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향로로, 완형의 노신과 나팔형 받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와 받침에는 가는 은사로 연화당초문, 뇌문, 범자, 여의두문 등이 상감되어 있다. 향로 주둥이 뒷면에는 1344년에 제작되어 삼각산 중흥사 대웅전에 봉안되었음을 알리는 103자의 명문이 은입사되어 있으며, 시주자인 채하중과 그의 부인 양철명의 이름, 장인 김경을 비롯한 여러 승려의 이름이 기록되어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향완 - 밀양 표충사 청동은입사향완
밀양 표충사 청동은입사향완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향로로, 가는 은실을 청동에 새겨 넣는 기법으로 만들어졌으며, 조선 선조가 사명대사에게 하사한 것으로 알려져 표충사호국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 고려의 공예 - 화성 용주사 동종
화성 용주사 동종은 854년 범일이 주조하여 병자호란의 화마를 피해 보존되어 1790년 용주사 재건과 함께 다시 설치된 조선 시대의 동종으로, 용뉴, 비천상, 삼존상 등의 장식과 문양을 갖추고 한국 불교 미술과 종 제작 기술을 보여주는 국보 제120호 문화유산이다. - 고려의 공예 - 여주 출토 동종
여주 출토 동종은 1058년에 제작된 고려시대 동종으로, 화려한 장식과 비천상, 보살상이 새겨져 있으며, 명문을 통해 제작 연대와 무게를 알 수 있고, 금종이라는 용어가 최초로 등장하여 동종 명칭 연구에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봉은사 청동 은입사 향완 (奉恩寺 靑銅 銀入絲 香垸) |
영문 명칭 | Bronze Incense Burner with Silver-inlaid Design of Bongeunsa Temple |
지정 번호 | 보물 제321호 |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시대 | 고려 충혜왕 5년 (1344년) |
소유자 | 봉은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5, 불교중앙박물관 (견지동, 광교빌딩) |
참고 | 높이 0.37m, 지름 0.51m |
상세 정보 | |
설명 | 해당 사항 없음 |
2. 형태
이 향로는 높이 37cm, 지름 51cm 크기로, 금강산 표훈사(表訓寺) 향완(높이 43.4cm) 다음으로 큰 대형 향로에 속한다. 사발 모양의 몸체(爐身)와 나팔 모양의 받침을 몸체 안쪽 바닥에서 고정시킨 형태로, 전형적인 고려 시대 향로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다만, 몸체에 비해 받침의 크기가 약간 작은 느낌을 준다.
2. 1. 몸체
몸체 표면 전체에 가는 은사(銀絲)로 다양한 무늬가 상감(象嵌)되어 있다. 주둥이의 넓은 테두리인 전(口緣) 표면에는 연화당초문(蓮華唐草紋)이 가득 장식되어 있고, 그 옆면에는 뇌문(雷紋)이 각각 입사(入絲)되어 있다. 특히 몸체 중앙에는 서로 마주보는 네 곳에 굵고 가는 두 줄의 선으로 원을 그리고, 그 안에는 범자(梵字)를 한 글자씩 새겼다. 원 둘레는 여의두문(如意頭紋)으로 장식하였으며, 원과 원 사이의 공간에는 당초문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몸체 하단에는 두 줄의 윤곽선으로 표현된 앙련(仰蓮) 무늬가 길게 둘러져 있다.2. 2. 받침
받침은 아래와 위,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쪽 단에는 굵은 선으로 테두리를 두른, 폭이 좁은 앙련을 돌려 새겼으며, 아래쪽 단에는 당초문을 배치하였다. 맨 아래의 굽 부분에는 가는 선으로 여의두문이 장식되어 있다.3. 명문
향로 주둥이의 넓은 테두리(전) 뒷면에는 총 103자의 글씨가 은실을 이용한 입사 기법으로 다음과 같이 새겨져 있다.
至正四年五月 日 敬造靑銅鏤銀香爐一座奉獻于三角山重興寺大殿佛前 將此功德用祝皇帝万歲國王千秋天下太平同願僉議政丞蔡河中午山郡夫人梁氏徹明勸善比丘悟如眞悟戒瑚鏤手中郞將金卿願以此功德普及於一切我等與群生皆共成佛道
이 명문을 통해 향로가 고려 충혜왕 복위 5년인 1344년에 제작되어 삼각산 중흥사 대웅전 불상 앞에 봉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명문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이 유물을 '향로(香爐)'라고 지칭한 것인데, 이는 '향로'라는 명칭이 사용된 최초의 사례이다. 이전까지는 주로 '향완'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또한, 명문에는 향로를 시주한 인물로 채하중(蔡河中, ?~1357)과 그의 부인 양철명(梁徹明)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외에도 향로 제작을 담당한 장인(鏤手) 김경(金卿)을 비롯하여 여러 승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3. 1. 채하중
이 향로를 시주한 인물 중 한 명은 채하중(蔡河中, ?~1357)이다. 그의 부인 양철명(梁徹明)과 함께 시주자로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채하중의 주요 행적은 《고려사》에 나타난다. 그는 중국 원나라의 세력을 등에 업고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결과적으로 나라를 어지럽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충숙왕 6년(1319)에는 호군(護軍)이 되었고, 충혜왕 3년(1342)에는 일등공신에 책봉되었다. 이후 충목왕 1년(1344)에는 평강부원군(平康府院君)의 지위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권세는 오래가지 못했다. 1356년 순천으로 유배되었고, 이듬해인 1357년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4. 사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