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가 2: 비보전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가 2: 비보전설''은 1990년 게임보이로 출시된 롤플레잉 게임으로, 4명의 파티를 구성하여 인간, 에스퍼, 메카, 몬스터 중 종족을 선택해 플레이한다. 턴제 전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무기 사용 횟수 제한과 '메모' 기능을 통해 전략적인 플레이를 돕는다. 플레이어는 고대 신들의 유산인 '비보'를 찾아 실종된 아버지를 찾는 스토리를 따라 9개의 세계를 탐험하며, 새로운 신이 되려는 자들과 맞서 싸운다. 게임은 종족별 성장 방식, 다양한 무기와 아이템, 특수 능력, 그리고 비보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2009년에는 닌텐도 DS로 리메이크되어 그래픽과 게임플레이가 개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가 (비디오 게임 시리즈) - 사가 프론티어
사가 프론티어는 7~8명의 주인공 중 한 명을 선택하여 각기 다른 시나리오를 진행하는 플레이스테이션용 롤플레잉 게임으로, 리전이라는 독자적인 세계를 배경으로 턴제 전투와 기술 연계 시스템, 종족별 성장 방식이 특징이며, 2021년에는 리마스터 버전이 출시되었다. - 사가 (비디오 게임 시리즈) - 로맨싱 사가: 민스트럴 송
《로맨싱 사가: 민스트럴 송》은 스퀘어 에닉스가 2005년에 발매한 플레이스테이션 2용 롤플레잉 게임으로, 8명의 주인공 중 하나를 선택해 자유롭게 모험하는 프리 시나리오 시스템을 채택한 1992년작 《로맨싱 사가》의 리메이크 작품이다. - 스퀘어의 게임 - 라이브 어 라이브
라이브 어 라이브는 1994년 슈퍼 패미컴으로 출시된 스퀘어의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이며, 9개의 시나리오와 8명의 주인공을 통해 독특한 게임플레이와 턴제 전략 전투 시스템을 제공하고, 2022년에는 HD-2D 그래픽 스타일로 리메이크되었다. - 스퀘어의 게임 - 에어가이츠
에어가이츠는 드림팩토리가 개발하고 스퀘어가 배급한 3D 격투 게임으로, 360도 자유로운 움직임과 인터럽트 시스템, 저스트 프레임 시스템, 필살기 게이지를 활용한 전투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며,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에는 던전 크롤 형식의 RPG 경험을 제공하는 퀘스트 모드와 《파이널 판타지 VII》 캐릭터 및 노무라 테츠야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 1990년 비디오 게임 - 건 프론티어
건 프론티어는 우주 서부극을 배경으로 리볼버 모양의 전투기를 조종하여 우주 해적에게 잡힌 생존자를 구출하는 수직 스크롤 슈팅 게임이다. - 1990년 비디오 게임 - 슈퍼 마리오 월드
《슈퍼 마리오 월드》는 1990년 슈퍼 패미컴으로 출시된 횡스크롤 액션 게임으로, 마리오와 루이지가 요시와 함께 쿠파를 물리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혁신적인 게임 플레이와 훌륭한 사운드트랙으로 극찬을 받으며 역대 최고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사가 2: 비보전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게임 정보 | |
제목 | 사가 2: 비보전설 |
원제 | Sa・Ga2 秘宝伝説 |
영어 제목 | Final Fantasy Legend II |
개발 | |
개발사 | 스퀘어 |
추가 개발사 (닌텐도 DS) | 락진 |
추가 개발사 (닌텐도 스위치) | 스퀘어 에닉스 |
디렉터 | 카와즈 아키토시 |
프로그래머 | 오카베 나오키, 아나자와 토모키 |
디자이너 | 카와즈 아키토시, 타나카 히로미치, 이노우에 토시유키 |
작가 | 카와즈 아키토시 |
작곡가 | 우에마츠 노부오, 이토 켄지 |
아티스트 | 후지오카 카츠토시 |
배급 | |
배급사 (게임보이) | 스퀘어 |
재발매 배급사 (북미, 게임보이) | 선소프트 |
배급사 (닌텐도 DS, 닌텐도 스위치, 안드로이드, iOS,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스퀘어 에닉스 |
출시 | |
게임보이 (일본) | 1990년 12월 14일 |
게임보이 (북미) | 1991년 11월 |
게임보이 재발매 (북미) | 1998년 4월 |
닌텐도 DS (일본) | 2009년 9월 17일 |
닌텐도 스위치 (전 세계) | 2020년 12월 19일 |
안드로이드, iOS (전 세계) | 2021년 9월 22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전 세계) | 2021년 10월 21일 |
기타 정보 | |
플랫폼 | 게임보이, 닌텐도 DS, 닌텐도 스위치, 안드로이드, iOS,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장르 | 롤플레잉 |
모드 | 일인용 |
시리즈 | 사가 |
미디어 | 2 메가비트 + 64 킬로바이트 RAM 롬 카트리지 |
판매량 (일본) | 85만 본 |
제품 코드 (일본) | DMG-S2J |
제품 코드 (북미) | DMG-S2-USA |
![]() |
2. 게임플레이
플레이어는 인간, 에스퍼, 메카, 몬스터 중 하나의 종족을 선택하여 주인공과 동료 캐릭터를 생성하고 4인 파티를 구성한다. 각 종족은 고유한 성장 방식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인간과 에스퍼는 전투를 통해 성장하지만, 메카는 아이템 장착, 몬스터는 고기를 먹는 방식으로 성장한다.[6]
전투는 턴 방식으로 진행되며, 파티원들은 공격, 마법, 아이템 등 다양한 능력을 사용하여 적과 싸운다. 전투에서 승리하면 캐릭터의 능력치가 무작위로 상승하며, 종족에 따라 상승하는 능력치가 다르다. 쓰러진 캐릭터는 전투 종료 후 체력이 완전히 회복되지만, 모든 캐릭터가 쓰러지면 오딘의 도움을 받아 부활할 수 있다.
대부분의 무기에는 사용 횟수 제한이 있어 전략적인 전투를 요구한다.[7] 예를 들어, 강력한 무기라도 사용 횟수가 적다면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게임 진행 중 중요한 정보는 '메모' 기능에 자동 기록되어, 플레이어가 모험의 힌트를 얻을 수 있다. NPC와의 대화나 중요한 이벤트는 메모에 기록된다.
2. 1. 종족과 성장
게임을 시작할 때 주인공과 동료들의 종족을 선택한다. 종족은 인간, 에스퍼, 메카, 몬스터 4가지가 있으며, 어떤 종족을 선택하든 스토리는 달라지지 않는다. 전작과 달리 주인공과 동료 사이에 능력치 차이가 없고, 동료를 중간에 바꿀 수 없다. 또한 반드시 4인 파티를 구성해야 하며, 3인 이하로는 파티를 구성할 수 없다.[7]각 종족은 고유한 성장 방식을 가진다. 인간과 에스퍼는 전투를 통해 능력치가 성장하는 반면, 메카와 몬스터는 전투를 통해서는 성장하지 않는다. 메카는 아이템을 장착하여 능력치를 높이고, 몬스터는 적을 쓰러뜨려 얻는 고기를 먹고 변신하여 성장한다.
종족 | 성장 방식 | 특징 |
---|---|---|
인간 | 전투를 통한 성장 | HP, 힘, 민첩성이 오르기 쉽고, 방어는 매우 오르기 어렵다. 무기 사용에 능하다. |
에스퍼 | 전투를 통한 성장 | 마력, 방어가 오르기 쉽고, 힘은 매우 오르기 어렵다. 마법 공격이나 회복에 능하다. |
메카 | 아이템 장착 | 마력을 제외한 모든 능력치를 올릴 수 있다. 방어구는 같은 종류를 여러 개 장착할 수 있다. 공격력이 매우 강하다. |
몬스터 | 고기를 먹고 변신 | 변신 결과에 따라 능력치와 특수 능력이 달라진다. 보물 외 아이템은 장착할 수 없고, 특수 능력으로 싸운다. |
2. 1. 1. 인간
전작과는 달리, 전투를 통해 능력치가 성장한다. 인간은 HP, 힘, 민첩성은 오르기 쉽지만, 방어는 극단적으로 오르기 어렵다. 따라서 무기 사용에 능한 종족이라고 할 수 있다.[6] 아이템은 8개까지 장착할 수 있지만, 특수 능력은 사용할 수 없다.2. 1. 2. 에스퍼
인간과 비슷하게, 전투를 통해 성장한다. 마력과 방어가 잘 오르지만, 힘은 거의 오르지 않아 마법 공격이나 회복에 능하다.[6]8개의 아이템 장착 칸 중 1~4개를 특수 능력 칸으로 사용하며, 특수 능력은 전투 후 돌연변이로 습득한다. 강한 적을 상대할수록 상위 특수 능력을 얻기 쉽다. 특수 능력 사용 횟수는 여관, 코티지, 엘릭서로 회복할 수 있다.[7]
2. 1. 3. 메카
메카는 아이템을 장착하여 능력치를 강화할 수 있으며, 마력을 제외한 모든 능력치를 올릴 수 있다.[6] "마력의 마기"를 장착하면 마력도 올릴 수 있다. 방어구는 같은 부위의 것을 여러 개 장착할 수 있다.아이템 장착 시 사용 횟수가 절반으로 줄고, 벗을 때 다시 절반으로 줄지만, 장착 중인 아이템은 사용 횟수가 0이 되어도 사라지지 않는다. 특수 능력과 마찬가지로 여관 등에서 사용 횟수를 회복할 수 있으며, 상한은 원래 최대치의 절반이다.[7] 기술로 분류되는 무기나 사용 횟수가 무한인 무기는 착탈이나 숙박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활이나 총으로 분류되는 무기로 공격하면 피해량이 증가한다.[6] 장비를 벗었다 착용하는 것으로 HP를 회복할 수도 있다.[8]
메카는 이러한 특징 덕분에 모든 종족 중에서 공격 면에서 가장 강력하다고 평가받으며, 게임 관련 서적에도 소개될 정도이다.[7]
2. 1. 4. 몬스터
몬스터는 적을 쓰러뜨리고 얻는 고기를 먹고 다른 몬스터로 변신하며 성장한다. 보물 이외의 아이템은 장착할 수 없으며, 개체마다 가지고 있는 특수 능력으로 싸운다.[7] 특수 능력의 사용 횟수는 에스퍼와 같은 방법으로 회복할 수 있다.몬스터는 전투에서는 성장하지 않지만, 적을 격파했을 때 떨어뜨리는 고기를 먹으면 다른 몬스터로 변신한다. 변신 후 어떤 몬스터가 되는지는 일정한 법칙이 있으며, 변신 전보다 강해지거나 약해질 수 있다. 변신 후의 능력치와 특수 능력은 적으로 등장하는 몬스터와 같다. 고기를 먹고 변신해야만 등장하는 아군 전용 몬스터도 있다.
예외적으로 "다이아쿠마"는 아이템을 기본 장착하고 있으며, "안사라" 등의 특수 능력 "카운터"는 버그로 아이템 취급을 받기 때문에 탈착할 수 있다. 하지만 떼어낼 수는 있어도 다시 장착할 수는 없으며, 그대로 여관에 숙박하면[9] 멈춤 현상이 발생하는 버그가 있다. 떼어낸 후 다른 몬스터로 변신시키면 멈춤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7]
2. 2. 파라미터
캐릭터의 능력치는 HP, 힘, 방어, 민첩, 마력이 있다.[10]능력치 | 설명 |
---|---|
HP | 내구력. 피해를 입으면 줄어들고, 아이템이나 마법 등으로 회복한다. 0이 되면 기절하지만, 전투가 끝나면 HP 1로 회복한다. 감소한 수치만큼 여관 숙박 요금이 된다. |
힘 | 백병전용 무기 대부분을 사용했을 때의 피해량과 총을 사용했을 때의 명중률에 관련된다. |
방어 | 물리 공격을 받았을 때의 피해를 줄인다. |
민첩 | 적보다 먼저 행동할 확률, 회피율, 일부 백병전용 무기의 피해량, 백병전 무기나 활의 명중률에 관련된다. |
마력 | 마법 공격과 회복 효과를 높이고, 마법 공격을 받았을 때의 피해를 줄인다. |
공격 및 회복 효과는 스테이터스와 무기 성능의 곱셈으로 계산되므로, 강력한 무기를 사용해도 스테이터스가 낮으면 효과를 보기 어렵다.[10]
각 캐릭터의 스테이터스 상한선은 표시상 99(HP는 999)가 최대이지만, 장비나 능력치 상승 아이템을 사용하면 실제로는 100 이상(최대 255, HP도 1000 이상)으로 만들 수 있다. 전투 중 능력치 변화를 통해서도 능력치를 100 이상으로 만들 수 있어 전투의 폭이 넓어졌다.[10]
2. 3. 아이템
아이템은 크게 무기, 방어구, 기타 아이템으로 분류된다.공격용 장비는 장비칸의 허용 범위 내에서 무제한으로 장착 가능하지만, 방어용 장비는 원칙적으로 종류당 하나씩만 장착 가능하다 (메카는 예외). 메카가 장착하면 능력치가 상승하는 무기는 인간이나 에스퍼가 사용하면 그 능력치가 성장하지만, 마력이 성장하는 무기는 메카의 마력을 올릴 수 없다.
비보는 고대 신들의 유산으로, 이야기 전개에 중요한 아이템이다. "비보" 명령어로 장착하며, 1인당 1종류만 장착할 수 있다. 몬스터 종족도 비보를 장착할 수 있어, 시리즈 사상 처음으로 몬스터 종족의 능력치나 공격 수단을 약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게 되었다.
2. 3. 1. 무기
근접전용 무기로는 검, 도끼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기본적으로 대상은 적 1체이다. "힘", "민첩", "마력" 중 어떤 능력치에 위력이 의존하는지는 무기마다 다르다.[7]힘 의존 | 적의 약점 속성을 공격하면 한 방에 쓰러뜨릴 수 있는 속성 무기나, 사용 횟수가 무한대인 엑스칼리버 등이 있다. 그 중에는 민첩을 성장시키는 채찍류, 마력이나 방어력을 성장시키는 무기도 있다. 엑스칼리버와 궁니르의 창은 적의 반격 능력을 무효화하고, 힘이 없어도 일정 수준의 데미지를 주는 등, 화기와 비슷한 특징도 가지고 있다.[7] |
---|---|
민첩 의존 | 레이피어 등의 단검류.[7] |
마력 의존 | 마력을 가진 사이코 대거 등 특수한 도검류나 총기류 등.[7] |
활과 총은 누가 사용해도 기본적인 성능에 따라 일정 수준의 위력을 발휘한다. 명중률은 활은 민첩, 총은 힘에 관련되며, 적의 반격 능력을 무효화한다. 활과 화살부터 매그넘까지 다양하다.[7]
화기는 누가 사용해도 기본적인 성능에 따라 일정 수준의 위력을 발휘하며, 확실히 명중하고 적의 회피·반격 능력을 무효화한다. 서브머신건부터 벌컨포까지 규모는 다양하다.[7]
병기는 누가 사용해도 기본적인 성능에 따라 일정 수준의 위력을 발휘한다. 화기의 특징에 더해, 대상의 방어력을 무시하고, 게다가 속성이 전혀 없기 때문에 어떤 수단을 사용해도 경감시키는 것조차 할 수 없다. 전체를 공격하는 것도 많다. 빔 라이플부터 전차인 레오파르트 2, 핵폭탄까지 폭넓다.[7]
기술로는 펀치, 킥, 지옥차 등이 있다. 인간이나 에스퍼가 사용하면, 남은 사용 횟수가 적어질수록 위력이 상승한다.[7]
마법의 책, 지팡이는 아이템에 봉인된 마법을 해방하여 발사하는 무기이다. 위력은 마력에 의존하며, 마법책은 거의 대부분 적 1그룹을, 지팡이는 적 전체를 공격한다. 대부분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적의 약점을 공격하면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지만, 저항력을 가진 속성의 마법은 효과가 없다.[7]
기타 무기로는 받은 데미지를 두 배로 되돌려주는 "원한의 검"이나 한 방에 적을 쓰러뜨리는 "체인쏘" 등 특수한 것, 데미지 이외의 특수한 효과를 가진 것, 민첩을 올리는 "가속 장치", 메카가 장착했을 때만 전투 중 HP가 자동 회복되는 "자기 회복" 등이 있다.[7]
대부분의 무기에 사용 횟수가 설정되어 있으며,[7] 공격용 장비는 장비칸의 허용 범위 내에서 무제한으로 장착 가능하다. 메카가 장착하면 능력치가 상승하는 무기는, 인간이나 에스퍼가 사용하면 그 능력치가 성장한다. 단, 마력이 성장하는 무기는 메카의 마력을 올릴 수 없다.[7]
2. 3. 2. 방어구
사가 2: 비보전설에는 방패, 갑옷, 투구, 장갑, 신발, 전신 갑옷 등 다양한 종류의 방어구가 존재한다. 방어구는 종류당 하나씩만 장착할 수 있지만, 메카는 예외적으로 장착 가능한 만큼 장착할 수 있다.2. 3. 3. 기타 아이템
HP 회복 아이템으로는 포션, 하이포션, 엑스포션, 에테르, 엘릭서가 있다. 상태 이상 회복 아이템으로는 해독제, 안약, 강심제, 만능약, 황금 바늘이 있다. 이 외에도 능력치를 올려주는 성장 아이템, 이벤트 아이템, 이동 중에 사용하는 아이템들이 존재한다.[7]2. 4. 특수 능력
에스퍼와 몬스터 종족이 주로 사용하는 특수한 공격 방법을 말한다. 단체 공격, 다수 공격, 회복, 반격, 능력 변화, 보조 특성, 내성, 약점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2. 5. 비보
비보는 고대 신들의 유산으로, 이야기 전개에 중요한 아이템이다. 주인공은 이시스의 조각상이 부서지면서 만들어진 77개의 마기(MAGI)를 찾게 된다. 비보는 마기, 장비품, 기타 비보로 나뉜다.[7]2. 5. 1. 마기
능력치를 강화하는 '힘의 마기'나 마력을 강화하는 '마력의 마기' 등의 능력치 강화 계열과, 마력을 강화하면서 속성 저항력을 얻는 '불의 마기', '독의 마기' 등의 마력+내성 강화 계열로 나뉜다. 마력을 강화하는 마기는 메카에도 효과적이다. 단, 어느 쪽도 상태 화면의 수치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번개의 마기'와 '얼음의 마기'는 초기 버전의 로트(ロット)에서만 효과가 바뀌어 있다. 유일하게 종류당 여러 개를 입수할 수 있으며, 같은 종류라면 모두 합쳐서 장착하게 된다(개수가 많을수록 파라미터 강화도 강해진다).2. 5. 2. 장비품
대부분의 무기에 사용 횟수가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을 채용했다.[7] 물리 공격을 100% 회피하고 아군 전체에 다양한 저항력을 부여하는 이지스의 방패, 사용자 및 대상의 능력치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데미지를 주는 마사무네, 한 번만 아군 전체의 HP와 상태 이상(전투 불능 포함)을 전부 회복하는 여신의 심장이 대표적이다. 이 장비들은 사용 횟수가 정해져 있지만, 여관 등에서 회복할 수 있다. 장착하면 전투 중에는 9번째 장비 칸에 표시되며, 각각 1종류 1개씩만 존재한다.[7]2. 5. 3. 기타 비보
현재 세계에 남아 있는 보물의 개수를 표시하는 정령의 거울(せいれいのかがみ일본어), 텔레포트와 마찬가지로 다른 세계로 이동이 가능한 천사의 날개(てんしのつばさ일본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환경에서 지형을 비추는 진실의 눈(しんじつのめ일본어) 등이 있다. 각각 1종류 1개씩 존재한다.[7]3. 세계관 및 스토리
세계는 고대 신들의 유산인 77개의 비보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든 비보를 하나로 합치면 막대한 힘이 되살아난다고 한다. 주인공은 실종된 아버지를 찾아 여행을 떠나, 비보를 둘러싼 모험을 펼친다.
이야기를 진행하는 동안 중요한 힌트는 카테고리별로 추가되어, 길을 잃었을 때 모험의 힌트가 된다. 세계를 창조했다는 고대 신들의 유산은 77개의 비보로 남아 있으며, 이 비보를 둘러싸고 많은 이들이 다투었다. 비보의 힘을 이용해 스스로 새로운 신이라 칭하는 자도 나타났다. 주인공의 아버지는 비보를 맡기며 아무에게도 주지 말라고 당부하고 여행을 떠났고, 시간이 흘러 성장한 주인공은 아버지를 찾아 동급생 3명과 함께 여행을 떠난다.
각 세계는 여러 개의 폐쇄된 세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의 기둥'이라 불리는 길만이 각 세계를 잇고 있다. 각 세계는 다음과 같다.
- 제1세계: 주인공들이 사는 첫 번째 세계. 이시스 신전과 고대 신들의 유적, 아수라의 기지가 있다.
- 제2세계: 아수라가 지배하는 사막 세계.[7] 격렬한 모래폭풍으로 시야와 이동이 어렵다.
- 제3세계: 거인들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거대한 유적만 남아있는 세계.
- 제4세계: 아폴론이 지배하는 세계. 3개의 던전에 보물이 숨겨져 있다.
- 제5세계: 가디언의 비밀 기지가 존재하는 세계.
- 제6세계: 비너스가 지배하는 세계. 아름다운 자만이 대도시에 살고, 추한 자들은 추방된다.[7]
- 제7세계: 대에도(大江戸). 장군의 음모가 소용돌이치는 일본풍 세계.[7]
- 제8세계: 오딘이 사는 발할라 궁전이 있는 구름 위의 세계.
- 제9세계: 마지막 보물이 지켜지는 던전과 중앙신전으로 이어지는 마지막 천의 기둥이 있는 세계.
- 소세계: 린을 납치한 악당들의 거점, 아폴론이 주최하는 경주가 열리는 경기장, 강력한 아이템이 잠들어 있는 던전 3곳이 존재한다.
- 천계: 옛날에는 고대 신들이 살면서 인간 세계를 통치했지만, 현재는 무인도이다. 세계를 지탱하는 중앙신전이 있다.
- 천의 기둥: 천계와 각 세계를 잇는 거대한 기둥. 일정 수의 보물을 모으면 다음 세계로 가는 문이 열린다.
- 비상계단: 중앙신전에서 세계의 최심부로 통하는 비상계단.
주인공은 여러 세계를 탐험하며 새로운 신이 되려는 자들과 맞서 싸운다.
3. 1. 주요 등장인물
다음은 주요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이다.; 주인공
: 실종된 아버지를 찾아 여행을 떠나는 인물. 이시스 여신의 조각상 파괴로 만들어진 77개의 마기(MAGI) 스톤을 찾게 된다. 다른 세 명의 모험가와 팀을 이루어 여러 세계를 탐험하며 마기(MAGI)를 수집한다.
; 선생님(せんせい)
: 주인공이 다니는 학교의 선생님으로, 종족은 몬스터다. 외눈박이에 노란색의 매끄러운 인간형 모습을 하고 있다. 처음으로 동료가 되는 NPC이며, 기본적인 조언을 해준다.
; 카이(カイ)
: 인간 여성. 이시스 신전에 사는 사제로, 상처를 치유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이 힘은 태어날 때부터 체내에 지니고 있던 비보 때문이며, 아슈라에게 노려지게 된다.
; 복면(ふくめん)
: 인간 남성. 복면을 쓴 수수께끼의 인물로, 가디언의 스파이이다. 이미지 일러스트는 아버지와 완전히 같다.[11][12]
; 린(リン)
: 인간 여성. 아버지가 행방불명되어 병든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소녀. 극 중에서 두 번 동료가 된다.
; 아버지(ちちおや)
: 인간 남성. 주인공의 아버지로, 비보를 지키는 조직 가디언의 간부이다. "대령"이라고 불린다. 극중에서 세 번 만나며, 그중 두 번은 동료로 함께 행동한다.[13]
; 오타마(おたま)
: 인간 여성. 제7세계에서 살해당한 아버지의 뒤를 이어 포청을 하고 있으며, 아버지의 원수인 에치고야를 쫓고 있다.
; 로닌(ローニン)
: 인간 남성. 전 오카야마 번의 무사인 낭인. 제7세계에서 서당을 열고 있다. 가디언의 일원으로, 에도의 사건 배후가 밝혀졌을 때 정체를 밝히고 파티에 합류한다.
; 여신(めがみ)
: 세계를 창조한 옛 신들 중 한 명. 종족은 몬스터로 취급된다. 후반 이벤트 이후 파티에 합류하는 마지막 NPC이다.
; 아수라
: 제2세계를 지배하는 새로운 신. 원래는 고블린이었지만, 비보의 힘으로 세 개의 머리와 네 개의 팔을 가진 몬스터로 진화했다. 다른 세계도 정복하려 한다.
; 아폴론
: 제4세계를 지배하는 새로운 신. 흰 정장을 입은 긴 머리의 미청년. 주인공에게 비보를 모으게 한 뒤 강탈하려 한다. 비보가 불완전하여 몸이 붕괴되어 자폭한다.[14]
; 비너스
: 제6세계를 지배하는 새로운 신. 아름다움을 숭배하며 추한 자를 배척하는 왜곡된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주인공의 "지금 네가 제일 추해!"라는 호통은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 명장면이다.[7]
; 오딘
: 제8세계를 지배하는 새로운 신. 뿔이 난 노년의 남성이며, 죽은 자들의 영혼을 소생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최강의 용사와의 싸움을 바라며, 주인공 일행에게 패배한 후 자신의 생애에 만족하며 숨을 거둔다.
; 하하오야(어머니)
: 주인공의 어머니. 아버지를 찾아 여행을 떠나는 주인공을 이해하고 기꺼이 보낸다.
; 람포링크스
: 첫 번째 던전 출구에서 습격해 오는 첫 번째 보스 캐릭터. NPC "선생"의 "토카스"로 순살당하지만, 인상적인 캐릭터로 유명하다.
; 아버지와 닮은 남자
: 처음 방문한 마을에서 보이는, 뒷모습이 주인공의 아버지와 매우 닮은 남자. 하지만 얼굴은 아버지와 전혀 닮지 않았다.
; 조니
: 제3세계에 사는 남성. 옛날에는 거인이었다는 소문이 있지만, 그것을 지적하면 기분을 상한다.
; 야마노카미(산의 신)
: 제4세계 산의 동굴에서 노래하고 있다고 하는 전설의 존재(실제는 로봇).
; 가디언
: 제5세계를 거점으로 보물과 세계의 연구, 새로운 신 등으로부터 보물을 지키는 일을 하고 있는 조직의 구성원들.
; 올리비아
: 제6세계 비너스의 대도시에 사는 여성. 연인인 안토니와 헤어졌다.
; 안토니
: 제6세계에 사는 올리비아의 연인. 열병으로 다리가 불편해져 도시에서 추방당했다.
; 유리우스
: 비너스에 의해 올리비아의 배우자로 선택된 남성. 악마형 몬스터의 모습.
; 덴파치(전팔)
: 제7세계의 대에도에 사는, 오타마의 아버지 대부터의 부하. 거북이형 몬스터의 모습.
; 오부굥사마(오봉행님)
: 대에도의 봉행소[15]에 있다. 악덕 상인 에치고야를 좋게 보지 않는다.
; 텐츄구미(천추구(天誅組))
: 대에도에 있다. 기본(旗本)의 차남으로 권력을 앞세워 폭정을 행한다. 전투에서는 사무라이형 몬스터의 모습으로 등장하지만[16], 총기를 사용한다.
; 에치고야(에치고야)
: 성하마을에 가게를 짓는 악덕 상인. 뇌물을 주고 아편을 밀수입한다. 군인형 몬스터의 모습으로 등장한다.[17]
; 쇼군(쇼군)
: 대오고쇼의 아들. 제7세계의 대에도를 지배하는 쇼군이지만, 머리에 이상이 있다는 소문이 돈다.
; 오오고쇼
: 쇼군의 아버지. 아들인 쇼군을 수단으로밖에 보지 않는다.
; 아폴론의 시모베
: 아폴론을 따르고 있는 괴조. 제9세계에 있다.
; 데스머신
: 제9세계 던전에 잠복하여 마지막 보물을 지키고 있는 무장 기계.
; 보에이시스템(최종방위시스템)
: 본 작품의 최종 보스. 중앙 신전에서 뻗어 나온 비상 계단 안쪽에 있는, 세계의 "최하층"을 지키는 전투 병기.
; 하니와(埴輪)
: 세계의 "최하층" 지역에 등장하는 희귀 몬스터. 쓰러뜨리면 "칠지도(七支刀)"를 얻을 수 있다.
4. 개발
1989년 게임보이용으로 출시되어 성공을 거둔 전작 《최후의 환상전설》(마계도사 사가)에 이어 《사가 2: 비보전설》의 제작이 시작되었다. 카와즈 아키토시는 속편을 예상하지 못했기에, 초기에는 전작의 시스템을 개량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기획에는 카와즈가 최종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고 제작을 추진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하는 다나카 히로미치가 참여했다. 카와즈는 다나카가 다른 스태프들과 함께 프로젝트에 합류하기 전에 《파이널 판타지 3》 작업을 마칠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개발사이자 배급사인 스퀘어가 도쿄 아카사카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제작은 더욱 지연되었다. 이러한 지연에도 불구하고 월드 맵 설정을 제외한 모든 시스템이 전작과 동일했기에 개발 속도는 전작보다 빨라졌다. 카와즈와 다나카를 포함한 10명의 스태프로 구성된 팀이 게임을 개발했다. 카와즈는 감독, 작가, 그리고 다나카와 이누에 도시유키와 함께 공동 디자인을 맡았다.
전작 《마계탑사 Sa・Ga》의 특징인 경험치에 의존하지 않는 성장 시스템을 계승, 일부 개량되었다. 플레이어 캐릭터는 "인간", "에스퍼", "몬스터" 외에 새롭게 "메카"가 추가되어 4종족으로 늘어났으며, 각 종족의 개성도 더욱 풍부해졌다. 대부분의 무기에 사용 횟수가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도 계속 채용되었다. 독특한 시스템을 더욱 다듬는 한편, 중요한 대화와 이벤트가 자동으로 기록되는 메모 기능과 모험을 지원하는 NPC 등 초보자도 게임에 쉽게 몰입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본 작품은 저연령층을 의식하여 캐릭터 디자인은 전작에 비해 코믹하게 바뀌었고, 스토리 전개도 이해하기 쉬운 선과 악의 대결로 되어 있다.[7]
게임 발매 당시에는 당시 GB 소프트웨어의 외형과 규격이 다른 큰 사이즈의 외형으로 패키징되었다. 이 크기가 선택된 이유는 "눈에 띄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한다.[4] 이에 대해 개발자 중 한 명인 다나카 히로미치는 DS판 발표 시 자유로운 시대였기에 여러 가지를 시도했던 것이 아닐까라고 회상하고 있다.[5]
"선생님" 캐릭터는 《파이널 판타지 2》의 플레이어 캐릭터인 민우를 기반으로 했다. 오딘이 전투를 대가로 플레이어를 부활시키는 역할은 카와즈가 플레이어들을 놀라게 하기 위해 구현한 것이다. 일본판 표지 일러스트와 캐릭터 디자인은 원작 사가의 표지 일러스트레이터인 후지오카 카츠토시가 담당했다. 후지오카는 레벨 디자인 레이아웃도 담당했다. 후속 인터뷰에서 카와즈는 전작에 비해 이 게임이 진정으로 "완성된" 게임이라고 느꼈다고 말했다.
음악은 우에마츠 노부오와 이토 켄지가 공동 작곡했다. 우에마츠는 이전에 첫 번째 ''사가''에서 작업했지만, 이토는 회사에 막 합류했으며 스퀘어의 첫 번째 타이틀이었다. 당시 우에마츠는 ''파이널 판타지 IV''의 음악 작업으로 바빴기 때문에 이토가 트랙의 절반을 제작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우에마츠 노부오가 『파이널 판타지 IV』와 병행하여 이 작품의 작곡도 할 예정이었지만, 계획을 변경하여 당시 스퀘어에 입사한 지 얼마 안 된 이토 켄지가 이 작품 음악의 절반을 제작하게 되었다.[19]
게임 음악 작곡은 이토에게 어려운 과제였는데,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어서 현장에서 배워야 했다. 이토는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를 배워왔지만, 打ち込み(MIDI 작곡)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입사 후 수개월 동안 장비를 갖추면서 컴퓨터를 이용한 작곡에 대해 공부했다.[18] 그의 첫 완성곡은 "평화의 땅"이라는 곡이었는데, 당시 일반적이었던 짧은 반복 트랙에 대한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이 테마는 상당히 길었다. 이토가 이 작품에서 처음 만든 곡은 '평온한 대지'이며, "당시에는 곡을 반복 재생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긴 곡이 되어 버렸다"라고 2018년 패미통과의 인터뷰에서 회상하고 있다.[19]
우에마츠는 음악 제작에 있어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와의 차별화를 의식했다.[18] 또한 우에마츠는 이토에게 "게임보이라고 쉽게 보고 음악을 만들면 안 된다. 그 세계가 네 세계다"라는 조언을 해주었고, 이토는 2015년 패미통과의 인터뷰에서 이 말이 마음에 남았다고 말했다.[18]
카와즈는 콘솔의 메모리 제한을 염두에 두고 특정 장면과 분위기를 기반으로 한 트랙을 요청했다. 예방 조치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병렬 사운드 수가 줄어들었고 여러 트랙을 잘라내야 했다. 메모리 용량에 제약이 있었기 때문에, 가와즈는 곡목과 사용 장면을 상정한 후 우에마츠와 이토에게 곡 의뢰를 했다.[19] 한편, 시리즈에서 자주 사용되는 빠른 템포의 곡에서는 소리를 자르기 위한 휴지표 데이터도 넣어야 하기 때문에 용량이 두 배가 되어, 당시 대용량이라고 불렸던 2메가비트의 롬카세트에도 겨우 들어갈 정도였다.[19] 이 때문에 제7세계의 등장인물인 오타마의 테마 등 용량 부족으로 사용되지 않은 곡도 있다.[19]
가와즈는 누가 어떤 곡을 작곡했는지 듣지 못했지만, 완성된 곡을 듣고 우에마츠답지 않은 곡이 없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고 2018년 패미통과의 인터뷰에서 회상하고 있다.[19]
곡명 (주로 사용되는 장면) | 작곡・편곡 | |
---|---|---|
전설은 시작된다♯ (타이틀 화면) | 우에마츠 노부오 | |
비보를 찾아서♯ (필드) | 우에마츠 노부오 | |
필살의 일격♭ (일반 전투) | 이토 켄지 | |
Eat the meat♯ (전투 승리) | 우에마츠 노부오 | |
평화의 대지♭ (고향 마을 등) | 이토 켄지 | |
용사의 테마♭ (가디언 비밀 기지) | 이토 켄지 | |
천의 기둥♯ (천의 기둥・천계) | 우에마츠 노부오 | |
어둠의 틈새에서♭ (던전) | 이토 켄지 | |
방황하는 영혼♯ (발할라 궁전) | 우에마츠 노부오 | |
새로운 신의 테마♭ (아폴론 등장 시) | 이토 켄지 | |
앗 | ♯ (아수라의 기지 탈출・최종 결전 전 등) | 우에마츠 노부오 |
사투의 끝에♭ (보스전) | 이토 켄지 | |
비보의 수수께끼♯ (카이의 체내・여신 등장 시) | 우에마츠 노부오 | |
Never give up♭ (아수라의 기지・빛의 동굴・드래곤 레이스) | 이토 켄지 | |
눈물을 닦고♯ (아버지의 파티 이탈 후) | 우에마츠 노부오 | |
타오르는 피♯ (비상 계단) | 우에마츠 노부오 | |
세계를 구해라♯ (최종 전투) | 우에마츠 노부오 | |
엔딩 테마 1♭ (스태프 롤) | 이토 켄지 | |
엔딩 테마 2♭ (에필로그) | 이토 켄지 |
'''비고:'''
- ♯ 우에마츠 노부오 작곡・편곡
- ♭ 이토 켄지 작곡・편곡
참고로, 게임에 수록된 것과 순서가 다르다.
- 프로그램
- *바이오스, 배틀 신 화면 표시: 오카베 나오키
- *메인, 배틀: 아나자와 유키
- 맵 데이터: 타나카 히로미치
- 배틀 데이터: 가와즈 아키토시
- 카르토그래피: 이노우에 토시유키
- 그래픽
- *배경, 배틀 애니메이션: 나카타 히로미
- *캐릭터: 이토 히로미
- 음악 루틴: 아다치 케이타로
- 음악: 우에마츠 노부오, 이토 켄지 [7]
- 플레이 테스트: 이노우에 노부유키, 스퀘어즈
- 스토리, 디렉터: 가와즈 아키토시
- 이미지 일러스트: 후지오카 카츠토시
세 개의 게임보이 ''사가'' 타이틀(사가 1, 사가 2, 사가 3)의 음악을 담은 편집 앨범인 ''All Sounds of SaGa''가 1991년 NTT 출판에서 발매되었다. 이 음악은 원작 ''사가''와 ''사가 3''의 음악과 함께 2018년 사운드트랙 앨범으로 발매되었다.
5. 평가
패미컴 통신(현 패미통)은 33/40점(골드 명예의 전당)으로 평가했다.[26][27] IGN은 8/10점으로 평가했다.[29] 닌텐도 파워는 1991년 '가장 어려운 게임보이 게임'으로 선정했다.[31]
일본 게임 잡지 패미통은 전작보다 더 쉽고 재미있다고 평가했지만, 경험치 시스템이 제거된 점은 좋지 않게 평가했다. 1998년 재발매 버전을 리뷰한 IGN의 덱스터 시는 현대적인 롤플레잉 게임에 비해 게임이 오래되었다는 점을 지적했지만, 시리즈 중 게임보이 타이틀로는 최고라고 평가했다. ''RPGFan''의 패트릭 갠은 2000년 리뷰에서 이 타이틀을 '전설' 시리즈 중 최고라고 칭찬하며, 전작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플레이어에게 더 다양한 게임플레이와 탐험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DS 리메이크 버전을 리뷰한 패미통은 새로워진 그래픽과 게임플레이 요소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한 리뷰어는 플레이가 얼마나 쉬운지 긍정적으로 언급했다. ''RPGamer''의 마이클 베이커는 게임의 진행 시스템과 그래픽의 변화를 칭찬하면서도 전반적으로 원작에 충실하다고 평가했다. ''사가 컬렉션'' 컴필레이션을 리뷰한 닌텐도 월드 리포트의 조던 루덱은 두 번째 게임이 메커니즘 면에서 원작보다 낫다고 칭찬했다. ''닌텐도 라이프''의 미치 보겔은 ''사가 컬렉션''의 세 타이틀 모두 현대 기준으로 매우 단순하며, 동시대의 다른 타이틀과 비교했을 때 오래되었다고 느꼈다. ''RPGamer''의 엘몬 딘 토드는 게임의 스위치 이식 버전에 대한 독립적인 리뷰에서 게임보이 최고의 RPG 중 하나라고 언급했지만, 현대 취향에는 오래되었다고 느꼈다.
닌텐도 파워의 연례 시상식에서, ''파이널 판타지 레전드 II''는 1991년 "가장 어려운 게임보이 게임"으로 후보에 올랐다. ''게임데일리''는 이 게임을 관련 게임보이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와 함께 시스템의 대표적인 게임으로 선정했다. 이러한 평가는 ''일렉트로닉 게이밍 먼슬리''와 ''포켓 게임즈''와 같은 게임 잡지에서도 공유되었으며, 후자는 이 게임들을 게임보이 최고 50개 게임 중 8위로 평가했다. 2006년 3월, 이 게임은 패미통 잡지 독자들이 선정한 "역대 최고 100 게임" 투표에서 94위를 차지했다.
게임 잡지 『패미컴 매거진』의 독자 투표에 의한 「게임 통신부」 평가는 24.83점(만점 30점)이다.[2] 「게임보이 올 카탈로그」에서는 「아름다운 그래픽으로 그려진 적 캐릭터들도 전작보다 풍부하고 개성적으로 되었다. 특히 보스 캐릭터의 수가 늘어나 게임을 더욱 활기차게 해준다. 전투의 재미도 한층 더 업그레이드되었다.」라고 소개하고 있다.[2]
항목 | 캐릭터 | 음악 | 조작성 | 몰입도 | 구매 가치 | 독창성 | 종합 |
---|---|---|---|---|---|---|---|
점수 | 4.22 | 4.21 | 4.14 | 4.40 | 3.90 | 3.96 | 24.83 |
6. 리메이크
2009년 1월, 닌텐도 DS용 리메이크 작품인 ''사가 2 비보전설: 데스티니의 여신''이 발표되었다. 리메이크 제작은 2007년에 시작되었다. 사가 시리즈의 가와즈가 감독을 맡았으며, 완전 3차원 셀 셰이딩 그래픽을 사용했다. 가와즈는 2002년 첫 번째 ''사가'' 시리즈를 원더스완 컬러로 리메이크한 이후 이 게임의 리메이크를 계획했으며, "적절한 시기"라고 판단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개발은 라크진(Racjin)에서 담당했다. 가와즈는 원작의 스토리와 짧은 플레이 타임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게임 플레이 기능을 추가했다.
''데스티니의 여신''은 카메라 시점을 탑다운 방식에서 각도가 있는 3D 뷰로 변경했다. 전투는 후기 ''사가''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탐험 중 적 스프라이트와 조우하여 발생한다. 리메이크에서는 레벨업 보너스를 랜덤 시스템에서 각 캐릭터 유형에 대한 정의된 성장표로 변경했다. 기타 추가 기능으로는 경험치와 아이템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번의 조우를 연쇄할 수 있는 기능과 파티원 두 명 이상의 공격을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운명의 실" 메커니즘이 있다. "운명의 실"을 사용하면 캐릭터 친밀도가 성장하여 추가적인 스토리 이벤트를 볼 수 있다. 새로운 멀티플레이 아레나는 최대 4명의 플레이어가 게임의 보스와 싸워 다양한 희귀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사가 2 비보전설: 데스티니의 여신''은 2009년 9월 17일에 발매되었다. 이 날짜는 ''사가'' 시리즈 20주년 기념일과 일치했으며, 리메이크는 한정판 닌텐도 DSi 번들과 함께 제공되었다. ''사가 2'' 리메이크는 일본에서만 출시되었지만, 팬 번역이 개발되었다.
참조
[1]
잡지
The RPG Revolution: RPGing on the Go
Ziff Davis
1998-05-01
[2]
저널
5月24日号特別付録 ファミコンディスクカード ゲームボーイ スーパーファミコン オールカタログ
徳間書店
1991-05-24
[3]
웹사이트
【サガ30周年】スイッチ『サ・ガ コレクション』12月15日に発売! ゲームボーイ版3作品を1つに集約、高速モードも搭載【Nintendo Direct Mini】
https://www.famitsu.[...]
2020-08-26
[4]
블로그
Rつんの連携失敗。2
ニンテンドーDS版公式ブログ
2009-04-17
[5]
잡지
ニンテンドードリーム
2009-04-01
[6]
서적
Sa・Ga2秘宝伝説 基礎データ編
NTT出版
[7]
서적
懐かしゲームボーイパーフェクトガイド
M.B.MOOK
[8]
문서
サガ2秘宝伝説 GODDESS OF DESTINY
[9]
문서
없음
[10]
문서
없음
[11]
서적
Sa・Ga2秘宝伝説 完全クリア編
NTT出版
[12]
웹사이트
サガ2秘宝伝説 GODDESS OF DESTINY オフィシャルサイト
http://www.square-en[...]
[13]
서적
Sa・Ga2秘宝伝説 基礎データ編
NTT出版
[14]
문서
없음
[15]
서적
Sa・Ga2秘宝伝説 完全クリア編
NTT出版
[16]
서적
Sa・Ga2秘宝伝説 基礎データ編
NTT出版
[17]
서적
サガ2秘宝伝説 GODDESS OF DESTINY PERFECT BIBLE
없음
[18]
웹사이트
『サガ』は自分にとっての学校。『SAGA2015(仮題)』は学びを経て挑む集大成――伊藤賢治氏インタビュー【『サガ』シリーズ25周年記念企画】(1/3)
https://www.famitsu.[...]
エンターブレイン
2015-01-19
[19]
웹사이트
『サ・ガ2 秘宝伝説』いま振り返る、ゲームボーイ時代の音楽。河津秋敏氏&伊藤賢治氏インタビュー
https://www.famitsu.[...]
エンターブレイン
2018-09-22
[20]
웹사이트
IGN: Final Fantasy Legend II Review
http://gameboy.ign.c[...]
IGN
2000-06-14
[21]
저널
Game Boy: Now Playing – Final Fantasy Legend II
1991-08-01
[22]
웹사이트
Final Fantasy Legend II – GB
http://www.gameranki[...]
GameRankings
2008-01-01
[23]
저널
Nintendo Power Awards '91 – The Nesters!
1992-03-01
[24]
저널
Top 50 Games
1999-06-01
[25]
저널
アスキー
1990-12-26
[26]
웹사이트
Sa・Ga2 秘宝伝説 まとめ [ゲームボーイ]/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27]
잡지
30 Point Plus: Sa・Ga2 秘宝伝説
1995-10-27
[28]
저널
New Game Cross Review
Enterbrain, Inc.
2009-09-11
[29]
웹사이트
IGN: Final Fantasy Legend II Review
http://gameboy.ign.c[...]
IGN
2000-06-14
[30]
저널
Game Boy: Now Playing – Final Fantasy Legend II
1991-08-01
[31]
저널
Nintendo Power Awards '91 – The Nesters!
1992-03-01
[32]
저널
Top 50 Games
1999-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