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환 원환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가환 원환면은 무리수 θ에 의해 정의되는 C*-대수이며, 2차원 원환면의 비가환적 일반화이다. 이는 두 유니타리 연산자 U와 V에 의해 생성되며, VU = e−2πiθUV의 관계를 만족한다. 비가환 원환면은 추상적 정의, 기하학적 정의, 다양한 표현을 가지며, K-이론을 통해 분류될 수 있다. 두 비가환 원환면은 θ + θ' 또는 θ - θ'가 정수일 때 동형이며, SL(2, ℤ)의 분수 선형 변환 작용의 같은 궤도에 있을 때 강하게 모리타 동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가환 기하학 - 스펙트럼 삼조
스펙트럼 삼조는 비가환 기하학에서 리만 기하학을 일반화하는 구조로,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 위의 유계 작용소들의 복소수 대합 대수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자기 수반 작용소 로 구성되며, 다양체의 기하학적 정보를 대수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 비가환 기하학 - 퍼지 구
퍼지 구는 SU(2) 표현을 사용하여 정의되는 구의 양자역학적 모델로, 좌표가 서로 가환하지 않지만 스핀이 커질수록 고전적인 구로 수렴하며, 함수는 에르미트 행렬로, 미분은 교환자로, 적분은 대각합으로 표현되고 1991년 존 마도어에 의해 소개되었다. - 연산자 이론 - 힐베르트 공간
힐베르트 공간은 내적 공간이면서 내적으로부터 유도된 거리 함수에 대해 완비 거리 공간을 이루는 공간으로, 다양한 함수 공간의 예시를 가지며 푸리에 해석, 양자역학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 연산자 이론 - C* 대수
C* 대수는 복소수 대합 대수와 복소수 바나흐 대수의 구조를 결합한 복소수 벡터 공간으로, 겔판트-나이마르크 정리에 따라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선형 연산자 대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함수해석학, 수리물리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비가환 원환면 | |
---|---|
일반 정보 | |
유형 | 비가환 기하학의 주제 |
분야 | 수학 |
정의 | |
정의 | 비가환 C*-대수 |
예시 | |
예시 | 무리수 회전 대수 |
2. 정의
비가환 원환면은 수학적으로 두 가지 주요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는 C* 대수의 생성원과 관계식을 이용한 추상적인 정의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 함수 공간 위의 작용소를 이용한 기하학적인 정의이다.
추상적인 관점에서, n차원 비가환 원환면은 n개의 유니타리 생성원 U1, ..., Un과 반대칭 실수 행렬 θ = (θij)에 의해 주어지는 관계식
:Ui Uj = exp(2πi θij) Uj Ui
을 만족하는 보편적인 C* 대수로 정의된다. 만약 행렬 θ의 모든 성분이 0이면, 이 대수는 가환적이 되며 n차원 원환면 Tn 위의 연속 함수들의 대수 C0(Tn, C)와 동형이 된다.
기하학적인 관점에서, 특히 2차원 비가환 원환면(n=2)의 경우, 무리수 θ에 대해 힐베르트 공간 L2(S1; C) (단위 원 위의 제곱 적분 가능 함수 공간) 위에 작용하는 두 유니타리 작용소 U, V로 생성되는 C* 대수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 작용소들은 다음과 같은 교환 관계를 만족한다.
:UV = exp(2πi θ) VU
이 두 정의 방식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비가환 기하학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2. 1. 추상적 정의
단위원을 갖는 복소수 C* 대수의 범주 에서 집합의 범주 로 가는 망각 함자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망각 함자는 왼쪽 수반 함자
:
를 가지며, 이를 통해 주어진 집합으로부터 자유 C* 대수를 정의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C* 대수의 임의의 부분 집합이 주어졌을 때, 이 부분 집합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닫힌 양쪽 아이디얼(C*-아이디얼)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아이디얼에 대한 몫 대수는 주어진 생성원들과 특정 관계식들로부터 생성되는 C* 대수로 볼 수 있다.
이제, 개의 생성원 으로 생성되는 자유 C* 대수를 이라고 하자. 여기에 반대칭인 실수 행렬
: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행렬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관계식들로 정의되는 C*-아이디얼 를 생각한다.
:
이 아이디얼 에 대한 몫 C* 대수
:
를 '''로 정의되는 차원 비가환 원환면'''(-dimensional noncommutative torus defined by 영어)이라고 부른다.
특히, 만약 (모든 성분이 0인 영행렬)인 경우, 위 관계식은 가 되어 생성원들이 서로 교환 법칙을 만족하게 된다. 이 경우 는 가환 C* 대수가 되며, 이는 차원 원환면 위의 복소수 값 연속 함수들의 C* 대수 와 동형이다. 원환면을 로 좌표를 주면, 이 동형 사상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즉, 생성원 는 원환면의 번째 좌표에 해당하는 위상 생성 함수 에 대응된다.
2. 2. 기하학적 정의
무리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원 위의 복소수 값 제곱 적분 가능 함수들로 구성된 르베그 공간 를 고려한다. 이 공간 위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유계 작용소 와 를 정의할 수 있다.여기서 는 에 속하는 함수이고, 는 원 위의 점이다. 작용소 는 함수에 그 변수 를 곱하는 연산이고, 는 함수 정의역의 점을 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연산이다. 이 두 작용소는 다음과 같은 교환 관계를 만족시킨다.
[1]
이 관계식은 와 의 작용 순서를 바꾸면 라는 복소수 위상 인자가 곱해짐을 의미한다.
모든 유계 작용소들로 이루어진 C* 대수 안에서, 위에서 정의한 두 유니타리 작용소 와 로 생성되는 부분 C* 대수가 '''2차원 비가환 원환면''' (또는 )이다. 이는 교환 관계 에 의해 정의되며, 항등원을 포함하는 자유 C* 대수이다.
3. 성질
두 비가환 원환면 와 는 또는 일 경우 서로 동형(isomorphic)이다.
두 비가환 원환면 와 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때 서로 강하게 모리타 동치(strongly Morita equivalent)이다.[5][6]
:
여기서 행렬 는 모듈러 군 의 원소이다. 즉, 비가환 원환면의 모리타 동치는 모듈러 군 SL(2,ℤ)를 따르며, 이는 M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7]
무리수 회전 대수 는 다음과 같은 주요 성질을 지닌다.
- 모든 무리수 회전 대수 는 단순하다. 이는 과 자기 자신 외에는 닫힌 고유 양쪽 아이디얼을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1]
- 모든 무리수 회전 대수는 유일한 추적 상태를 갖는다.[1]
- 무리수 회전 대수는 핵이다.
의 K-이론은 짝수 차원()과 홀수 차원() 모두에서 과 동형이므로, K-이론만으로는 무리수 회전 대수를 구별하지 못한다. 하지만 순서군으로서 는 와 동형이다. 따라서 두 비가환 원환면 와 가 동형일 필요충분조건은 가 정수인 것이다.[1][2]
또한, 두 무리수 회전 대수 와 가 강한 모리타 동치일 필요충분조건은 와 가 SL(2, '''Z''')의 '''R''' 상 분수 선형 변환 작용에 대해 같은 궤도에 속하는 것이다. 특히, 가 유리수일 경우 비가환 원환면은 고전적인 원환면과 모리타 동치이다. 반면, 가 무리수일 경우 비가환 원환면은 단순 C*-대수이다.[2]
4. 다른 표현
비가환 원환면 는 여러 가지 동등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주요 표현 방식은 다음과 같다.
- '''보편 C*-대수''': 특정 교환 관계식을 만족하는 두 개의 유니타리 원소로 생성되는 보편 C*-대수로 정의될 수 있다.[1]
- '''무리수 회전 대수''': 원 에 대한 무리수 회전 작용과 관련된 C*-대수 교차 곱과 동형이다.[1]
- '''꼬임 군 대수''': 특정 2-코사이클을 이용한 의 꼬임 군 대수와 동형이다.[1]
이러한 다양한 표현 방식은 비가환 원환면의 구조와 성질을 여러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4. 1. 보편적 성질
- ''A''''θ''는 관계식 ''VU'' = e2π ''i'' θ''UV''를 만족하는 두 개의 유니타리 원소 ''U''와 ''V''에 의해 생성된 보편 C*-대수로 (동형사상까지) 정의될 수 있다.[1] 이 정의는 ''θ''가 유리수일 때까지 확장된다. 특히 ''θ'' = 0일 때, ''A''''θ''는 겔판트 변환에 의해 2-토러스 상의 연속 함수와 동형이다.
- 무한 순환군 '''Z'''가 각도 2π''iθ''만큼의 회전 작용에 의해 원 '''S'''1에 작용한다고 하자. 이는 자리에 의한 '''Z'''의 작용을 연속 함수 대수 ''C''('''S'''1)에 유도한다. 결과적인 C*-교차 곱 ''C''('''S'''1) ⋊ '''Z'''는 ''A''''θ''와 동형이다. 생성 유니타리는 군 '''Z'''의 생성원과 원상의 항등 함수 ''z'' : '''S'''1 → '''C'''이다.[1]
- 함수 σ : '''Z'''2 × '''Z'''2 → '''C'''; σ((''m'',''n''), (''p'',''q'')) = ''e''2π''inpθ''는 '''Z'''2 상의 군 2-코사이클이며, 이에 해당하는 꼬임 군 대수 ''C*''('''Z'''2; ''σ'')는 ''A''''θ''와 동형이다.
4. 2. 무리수 회전 대수
무한 순환군 '''Z'''가 각도 2π''iθ''만큼의 회전 작용을 통해 원 '''S'''1에 작용한다고 가정하자. 이 작용은 연속 함수 대수 ''C''('''S'''1) 위에 '''Z'''의 작용을 유도한다.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C*-대수 교차 곱 ''C''('''S'''1) ⋊ '''Z'''는 ''A''''θ''와 동형이다. 이때 생성 유니타리 원소는 군 '''Z'''의 생성원과 원 위의 항등 함수 ''z'' : '''S'''1 → '''C'''이다.[1]4. 3. 꼬임 군 대수
함수 σ : '''Z'''2 × '''Z'''2 → '''C''' 를 σ((''m'',''n''), (''p'',''q'')) = ''e''2π''inpθ'' 와 같이 정의하자. 이 함수 σ는 '''Z'''2 상의 군 2-코사이클이다. 이 군 2-코사이클에 해당하는 꼬임 군 대수 ''C*''('''Z'''2; ''σ'')는 비가환 원환면 ''A''''θ''와 동형이다.[1]5. 분류 및 K-이론
''A''''θ''의 K-이론은 짝수 차원과 홀수 차원 모두에서 이다. 따라서 K-이론 자체만으로는 서로 다른 무리수 회전 대수를 구별할 수 없다. 하지만 순서군으로서 는 와 동형이다.
이를 통해 두 비가환 원환면 (또는 )와 (또는 )가 서로 동형(isomorphic)일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다.[1][2]
: 또는
또한, 두 비가환 원환면 와 가 강한 모리타 동치(strongly Morita equivalent)일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5][6]
:
여기서 행렬 은 모듈러 군 의 원소이다. 즉, 두 무리수 회전 대수 와 는 와 가 의 상 분수 선형 변환 작용의 같은 궤도에 있을 때에만 강한 모리타 동치이다.[2] 비가환 원환면의 이러한 모리타 동치 관계는 M이론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7]
특히, 매개변수 θ가 유리수일 경우, 해당 비가환 원환면은 고전적인 원환면과 모리타 동치이다. 반면, θ가 무리수일 경우, 비가환 원환면은 단순 C*-대수가 된다.[2]
참조
[1]
서적
C*-Algebras by Example
Fields Institute
[2]
논문
C*-Algebras Associated with Irrational Rotations
http://msp.org/pjm/1[...]
2013-02-28
[3]
서적
Geometric and Topological Invariants of Elliptic Operator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90
[4]
서적
An invitation to noncommutative geometry. Lecture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noncommutative geometry, Tehran, Iran, 2005
World Scientific
2008
[5]
저널
Morita equivalence of multidimensional noncommutative tori
1999-03
[6]
저널
Morita equivalence of smooth noncommutative tori
2007-09
[7]
저널
Noncommutative field theory
2001-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