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헬름 히스 시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히스 시니어는 1831년 스위스 바젤에서 태어난 해부학자이자 발생학자이다. 그는 바젤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등에서 해부학 교수를 역임하며, 내피라는 용어를 도입하고 마이크로톰을 발명하는 등 발생학 연구에 기여했다. 또한, 1879년부터 1886년까지 12개의 인간 배아를 수집하여 신경계 발달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얼굴을 해골로부터 3차원적으로 재구성하기도 했다. 그는 라마르크주의를 거부하고, 1904년 라이프치히에서 사망했다. 그의 아들 빌헬름 히스 주니어는 내과 의사이자 심장학자로, 히스다발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생리학자 - 알브레히트 폰 할러
스위스의 생리학자, 해부학자, 식물학자이자 시인인 알브레히트 폰 할러는 괴팅겐 대학교 교수로서 해부학 교실과 식물원을 설립하고 인체의 감각성과 자극성을 연구하여 근대 생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알프스에 대한 시를 통해 문학적 재능을 선보이고 식물 분류학에도 기여했다. - 스위스의 생리학자 - 카를 루트비히
카를 루트비히는 19세기 독일의 생리학자로, 혈액 순환, 심장, 신장 연구에 집중하며 키모그래프 발명과 절제된 장기 실험법 도입 등 생리학 연구 방법론 혁신에 기여하고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수많은 제자를 양성하며 생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웁살라 왕립과학원 회원 - 헤르만 폰 헬름홀츠
독일의 물리학자, 생리학자, 의학자인 헤르만 폰 헬름홀츠는 에너지 보존 법칙 확립에 기여하고 시각 및 청각 연구의 선구자로서 생리학, 물리학, 의학 분야에 걸쳐 검안경 발명, 영-헬름홀츠 삼색설 정립, 헬름홀츠 공명기 발명 등 19세기 과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웁살라 왕립과학원 회원 - 빌헬름 퀴네
독일의 생리학자 빌헬름 퀴네는 근육과 신경 생리학 연구, 트립신 발견, 효소라는 용어 명명, 그리고 시각의 광화학적 기초 연구에 기여했으며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생리학 교수를 역임했다. - 1831년 출생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1831년 출생 - 프리드리히 3세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3세는 1888년에 99일간 독일 제국 황제 겸 프로이센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자유주의 성향으로 독일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으나 후두암으로 짧게 재위하여 독일 자유주의 쇠퇴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빌헬름 히스 시니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빌헬름 히스 시니어 |
원어 이름 | Wilhelm His (der Ältere) |
출생일 | 1831년 7월 9일 |
출생지 | 스위스 바젤 |
사망일 | 1904년 5월 1일 |
사망지 | 독일 라이프치히 |
국적 | 스위스 |
자녀 | 빌헬름 히스 주니어 |
연구 분야 및 업적 | |
분야 | 해부학 발생학 |
주요 업적 | 미크로톰 뉴런설 기여 |
2. 생애
빌헬름 히스는 스위스 바젤 출신의 저명한 해부학자이자 생리학자였다. 여러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1854년 의학박사 학위, 1856년 하빌리타치온 학위를 취득했다. 1857년 바젤 대학교를 거쳐 1872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해부학 교수로 재직했다.
1865년 《몸의 막과 구멍(Die Häute und Höhlen des Körpers)》을 통해 상피 조직 분류에 기여했고, 1866년에는 최초로 마이크로톰을 발명했다.[12] 내피 개념을 도입하여 상피와의 차이점을 규명했으며,[1] 용불용설을 비판하고 에른스트 헤켈의 배아 그림에 이의를 제기했다.[3]
1879년부터 1886년까지 인간 배아 연구를 통해 신경계 발달 과정을 밝혔고,[4] 1892년 스웨덴 왕립 과학한림원 회원이 되었다.[10] 1895년에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얼굴을 3차원으로 복원하기도 했다.[5]
1904년 라이프치히에서 사망했으며, 아내 엘리자베트 히스와의 사이에서 여섯 자녀를 두었다. 셋째 아들 빌헬름은 히스다발을 발견한 심장학자로 유명하다.[1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빌헬름 히스는 1831년 스위스 바젤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에두아르트 옥스(Eduard Ochs)는 스위스의 유명한 정치가 페터 옥스의 아들이었고, 어머니는 카타리나 라 로슈(Katharina La Roche)였다.[10] 에두아르트 옥스는 약혼 후 성을 '히스(His)'로 바꾸었는데, '옥스(Ochs)'가 독일어로 '소'를 뜻하지만 속되게는 '멍청한 소'라는 뜻으로도 쓰였기 때문이다.[11]히스는 1849년 바젤에서 의학을 배우기 시작했고 곧 베른 대학교로 옮겼다. 이듬해에는 다시 베를린 대학교로 옮겨서 요하네스 페터 뮐러와 로베르트 레마크를 사사했다. 1852년부터 1853년까지는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임상 교육을 받았지만 루돌프 피르호, 알베르트 폰 쾰리커, 프란츠 폰 라이디히 등의 이론적 연구에 더 관심을 가졌다. 프라하와 빈에서 의학 공부를 이어 하다가 1854년 바젤로 돌아와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855년에는 각막의 조직학을 주제로 박사 학위논문을 발표했다. 파리를 방문하여 요한 프리드리히 호너와 교류하였다가 이듬해 다시 바젤로 돌아와 하빌리타치온 학위를 받았다.[11]
2. 2. 학문적 경력
빌헬름 히스는 1849년 바젤에서 의학 공부를 시작하여 베른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에서 요하네스 페터 뮐러와 로베르트 레마크에게 배웠다.[11] 1852년-1853년에는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루돌프 피르호, 알베르트 폰 쾰리커, 프란츠 폰 라이디히 등에게 배웠다.[11] 프라하와 빈에서 의학 공부를 계속하다가 1854년 바젤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1] 1855년에는 각막의 조직학을 주제로 박사 학위논문을 발표했고, 파리에서 요한 프리드리히 호너와 교류한 후 1856년 바젤에서 하빌리타치온 학위를 받았다.[11]1857년, 26세의 나이로 바젤 대학교의 해부학 및 생리학 교수가 되었다.[12] 1865년 《몸의 막과 구멍》을 발표하여 상피 조직의 분류와 명칭을 논했으며, 1866년에는 최초로 마이크로톰을 발명했다.[12] 1872년에는 에른스트 하인리히 베버의 뒤를 이어 라이프치히 대학교의 해부학 교수가 되었다.[10]
히스는 내피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이전에는 상피와 함께 분류되었던 내부 막을 구별하고, 발생 과정에서 배엽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켰다.[1] 그는 모든 형태의 용불용설(라마르크주의)을 명확히 거부했다.[3] 또한 에른스트 헤켈의 배아 그림의 진실성에 대해 논쟁했고, 발달 중인 척추동물 후뇌 내의 생식 구역을 확인하여 나중에 능형순이라고 명명했다.[3]
1879년에서 1886년 사이에 2주에서 8.5주 발달한 12개의 인간 배아를 수집하여 신경계 발달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했다.[4] 1892년에는 스웨덴 왕립 과학한림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0]
2. 3. 가족
빌헬름 히스 시니어는 엘리자베트 히스와 결혼하여 여섯 자녀를 두었다.[13] 셋째 아들 빌헬름은 내과 의사이자 심장학자로 활동했으며, 히스다발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4]3. 발생학 연구
빌헬름 히스 시니어는 발생학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에른스트 헤켈의 배아 그림에 이의를 제기하고, 발생반복설을 비판했다.
- 혈관의 가장 안쪽 막을 내피라고 명명하여, 상피와 구별하고 배엽과의 관계를 밝혔다.[15]
- 척추동물의 뒤뇌에서 세포분열이 활발한 영역인 마름뇌입술(Rhombic lip)을 발견했다.[16]
- 1879년에서 1886년 사이 사람 배아 12개를 수집하여 신경계 발생 과정을 연구하고, 신경이 손가락으로 자라 들어가는 것을 관찰했다.[17]
- 1903년 위와 식도의 경계에 존재하는 예각인 식도위각을 'incisura cardiaca'라고 명명했다.[18]
3. 1. 헤켈과의 논쟁
빌헬름 히스 시니어는 에른스트 헤켈이 그린 배아 그림의 진실성에 이의를 제기한 것으로 유명하다. 헤켈의 그림은 발생반복설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 히스는 에른스트 헤켈의 배아 그림이 반복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사용되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발달 중인 척추동물의 후뇌 내에서 나중에 능뇌순이라고 불리는 특정 영역을 확인했다.[3]히스는 모든 형태의 용불용설 (라마르크주의)을 명확히 거부했다. "반박될 때까지, 나는 개체의 생애 동안 획득된 특성은 상속될 수 없다는 주장을 고수한다"는 구절은 그의 1874년 저서 ''Unsere Körperform und das physiologische Problem ihrer Entstehung'' (우리 몸의 형태와 그 발달의 생리적 문제; 라이프치히: 보겔)에서 발췌되었으며, 1883년 아우구스트 바이스만이 비슷한 선언을 하기 전까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3. 2. 내피 용어 도입
히스는 혈관의 가장 안쪽 막을 가리키는 내피라는 단어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상피로만 분류되던 구조를 구별했고, 발생 과정에서 배엽과의 관계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15]3. 3. 마름뇌입술(Rhombic lip) 발견
히스는 척추동물의 발생 중 뒤뇌에서 세포분열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영역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Rautenlippe(Rautenlippe|마름뇌입술de)"이라고 명명했다. 오늘날 이 영역은 히스가 붙인 이름대로 마름뇌입술이라고 불린다.[16]3. 4. 신경계 발생 연구
히스는 1879년부터 1886년까지 발생 2주에서 8.5주 사이의 사람 배아 12개를 수집하여 신경계 발생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했으며, 신경이 손가락으로 점진적으로 자라 들어가는 것을 관찰했다.[17]히스는 척추동물의 발생 중 뒤뇌에서 세포분열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영역을 발견하고 "Rautenlippe(rhombic lip)"이라고 명명했는데, 오늘날 이 영역은 마름뇌입술이라고 불린다.[16]
또한, 에른스트 헤켈이 그린 배아 그림의 진실성에 이의를 제기한 것으로 유명하다. 헤켈의 그림은 발생반복설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3]
4. 유전학
히스는 모든 형태의 연성 유전(라마르크주의)을 단호하게 거부했다. 다음 구절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1]
"반박되지 않는 한, 나는 개체가 일생 동안 획득한 특성은 유전될 수 없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이 저작은 1874년에 발표되었는데, 1883년이 되어서야 아우구스트 바이스만이 비슷한 생각을 표명했다는 점에서 히스는 시대를 앞섰다고 할 수 있다.[1]
5.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얼굴 복원
1895년, 빌헬름 히스 시니어는 라이프치히 대학교 해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두개골을 바탕으로 생전의 얼굴을 3차원으로 복원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복원은 시체 얼굴 조직의 깊이를 정밀하게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19]
히스는 얇은 바늘에 작은 고무 조각을 끼워 시체 조직에 꽂는 방식으로 조직 깊이를 측정했다. 바늘을 뼈에 수직으로 꽂아 뼈에 닿을 때까지 밀어 넣었고, 이때 고무 조각이 바늘을 따라 올라간 정도를 측정하여 조직의 깊이를 파악했다. 이 방법으로 자살로 사망한 남성 24명과 여성 4명, 소모성 질환으로 사망한 남성 9명을 대상으로 15군데의 특정 위치에서 조직 깊이를 측정하고 기록했다.[5]
6. 그림과 사진
6. 1. 히스의 마이크로톰
6. 2. 닭 배아와 고무관 비교
참조
[1]
웹사이트
Endothelial Biomedicine
https://cbs.asu.edu/[...]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Otoplasty
Springer
[3]
논문
Rautenlippe Redux -- toward a unified view of the precerebellar rhombic lip
2009-12
[4]
논문
Unraveling the neuron jungle: the 1879-1886 publications by Wilhelm His on the embryological development of the human brain
http://archneur.jama[...]
2001-11
[5]
서적
The Human Skeleton in Forensic Medicine
Charles C. Thomas
[6]
웹사이트
Endothelial Biomedicine
https://cbs.asu.edu/[...]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1
[7]
논문
Rautenlippe Redux -- toward a unified view of the precerebellar rhombic lip
2009-12
[8]
논문
Unraveling the neuron jungle: the 1879-1886 publications by Wilhelm His on the embryological development of the human brain
http://archneur.jama[...]
2001-11
[9]
서적
The Human Skeleton in Forensic Medicine
Charles C. Thomas
[10]
서적
Lebenserinnerungen
Fischer & Wittig
[11]
저널
The His family and their contributions to cardiology
https://linkinghub.e[...]
2008-01
[12]
저널
Wilhelm His, Sr. (1831-1904)
https://hdl.handle.n[...]
2007-11-01
[13]
저널
A Marble Embryo: Meanings of a Portrait from 1900
https://academic.oup[...]
2012-04-01
[14]
저널
Wilhelm His, Jr. and the Bundle of His
https://academic.oup[...]
1949
[15]
웹인용
Endothelial Biomedicine
https://cbs.asu.edu/[...]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2-09
[16]
저널
Rautenlippe Redux -- toward a unified view of the precerebellar rhombic lip
2009-12
[17]
저널
Unraveling the neuron jungle: the 1879-1886 publications by Wilhelm His on the embryological development of the human brain
http://archneur.jama[...]
2001-11
[18]
웹인용
The History of Surgery for Hiatal Herni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http://eknygos.lsmun[...]
Springer
2019-04-09
[19]
서적
The Human Skeleton in Forensic Medicine
Charles C. Thomas
[20]
저널
Beschreibung eines Mikrotoms
http://link.springer[...]
187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