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류는 백제 건국 설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온조와 함께 고구려에서 남쪽으로 내려와 미추홀에 정착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자결했다는 설화와, 소서노의 아들로 온조와 함께 백제를 건국하려 했다는 설화 등 다양한 이야기로 전해진다. 《삼국사기》에는 온조를 백제의 시조로, 비류를 그의 형으로 묘사하며, 비류는 미추홀에 정착했으나 땅이 습해 백성들이 떠나자 자결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다른 기록에서는 비류가 온조와 함께 백제를 건국하려 했다는 설도 존재하며, 그의 가계와 관련한 기록도 전해진다. 비류는 여러 드라마에서 묘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8년 사망 - 유덕 (성릉후)
유덕은 아버지의 작위를 이어 성릉후에 봉해졌으나, 동생의 패륜 행위를 묵인한 혐의로 사형에 처해진 인물로, 그의 이야기는 《한서》에 기록되었고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성릉에 있다. - 기원전 18년 사망 - 유위 (경조윤)
유위는 전한 시대 농서태수에서 경조윤으로 승진했으나 이듬해 사망한 짧은 경력의 관료이다. - 한국의 군주 - 궁예
궁예는 신라 왕족의 서자로 추정되며 후삼국시대에 후고구려를 건국하고 태봉으로 국호를 변경한 인물이며, 말년에 폭정을 일삼다 신하들에게 축출되어 사망했다. - 한국의 군주 - 대연림
대연림은 발해 유민을 기반으로 흥료국을 건국하고 천흥황제를 칭했으나 요나라에 의해 멸망하고, 아들은 고려로 망명했다는 설이 있다. - 백제 신화의 인물 - 온조왕
온조왕은 기원전 18년부터 기원 28년까지 백제를 다스린 백제의 시조로, 고구려에서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하고 외침을 격퇴하며 마한을 정복하는 등 백제의 기틀을 다진 인물이다. - 백제 신화의 인물 - 소서노
소서노는 졸본 부여 또는 연타발의 딸로, 북부여 우태와 혼인하여 비류와 온조를 낳았으며, 고구려 동명성왕과 혼인하여 고구려 건국을 돕고 두 아들과 함께 백제를 건국한 인물이다.
비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래 이름 | 沸流 |
휘 | 비류(沸流) |
다른 이름 | 피류(避流), 은조(殷祚) |
별호 | 미상(未詳) |
별칭 | 해비류(解沸流)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출생지 | 졸본부여(卒本 扶餘) 졸본성(卒本聖) |
사망일 | 기원전 18년 |
사망지 | 비류국(沸流國) 미추홀(彌鄒忽) |
사망 원인 | 미상(未詳) |
매장지 | 미상(未詳) |
배우자 | 비류왕비(沸流王妃) |
자녀 | 미상(未詳) |
친인척 | 미상(未詳) |
부왕 | 우태(優台), 동명성왕(東明聖王) |
모후 | 소서노(召西奴) |
형제자매 | 온조왕(溫祚王) |
거주지 | 미추홀국(彌鄒忽國) |
국적 | 백제(百濟), 미추홀국(彌鄒忽國) |
가문 | 부여(扶餘) |
종교 | 미상(未詳) |
호칭 | 폐하(陛下) |
목록 | 미추홀국의 초대 국왕 |
직위 정보 | |
대관식 | 비류(沸流) |
직업 | 미추홀국(彌鄒忽國) 폐하(陛下) |
작위 | 미추홀의 폐하 |
재위 기간 | 기원전 19년~기원전 18년 |
전임자 | 신설(新薛) |
후임자 | 미추홀국(彌鄒忽國) 멸망(滅亡) |
기타 정보 | |
묘호 | 미상(未詳) |
시호 | 없다 |
법명 | 미상(未詳) |
존호 | 시조(始祖) |
묘소 | 미상(未詳) |
능묘 | 미상(未詳) |
성별 | 남성(男性) |
연호 | 미상(未詳) |
왕조 | 고구려(高句麗), 백제(百濟), 미추홀국(彌鄒忽國) |
2. 생애
비류는 고구려의 시조 주몽과 소서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온조의 형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비류는 온조와 함께 고구려를 떠나 남쪽으로 이동하여 미추홀에 정착했다.[13]
비류는 소서노와 졸본 사람 우태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우태가 죽은 후 소서노는 주몽과 결혼하였다. 주몽이 고구려를 건국하고 부여에서 온 유리를 태자로 삼자, 비류와 온조는 남쪽으로 내려가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로 결심하였다.
비류는 해변에 살고 싶어 미추홀을 선택했지만, 그 땅은 습하고 물이 짜서 살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반면 온조는 하남 지역에 위례성을 쌓고 십제라는 나라를 세웠다.[6] 비류 사후, 미추홀 백성들은 위례성으로 돌아갔다.[6]
2. 1. 시조 전승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따르면, 비류는 온조와 함께 고구려 남쪽으로 이동했다. 비류는 해변에 살기를 원했으나, 10명의 신하가 하남 지역에 도읍을 정할 것을 권유했다. 그러나 비류는 이를 따르지 않고 미추홀에 도읍을 정했으나, 땅이 습하고 물이 짜서 백성들이 살기 어려워 동생이 세운 나라로 이주하자 자결하였다.[13]백제의 시조가 비류라는 시조 비류설에 따르면, 소서노는 졸본 사람 우태에게 시집가 비류와 온조를 낳았다. 우태 사후, 주몽이 소서노를 왕비로 삼고 비류와 온조를 양자로 삼았다. 이후 부여에서 유리가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는 졸본부여를 떠나 남쪽 미추홀에서 살았다.
백제 시조에 대해서는 시조 온조설과 시조 구태설이 있으며, 현재는 시조 온조설이 정설로 인정받고 있다. 시조 온조설에 따르면, 동명성왕과 졸본부여 왕의 둘째 딸 사이에서 태어난 두 아들 중 형이 비류, 동생은 온조였다. 동명성왕이 고구려를 건국하고 유리를 태자로 임명하자, 비류와 온조는 남쪽으로 내려갔다.
삼국사기는 백제 건국 설화로 온조와 비류 두 가지를 제시한다. 삼국사기는 백제 왕실 계보를 온조의 후손들만 기록하고, 비류의 후손들은 기록하지 않았다. 그러나 비류의 후손들은 백제에서 이 설화가 살아남을 정도로 충분한 영향력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1]
삼국사기에 따르면, 비류는 오늘날 인천인 미추홀에 정착했다.[2] 온조는 한강 북쪽에 정착했다가, 서울 근처 하남 위례성으로 수도를 옮겼다.[3] 미추홀 땅이 살기에 부적합하여, 비류와 백성들은 온조에게 가서 백제의 왕이 되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온조가 거절하자, 비류는 전쟁을 선포하고 하남을 공격했지만 실패하고 자결했다.[4] 이후 두 집단은 통합되어 백제가 되었다.
비류는 해동고승전에도 기록되어 있다. 고구려에 흡수된 강과 소국(小國)이 그의 이름을 공유했다. 백제 비류왕과 비유왕 역시 그에게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보인다.
부여 계루부의 공주 소서노는 해부루의 손자 우태와 결혼하여 비류와 온조를 낳았다. 우태 사후, 소서노는 주몽과 결혼했다. 기원전 19년, 주몽의 북부여 시대 아내 예씨와 아들 유리가 오자, 주몽은 유리를 태자로 삼고, 예씨를 첫 번째 부인, 소서노를 두 번째 부인으로 삼았다.[6] 소서노는 비류, 온조와 함께 남하했다. 비류는 미추홀로, 온조는 하남 지역에 위례성을 쌓고 십제를 건국했다.[6] 비류가 선택한 미추홀은 습하고 침수가 잦아, 비류 사후 백성들은 위례성으로 돌아갔다.[6]
3. 사료 속 언급
부여의 부족인 계루부의 공주 소서노는 해부루의 손자 우태와 결혼하여 비류와 온조 두 아들을 낳았다. 우태가 일찍 죽자, 소서노는 고구려의 시조 주몽과 만났다.[6] 주몽과 소서노는 결혼했지만, 기원전 19년 주몽의 북부여 시대 아내 예씨와 아들 유리가 부여에서 도망쳐 오자, 주몽은 유리를 태자로 삼고 예씨를 첫 번째 부인으로, 소서노를 두 번째 부인으로 삼았다.[6] 소서노는 아들 비류와 온조, 가신, 일족, 계루부 백성들과 함께 남하했다. 비류는 미추홀에, 온조는 하남 지역에 위례성을 쌓고 십제를 건국했다.[6] 미추홀 땅은 습하고 침수가 잦아, 비류가 죽자 백성들은 곧 위례성으로 돌아갔다.[6]
삼국사기 백제본기 주석에는 주몽이 졸본한국어 부여에서 월군의 딸을 얻어 두 아들을 낳았다는 기사가 있다.[7] "두 아들"은 온조와 비류를 말하며, 이노우에 히데오는 "월군"을 "중국저장성사오싱 지방"으로 추정했다.[7] 즉, 저장성 사오싱의 딸이 랴오닝성단둥시환런 현에서 주몽과 백제 시조 온조와 비류를 낳았다는 것이다. 바이겐싱 및 거지융은 시안 출토 당나라 시대 백제인 묘지 석문 해석에서 망명 백제 귀족 중 "초국 낭야"를 적관중국어으로 하는 인물이 있음을 지적했다.[7] 산둥반도에서 강남에 이르는 중국 연안부와 백제의 관계를 볼 때, 중국 연안에서 동쪽으로 건너온 집단, 산둥에서 요동을 거쳐 한반도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7]
3. 1. 삼국사기
《삼국사기》 〈백제본기〉 서두에서는 두 가지 설화를 소개하는데, 정설로 소개되는 것은 온조가 백제의 시조라는 설이다. 비류와 온조가 같이 남하해 처음에 각자 미추홀, 위례성에 도읍했다가 비류가 사망한 이후 비류계 백성들이 온조에게 귀부했다고 전한다. 여기서 비류는 온조의 형이자 백성들을 평안히 하는데 실패한 인물로 등장한다.[13]이후 일설로 비류가 백제의 시조라는 설을 소개하는데, 여기서는 비류가 실패하지 않고 성공하여 그 나라가 이어진 것으로 서술된다.[13] 삼국사기는 백제의 건국 설화 두 가지를 제시하는데, 하나는 온조를, 다른 하나는 비류를 건국 시조로 칭하고 있다. 삼국사기는 백제의 왕실 계보를 온조의 후손들만을 기록하고, 비류의 후손들은 기록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류의 후손들은 백제에서 이 설화가 살아남을 정도로 충분한 영향력을 유지했던 것으로 여겨진다.[1]
삼국사기에 나오는 주요 내용에 따르면, 비류는 오늘날의 대한민국인천으로 여겨지는 미추홀에 정착했다.[2] 미추홀 땅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드러나자, 비류와 그의 백성들은 온조에게 가서 그가 백제의 왕이 되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온조가 거절하자, 비류는 전쟁을 선포하고 하남 위례성을 공격했지만 정복에 실패하고 자결했다.[4]
비류는 해동고승전에도 기록되어 있다. 백제의 제11대 왕 비류와 제20대 왕 비유 역시 그에게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주석에는 주몽이 졸본한국어 부여에 이르렀을 때 월군의 딸을 얻어 두 아들을 낳았다는 기사가 있다.[7] "두 아들"이란 온조와 비류를 말한다.
3. 2. 해동고승전
《해동고승전》의 〈석마라난타〉에서는 《기로기》(耆老記)를 인용하는데, 여기서는 피류(避流)가 온조와 힘을 합쳐 한산에 국가를 세운 것으로 기술된다.[1]3. 3. 제왕운기
《제왕운기》의 〈백제기〉에서는 은조(殷祚)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왕위에 오른 지 5개월 만에 사망했다고 전한다.[1]4. 가계
항목 | 내용 |
---|---|
아버지 | 우태(優台) 혹은 동명성왕(東明聖王) |
어머니 | 소서노(召西奴, 召西奴|소서노중국어, 기원전 66년~기원전 6년)[14] |
동생 | 온조왕(溫祚王, ? ~28년, 재위: 기원전 18년~28년) |
백제의 시조가 비류라는 시조 비류설에 따르면, 어머니 소서노는 졸본 사람으로 우태에게 시집가 비류와 온조 두 아들을 낳았다. 우태가 죽은 뒤 주몽이 졸본에 도읍하고 고구려를 세운 뒤 소서노를 왕비로 삼고 비류와 온조를 양자로 삼았다. 이후 부여에서 예씨의 아들 유리가 찾아와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가 졸본부여를 떠나 남쪽으로 가 미추홀에서 살았다고 한다.[13]
부여의 부족인 계루부의 공주 소서노는 해부루의 손자 우태와 결혼하여 비류와 온조 두 아들을 낳았다. 우태는 일찍 죽고, 미망인이 된 소서노는 고구려의 시조가 되는 주몽과 만났다.[6] 주몽과 소서노는 사랑에 빠져 결혼했지만, 기원전 19년, 주몽의 북부여 시대 아내인 예씨와 그녀가 낳은 아들 유리가 부여에서 도망쳐 왔다. 이를 기뻐한 주몽은 유리를 태자로 삼고, 예씨를 첫 번째 부인으로, 소서노를 두 번째 부인으로 삼았다.[6] 상처받은 소서노는 아들 비류와 온조와 가신, 그리고 그 일족, 그리고 계루부 백성들과 함께 남하했다. 비류는 해변에 살고 싶어 미추홀로 갔다.[6]
5. 《삼국사기》 속 월군(越郡) 출자
『삼국사기』 백제본기 주석에는 주몽이 졸본한국어 부여에 이르렀을 때 월군의 딸을 얻어 두 아들을 낳았다는 기사가 있다.[7]
"두 아들"이란 온조와 비류를 말하며, 이노우에 히데오는 "월군"에 대해 "중국저장성사오싱 지방인가"라고 주석했다.[7] 즉, 저장성 사오싱의 딸이 랴오닝성단둥시환런 현에 와서 주몽과의 사이에 백제의 시조가 되는 온조와 비류를 낳았다. 바이겐싱 및 거지융은 시안에서 출토된 당나라 시대의 백제인 묘지의 석문 해석에서 망명 백제 귀족 중 "초국 낭야"를 적관중국어으로 하는 인물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7] 산둥반도에서 강남에 이르는 중국 연안부와 백제의 관계를 볼 때, 중국 연안에서 동쪽으로 건너온 집단, 산둥에서 요동을 거쳐 한반도에 도달한 것으로 보이는 집단과 같은 행적을 따랐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7]
6. 대중 문화 속 비류
MBC 드라마 주몽(2006년~2007년, 배우: 이재석)에서 처음으로 비류를 다루었다. 이후 KBS 드라마 근초고왕 (2010년~2011년, 배우: 변두수)과 한국사기 (2017년, 배우: 홍정헌)에서도 비류를 연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kdaq.empas.co[...]
[1]
웹사이트
http://kr.dic.yahoo.[...]
[1]
Webarchive
https://web.archive.[...]
2011-05-19
[1]
웹사이트
http://100.nate.com/[...]
[2]
Daum 백과사전
비류
http://enc.daum.net/[...]
[3]
웹사이트
Daum 오류 메세지
http://enc.daum.net/[...]
2006-11-14
[3]
웹사이트
http://100.naver.com[...]
[4]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5]
서적
The Early History of Kore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69-01-01
[6]
뉴스
召西奴
http://world.kbs.co.[...]
KBSワールドラジオ
2013-01-10
[7]
뉴스
濊倭同系論
古代文字資料館
2021-07
[8]
삼국사기
삼국사기
[9]
해동고승전
해동고승전
[10]
제왕운기
제왕운기
[11]
제왕운기
제왕운기
[12]
문서
묘호의 사용이 신라태종 무열왕 때부터 확인이 되어 당대에 사용했을 확률은 낮다.
[13]
삼국사기
삼국사기
[14]
삼국사기
삼국사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