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볼셰비키 좌파 봉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볼셰비키 좌파 봉기는 1918년 러시아에서 볼셰비키의 권력 장악에 반대하여 일어난 일련의 봉기를 의미한다. 2월 혁명 이후 러시아 임시 정부를 지지했던 멘셰비키와 사회주의혁명당(SR) 내에서도 볼셰비키의 10월 혁명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반대하는 세력이 등장했다. 볼셰비키는 제헌의회를 해산하고 극우 정당을 금지하며 권력을 강화했다. 이에 제헌의회파, 사회주의혁명당, 멘셰비키, 아나키스트 등이 봉기를 일으켰으나, 볼셰비키의 적색테러와 탄압으로 진압되었다. 이로 인해 볼셰비키의 일당 독재 체제가 강화되었고, 경쟁 사회주의 정당과 아나키스트들은 몰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민주화 운동 - 글라스노스트
    글라스노스트는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추진한 정보 공개와 투명성 증대를 목표로 한 개방 정책으로, 검열 완화, 언론 자유 확대, 역사 재조명 등을 통해 소련 사회에 영향을 미쳤으나 공산당 권위 약화와 소련 해체를 가속화했다.
  • 아나키즘 혁명 - 파리 코뮌
    파리 코뮌은 1871년 프랑스에서 72일간 지속된 급진적인 사회주의 혁명으로,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사회적 혼란 속에서 파리 시민들이 자치 정부를 수립하여 진보적인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베르사유 정부군의 진압으로 붕괴되며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이다.
  • 아나키즘 혁명 - 멕시코 혁명
    멕시코 혁명은 포르피리오 디아스 정권의 장기 집권에 반대하여 시작된 사회, 정치적 변혁 운동으로, 1917년 헌법 제정, 토지 개혁 등을 통해 멕시코의 역사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비볼셰비키 좌파 봉기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분쟁비볼셰비키 좌파 봉기
전체러시아 내전
사회주의혁명당의 1917년 포스터
사회주의혁명당의 1917년 포스터
날짜1918년 ~ 1924년
장소러시아 전역
결과볼셰비키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파일:Flag of the Soviet Union (1924–1955).svg|22px]] 볼셰비키"
노농 적군
적위대
체카
교전국 2"[[파일:Red flag.svg|22px]] 멘셰비키 (사회민주주의자)"
조지아 민주공화국
"[[파일:Red flag.svg|22px]] 사회주의혁명당 (농촌중시 인민주의자)"
전러시아 제헌의회
코무치
----
"[[파일:Red flag.svg|22px]] 사회혁명당 좌파 (친공산적 SR 분파)"
PA-RG
"[[파일:Black flag.svg|22px]] 무정부주의자"
흑위대
우크라이나 혁명반역군
마흐노우슈치나
지휘관 및 지도자
볼셰비키 지휘관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
미하일 투하쳅스키
반볼셰비키 지휘관사회주의혁명당
빅토르 체르노프
보리스 사빈코프
드미트리 포포프
스테판 페트리첸코
멘셰비키
율리우스 마르토프
노에 조르다니아
아나키스트
네스토르 마흐노
레프 체르니
파냐 바론

2. 배경

1917년 2월 혁명 이후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임시정부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지속하기로 결정했고, 멘셰비키사회주의혁명당(SR)은 이를 지지했다. 반면 볼셰비키는 1차 대전을 제국주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러시아 혁명주의자들이 자국 정부에 승리했다고 주장했다. 멘셰비키와 SR 내부에도 전쟁 지속에 반대하는 분파가 있었지만 소수였고, 이들은 7월 정국 당시 볼셰비키 억압을 지지했다.[1]

1917년 11월, 볼셰비키는 10월 혁명으로 권력을 장악했다. 이는 소수 직업혁명가들의 음모와 군사반란에 의한 것이었지만, 다수 민중은 볼셰비키가 전쟁을 끝낼 것이라는 기대감에 지지했으며, "평화, 토지, 식량" 구호가 이를 뒷받침했다.[2]

2. 1. 러시아 혁명 이전의 상황

2월 혁명 이전 러시아 제국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있었다. 혁명 이후 성립된 러시아 공화국의 임시정부는 전쟁 지속을 결정했고, 멘셰비키사회주의혁명당(SR)은 이를 지지했다. 반면 볼셰비키는 1차 대전을 제국주의 국가들 간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러시아 혁명주의자들이 자국의 제국주의 정부에 승리했다고 주장했다.[1]

2. 2. 2월 혁명과 임시정부

2월 혁명으로 임시정부가 성립되었다. 임시정부는 제1차 세계 대전에 계속 참여하기로 했고, 멘셰비키사회주의혁명당(SR)은 이것을 지지했다. 한편 볼셰비키는 1차 대전을 제국주의자들 사이의 전쟁이며 러시아에서는 혁명주의자들이 자국의 제국주의 정부에 대한 승리를 거두었다고 주장했다. 멘셰비키와 SR 내부에도 임시정부의 전쟁 지속 기조에 반대하는 분파가 있었지만 다수파가 아니었고, 7월 정국 때 볼셰비키에 대한 임시정부의 억압을 지지했다.[1]

2. 3. 10월 혁명과 볼셰비키 집권

1917년 2월 혁명 이후 성립된 러시아 공화국 임시정부는 제1차 세계 대전에 계속 참여하기로 했고, 멘셰비키사회주의혁명당(SR)은 이를 지지했다. 한편 볼셰비키는 1차 대전이 제국주의자들 사이의 전쟁이며, 러시아에서는 혁명주의자들이 자국의 제국주의 정부에 대한 승리를 거두었다고 주장했다. 멘셰비키와 SR 내부에도 임시정부의 전쟁 지속 기조에 반대하는 분파가 있었지만 다수파는 아니었고, 멘셰비키와 SR은 7월 정국 때 볼셰비키에 대한 임시정부의 억압을 지지했다.[1]

1917년 11월 볼셰비키는 쿠데타에 가까운 10월 혁명으로 권력을 잡았다.[2] 비록 10월 혁명은 소수 직업혁명가들의 음모와 그것을 지지한 군사반란에 의한 것이었지만, 다수 민중은 볼셰비키가 전쟁을 끝내줄 것을 기대하고 그들을 지지했으며, 그러한 소망은 "평화, 토지, 식량"이라는 구호에서 예증되었다.[2]

2. 4. 사회주의 정당들의 분열과 갈등

볼셰비키는 SR 좌파와 마르토프의 멘셰비키 국제주의자들을 내각에 초대했다. 한편 SR 우파(트루도비키)와 나머지 멘셰비키들은 참여하지 않았다. 곧 SR은 좌파와 우파로 분열되었고 다수파였던 SR 좌파는 볼셰비키의 내각 연정에 참여했다. 본래 SR은 농민 중심 인민주의 정당이었고, SR 좌파는 볼셰비키가 SR의 토지개혁을 즉시 실행해 줄 것을 기대했다. SR 좌파에게는 4개 인민위원직과 체카의 몇몇 고위직이 주어졌다. 하지만 전쟁 지속 문제에 있어서는 좌파 SR은 여전히 볼셰비키와 의견을 달리했다.

한편 아나키스트들도 사회주의혁명당과 마찬가지로 분열되었다. 일부는 볼셰비키를 지지하면서 내각에서 조그만 자리를 얻었고,[1] 일부는 중립적이었으며, 일부는 격렬히 반대했다. 볼셰비키 내각을 지지한 아나키스트들은 반볼셰비키 아나키스트들에게 "소비에트 아나키스트"들이라고 불렸는데, 레닌은 1919년 8월 이들 소비에트 아나키스트들을 “소비에트 권력의 가장 열렬한 지지자들”이라고 칭찬했다.[1]

3. 볼셰비키의 초기 정책과 권력 강화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는 권력을 강화하고 다른 정당들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볼셰비키는 러시아 내전 중에 시작된 모든 반란을 백군을 이롭게 하는 것이라고 간주했다. 입헌민주당 등이 알렉세이 막시모비치 칼레딘의 반란을 지지하자, 볼셰비키는 이들을 인민의 적으로 선포하고 활동을 금지시켰다.[1]

SR멘셰비키에 대해서는 협상을 계속했고, 이들은 아직 금지되지 않았다. 한편 아나키스트들은 분열되어 일부는 볼셰비키를 지지하고 내각에서 작은 자리를 얻었지만,[1] 일부는 중립적이거나 격렬히 반대했다.

1918년 4월 중반, 체카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들에 대한 대규모 정치적 살해를 시작했다. 1918년 5월 1일 모스크바에서는 아나키스트들과 경찰 사이에 회전이 벌어졌다.

3. 1. 극우 정당 및 입헌민주당 금지

검은 100인회라고도 하는 반유대주의 정당 러시아인 연합이 이 시점에서 유일하게 활동이 금지된 정당이었다.[1] 구 제국군 대장 알렉세이 막시모비치 칼레딘이 돈 카자크를 이끌고 볼셰비키에 반대하는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는 최초의 백군이자 곧 천만 명 가까운 사람이 죽은 러시아 내전의 시작이었다.[1] 볼셰비키는 내전을 조기에 종식시키기 위해 적색테러를 비롯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1]

입헌민주당SR, 멘셰비키 일부가 칼레딘의 반란을 지지하자, 볼셰비키는 입헌민주당을 인민의 적으로 선포하고 활동을 금지시켰으며, “반혁명적 내전의 정치적 지도자들”을 체포할 것을 명했다.[1]

3. 2. 제헌의회 해산

볼셰비키는 임시정부에 반대하며 전러시아 제헌의회 개회를 요구해왔다. 10월 혁명으로 임시정부가 붕괴된 후, 전러시아 제헌의회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선거 결과는 사회주의혁명당(SR)이 제1당이 되었지만, 투표용지가 SR 좌우파 분당 전에 만들어져 우파 SR이 많은 의석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소비에트에 친화적인 SR 좌파의 의석수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결과였다.[1]

레닌은 《프라우다》에서 계급투쟁,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칼레딘-입헌민주당파의 반란을 이유로 형식적 민주주의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제헌의회가 소비에트 정부의 권위를 인정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혁명적 수단"으로 처리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

1917년 12월 30일, SR의 니콜라이 압크센티에프와 그 지지자들이 체포되면서 볼셰비키는 다른 사회주의 정당에 대한 억압을 시작했다. 1918년 1월 4일,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VTsIK)는 “모든 권력을 제헌의회로”라는 구호가 반혁명적이며 “소비에트 타도”와 같다고 선언했다.[1]

1918년 1월 18일, 제헌의회가 처음 열렸다. SR 우파의 빅토르 체르노프가 볼셰비키가 지지한 SR 좌파의 마리아 스피리도노바를 누르고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빅토르 체르노프


마리아 스피리도노바


그러나 대다수 의원들은 소비에트 정부의 권위 인정을 거부했고, 볼셰비키와 좌파 SR은 이에 반발하여 퇴장했다. 이후 수병 젤레즈냐코프가 이끄는 무장 적위대가 의회를 해산시켰다. 제헌의회는 13시간 만에 해산되었고, 지지 시위도 무력으로 진압되었다. 대중은 대체로 볼셰비키를 지지하여 큰 저항은 없었다.[1]

3. 3.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과 사회주의 정당들의 반발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임시정부를 무너뜨린 뒤, 전러시아 제헌의회 총선이 실시되었다. SR이 제1당이 되었으나, 좌우파 분당 전 작성된 투표용지 문제로 SR 좌파가 다수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 레닌은 《프라우다》를 통해 계급투쟁 등을 이유로 형식적 민주주의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제헌의회가 소비에트 내각의 권위를 인정해야 한다고 압박했다.[1]

1917년 12월 30일, SR 소속 니콜라이 압크센티에프 등이 체포되면서 볼셰비키의 다른 사회주의 정당 억압이 시작되었다.[2] 1918년 1월 4일,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VTsIK)는 “모든 권력을 제헌의회로”라는 구호가 반혁명적이라고 선언했다.[3]

1918년 1월 18일, 최초의 제헌의회가 열렸다. SR 우파 빅토르 체르노프가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제헌의회는 소비에트 내각의 권위 인정을 거부했다. 이에 볼셰비키와 SR 좌파는 퇴장했고, 무장 적위대가 의회를 해산했다.[4]

1918년 3월 3일, 러시아가 독일 제국에 사실상 항복하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체결되었다. SR 좌파는 대규모 영토 포기에 반발하여 내각에서 탈퇴했다.[5]

제5차 전러시아 소비에트 대회에서 SR 좌파는 볼셰비키의 타 정파 탄압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대해 항의했다. 이들은 반혁명 방지를 위한 초법적 처형에는 동의했지만, 정당한 사법 절차를 거친 사형에는 반대했다. 또한 트로츠키가 우크라이나 내 독일군 공격에 반대하는 것에도 반대했다.[6]

4. 비볼셰비키 좌파 봉기

볼셰비키는 10월 혁명으로 임시정부를 무너뜨리고 권력을 잡았지만, 혁명 이전부터 제헌의회 구성을 요구해왔다. 혁명 이후 실시된 총선에서는 SR이 다수당이 되었으나, 실제로는 소비에트에 친화적인 SR 좌파가 다수였음에도 불구하고 투표용지 문제로 우파 SR이 많은 의석을 차지하는 왜곡이 발생했다.[1] 레닌은 《프라우다》를 통해 계급투쟁, 민족주의, 반혁명 세력 등으로 인해 형식적 민주주의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제헌의회가 소비에트 정부의 권위를 인정해야 한다고 압박했다.[1]

1917년 12월 30일, 볼셰비키는 SR의 니콜라이 압크센티에프 등을 체포하며 다른 사회주의 정당에 대한 억압을 시작했다.[1] 1918년 1월 4일,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VTsIK)는 "모든 권력을 제헌의회로"라는 구호가 반혁명적이라고 선언했다.[1]

1918년 1월 18일 열린 제헌의회에서 SR 우파의 빅토르 체르노프가 의장으로 선출되자, 볼셰비키와 SR 좌파는 의회를 퇴장하고 무력으로 해산시켰다.[1] 제헌의회 지지 시위도 진압되었지만, 대중은 대체로 볼셰비키를 지지하여 큰 저항은 없었다.[1]

1918년 4월 중반, 체카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들에 대한 정치적 살해를 시작했다.[1] 5월 1일 모스크바에서는 아나키스트들과 경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1]

레닌은 니즈니노브고로드 봉기에 대해 "대중 테러"를 지시하고, 펜자의 농민들에게는 "분쇄"를 명령했다.[7] 《공산주의의 흑색서》에는 레닌이 니즈니노브고로드와 펜자 소비에트 집행위원회에 보낸 강경 진압 지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7]

SR은 암살로 저항했다. 1918년 8월 30일, SR 당원 레오니트 칸네기세르가 페트로그라드 체카 지부장 모이세이 우리트스키를 암살했고, 같은 날 파니 카플란이 레닌 암살을 시도했다.[8] 레닌은 중상을 입었지만 살아남았다. 9월 5일, 체카는 적색테러를 시작하여 SR을 비롯한 비볼셰비키 좌파 야당, 특히 아나키스트들에게 책임을 돌렸다.[8]

1919년 1월, SR 중앙위원회는 볼셰비키가 백군에 비해 차악이라고 판단, 볼셰비키에 대한 무장 투쟁을 포기하고 협상을 시작했다.[1] 2월 25일, VTsIK는 일부 SR 당원들을 다시 받아들였다.[1] 그러나 아스트라한에서 노동자와 병사 수백 명이 수장당하고, 푸틸로프 공장 노동자 200명 이상이 처형되는 등 탄압은 계속되었다.[1] 1919년 봄, 툴라, 오룔, 트베르 등지에서 파업이 발생했지만 체카에 의해 진압되었다.[1]

1919년 3월, SR 중앙위원회가 모스크바에서 재건되었지만, 곧 3개 파벌로 분열되었다.[1] 이를 빌미로 SR에 대한 탄압이 재개되어 중앙위원회 위원들이 체포되었고, 체르노프는 국외로 탈출했다.[1] 체포된 SR 중앙위원회 위원들은 1922년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11]

4. 1. 제헌의회파의 봉기

1918년 1월 19일 제헌의회가 해산되면서 의회 해산에 대한 저항이 시작되었다. 1918년 4월 모스크바에서 볼셰비키 독재에 저항하는 민주주의자들이 재건연합이라는 비밀조직을 조직했다. 재건연합에는 대중사회주의자들, SR 우파, 방어주의자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반볼셰비키 세력을 지원하여 자유민권, 애국주의, 국가의식에 기반한 러시아인 국가를 건설함으로써 "독일-볼셰비키"의 멍에로부터 해방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2][3][4]

1918년 5월 7일 모스크바에서 사회주의혁명당 제8당 평의회가 열렸고, 러시아를 구하기 위해서는 정치이념 및 계급적 이해를 잠시 미루어야 한다는 인식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러시아 제헌의회 재소집을 목표로 볼셰비키에 반대하는 봉기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2] 봉기 준비 중이던 1918년 5월 말-6월 초, 시베리아, 우랄, 볼가 지역에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이 볼셰비키 지배를 전복시키면서 제헌의회파의 활동 중심지가 이 지역으로 이동했다. 1918년 6월 8일, 제헌의회 의원 다섯 명이 사마라에서 전러시아 제헌의회의원위원회(코무치)를 결성하고 코무치가 러시아의 새로운 최고 권위체라고 선언했다.[5] 한편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봉기가 발생하면서 1918년 6월 29일 SR-멘셰비키의 임시 시베리아 정부가 수립되었다.

4. 2. 사회주의혁명당의 봉기

사회주의혁명당 좌파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반대하여 독일 제국과의 평화에 반대하는 대규모 봉기가 일어날 것이라 예상하고 1918년 7월 6일 모스크바 주재 독일 대사 빌헬름 폰 미어바흐 백작을 암살했다.[6] 그러나 이는 오판이었다.

드미트리 이바노비치 포포프가 이끄는 분견대를 주력으로 한 1,800여 명의 혁명군은 크레믈린을 포격하고 전화 교환국을 장악했다. 이들은 이틀간 SR 좌파 중앙위원회 명의로 SR 좌파가 권력을 잡았으며, 이들의 행동이 모든 국민에게 환영받았다는 선언문과 전보를 송신했다. 제5차 전러시아 소비에트 대회는 내각에 이 반란을 즉시 진압할 것을 지시했고, 대회장의 SR 좌파 의원들은 체포되었다.

SR 좌파는 페트로그라드, 볼로그다, 아르자마스, 무롬, 야로슬라블, 벨리키우스튜크, 리빈스크 등 여러 도시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SR 당원이었던 동부전선 사령관 미하일 아르테몌비치 무라비오프는 SR 좌파가 모스크바를 장악했다는 전보를 받고 독일군을 공격하겠다며 심비르스크를 점령, SR 혁명군을 지원하기 위해 모스크바로 병력을 진군시켰다.

보리스 사빈코프는 이 봉기를 지원하기 위해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냈다고 주장했지만, 미어바흐 백작 암살에 대한 책임은 부인했다.

이 봉기는 결국 볼셰비키에 의해 진압되었고, 볼셰비키를 제외한 마지막 대형 정당인 SR 좌파에 대한 탄압으로 이어졌다.

4. 3. 멘셰비키의 봉기

조지아 민주공화국을 중심으로 한 멘셰비키의 봉기와 그에 대한 볼셰비키의 진압 과정을 살펴본다.

노에 조르다니아


멘셰비키는 조지아를 장악하여 1918년 조지아 민주공화국을 선포하고 노에 조르다니아를 수반으로 선출했다.[9] 이들은 독일 제국과 독일이 멸망한 뒤에는 영국콜차크안톤 데니킨 같은 백군 장군들을 지원하기 위해 자신들을 거쳐가는 것을 허용했다.[9] 조지아의 멘셰비키들은 볼셰비키를 탄압하고 오세티야, 압하지야 등 소수민족에 대한 잔학행위를 벌였다.[9] 또한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아르메니아와 전쟁을 시작했다.[9] 조지아는 1921년 2월 25일 볼셰비키에 의해 무력으로 점령되었다.[9] 레닌은 조지아 지식인 및 소상공인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조르다니아를 비롯한 조지아 멘셰비키들과의 연정을 권유했다.[9] 이후 멘셰비키에 대한 사면은 이루어졌지만 연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9] 멘셰비키 지도부는 프랑스 파리로 도망갔다.[9]

4. 4. 아나키스트의 봉기

네스토르 마흐노는 아나키스트이자 과거 적군 지도자로, 흑위대 및 그 후신인 우크라이나 혁명반역군(흑군)을 조직하여 1919년 우크라이나 남부 및 크림반도를 장악했다. 마흐노의 흑군은 백군을 큰 악으로 보고 볼셰비키와 적군을 도와 백군을 패배시키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볼셰비키는 이들 아나키스트들을 자신들의 정치 운동에 있어 이질적인 존재로 여겼다. 우크라이나 아나키스트들 역시 1918년 5월부터 체카와 적군이 아나키스트 해방구들을 공격했기에 적군을 불신했다.

마흐노는 모스크바와는 독립적인 “자유 노동자-농민 소비에트”를 지지한다고 밝혔다.[12] 농촌 아나키스트였던 마흐노는 볼셰비키를 인민들과 소통하지 않는 도시 독재자들로 보았고, 볼셰비키가 통제하는 비밀경찰 체카와 같은 강제적 권위 및 징계 기관들에 반대했다. 마흐노는 “표현, 언론, 집회, 결사의 자유”를 주장했고,[12] "아나키스트 혁명군사평의회" 및 "아나키스트 집단 연합의회"(NABAT)는 마흐노우슈치나의 사실상 정부로 기능하면서도 지역 농민들의 자치를 허용했다. 흑군 역시 강제 징집이나 약식 처형을 사용했지만 적군만큼 광범위하지는 않았다.[13] 흑군 장악 지역에서는 모든 정당이 금지되었고[12](,[13] 119), 라제드카와 코미시야 프로티마흐보브스키흐 델이라는 비밀경찰이 운영되었다.[14]

시몬 카레트니크, 네스토르 마흐노, 페디르 슈추스.


볼셰비키 중앙위원회의 일부 위원들은 마흐노의 자유지상주의적 해방구 실험을 허용할 생각도 했지만,[15] 정부 수반인 레닌 및 군부 수반인 트로츠키는 반대했다. 백군 격퇴 후, 트로츠키는 마흐노의 아나키스트 흑군에 대한 공격을 명령했다. 적군의 공격이 멈춘 것은 백군이 다시 세력을 회복해서 적군을 위협했던 잠깐 뿐이었다. 1920년 모스크바의 지령을 받은 체카는 마흐노를 암살하기 위해 공작원 두 명을 파견했다. 크림에서 최후의 백군 장군 브란겔이 패배하자 트로츠키는 즉시 마흐노주의 동조자들에 대한 대량 처형을 명령했고, 1920년 11월 마흐노의 휘하 사령관들 및 참모부에 대한 청산이 뒤따랐다. 1921년 8월, 마흐노와 흑군 잔당들은 우크라이나를 떠나 망명길에 올랐고, 마흐노는 프랑스에서 노동자로 살다가 1934년 결핵으로 굶어 죽었다.

4. 5. 크론시타트 반란

스테판 페트리첸코가 이끈 크론시타트 반란은 처음에는 시위 수준이었으나, 페트리첸코가 볼셰비키의 체포 위협 소문을 퍼뜨리면서 전면적 반란으로 확대되었다.[17] 반란자들은 지역 소비에트의 자유 선거와 곡물 징발 중지를 요구했다.[15]

사회주의혁명당, 멘셰비키, 반체제적 공산주의자, 아나키스트 등이 반란을 지지했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과 일부 아나키스트 조직은 반란에 반대했다. 많은 군함들이 중립을 표방하거나 볼셰비키에 붙었고, 각 군함 안에서도 장교들과 수병들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다. 대개 장교들은 반란을 지지하고 수병들은 반대했다.

헬싱키에 정박한 전함 페트로파블롭스크 수병들이 "부르주아에게 죽음을"이라는 아나키스트 흑기를 들어보이고 있다.


백군의 표트르 브란겔 장군은 부하를 적십자 직원으로 가장하여 크론시타트 반란에 잠입시켰고 반란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15] 볼셰비키는 백군의 개입을 우려하여 반란을 무력으로 진압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이는 혁명 정신에 어긋나는 지나친 폭력 행사였다고 비판받을 수 있다.

크론시타트 반란이 진압된 뒤 페트리첸코는 생존자들을 데리고 핀란드로 망명해 브란겔에게 다음과 같은 요구를 했다.[15]

  • 모든 토지를 농민들에게
  • 노동자들의 자유 노조활동
  • 변경 국가들의 완전한 독립
  • 크론시타트 망명자를 위한 행동의 자유
  • 모든 군복에서 어깨장식 제거
  • "모든 권력을 당이 아닌 소비에트로" 구호의 유지


하지만 브란겔은 이러한 약속을 진심으로 지킬 의도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4. 6. 기타 봉기

알렉산드라 콜론타이는 멘셰비키 출신으로, 공산당 내에서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알렉산드르 실랴프니코프가 이에 합류하면서, 이들은 노동자 반대파라고 불리는 당내 좌파 그룹을 형성했다. 노동자 반대파는 다른 좌파 반란 세력과 비슷한 요구를 했지만, 볼셰비키 정부를 지지하며 폭력적인 봉기 대신 평화적인 방법을 사용하고자 했다. 이들은 좌파 반란 진압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았다. 크론시타트 반란이 진압된 후, 레닌은 당의 단결을 강조하며 노동자 반대파를 비롯한 당내 파벌들을 해산시켰다. 그러나 유화책으로 노동자 반대파와 민주중도파 지도자들을 새로운 당 지도부에 포함시켰다.

1921년 1월, 내전 발발 이후 최대 규모의 봉기가 발생했다.[16] 봉기자들은 철도를 차단하고 토볼스크, 수르구트, 베레조보, 살레카르드를 장악했으며, 이심을 공격하여 튜멘 인근 4 킬로미터 지역을 점령했다. 이 반란은 양측 모두 극도로 잔혹한 모습을 보였으며, 붉은 군대는 장갑열차전함 등을 동원하여 1922년에야 진압할 수 있었다.

1922년 반란이 진정될 때까지 수많은 공격과 암살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공격의 대부분은 SR 좌파가 조직하고 아나키스트들이 참여했으며, 일부는 아나키스트들이 직접 계획하고 실행했다. 이러한 반란의 주요 인물인 레프 체르니와 파냐 바론은 모두 아나키스트였다.

5. 볼셰비키의 탄압과 일당 독재

볼셰비키10월 혁명 이후 권력을 장악하면서 다른 사회주의 정당들과 아나키스트들을 탄압하고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해 나갔다. 이들은 신경제정책을 도입하면서도 정치적 반대파에 대한 억압을 멈추지 않았다.[9]

멘셰비키는 이러한 탄압 속에서 붕괴하였고, 지도자 마르토프는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다가 1923년 사망했다. SR 좌파 역시 1922년 정당으로서 붕괴되었고, 이후 소규모 조직으로만 명맥을 유지했다.[9]

5. 1. 사회주의혁명당의 몰락

볼셰비키임시정부에 반대하며 전러시아 제헌의회 소집을 요구했고, 10월 혁명 이후 총선에서 사회주의혁명당(SR)이 제1당이 되었다. 그러나 투표용지가 SR 좌우파 분당 전에 만들어져 우파 SR이 많은 의석을 차지했고, 이는 소비에트에 친화적인 SR 좌파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했다.[9] 레닌은 계급투쟁, 민족주의, 반란 등으로 형식적 민주주의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제헌의회가 소비에트 내각의 권위를 인정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1917년 12월, SR의 니콜라이 압크센티에프 등이 체포되면서 볼셰비키의 다른 사회주의 정당 억압이 시작되었다. 1918년 1월,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VTsIK)는 “모든 권력을 제헌의회로”라는 구호가 반혁명적이라고 선언했다.

최초의 제헌의회에서 SR 우파 빅토르 체르노프가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나, 의원 다수가 소비에트 내각의 권위 인정을 거부하자 볼셰비키와 좌파 SR은 퇴장했고, 적위대가 의회를 해산시켰다. 제헌의회 지지 시위도 무력 진압되었지만, 대중은 대체로 볼셰비키를 지지하여 큰 저항은 없었다.

임시 전러시아 정부(PA-RG) 수립 후, SR 중앙위원회는 PA-RG 지지를 철회했고, 1918년 11월 SR-멘셰비키 임시정부는 쿠데타로 전복되었다. 알렉산드르 콜차크가 최고지도자가 되었고, 카자크들이 SR 당원들을 체포, 추방했다. 체르노프는 "제3의 길"을 모색했으나 실패했고, SR은 분열되며 무너지기 시작했다. SR 우파는 외국으로 떠났고, 좌파 일부는 볼셰비키에 투항했다. 러시아 내 SR 지도부는 콜차크에게 사형을 선고받았다. 체르노프는 콜차크 축출을 꾀했으나 실패했다.

1919년 1월, SR 중앙위원회는 볼셰비키가 차악이라 판단, 무장 투쟁을 포기하고 협상을 시작했다. SR 인민군은 노농 적군에 합류했고, VTsIK는 일부 SR 당원을 다시 받아들였다.[10]

그러나 볼셰비키의 탄압은 계속되었다. 아스트라한에서 파업 노동자와 병사들이 수장당했고, 푸틸로프 공장 노동자들이 체포, 처형되었다. 1919년 봄, 여러 도시에서 파업이 일어났지만 체카에 의해 진압되었다.

SR 중앙위원회가 모스크바에서 재건되었지만, 다시 탄압이 시작되어 위원들이 체포되었다.[11] 체카는 다른 당 지도부를 빈번하게 체포하여 합법 정당 활동을 어렵게 만들었고, 체르노프는 지하로 숨었다가 러시아를 떠났다. 체포된 SR 중앙위원들은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5. 2. 멘셰비키의 몰락

볼셰비키는 신경제정책을 도입하면서도 일당 독재로 나아갔다. 멘셰비키는 붕괴하여 그 지도자인 마르토프는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몸져 누웠다가 1923년 사망했다.

5. 3. 아나키스트 탄압

1918년 4월 중반, 체카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들에 대한 최초의 대규모 정치적 살해를 시작했다. 같은 해 5월 1일 모스크바에서는 아나키스트들과 경찰 사이에 회전이 벌어졌다.(P.Avrich. G Maximoff)

5. 4. 적색테러

레닌프라우다를 통해 계급투쟁 등의 이유로 형식적 민주주의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제헌의회가 소비에트 내각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면 "혁명적 수단"으로 처리할 것이라고 협박했다.[6] 1917년 12월 30일, SR의 니콜라이 압크센티에프와 그 추종자들이 체포되면서 볼셰비키는 다른 사회주의 정당들을 억압하기 시작했다.[6] 1918년 1월 4일,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VTsIK)는 “모든 권력을 제헌의회로”라는 구호가 반혁명적이라고 선언했다.[6]

1918년 1월 18일, 최초의 제헌의회가 개회했지만, 볼셰비키가 지지한 마리아 스피리도노바 대신 SR 우파의 빅토르 체르노프가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제헌의회 의원 다수가 소비에트 내각의 권위 인정을 거부하자, 볼셰비키와 좌파 SR은 퇴장했고, 무장 적위대가 의회를 해산시켰다.[6] 제헌의회 지지 시위도 무력 진압되었다.[6]

1918년 4월 중반, 체카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들에 대한 대규모 정치적 살해를 시작했다.[6] 레닌은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일어난 시민 봉기에 대해 “대중 테러를 도입”하라는 전보를 보냈고, 군대의 식량 징발에 항의하는 펜자 농민들을 “분쇄하라”고 지시했다.[7] 《공산주의의 흑색서》에 따르면, 레닌은 1918년 8월 9일 니즈니노브고로드 소비에트 집행위원회 의장에게 “3두 독재를 형성하여 대중 테러를 도입할 것이며, … 무기를 가진 것이 발견된 사람은 누구든 그 자리에서 처형”하라는 내용의 전신을 보냈다.[7]

블라디미르 프첼린이 그린 레닌 암살 미수장면.


1918년 8월 30일, SR 당원 레오니트 칸네기세르가 페트로그라드 체카 지부장 모이세이 우리트스키를 암살했고, 같은 날 파니 카플란이 레닌 암살을 시도했다. 레닌은 목에 총상을 입었으나 살아남았다.[8] 1918년 9월 5일, 체카는 SR을 비롯한 비볼셰비키 좌파 야당들에게 레닌 암살기도의 책임을 돌리고 적색테러를 시작했다.[8]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인권 유린과 폭력적인 탄압으로 비판받을 수 있는 사건이다.

6. 결과 및 영향

비볼셰비키 좌파 봉기는 결국 실패로 끝났고, 이는 러시아와 세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봉기의 실패는 볼셰비키의 권력 강화를 가져왔고, 다른 정치 세력들은 탄압을 받거나 소멸되었다.

7. 후일담

1937년 스탈린이 정적들을 숙청한 모스크바 공개재판 당시 트로츠키, 카메네프, 지노비예프가 사회주의혁명당 좌파의 반란에 연루되었다는 뜬금없는 진술이 나왔다.[18]

참조

[1] 논문 Russian Anarchists and the Civil War Blackwell Publishing 1968-07
[2] 서적 White Siberia: the politics of civil war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1996
[3] 서적 The lost opportunity: attempts at unification of the anti-Bolsheviks, 1917-1919 : Moscow, Kiev, Jassy, Odessa https://books.google[...]
[4] 서적 Dear comrades: Menshevik reports on the Bolshevik revolution and the civil war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5] 서적
[6] 논문 "Don Quixotes of the Revolution"? The Left SRs as a Mass Political Movement https://muse.jhu.edu[...] 2004
[7] 웹사이트 The Black Book of COMMUNISM http://users.cyberon[...] 2009-01-14
[8] 뉴스 Vladimir Lenin - The Father Of Communism http://www.nypost.co[...] New York Post 2007-11-19
[9] 서적 Chernov
[10] 서적 The Soviet Experiment: Russia, the USSR, and the Successor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1] 서적 Performing Justice: Agitation Trials in Early Soviet Russi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12] 웹사이트 Declaration Of The Revolutionary Insurgent Army Of The Ukraine (Makhnovist) http://www.ditext.co[...]
[13] 서적 Anarchist Portrait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8
[14] 서적 Civil War In Russia iarchive:civilwarinr[...] Frederick A. Praeger 1961
[15] 서적 Kronstadt, 1921 W. W. Norton & Company 1974
[16] 웹사이트 Kommersant - Russia's Daily Online http://www.kommersan[...] 2017-05-22
[17] 서적 La Révolution Inconnue
[18] 논문 the "Trial" of Leon Trotsky and the Search for Historical Truth http://www.jstor.org[...] 199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