[40]
서적
Harrison & Svensson
2007
[41]
서적
Steinsland, G. & Meulengracht Sørensen, P.
1998
[42]
서적
Blain
2001
[43]
서적
Keyser
1854
[44]
서적
Blain
2001
[45]
서적
Harrison & Svensson
2007
[46]
서적
Harrison & Svensson
2007
[47]
서적
Steinsland, G. & Meulengracht Sørensen, P.
1998
[48]
서적
Harrison & Svensson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