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신연의는 후지사키 류가 안노 츠토무가 번역한 중국 고전 소설 봉신연의를 원작으로 하여 그린 만화이다. 은나라 말기를 배경으로 주왕의 폭정에 맞서는 주나라 무왕의 혁명 과정을 다룬다. 원작의 설정을 따르면서도 초고대 문명, SF 판타지적 요소를 도입하여 독창적인 세계관을 구축했다. 만화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주간 소년 점프에 연재되었으며, 2018년까지 누적 판매 부수 2200만 부 이상을 기록했다.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뮤지컬 등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봉신연의를 바탕으로 한 작품 - 봉신연의 (2019년 드라마) 폭군 상 주왕의 폭정으로부터 백성을 구원하려는 강자아와 양전, 그리고 복수를 위해 주왕의 후궁이 된 달기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봉신연의는 중국 명나라 시대 소설 《봉신연의》를 원작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봉신연의를 바탕으로 한 작품 - 봉신연의: 영웅의 귀환 봉신연의: 영웅의 귀환은 관호 감독의 2016년 판타지 액션 영화로, 주왕의 폭정에 맞서 강태공과 영웅들이 싸우는 이야기이며, 화려한 시각 효과에도 불구하고 스토리텔링과 개연성 부족으로 비판받았다.
1988년 소설 - 양들의 침묵 토머스 해리스의 스릴러 소설이자 조너선 드미 감독의 영화인 양들의 침묵은 FBI 수습 요원 클라리스 스탈링이 식인 살인마 한니발 렉터 박사의 도움을 받아 연쇄 살인범 '버팔로 빌'을 쫓는 이야기를 그리며, 영화는 아카데미상을 휩쓸었지만 트랜스포비아적 묘사로 비판받기도 했다.
1988년 소설 - 연금술사 (소설) 파울로 코엘료의 소설 《연금술사》는 스페인 양치기 소년 산티아고가 꿈을 좇아 이집트 기자 피라미드에서 보물을 찾는 여정을 통해 운명을 찾아 자아의 신화를 실현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판매고를 올리고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었다.
문화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문화에 관한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후지사키 류의 만화 ''봉신연의''는 안노 쓰토무가 쓴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3][4] 이 소설은 중국 고전 봉신연의를 일본어로 번역한 것이다.[5][6] 만화는 1996년 6월 24일부터 2000년 11월 6일까지 슈에이샤의 주간 소년 점프에 연재되었다.[7]
원작 소설에는 없는 개그, 코미디 요소나 설정 변경이 많으며, 메타픽션이나 오마주도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안노 쓰토무가 번역한 고단샤 문고판 『봉신연의』를 바탕으로 하며, 양전은 "요젠", 나타는 "나타쿠"라고 읽는 등 고유명사 표기에서 차이가 있다. 다만, 문중은 "몬츄"가 아닌 "분츄"로 읽는다. 연재 당시에는 안노의 번역판이 원작이라고 명시되지 않았다. 초고대 문명, 고대 우주비행사설 요소를 더해, 먼 옛날 고대 문명의 이면에서 벌어진 "신"들의 전쟁을 다루고 있다.
작가는 "(작품 사정상) 등장시키지 못한 캐릭터도 그리고 싶었다"고 밝혔다.[42]
2. 1. 역사적 배경
은(殷) 왕조 시대는 약 3000년 전 고대 중국을 배경으로 한다. 30대 황제 주왕(紂王)은 원래 문무를 겸비한 훌륭한 군주였다. 그러나 사악한 선녀 달기(妲己)를 황후로 맞이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달기의 요술에 현혹된 주왕은 폭정을 일삼았고, 나라는 혼란에 빠졌다.
이에 선인계 곤륜산의 교주 원시천존(元始天尊)은 '봉신 계획(封神計画)'을 세운다. 이 계획은 악한 선도들을 신계에 봉인하고, 혁명을 통해 새로운 왕조를 세우는 것이었다. 원시천존은 이 계획을 자신의 제자인 태공망(太公望)에게 맡긴다.
2. 2. 만화 '봉신연의'
후지사키 류가 글과 그림을 담당한 ''봉신연의''는 안노 쓰토무가 쓴 같은 제목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3][4] 이 소설은 중국 문학의 고전인 봉신연의의 일본어 번역본이다.[5][6] 이 만화는 1996년 6월 24일부터 2000년 11월 6일까지 슈에이샤의 소년 만화 잡지 주간 소년 점프에 연재되었다.[7]
원작에는 없는 “개그·코미디” 요소나 변경점이 많이 담겨 있다. 또한, 메타픽션 요소나 오마주적 표현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본작은 안노 쓰토무가 번역한 고단샤 문고판 『봉신연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양전을 “요젠”, 나타를 “나타쿠”라고 읽는다. 한편, 문중의 읽는 법은 “몬츄”가 아니라 “분츄”로 하는 등 안능판과 다른 부분도 있다. 연재 당시에는 안노의 번역판 『봉신연의』가 원작이라고 기재되지 않았다. 또한, 초고대 문명이나 고대 우주비행사설의 요소도 더해져 아주 먼 옛날에 존재했던 고대 문명을 역사의 이면에서 일어난 “신”들의 전쟁과 연결하고 있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본작의 사정에 의해) 등장시키지 않은 캐릭터도 그리고 싶었다”[42]라고 한다. 종반의 토너먼트도 매이산의 칠괴가 등장할 예정이었지만, 이름이나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이는 조역이 등장하는 것에 그쳤다.
슈에이샤는 204개의 개별 연재분을 23권의 단행본으로 수록하여 1996년 11월 1일[8]부터 2000년 12월 22일[9]까지 출판했다. 이 만화는 2005년 7월 4일[10]부터 2006년 4월 4일[11]까지 18권의 완전판으로 재발매되었다.
북미에서는 비즈미디어가 2007년 뉴욕 코믹콘에서 이 만화의 라이선스를 취득했다고 발표했다.[12] 23권 전권은 2007년 6월 5일[13]부터 2011년 6월 7일[14]까지 출판되었다.
연재 종료 후, 은주혁명에 다른 해석을 곁들인 본작의 패러디(평행 세계)라고 할 수 있는 단편 『이설 봉신연의』가 발표되었다.
2017년 12월, 완전 신작이 주간 영 점프에서 2018년 봄에 단기 집중 연재될 것이 발표되었고,[43] 본편의 속편이자 외전으로 『'''봉신연의 외전'''』이 주간 영 점프 2018년 21·22 합병호부터 연재 개시되었다. 또한, 2018년 6월 19일 요시가미 료에 의해 본편의 후일담에 해당하는 소설 작품 『봉신연의 인도 없는 길로』가[44] 간행되었다.
후지사키는 Hoshin Engi Gaiden: Senkai Dōsho|봉신연의 외전 ~선계도서~일본어라는 제목의 단편 외전 만화를 집필했다. 이 작품은 2018년 4월 26일부터 6월 14일까지 슈에이샤의 청년 만화 잡지 주간 영 점프에 연재되었다.[15][16][17]단행본은 2018년 7월 19일에 출시되었다.[18]
3. 등장인물
후지사키 류의 ''봉신연의''는 안노 쓰토무가 쓴 같은 제목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이는 중국 고전 봉신연의의 일본어 번역본이다.[3][4] 코단샤에서 1988년부터 1989년까지 출판되었다.[5][6]
(작품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주요 등장인물' 섹션에서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생략)
3. 1. 주요 등장인물
후지사키 류의 ''봉신연의''는 안노 쓰토무가 쓴 같은 제목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이 소설은 중국 문학 고전 봉신연의의 일본어 번역본이다.[3][4] 코단샤에서 1988년부터 1989년까지 출판되었다.[5][6]
약 3000년 전 고대 중국, 은(殷) 왕조 시대, 30대 황제 주왕은 문무를 겸비한 명군이었다. 그러나 선녀 달기(妲己)를 황후로 맞이한 이후, 그녀의 요술에 현혹되어 타락했다. 주왕과 달기의 폭정으로 나라는 혼란에 빠졌고, 선인계 곤륜산의 교주 원시천존은 악의 선도를 신계에 봉인하고, 혁명을 통해 새로운 왕조를 세우는 "봉신 계획"을 제자 태공망에게 맡긴다.
태공망은 강족 출신의 도사로, 스승 원시천존으로부터 봉신계획을 완수하라는 임무를 받는다. 이 계획의 목표는 다기와 그 부하들을 신계에 가두는 것이다. 봉신대 명단에 이름이 적힌 365명을 찾아 봉인하면, 그들의 영혼은 봉신대로 순간이동하여 봉인된다.
태공망은 영수 사불상과 함께 여러 동맹과 적을 만나고, 신선들 사이의 복잡한 정치와 권력 투쟁을 겪는다. 다기가 주왕을 조종하여 인간계에 미치는 영향, 신선들의 본질과 하늘과의 관계, 신과 신선들 간의 천상 전투와 그 결과를 알게 되며, 신선으로서의 의무와 인류에 대한 연민 사이에서 갈등한다.
봉신계획의 진정한 목표는 다기를 물리치는 것뿐 아니라, 그녀 뒤에 있는 여와라는 강력한 존재를 막는 것임이 밝혀진다.
3. 1. 1. 곤륜산
곤륜산은 선인(신선)들이 수행하는 곳으로, 원시천존을 교주로 하는 곤륜교가 있다. 이곳에는 태공망, 사불상, 나타, 양전 등 주요 인물들이 속해 있다.[85]
달기(妲己)는 금오도(金鰲島) 출신의 선녀이자 은나라의 황후이다. 절세의 미녀로, 1500년을 산 狐狸精|여우 요괴중국어 선인이다.[85] 슈퍼 보패 "경세원장"으로 완성한 유혹의 기술을 사용하여 주왕을 현혹시켜 사치스러운 악정을 일삼게 했다. 권력을 남용하고 백성을 핍박하는 악역으로 묘사되며, 특히 주왕을 조종하여 폭정을 일삼는 모습이 강조된다.
호희미(胡喜媚)는 달기의 의붓동생으로, 왕귀인(王貴人)의 언니이다. 자칭 악덕 로리타로, 요괴들에게 아이돌 같은 대우를 받는다. 무엇이든 변할 수 있는 여의우의를 자유자재로 사용한다.[85] 정체는 시간을 넘나들 수 있는 雉鷄精|꿩중국어 요괴 선인이다.
왕귀인(王貴人)은 달기와 호희미의 의붓동생이다. 자수우의는 독나방의 비늘가루와 비행 능력, 방어 능력을 가지고 있다.[85] 정체는 옥석 琵琶|비파중국어 요괴 선인이다.
: 은나라의 30대 왕. 문무를 겸비한 현명한 군주였으나, 달기에게 약점인 여색을 공략당한 후, 무능한 폭군으로 변하여 달기에게 조종당하며 폭정을 일삼아 백성을 괴롭힌다.[85] 달기의 개조로 외모는 젊고, 그 힘은 황비호조차 압도했다. 목야의 싸움에서 공격받을 때마다 강화되어 엄청난 힘으로 곤륜의 도사들을 압도한다. 완전히 괴물로 변했지만, 자신을 왕으로 보는 자가 아무도 없다는 사실에 망연자실하고, 달기의 부재로 이성을 되찾는다. 자신에게는 더 이상 왕의 자격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성으로 돌아와 주나라 군에게 성을 내준다. 달기를 진심으로 좋아했던 듯하며, 최후까지 그녀를 생각하며 은나라 백성 앞에서 무왕의 검에 쓰러져 봉신된다.
: 금오도 출신의 도사이자 은나라의 태사. 금편을 가지고 있으며, 영수 흑기린을 타고 다닌다.[85] 300년 전부터 은에 충성을 맹세하고 역대 태자의 교육자 겸 왕의 참모로 관계되어 있으며, 은을 자신의 자식처럼 여기고, 그것을 해치는 자에게는 용서가 없다. 지모는 달기와 비견될 정도이며, 사성, 장규 등 유능한 부하들을 거느리고 있으며, 부하들에게도 목숨을 건 충의를 다할 정도로 깊이 존경받고 있다. 계략을 꾸며 자신과 대립했던 십천군을 전멸시키고 금오도를 붕괴시키며, 홀로 십이선과 원시천존마저 격파하고 곤륜산도 붕괴시킨다. 하지만 황비호의 목숨을 건 설득을 받고, 그가 봉신된 후, 자신이 진정으로 되찾고 싶었던 것을 떠올린다. 그 후, 태공망과 일대일 결투를 벌이고, 인간계를 맡기고 스스로 절벽에 몸을 던진다.
: (전) 은의 진국무성왕, (후) 주의 개국무성왕. 무기는 대철봉에서 비도로 바뀐다. 4남매의 아버지. 대략적이고 밝고 호쾌한 성격이다.[85] 천연도사 중에서도 굴지의 강인함과 강건함을 가지고 있으며, 보배조차 맨손으로 파괴하고, 달기의 유혹에도 넘어가지 않는 강인한 정신도 가지고 있다. 신체 능력뿐만 아니라 무예도 초일류이며, 주왕의 무술 지도역도 맡았다. 대대로 은 왕가에 봉사하며, 주왕에게 충의를 다했다. 국가의 기둥이 되어, 완고한 문중과 부딪히면서도 친구가 된다. 달기를 쓰러뜨리러 온 태공망을 만나 서로 신뢰 관계를 맺는다. 수년 후, 달기의 계략으로 아내와 여동생을 잃고 은을 버리고 주에 참가하여 개국무성왕에 봉해진다. 문중과는 상반되는 길을 걷다가 선계대전에서 격돌한다. 자신의 목숨을 걸고 문중에게 과거의 마음을 되찾게 한 후, 봉신된다.
3. 1. 4. 서기성(주)
희창은 조가를 다스리는 4대 제후 중 한 명인 서백후였다. 훗날 문왕으로 불리는 위인으로, 온화한 성품과 정확한 판단력을 지녀 백성들의 신뢰를 받았다.[85] 26명의 부인과 100명의 자식(친자 99명, 양자 뇌진자)을 두었다. 달기의 계략에 빠져 수년간 유폐되었고, 장남 백읍고를 잃은 뒤 그의 고기로 만든 함버그스테이크를 먹는 고통을 겪었다. 이후 태공망을 만나 그를 서기로 맞아들인다. 백읍고의 죽음을 계기로 거식증을 앓아 허약해졌고, 모든 것을 태공망과 차남 희발에게 맡기고 세상을 떠났다.
희발은 희창의 차남이자 희단의 형이다. 젊은 시절 아버지 희창을 닮았고, 정의롭고 성실하여 주변 사람들의 신망을 얻었다. 달기의 유혹에도 넘어가지 않았다.[85] 희창이 죽은 뒤 무왕을 칭하고 서기를 주나라로 바꾸어 주나라의 초대 왕이 되었다. 은나라를 무너뜨리는 전쟁을 일으켰으나, 목야의 싸움에서 배에 큰 부상을 입고 야위게 된다.
희단은 희창의 넷째 아들이자 희발의 동생이다. 서기 최고의 정치가로 불리며, 백성들에게 주공단으로 불렸다. 냉정하고 침착하며 진지한 성격으로, 태공망과 처음 만났을 때는 10대였으나 조금 노안이었다. 코끼리를 여러 마리 기르는 취미가 있었다.
희백읍고는 희창의 장남으로, 성실하고 유능한 미남이었다. 달기의 유혹에도 굴하지 않는 굳건한 정신력을 지녔으며, 거문고 연주 실력이 뛰어났다.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조가로 갔다가 달기에게 살해되어 함버그스테이크가 되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봉신연의》는 두 차례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1999년에는 스튜디오 딘이 제작하고 니시무라 준지가 감독한 《선계전 봉신연의》가 TV 도쿄에서 총 26화로 방영되었다.[19][20] 북미에서는 2001년 ADV 필름즈가 《소울 헌터》라는 제목으로 라이선스를 획득, AZN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했다.[21][22][23] 2016년 디스코텍 미디어가 DVD 컬렉션을 출시하며 재계약했다.[24][25]
2018년에는 C-Station이 제작한 《覇穹 封神演義|패궁 봉신연의일본어》가 총 23화로 방영되었다.[26][27][28] 아이자와 마사히로 감독, 다카하시 나츠코 시리즈 구성, 야마시타 요시미츠 캐릭터 디자인, 이우치 마이코 음악으로 새로운 제작진이 참여했다.[29]크런치롤과 퍼니메이션을 통해 스트리밍 및 동시 더빙되었다.[30][31]
:; Keep the Heat and Fire Yourself Up|Keep the Heat and Fire Yourself Up일본어 (제1화 - 제13화)[86]
:: 작사·작곡·편곡·노래 - 피어, 앤드 로딩 인 라스베가스(Fear, and Loathing in Las Vegas)
:; Treasure in Your Hands|Treasure in Your Hands일본어 (제14화 - 제23화)[86]
:: 작사·작곡·편곡·노래 - 피어, 앤드 로딩 인 라스베가스(Fear, and Loathing in Las Vegas)
; 엔딩 테마 (2018년판)
:; 間遠い未来|간토오이 미라이일본어 (제2화 - 제13화)[86]
:: 작사·노래 - 야나기나기(やなぎなぎ) / 작곡·편곡 - 쿠로이시 히토미(黒石ひとみ)
:; 無形のアウトライン|무케이노 아웃라인일본어 (제14화 - 제22화)[86]
:: 작사·노래 - 야나기나기(やなぎなぎ) / 작곡 - 이시카와 토모아키(石川智晶) / 편곡 - 쓰치야 가쿠(土屋学)
6. 4. 평가
1999년에 방영된 《선계전 봉신연의》는 스튜디오 딘에서 제작하고 니시무라 준지가 감독한 작품이다.[19] 총 26화로 TV 도쿄에서 방영되었다.[20] 북미에서는 2001년 ADV 필름즈가 《소울 헌터》라는 제목으로 라이선스를 획득하여 방영했다.[21][22] 2016년에는 디스코텍 미디어가 DVD 컬렉션을 출시하며 재계약했다.[24][25]
2018년에는 C-Station에서 제작한 《패궁 봉신연의》가 방영되었다.[26][27][28] 새로운 성우진을 기용하였으며, 아이자와 마사히로가 감독, 다카하시 나츠코가 시리즈 구성, 야마시타 요시미츠가 캐릭터 디자인, 이우치 마이코가 음악을 담당했다.[29]크런치롤과 퍼니메이션을 통해 스트리밍 및 동시 더빙되었다.[30][31]
두 애니메이션 모두 후지사키 류의 원작 만화 《봉신연의》를 바탕으로 하지만, 각색 과정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1999년 판은 원작의 초기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2018년 판은 원작의 후반부 내용을 포함하여 더 넓은 범위를 다루고 있다.
1999년 판은 당시로서는 준수한 작화와 연출을 보여주었지만, 현재 기준으로 보면 다소 아쉬운 점이 있을 수 있다. 반면 2018년 판은 현대적인 작화와 연출을 보여주지만, 원작의 방대한 내용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생략된 부분이 많아 비판을 받기도 한다.
두 작품 모두 원작 팬들에게는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이지만, 새로운 시청자들에게는 진입 장벽이 있을 수 있다. 특히 2018년 판은 원작을 보지 않은 시청자에게는 불친절한 전개로 느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7. 게임
반다이(Bandai)에서 발매한 비디오 게임 4종이 출시되었다. 2종은 원더스완(WonderSwan)용으로 2000년 2월 24일[32]과 12월 21일[33]에 각각 출시되었고,[34] 2종은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용으로 2000년 6월 29일[35]과 2001년 3월 29일[36]에 각각 출시되었다. 반프레스토(Banpresto)에서 발매한 게임보이 컬러(Game Boy Color)용 비디오 게임 1종은 2000년 11월 24일에 출시되었다.[37] 또한, 본 시리즈의 등장인물들은 2006년 11월 23일에 출시된, 주간 소년 점프(Weekly Shōnen Jump)의 크로스오버(Crossover) 게임인 점프 얼티메이트 스타즈(Jump Ultimate Stars)(닌텐도 DS용)에도 등장했다.[38]
『선계전』을 원작으로 한 게임 작품들로, 각 타이틀에 "TV 애니메이션 선계전 봉신연의보다"라고 되어 있지만, 상기 애니메이션판이 아닌 원작 설정을 거의 준수하고 있다. 또한, 게임판에만 등장하는 캐릭터도 있다. 모두 반다이에서 발매하였다.
원작 이야기를 사운드 노벨 형식으로 엮은 게임. 대사 변경 가능. 조공명 편 이후 선출. 십천군 등 처음으로 성우가 붙은 등장인물 존재.
; 覇穹 봉신연의 〜센카이 크로니클〜
: 2019년 1월 8일 배포된 스마트폰 게임. 해당 게임과 연동된 라디오 프로그램 『'''覇穹 봉신연의 〜센카이 크로니클〜 presents 고나리 켄고・마츠자와 치아키의 센쿠로 레디오'''』가 2018년 10월 6일부터 12월 29일까지 초!A&G+(超!A&G+)에서 매주 토요일 14:00~14:30에 방송되었고, 온센(音泉)에서는 매주 토요일 14:30부터 최신 회차를 1주일간 주문형 비디오(온디맨드)로 배포했다. 진행자는 고나리 켄고, 마츠자와 치아키[88]. 영상 프로그램 『'''覇穹 봉신연의 〜센카이 크로니클〜 presents 고나리 켄고・마츠자와 치아키의 센쿠로 정보국'''』은 게임 공식 유튜브(YouTube) 채널에서 라디오 프로그램 방송 후 수시로 배포되었다.
8. 뮤지컬
ミュージカル 封神演義-目覚めの刻-일본어라는 제목의 뮤지컬 공연이 도쿄롯폰기 EX 극장에서 2019년 1월 13일부터 20일까지 열렸다. 연출은 요시타니 코타로(吉谷光太郎)가 맡았으며, 하시모토 쇼헤이(橋本祥平)가 태공망(太公望) 역, 아사토 유야(朝戸優也)가 요전(楊戩) 역, 기야마 류(木山竜)가 나탁(哪吒) 역을 맡았다.[38]
2020년 10월 25일 17시 30분에는 ミュージカル 封神演義-開戦のプレリュード-일본어라는 제목으로 품천프린스호텔 스텔라볼에서 공연되었다.[90] 당초 2020년 10월 23일부터 11월 2일까지 같은 장소에서, 11월 6일부터 8일까지 쿨 재팬 파크 오사카 WW홀에서 공연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일부 공연이 중지되었다.[91][92]
; 스태프 (각성의 순간)
항목
내용
원작
후지사키 료(슈에이샤 문고 코믹판)/안노무 역 「봉신연의」
각본
마루오 마루이치로
연출
요시타니 코타로
; 스태프 (개전의 전주곡)
항목
내용
원작
후지사키 료(슈에이샤 문고 코믹판)/안노무 역 「봉신연의」
각본
카츠라기 히데
연출
요시타니 코타로
9. 원작과의 차이점
만화 《봉신연의》는 원작 소설 《봉신연의》와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주요 차이점을 보인다.
태공망의 묘사: 원작에서 노인이었던 태공망은 만화에서 젊은이로 등장한다. 만화에서는 선인이 불로불사라는 설정을 통해, 70세인 태공망이 젊은 외모를 유지하는 이유를 설명한다.[3][4] 또한, 만화에서는 태공망 외에도 나이에 비해 젊은 외모를 가진 선인들이 다수 등장한다.
달기의 비중: 원작에서 평범한 요괴였던 달기는 만화에서 강력한 힘을 가진 주요 악역으로 부상하며, 태공망의 최대 숙적으로 묘사된다.
등장인물 및 봉신 여부: 원작에서 봉신되지 않은 인물이 만화에서 봉신되거나, 반대로 원작에서 봉신된 인물이 만화에서 봉신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비간, 산의생, 희씨 일족 등은 만화에서 비중이 축소되거나 등장하지 않는다. 곤륜십이선이나 금오십천군 외의 선인들도 만화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세계관: 원작은 도교, 불교, 신선 사상을 바탕으로 하지만, 만화는 이러한 요소가 대부분 사라지고 초고대 문명 사회를 배경으로 한 SF 판타지적 세계관을 채택했다.[3][4] 서방이나 천상 등의 세계관은 만화에서 다루어지지 않는다.
문중과 왕천군의 비중: 만화에서는 문중이 금오도에서 최강의 힘을 가진 인물로, 왕천군은 태공망과 비슷한 수준의 인물로 묘사된다.
기타: 원작에 없는 개그, 코미디 요소나 메타픽션, 오마주적 표현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만화 《봉신연의》가 원작의 기본적인 줄거리를 따르면서도, 독자적인 설정과 전개를 통해 새로운 작품으로 재탄생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초고대 문명이라는 SF적 요소를 도입하여 원작의 신화적 세계관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점이 돋보인다.
10. 용어
'''봉신계획(封神計画)'''
태공망(강자아)이 그의 스승이자 선계의 지도자인 원시천존으로부터 받은 임무이다. 다기와 그녀의 부하들을 선계와 인간계 사이의 중간 세계인 신계(神界)에 가두는 것이 목표이다. 봉신대 명단에 이름이 적힌 365명을 찾아 봉인해야 하며, 영혼들은 봉신대로 순간이동하여 봉인된다.[42]
'''봉신대(封神台)'''
영혼을 가두기 위해 만들어진 떠다니는 섬이다. 태공망이 명단에 있는 365명을 물리치고 봉인할 때마다 그들의 영혼은 즉시 봉신대로 이동하여 365명의 영혼이 모두 모일 때까지 봉인된다. 원시천존이 소유하는 보패 중 하나로, 태을진인이 만들었다. 작동하는 동안에는 중국 대륙에 봉신 필드가 펼쳐지고, 필드 내에서 능력이 높은 자가 사망하면 자동적으로 그 혼백을 끌어들여 가두어 봉인한다. 소유자(원시천존)의 의지 외에 봉신 필드가 해제되는 것은, 소유자의 사망 또는 혼백이 가득 찼을 경우이다. 악한 선도가 대상이지만, 기술적 한계로 적과 아군을 가리지 않고 능력이 높은 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아군도 사망하면 봉신된다. 거대한 보패로 곤륜산에서는 독립하여 허공에 떠 있다. 감옥과 같은 것은 아니지만, 이 대에 들어가면 윤회할 수 없다.
'''선인(仙人)'''
다양한 방법으로 불멸의 삶을 얻은 뛰어난 능력과 지식을 가진 강력한 불멸자 또는 은둔자 집단이다. 뛰어난 지혜와 장수를 지니고 있으며, 마법이나 초자연적인 힘을 발휘한다. 여성형은 선녀이다.
'''도사(道士)'''
선인이 되기 위한 훈련을 받는 인간을 말한다. 선인과 도사 모두 신성한 무기인 보패(宝貝)를 사용한다.
'''요괴 선인(妖怪仙人)'''
인간 이외의 생물, 또는 무생물이 1000년 이상 햇빛을 쬐어 마성을 띠고, 최종적으로 사람의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된 자를 의미한다.
'''보패(宝貝)'''
선인·도사가 사용하는 무기·도구이다. 누구나 다룰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선인골이 없는 사람은 갖고 있기만 해도 정기를 흡수당해 쇠약사한다. 천연도사는 가지고 있을 수는 있지만 사용할 수는 없다. 작중에는 다종다양한 것이 존재한다.
'''슈퍼 보패'''
보패 중에서도 엄청난 능력을 지니고 있지만, 보통의 선인·도사는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갖고 있기만 해도 힘을 흡수당해 수 분 만에 쇠약사한다. 슈퍼 보패의 소유자는 상당한 실력자이다. 모두 7개(태극도, 금편, 금교전, 경세원장, 육혼번, 판고번, 뢰공편) 존재한다고 여겨졌지만, 이는 선인계에서 확인된 수이며, 신농의 소유물인 「금광찰」 등도 이 7개와 같은 종류이다. 모두 발굴된 것이며 현재의 보패는 모두 이것들의 모방품이다. 본체는 옛날 시조가 여와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무기이다.
'''공간 보패'''
공간 그 자체를 보패로 하는 것. 기본적으로 실공간에서 분리된 유한한 아공간이다. 십천군과 운소 삼자매, 시조가 사용한다.
'''봉신'''
원래 의미는 「신에게 봉하는 것」을 가리키지만, 이 작품에서는 주로 봉신대에 혼백을 보내는 것을 가리킨다. 다만, 원래 의미대로의 봉신도 이야기의 종반에 행해진다.
'''선인(선도)'''
원시천존 말에 따르면 「생명으로서의 길을 극한에 이르게 하려는 자」로, 선인과 같으며, 수행을 하는(했던) 불로장생자이다(육체가 멸해도 혼백이 있으면 재생할 수 있다). 다만, 외모는 매우 느린 속도로 나이를 먹는다. 후술하는 도사와 함께 선도라고 불린다. 백만 명 중 한 명의 확률로 존재하는 선인골을 갖는 것을 대전제로 하며, 그것을 에너지로 보패와 선술을 사용한다. 수행이 필수적이며, 어떤 이유로 수행을 하지 않은 자는 천연도사가 된다. 일반적인 선도도 천연도사만큼은 아니지만 신체 능력은 높다. 하계의 인간들에게도 그 존재는 인지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공경해야 할 존재로 취급된다. 그 본체는 옛날 지구와 동화된 시조의 힘이 짙게 나타난 존재이다.
'''천연도사'''
선인골을 가지고 있으면서, 선인계의 간과 등 어떤 이유로 수행을 하지 않고, 선인골의 힘이 육체의 능력으로 환원된 자. 대부분은 강인한 육체를 가지고 있으며, 비정상적인 근력이나 운동 신경, 내성 능력을 지닌 초인이다. 일반 선인 이상의 신체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대신 보패를 사용할 수 없다. 또, 보통 사람과 마찬가지로 나이를 먹는다. 선계의 존재 목적 중 하나는 선인골을 가진 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천연도사가 되어 인간계에 불필요한 혼란을 초래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선술'''
선계에서 보패가 보급되기 이전에 사용되었던, 자신의 힘만으로 기적을 일으키는 기술. 현재는 물을 술로 바꾸거나 양전의 변화 능력 정도밖에 남아 있지 않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보패가 보급된 결과로 인한 전승 단절에 의한 것이며, 염등도인 등처럼 사용자에 따라서는 보패조차 능가하는 기적을 일으키는 등 결코 그 극한에 이른 잠재력이 보패에 뒤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반다이에서 비디오 게임 4종을 출시했다. 원더스완용으로 2종(2000년 2월 24일[32], 2000년 12월 21일[33][34]),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2종(2000년 6월 29일[35], 2001년 3월 29일[36])이 발매되었다. 반프레스토에서는 게임보이 컬러용 비디오 게임 1종(2000년 11월 24일[37])을 발매했다. 또한, 본 시리즈의 등장인물들은 닌텐도 DS용 주간 소년 점프 크로스오버 게임인 점프 얼티메이트 스타즈(2006년 11월 23일[38])에도 등장했다.
뮤지컬 《봉신연의:각성의 순간》은 요시타니 고타로 연출로 2019년 1월 13일부터 20일까지 도쿄 롯폰기 EX 극장에서 공연되었다.[38] 하시모토 쇼헤이(태공망 역), 아사토 유야(요전 역), 기야마 류(나탁 역) 등이 출연했다.
12. 평가 및 영향
만화 《봉신연의》는 2018년 5월까지 220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39]TV 아사히의 만화 총선거 2021에서는 15만 명이 투표하여 선정한 100대 만화 중 68위를 차지했다.[40]
이 작품은 중국 고전 소설 《봉신연의》를 원작으로 하지만, 안능무 역의 고단샤 문고판을 기반으로 하여 양전을 "요젠", 나타를 "나타쿠"로 읽는 등 원작과 차이가 있다. 또한, 원작에는 없는 개그, 코미디 요소와 메타픽션, 오마주적 표현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초고대 문명 및 고대 우주비행사설 요소를 더해 고대 문명과 신들의 전쟁을 연결하는 독특한 설정을 보여준다.
작가 후지사키는 등장시키지 못한 캐릭터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했으며,[42] 이는 훗날 《시귀》 코믹스판에서 일부 등장인물의 원형으로 활용되었다.
연재 종료 후에는 은주혁명에 다른 해석을 더한 패러디 단편 《#이설 봉신연의》가 발표되었다. 2018년에는 본편의 속편이자 외전인 《봉신연의 외전》이 주간 영 점프에 연재되었고, 같은 해 요시가미 료에 의해 본편의 후일담을 다룬 소설 《봉신연의 인도 없는 길로》가 간행되었다.[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