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 (장난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록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되어 아이들의 놀이와 교육에 사용되는 장난감이다. 나무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쌓거나 연결하는 방식으로 조작하여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신체 발달, 사회성, 언어 능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적 효과를 제공한다. 16세기부터 교육 도구로 언급되었으며, 프뢰벨의 은물, 몬테소리 교구, 레고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블록은 무언가를 쌓아 올리는 행위나 그 결과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제 장난감 - 마트료시카
마트료시카는 러시아의 전통적인 중첩 인형으로, 크기 순서대로 여러 개의 인형이 서로 안에 들어 있으며, 1890년에 처음 제작되어 러시아의 민예품, 기념품으로 널리 알려졌고, 가족, 다산, 여성성을 상징한다. - 목제 장난감 - 직소 퍼즐
직소 퍼즐은 그림이 인쇄된 조각들을 맞춰 완성하는 퍼즐로, 교육용 지도에서 유래되어 대공황 시기에 인기를 얻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고 사회적 의미도 지닌다. - 교육용 장난감 - 레고 마인드스톰
레고 마인드스톰은 레고 그룹에서 MIT 미디어 랩 연구를 기반으로 개발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봇 공학 키트로, 레고 블록, 센서, 모터 등을 사용하여 로봇을 만들고 프로그래밍하며, RCX, NXT, EV3 등 다양한 세대가 출시되어 교육용으로 코딩 및 STEAM 교육에 활용된다. - 교육용 장난감 - 슬링키
슬링키는 1943년 리처드 T. 제임스가 개발한 장난감으로, 스프링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제작되었으며, 1945년 짐벨 백화점 시연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고, 장난감, 교육 도구 등으로 사용되다가 2000년 국립 장난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조립장난감 - 옥스포드 (기업)
옥스포드는 1961년 설립되어 레고와 유사한 블록 완구를 생산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며, 레고와의 소송에서 승소하고 한국적인 소재와 유아 시장 집중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였다. - 조립장난감 - 플레이모빌
플레이모빌은 한스 베크가 발명한 다양한 테마의 피규어와 액세서리로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독일 장난감 시스템으로, 석유 파동으로 인한 플라스틱 절감 노력으로 개발되어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어 레고의 경쟁자가 되었으며, 어린이뿐 아니라 성인 수집가도 많고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고 있다.
블록 (장난감)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장난감 |
재료 | 나무 플라스틱 기타 재료 |
용도 | 건축 구조물 제작, 퍼즐 놀이, 학습 도구 등 |
역사적 기원 | 18세기 |
관련 인물 | 프리드리히 프뢰벨 힐패더 카플라 |
특징 | |
교육적 가치 | 창의성 증진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수학적 개념 학습 공간지각능력 발달 |
다양한 형태 | 정육면체 직육면체 원기둥 삼각기둥 |
재료의 다양성 | 나무 플라스틱 폼 기타 재료 |
종류 | |
구성 블록 종류 | 레고 메가블럭 클릭블럭 맥포머스 카플라 힐패더 유클리드 블록 기타 블록 |
재질에 따른 종류 | 나무 블록 플라스틱 블록 스펀지 블록 종이 블록 자석 블록 |
안전 | |
주의사항 | 작은 부품 삼킴 주의, 안전 인증 마크 확인 |
2. 역사
블록은 오랜 역사를 지닌 교육 도구로 활용되어 왔다. 16세기 말 영국의 작가이자 발명가인 휴 플랫과 17세기 말 철학자 존 로크는 블록 또는 글자가 새겨진 주사위를 아이들의 문자 학습을 위한 교육 도구로 언급하였다.[1][2] 1798년 마리아 엣지워스와 리처드 러블 엣지워스는 저서 《실용 교육》에서 블록을 아이들에게 중력, 물리학, 공간 관계 등을 가르치는 "합리적인 장난감"으로 소개했다.[3]
19세기 교육사에서 중요한 인물인 프리드리히 프뢰벨은 1837년 유치원을 창설하며 교육 과정의 일부로 블록을 적극 활용했다. 그가 고안한 프뢰벨 선물(은물)은 현대 교육용 블록의 중요한 기원으로 평가받는다.[7][8] 또한, 헨리 콜은 19세기 중반 테라코타 블록과 건축 도면이 포함된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마리아 몬테소리가 고안한 교구에 포함된 나무 블록이나, 패티 스미스 힐이 고안한 힐 블록 등 여러 교육자들이 블록을 교육적으로 활용하였다. 블록의 교육적 가치는 현대에도 인정받아, 2003년 미국 뉴욕주 로체스터의 더 스트롱 박물관 내 국립 완구 명예의 전당은 ABC 블록을 소장품으로 헌정하였다.
2. 1. 초기 역사

블록 또는 글자가 새겨진 "주사위"는 교육 도구로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594년 영국의 작가이자 발명가인 휴 플랫은 그의 저서 《예술과 자연의 보석의 집》에서 이러한 블록을 언급했다. 그는 아이들이 "그것으로 놀면서 어떤 글자가 나오는지 항상 듣고 있으면 곧 알파벳을 익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1][2] 이후 1693년,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는 자신의 에세이 《교육에 관한 고찰》에서 블록을 통해 아이들이 놀이처럼 글자를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렇게 하면 아이들이 글자를 배우는 데 속을 수 있고, 놀이로만 인식하면서 읽는 법을 배울 수 있다"고 언급했다.[1][2]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도시학 교수 위톨드 리브친스키에 따르면, 어린이용 블록에 대한 최초의 구체적인 언급은 1798년 마리아 엣지워스와 리처드 러블 엣지워스가 쓴 《실용 교육》에서 나타난다. 이 책에서 블록은 "합리적인 장난감"으로 불리며, 아이들에게 중력과 물리학의 원리를 가르치고, 여러 부분이 모여 전체를 이루는 공간 관계를 이해시키는 도구로 소개되었다.[3]
1837년, 독일의 교육학자 프리드리히 프뢰벨은 세계 최초의 유치원을 창설하면서 교육 과정의 일부로 블록을 도입했다. 그는 블록 원리를 활용한 10가지 놀잇감 세트인 프뢰벨 선물(은물)을 고안했다.[7][8] 특히 1838년에 고안된 나무 블록 은물은 현대 블록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구체적으로 제3은물은 정육면체 나무 블록, 제4은물은 직육면체 나무 블록이며, 제5은물은 정육면체와 삼각기둥, 제6은물은 정육면체와 직육면체로 구성된 나무 블록이다.[7]
19세기 중반에는 영국의 헨리 콜이 펠릭스 서머리라는 필명으로 어린이 책 시리즈를 출판했다. 그의 저서 《홈 재무부의 이야기 책》에는 테라코타로 만든 장난감 블록 상자와 함께 실제 건축 도면이 포함된 소책자 "건축 오락"이 들어 있었다.
그 외에도 이탈리아의 교육가 마리아 몬테소리가 고안한 교구에 포함된 나무 블록이나, 미국의 교육가 패티 스미스 힐이 고안한 대형 힐 블록 역시 유명한 교육용 블록으로 알려져 있다.
2003년, 뉴욕 로체스터의 더 스트롱 박물관 내 국립 완구 명예의 전당은 ABC 블록을 소장품으로 헌정하며 미국의 국가적으로 중요한 장난감 중 하나로 인정했다.
2. 2. 프뢰벨과 몬테소리
독일의 교육학자 프리드리히 프뢰벨은 1837년 유치원 교육 과정의 일환으로 블록 원리에 기반한 10개의 프뢰벨 선물(은물)을 설계했다.[7][8] 교육 완구로서의 나무 블록은 프뢰벨이 1838년에 고안한 이 은물의 일부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진다.[7][8] 구체적으로 은물 중 나무 블록 구성은 다음과 같다.[7]
마리아 몬테소리 역시 몬테소리 교육법에서 활용하기 위해 나무 블록 교구를 개발하였다.
2. 3. 현대의 발전
1837년 프리드리히 프뢰벨은 유아 교육 기관인 유치원을 발명했으며, 이를 위해 블록 원리에 기반한 10개의 프뢰벨 선물을 설계했다. 19세기 중반, 헨리 콜은 펠릭스 서머리라는 필명으로 일련의 어린이 책을 썼다. 콜의 《홈 재무부의 이야기 책》에는 테라코타 장난감 블록 상자와 함께 실제 청사진이 포함된 소책자 "건축 오락"이 포함되었다.2003년, 미국 뉴욕주 로체스터에 위치한 더 스트롱 박물관의 국립 완구 명예의 전당은 ABC 블록을 소장품으로 헌정하여, 미국에서 국가적으로 중요한 장난감 중 하나로 인정하였다.
3. 교육적 효과
조립식 블록 놀이는 아동의 신체 능력, 사회성, 지능, 창의성, 언어 능력 등 다양한 영역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6]
교육용 장난감으로서 나무 블록은 1838년 프리드리히 프뢰벨이 고안한 은물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진다.[7][8] 프뢰벨이 고안한 10종의 은물 중 제3은물은 정육면체 나무 블록, 제4은물은 직육면체 나무 블록이며, 제5은물은 정육면체와 삼각기둥, 제6은물은 정육면체와 직육면체로 구성된 나무 블록이다.[7]
그 외에도 마리아 몬테소리가 고안한 나무 블록이나 패티 스미스 힐이 고안한 힐 블록 등이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어 왔다.
3. 1. 신체 발달
블록 놀이는 아동의 손가락과 손의 힘을 길러주고 눈과 손의 협응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블록을 다루면서 형태에 대한 인지 능력이 발달한다.3. 2. 사회성 발달
블록 놀이는 아이들이 또래 친구들과 관계를 맺고 협동심을 기르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아이가 다른 아이들과 어울리는 첫 경험 중 하나가 되기도 한다. 블록 놀이는 아이들의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상상력을 자극하여 사회성 발달에 유익하다.[4][5][6] 이 과정에서 의사소통 능력도 함께 향상될 수 있다. 창의적인 활동은 사회적 역할 수행 및 사회적 놀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3. 3. 지능 발달
아이들은 블록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설명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잠재적으로 어휘력을 키울 수 있다. 정기적으로 블록 놀이를 하는 것은 더 나은 언어 능력 개발로 이어지기도 한다.특히 단위 블록과 같이 표준화된 블록을 사용하여 그룹화, 덧셈, 뺄셈 과정을 통해 수학 기술이 개발된다. 또한 블록을 가지고 놀면서 얻는 중력, 균형, 기하학에 대한 경험은 지적인 자극을 제공한다.[4][5][6]

3. 4. 창의성 발달
블록 놀이는 아이들이 자신만의 독창적인 디자인이나 구조물을 만들면서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준다.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창의적인 자극을 받는다.[4][5][6] 또한 블록 놀이는 상호작용과 상상력을 장려하며, 사회적 놀이 과정에서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3. 5. 언어 능력 발달
정기적인 블록 놀이는 아이들의 언어 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아이들은 블록을 가지고 놀면서 크기, 모양, 위치 등을 말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어휘력을 키울 수 있다.4. 종류
조립식 블록 장난감은 부품을 서로 연결하는 방식, 사용하는 재질, 블록의 형태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 간 결합 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고, 나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형태나 구조물을 만드는 데 특화된 블록들도 존재한다.
4. 1. 연결 방식에 따른 분류
블록 장난감은 각 부품을 서로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부품 사이에 특별한 연결 구조가 없는 블록, 홈을 파서 끼우는 방식의 블록, 그리고 돌기를 이용해 서로 맞물리게 하는 블록 등이 있다. 각 연결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블록 장난감이 존재한다.4. 1. 1. 연결 부위 없음
연결 부위가 없는 블록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유닛 블록은 널리 사용되는 표준화된 나무 장난감 블록이며, 앵커 스톤 블록, 카플라, 케바 플랭크 등도 나무 블록 건설 장난감에 속한다. 교육용 자료로는 최초의 유치원에서 사용된 프뢰벨 교육 완구와 나무 블록을 포함하는 몬테소리 감각 교육 자료가 있다. 또한, 패턴 블록과 퀴즈네어 막대는 수학 교육 및 블록 놀이에 사용되는 작은 블록 세트이다.교육 완구로서 나무 블록의 기원은 1838년 프리드리히 프뢰벨이 고안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나무 블록은 그가 고안한 10종의 교재인 은물 중 일부이다.[7][8] 구체적으로 제3은물은 정육면체 나무 블록, 제4은물은 직육면체 나무 블록이며, 제5은물은 정육면체와 삼각기둥, 제6은물은 정육면체와 직육면체로 구성된 나무 블록이다.[7]
그 외에도 마리아 몬테소리가 고안한 나무 블록이나 패티 스미스 힐이 고안한 힐 블록 등이 유명하다.
4. 1. 2. 홈 연결
- 링컨 통나무는 홈이 파인 작은 통나무로 구성된 장난감이다.
- 스틱클 브릭스는 주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플라스틱 조립 장난감이다.
4. 1. 3. 돌기 연결
키디크래프트 자물쇠식 건축 벽돌(Kiddicraft Self-Locking Building Brickseng)은 1940년대와 1950년대에 판매되었다. 레고는 이 키디크래프트 벽돌을 기반으로 한, 서로 맞물리는 플라스틱 조립식 벽돌 장난감 라인이다. 레고 짝퉁은 레고 브랜드의 벽돌을 모방한 제품들을 의미한다. 아르헨티나에는 라스티가 있으며, 스페인에는 텐테(Tentespa)라는 서로 맞물리는 벽돌 장난감이 있다.5. 비유적 표현
쌓기 블록은 무언가를 차곡차곡 쌓아 올리는 행위나 그 결과물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개인이 꾸준히 노력하여 만들어 온 경력이나 성과 등을 블록 쌓기에 비유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공들여 쌓아 올린 것들이 허무하게 무너지는 상황을 "적목 붕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Child life in colonial days
The Macmillan Company
1899
[2]
서적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Block Play in Early Childhood
Cengage Learning
2001
[3]
서적
Looking Around: A Journey Through Architecture
2006
[4]
논문
Effects of collaborative expression using LEGO blocks, on social skills and trust
2012
[5]
논문
Spatial ability in children's play with Lego blocks
1998
[6]
논문
Use of LEGO© as a Therapeutic Medium for Improving Social Competence
2004
[7]
웹사이트
第142回 ミニ企画「積み木のルーツ~フレーベル『恩物』」展
https://www.sci-muse[...]
大阪市立科学館
2021-07-19
[8]
웹사이트
積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