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텐베르크플라츠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텐베르크플라츠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02년 개통했다. 3면 5선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며, U1, U2, U3 노선이 지난다. 1912년 재건축되었으며, 1952년 런던 지하철의 역명판을 선물받았다. 베를린 장벽 시기에는 놀렌도르프플라츠역 지상 승강장으로의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주변에는 카데베 백화점이 위치해 있으며, 버스 노선과의 환승도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지하철 1호선 - 베를린 바르샤우어 슈트라세역
베를린 바르샤우어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 및 U반 환승역으로, S반 역은 1884년, U반 역은 1902년에 개통되었으며, 전쟁과 분단 시기를 거쳐 통일 후 복원되어 현재는 주요 교통 허브이자 주변 명소와 유흥 시설의 중심지이다. - 베를린 지하철 1호선 - 놀렌도르프플라츠역
놀렌도르프플라츠역은 1902년 개통된 베를린의 U-Bahn 역으로, U1, U2, U3, U4 노선이 지나며 복층 구조, 전쟁과 분단, 재개통, 건축 유산 지정, 퀴어 커뮤니티 상징, 젠트리피케이션 등의 역사적, 사회적 변화를 겪어왔다. - 베를린 지하철 3호선 - 달렘도르프역
달렘도르프역은 1913년에 개통된 역으로, 북부 독일 농가 형태의 건물로 지어졌으며, 화재로 복원되었고, 베를린 지하철 3호선 구간에 위치한다. - 베를린 지하철 3호선 - 베를린 바르샤우어 슈트라세역
베를린 바르샤우어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 및 U반 환승역으로, S반 역은 1884년, U반 역은 1902년에 개통되었으며, 전쟁과 분단 시기를 거쳐 통일 후 복원되어 현재는 주요 교통 허브이자 주변 명소와 유흥 시설의 중심지이다.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은 1882년 개통된 베를린 도심의 주요 교통 허브로, 다양한 노선의 환승역이자 알렉산더 광장과 주요 명소 접근성이 뛰어나며, 역사적으로 전쟁 피해와 분단 등의 변화를 겪고 통일 후 현대화되었다.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은 S반, 지역간 열차, U반이 지나는 역으로, 베를린 장벽 시기에 폐쇄되었다가 재개장했으며,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교통 수단으로 환승할 수 있다.
비텐베르크플라츠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비텐베르크플라츠역 |
원어 역 이름 | Wittenbergplatz |
위치 | 베를린 템펠호프쇠네베르크구 비텐베르크플라츠/바이에로이터 슈트라세 |
좌표 | 52° 30′ 07″ N, 13° 20′ 35″ E |
운영 | 베를린교통공사 |
역 종류 | 환승역 |
![]() | |
승강장 | 2개의 섬식 승강장, 1개의 단선 승강장 |
선로 수 | 5 |
접근성 | 가능 |
자전거 보관 | 가능 |
VBB 존 | : 베를린 A/5555 |
운영 정보 | |
노선 | 베를린 지하철 1호선 베를린 지하철 2호선 베를린 지하철 3호선 |
인접역 | 베를린 지하철 1호선: 쿠르퓌르스텐담 - 놀렌도르프플라츠 베를린 지하철 2호선: 동물원 - 놀렌도르프플라츠 베를린 지하철 3호선: 아우크스부르거 슈트라세 - 놀렌도르프플라츠 |
과거 인접역 (뉘른베르거 플라츠 폐쇄 이전) | 베를린 지하철 3호선: 뉘른베르거 플라츠 - 놀렌도르프플라츠 |
연결 교통 | |
버스 | N1 N2 N3 N26 |
메트로 버스 | M19 M29 M46 |
2. 역사
1902년 3월 11일 독일 제국의 첫 베를린 지하철 노선(Stammstrecke, 현재의 U1)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파울 비티히(Paul Wittig)가 설계했으며, 초기에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였다.
1910년 6월 29일 당시 운영사였던 호흐반게젤샤프트는 이 역에서 출발하는 지선 건설을 위해 역 재건축 공모전을 열었다. 알프레드 그레난데르의 설계안이 당선되어, 운영 중단 없이 새로운 역 건설이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외선이 건설되었고, 1912년 모든 영업이 외선으로 전환된 후 내선과 과거 지하철역의 승강장 및 외벽이 철거 후 재시공되었다. 건설 당시의 비텐베르크플라츠역은 이 과정에서 완전히 해체되었다.[4]
새로운 역은 3면 5선식 승강장 구조로 1912년 12월 1일 재개통되었다. 북쪽에 추가 승강장(1면 1선) 건설 계획도 있었으나 실현되지는 않았다. 1913년 10월 12일에는 울란트슈트라세 방면 노선과 틸플라츠 방면 노선(U3)이 개통되어 추가 노선이 연결되었다. 동쪽으로 이어지는 두 번째 노선 계획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17년 중단되었다가 1926년에 완공되었다.
1913년 재건축 당시, 아르 누보 양식의 새로운 대합실이 승강장 중앙부 선로 위에 건설되었다. 이 대합실은 인근 카데베(KaDeWe) 백화점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었으며, 비텐베르크 광장 중앙부를 차지하는 인상적인 건축물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으로 대합실이 심하게 손상되었고[2] 1951년에 재건축되었다.[5] 개보수 과정에서 역사 내부에 광고판이 많이 설치되기도 했다.
1952년 2월 18일, 베를린 지하철 개통 50주년을 기념하여 당시 런던 지하철을 운영하던 런던 트랜스포트 익스큐티브(London Transport Executive)에서 런던 지하철 특유의 원형(Roundel) 디자인 역명판을 선물했다. BVG는 당시 서베를린 도심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이 역을 선물 설치 장소로 선정했다. 역명판은 1952년 7월 2일 베를린 주둔 영국군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환영식을 통해 전달되었으며,[6] 현재 서쪽 방면(U1, U3) 열차가 정차하는 1번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다.[2]
1982년부터 1983년까지 원형 복원 공사가 진행되었다.
2008년 9월부터 2009년 5월까지 터널 천장 누수로 인해 약 1140만유로의 예산을 투입하여 터널 천장부 재공사가 진행되었다. 이 공사로 인해 타우엔치엔슈트라세의 일부 차선과 바이로이터 슈트라세 방면 차로가 폐쇄되었으며, 조성된 녹지가 일부 철거되기도 했다.
2. 1. 베를린 장벽 시기 (1972년~1993년)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현재의 U2 노선 중 놀렌도르프플라츠역 방면 구간 운행이 1972년에 중단되었다. 이로 인해 비텐베르크플라츠역은 서베를린 도시 교통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역 중 하나가 되었다.[2] 1980년부터 1983년까지 건축가 보르차르트(Borchardt)의 지휘 아래 기념물 보존 원칙에 따라 역 시설 개조가 이루어졌으며, 이 공로로 1986년 건축부 장관상을 수상했다.[3] 운행이 중단되었던 U2 노선은 독일의 재통일 이후인 1993년에 다시 개통되었다.[2]3. 승강장 구조
1910년부터 환승역으로 개조되어 1912년 12월 1일에 2개의 상대식 승강장과 1개의 측면 승강장으로 구성된 3면 5선식 승강장 구조로 개통되었다. 단일 지하층에 5개의 선로가 운행된다.
1 · 3(I) | U1, U3 | U1 울란트슈트라세, U3 크루메 랑케 방면 |
---|---|---|
U2 | U2 룰레벤 방면 | |
2 · 4(II) | U2 | U2 팡코 방면 |
U3 | U3 바르샤우어 슈트라세 방면 | |
6(III) | U1 | U1 바르샤우어 슈트라세 방면 |
놀렌도르프플라츠역 지하 승강장에서 오는 열차는 모든 3개 분기선(울란트슈트라세, 크루메 랑케/룰레벤, 바르샤우어 슈트라세/팡코 방면)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 놀렌도르프플라츠역 지상 승강장에서 오는 열차는 2개 분기선(크루메 랑케/룰레벤, 바르샤우어 슈트라세/팡코 방면)으로만 진행 가능하며, 울란트슈트라세 방면으로는 진행할 수 없다. 반대 방향(울란트슈트라세역에서 놀렌도르프플라츠역 지상 승강장 방면) 운행도 불가능하다.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면서 1972년부터 1993년까지는 놀렌도르프플라츠역 지상 승강장으로 열차가 진입하지 않았다. 이 시기에는 당시의 1호선 열차가 슐레지셰스 토어역에서 출발하여 놀렌도르프플라츠역 지하 승강장을 거쳐 룰레벤역 방면으로 운행했다. 당시의 2호선은 크루메 랑케역 방면으로 운행했으며, 놀렌도르프플라츠역 지상 승강장을 회차 용도로 사용했다. 당시의 3호선은 울란트슈트라세역 방면으로 운행했으며, 비텐베르크플라츠역의 III번 승강장(현재 6번 승강장)만 사용했다.
1번 승강장에는 베를린 U-Bahn 개통 50주년을 기념하여 1952년 런던 교통 집행부에서 기증한 역명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역명판은 런던 지하철 특유의 빨간색과 파란색 원형 표지판 디자인을 따르고 있다.[2]
4. 인접 역
베를린 버스 M19, M29, M46, N1, N2, N3, N26번과 환승 가능하다. U1, U2, U3 노선이 정차한다.
4. 1. 베를린 지하철 1호선 (U1)
(울란트슈트라세 방면)(바르샤우어 슈트라세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