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릿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릿코는 애교를 부리거나 귀여운 척하는 여성을 의미하는 일본어 신조어이다. 1970년대 후반 만화가 에구치 히사시가 처음 사용했으며, 1980년대 초 여성 코미디언 야마다 쿠니코의 유행으로 대중화되었다. 부릿코는 어린아이 같은 행동, 말투, 어휘 사용 등의 특징을 보이며, '카마토토'라는 단어와 유사한 맥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부릿코는 종종 가짜라는 부정적인 함의를 가지며, 남성 중심 사회에서 여성에게 딜레마를 안겨주는 문제로 비판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에 속성 - 얀데레
    얀데레는 특정 인물에 대한 강한 집착, 질투심, 불안정한 정서를 보이며 때로는 폭력적인 성향을 보이는 캐릭터 유형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등에서 흔히 나타나는 클리셰이며 극단적인 경우 범죄 행위로 묘사되기도 한다.
  • 모에 속성 - 전파계
    전파계는 원래 머릿속에서 전파로 전달되는 목소리나 지시를 느낀다고 호소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였으며, 조현병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났고, 현재는 사회 상식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넓게 지칭하며 서브컬처 매체에서 자주 사용된다.
  • 여성을 가리키는 속어 - 철의 여인
    철의 여인은 강인한 리더십으로 국가를 이끌었던 여성 정치 지도자들에게 붙여지는 별칭이다.
  • 여성을 가리키는 속어 - 모조 (인터넷 용어)
    모조는 2000년대 초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행한 신조어로, 처음에는 인기 없는 여성을 가리키는 은어로 사용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자조적인 의미로 변화하여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자학하는 경향을 보이며, 최근에는 연애를 포기하는 젊은 세대의 사회적 고립 현상과 연결되어 분석된다.
  • 유행어 - 레드 퍼지
    레드 퍼지는 1940년대 후반 미국이 냉전의 영향으로 일본 공산당 세력 확대를 억제하기 위해 공산주의자로 의심되는 인물들을 숙청한 사건이다.
  • 유행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부릿코
정의
설명ぶりっ子 (Burikko)는 의도적으로 귀엽거나 순진한 척하는 일본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어원
유래"부릿코"라는 용어는 "시치부리"(しちぶり)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이 단어는 "가식적인 행동" 또는 "꾸며진 태도"를 의미한다.
특징
행동부릿코는 종종 과장된 몸짓, 높은 톤의 목소리, 아이 같은 행동을 보인다.
목적이러한 행동은 다른 사람, 특히 남성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다.
인식부릿코는 때때로 비판적인 시각으로 여겨지며, 진실성이 결여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관련 용어
카마토토 (カマトト)순진한 척하는 여성을 가리키는 또 다른 일본어 단어.

2. 역사

1978년 가을 무렵부터 만화가 에구치 히사시는 '귀여운 척하는 아이'를 변형하여 "귀여운 척하지 마!", "부릿코네" 등의 표현을 개인적으로 사용했다.[7] 1980년 5월에 발행된 주간 소년 점프 연재 만화 『진격!! 파이레츠』 단행본 6권에 수록된 에피소드 표지 그림에서 어시스턴트 니시아키 구린을 "귀여운 척하는 아이"라고 표현한 것이 최초의 등장이었다.[7] 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귀여운 척하는 아이"라는 표현만 사용되었고, "부릿코"로 줄여 쓰지는 않았다.[7]

1981년 야마다 쿠니코의 개그를 통해 '부릿코'라는 말이 유행어로 퍼져나갔다는 시각이 있다. 야마다 쿠니코는 "쿠니코의 귀여운 부릿코(버스 가이드 편)"라는 레코드를 발매하여 히트시키기도 했다.[8] 같은 해, 오다 타츠오의 "반짝반짝 부릿코", 도이 타카유키의 "부릿코! 리틀" 등의 만화 작품이 등장했다.[8] 1982년에는 은파이 일가의 동생인 구리스가 "부릿코 록앤롤"을 발매하여 인기를 얻었다.

마츠다 세이코는 '부릿코'의 전형적인 예시로 불렸다. 1980년에 가수로 데뷔한 세이코는 단숨에 인기 아이돌이 되었지만, 시샘과 반감으로 인해 여러 가지 조롱을 받기도 했다. 야마다 쿠니코나 여성 만담 콤비 하루 야스코・케이코는 그녀의 몸짓과 언행 등을 소재로 주특기로 삼았다.[1] 당시 아이돌 가수 대부분은 "부릿코"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그중에서도 세이코가 유독 "부릿코"로 불린 것은 평소 격식을 차리지 않은 말투와의 갭이 컸고, 무엇보다 당시 아이돌로서 두드러지는 존재였기 때문으로 보인다.[1]

1982년 11월, 성인 만화 잡지 『만화 부릿코』가 창간되었다. 편집자였던 오오츠카 에이지의 지도 아래, 로리콘 만화 잡지로서 이후 모에 붐으로 이어지는 많은 만화가를 배출했다.[8] 아이돌 평론가 나카모리 아키오는 같은 잡지에 "『오타쿠』의 연구"라는 칼럼을 연재하여 "오타쿠"라는 호칭을 처음 사용한 사람이 되었다.

"'''하마칫코'''"는 "부릿코"에서 파생된 조어이다. "하마치"는 "방어"의 성장 과정에 있는 것을 가리키는 단어이므로, "부릿코보다 다소 정도가 가벼운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조어스러운 어감이 좋지 않아 널리 쓰이지는 않았다.

최근에는 비슷한 뉘앙스의 용어로 '''아자토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경우도 늘고 있으며, 탤런트 타나카 미나미나 모리 카스미 등이 아자토함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카마토토'''는 알고 있으면서도 모르는 척하거나, 성적으로 순진한 척하는 여성을 뜻하며, "부릿코"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카마토토"라는 단어는 "부릿코"라는 유행어보다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원래는 에도 시대 말기에 가미가타유곽에서 순진한 척하는 유녀에게 사용되었다.[9]

2. 1. 에구치 히사시

만화가 에구치 히사시는 1978년 가을 무렵부터 "귀여운 척하는 아이"를 변형하여 "귀여운 척하지 마!", "부릿코네" 등의 표현을 개인적으로 사용했다.[7]

주간 소년 점프에 연재된 에구치 히사시의 만화 『진격!! 파이레츠』(1980년 5월 발행 점프 코믹스 단행본 6권 수록) 에피소드 "열혈 아빠 타츠!!" 표지 그림에서 어시스턴트 니시아키 구린을 "귀여운 척하는 아이"라고 표현한 것이 최초의 등장이다.[7] 그러나 이 작품에서는 "귀여운 척하는 아이"라는 표현만 사용되었고, "부릿코"로 줄여 쓰지는 않았다.[7]

오랫동안 『진격!! 파이레츠』에서 이시노 마코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최초라는 설이 있었지만, 잡학 라이터 스기무라 요시미츠의 검증과 에구치 히사시 본인에 의해 부정되었다.

2. 2. 유행과 파생

1981년 야마다 쿠니코의 개그를 통해 '부릿코'라는 말이 유행어로 퍼져나갔다는 시각이 있다. 야마다 쿠니코는 "쿠니코의 귀여운 부릿코(버스 가이드 편)"라는 레코드를 발매하여 히트시키기도 했다.[8] 같은 해, 오다 타츠오의 "반짝반짝 부릿코"(『초등학교 6학년』 4월호~9월호 연재), 도이 타카유키의 "부릿코! 리틀"(『소년 제츠』 10월호~12월호 연재) 등의 만화 작품이 등장했다.[8]

1982년에는 은파이 일가의 동생인 구리스(보컬은 스기모토 텟타)가 "부릿코 록앤롤"을 발매하여 인기를 얻었다.

2. 2. 1. 마츠다 세이코

마츠다 세이코는 '부릿코'의 전형적인 예시로 불렸다. 1980년에 가수로 데뷔한 세이코는 단숨에 인기 아이돌이 되었지만, 시샘과 반감으로 인해 여러 가지 조롱을 받기도 했다. 야마다 쿠니코나 여성 만담 콤비 하루 야스코・케이코는 그녀의 몸짓과 언행, 음악 프로그램에서의 거짓 눈물 의혹 등을 소재로 주특기로 삼았다.[1]

당시 아이돌 가수 대부분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부릿코"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여성스럽게 행동하는 것이 인기를 얻는 풍조였다.[1] 그중에서도 세이코가 유독 "부릿코"로 불린 것은 평소 격식을 차리지 않은 말투와의 갭이 컸고, 무엇보다 당시 아이돌로서 두드러지는 존재였기 때문으로 보인다.[1] 이 호칭은 그녀에 대한 "친근함을 담은 놀림"이라는 견해도 있다.[1]

2. 2. 2. 만화 부릿코

1982년 11월, 성인 만화 잡지 『만화 부릿코』가 창간되었다. 편집자였던 오오츠카 에이지의 지도 아래, 로리콘 만화 잡지로서 이후 모에 붐으로 이어지는 많은 만화가를 배출했다.[8] 아이돌 평론가 나카모리 아키오는 같은 잡지에 "『오타쿠』의 연구"라는 칼럼을 연재하여 "오타쿠"라는 호칭을 처음 사용한 사람이 되었다. 또한, 같은 잡지에는 "부릿코"라는 단어를 만드는 데 기여한 니시아키 구린도 만화가로서 글을 썼다.

2. 2. 3. 하마칫코

"'''하마칫코'''"는 "부릿코"에서 파생된 조어이다. "하마치"는 "방어"의 성장 과정에 있는 것을 가리키는 단어이므로, "부릿코보다 다소 정도가 가벼운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조어스러운 어감이 좋지 않아 널리 쓰이지는 않았다.

2. 2. 4. 아자토이

최근에는 비슷한 뉘앙스의 용어로 '''아자토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경우도 늘고 있으며, 탤런트 타나카 미나미나 모리 카스미 등이 아자토함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2. 3. 카마토토

'''카마토토'''는 알고 있으면서도 모르는 척하거나, 성적으로 순진한 척하는 여성을 뜻하며, "부릿코"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카마토토는 "蒲魚(부어)"라고 쓰며, 그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가마보코는 생선(魚)으로 만들어진 건가요?"라고 모르는 척 묻는 대사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카마토토"라는 단어는 "부릿코"라는 유행어보다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원래는 에도 시대 말기에 가미가타유곽에서 순진한 척하는 유녀에게 사용되었다.[9]

3. 특징

부릿코는 성인이 어린아이 같은 행동과 말투를 귀여움의 형태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한국의 애교나 중국의 '사자오' 등에서도 볼 수 있다.[5]

부릿코와 관련된 행동으로는 둥글린 필체의 "고양이 글씨"와 "아기 말투"가 있다. 유치한 말투의 일환으로, 자칭 삼인칭을 사용하기도 한다.[2] 비음 섞인 발음, 높은 음정, 재미있거나 가벼운 문구, 미소 지을 때 입을 가리는 것과 같은 몸짓도 포함될 수 있다.[2]

3. 1. 행동 양식

부릿코는 애교를 부리거나, 의도적으로 귀엽고 순수한 척하는 여자 또는 여성을 말한다.[2] 여기에는 "어리고, 순종적이며, 귀여운 소녀의 모습"이라는 개념이 포함된다.[4]

부릿코와 관련된 행동으로는 둥글린 필체의 글쓰기 방식인 "고양이 글씨"와 "말을 배우는 아이처럼 들리게" 하는 아기 말투가 있다.[6] 유치한 말투의 일환으로, 사람들은 제3자에 대해 이야기하듯이 자신의 이름을 부르기도 한다(자칭 삼인칭).[2] 또한 비음 섞인 발음, 높은 음정, 재미있거나 가벼운 문구, 미소 지을 때 입을 가리는 것과 같은 몸짓을 포함할 수 있다.[2] 어휘 또한 멜로디컬하고 노래하는 듯한 어휘나 의성어를 사용하여 부릿코를 나타낸다.[2] 예를 들어 '손'을 뜻하는 'te' 대신 'otete', '멋지다'를 뜻하는 'kakkoii' 대신 'katchoi', '개'를 뜻하는 '멍멍'의 'wanwan'이 있다.[2] 명사에 인칭 접미사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택시'를 뜻하는 'takushii' 대신 'takuchan'(작은 택시씨)와 같이 사용한다.[2]

3. 2. 언어 사용

부릿코는 애교를 부리거나, 의도적으로 귀엽고 순수한 척하는 여성을 말한다.[2] 여기에는 "어리고, 순종적이며, 귀여운 소녀의 모습"이라는 개념이 포함된다.[4] 부릿코 하위 문화는 성인이 어린아이 같은 행동과 말투를 귀여움의 형태로 받아들이는 한 예시로, 이는 한국의 애교나 중국의 '사자오' 등에서도 볼 수 있다.[5]

부릿코와 관련된 행동으로는 둥글린 필체의 글쓰기 방식인 "고양이 글씨"와 "말을 배우는 아이처럼 들리게" 하는 아기 말투가 있다.[6] 이러한 유치한 말투의 일환으로, 사람들은 마치 제3자에 대해 이야기하듯이 자신의 이름을 부르기도 한다(자칭 삼인칭). 부릿코는 또한 비음 처리된 발음, 높은 음정, 재미있거나 가벼운 문구, 미소 지을 때 입을 가리는 것과 같은 몸짓을 포함할 수 있다. 어휘 또한 멜로디컬하고 노래하는 듯한 어휘나 의성어를 사용하여 부릿코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손을 뜻하는 'te' 대신 'otete', "멋지다"를 뜻하는 'kakkoii' 대신 'katchoi', 개를 뜻하는 "멍멍"의 'wanwan'이 있다. 부릿코는 또한 명사에 인칭 접미사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택시를 뜻하는 'takushii' 대신 'takuchan' "작은 택시씨"와 같이 사용한다.[2]

4. 비판

부릿코는 "젊은 여성"을 대체하는 용어로 사용되면서, 젊은 여성에게 부정적이고 가짜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2] 남성들은 부릿코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가짜라고 비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러한 행동이 내포하는 사회적 의미, 즉 여성의 약함과 복종을 높게 평가하고 장려하기도 한다. 이는 여성을 남성보다 힘과 권력 면에서 열등한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2]

4. 1. 남성 중심 사회에서의 딜레마

부릿코는 종종 약함과 복종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남성 앞에서' 유발된다.[2]

부릿코는 이 용어가 "젊은 여성"을 대체하며 젊은 여성에게 부정적이고 가짜라는 함의를 반영하는 상황에서 문제가 된다. 남성들은 부릿코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고 행위자들을 가짜라고 칭할 수 있지만, 부릿코가 제공하는 사회적 함의를 여전히 높이 평가하고 장려한다. 이는 여성의 힘과 권력 측면에서 남성보다 열등한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설은 진실해 보이고자 하는 동시에 남성 중심 사회에서 발전하고자 하는 젊은 여성들에게 "하면 욕 먹고 안 하면 욕 먹는" 딜레마를 만들어낸다.[2]

4. 2. 부정적 함의

부릿코는 종종 약함과 복종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남성 앞에서'(男の前|오토코노 마에일본어) 유발된다.[2]

부릿코는 이 용어가 "젊은 여성"을 대체하며 젊은 여성에게 부정적이고 가짜라는 함의를 내포하는 상황에서 문제가 된다. 남성들은 부릿코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고 행위자들을 가짜라고 칭할 수 있지만, 부릿코가 제공하는 사회적 함의는 여전히 높이 평가하고 장려하여 여성의 힘과 권력 측면에서 남성보다 열등한 위치에 놓이게 한다. 이러한 역설은 진실해 보이고자 하는 동시에 남성 중심 사회에서 발전하고자 하는 젊은 여성들에게 "하면 욕 먹고 안 하면 욕 먹는" 딜레마를 만들어낸다.[2]

5. 방언

도호쿠 지방방언에서는 식용으로 하는 도루묵의 알을 '부리코' 또는 '부릿코'라고 부른다. 아키타 민요가 만들어진 에도 시대 이전부터 사용된 오래된 단어이다.

참조

[1] 서적 Womansword: What Japanese Words Say about Women https://archive.org/[...] Kodansha International
[2] 서적 Japanese Language, Gender, and Id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3] 서적 セクシィ・ギャルの大研究:女の読み方・読まれ方・読ませ方 岩波書店
[4] 웹사이트 Kawaii: Culture of cuteness http://www.jref.com/[...] 2005-05-03
[5] 서적 The Aesthetics and Affects of Cuteness Taylor & Francis
[6] 웹사이트 Hello Kitty: Kawaii So Shy? Oh, You Don't Have a Mouth http://www.kawaiistu[...] 2014-04-30
[7] 문서 杉村喜光「異名・ニックネーム辞典:広告漫画」その11〜13
[8] 문서 国会図書館サーチ
[9] 웹사이트 かまとと 語源由来辞典 https://gogen-yurai.[...]
[10] 서적 Womansword: What Japanese Words Say about Women https://archive.org/[...]
[11] 서적 Japanese Language, Gender, and Ideo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