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도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도왕후는 신라의 왕족으로, 진흥왕의 부인이자 진지왕과 동륜태자의 어머니이다. 진흥왕 사후, 섭정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손자인 진평왕의 즉위 후에도 권력을 유지했다. 《화랑세기》에 따르면 박영실과 옥진궁주의 딸로, 진흥왕과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두었다. 사도왕후는 579년부터 584년까지 진평왕의 섭정을 맡았으며, 이후에도 노리부 등을 등용하여 실권을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세기 한국의 여자 - 마야부인 (신라)
    신라 진평왕의 왕비인 마야부인은 복승 갈문왕의 딸로 김씨 성에 복힐구라는 이름을 가졌으며, 진평왕과의 사이에서 천명공주, 선덕여왕, 선화공주를 낳았다.
  • 7세기 한국의 여자 - 선덕여왕
    선덕여왕은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진평왕의 딸로 태어나 화백회의에서 추대되어 즉위하여 재위 기간 동안 당나라와의 외교 강화, 불교 진흥,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첨성대 축조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백제와 고구려의 침략, 비담의 난을 겪고 승하하였으며, 뛰어난 통찰력과 예지력을 보여주는 일화가 전해진다.
  • 7세기 한국의 여자 - 진덕여왕
    진덕여왕은 647년 신라의 제28대 왕으로 즉위하여 김유신과 함께 비담의 난을 진압하고 나당동맹을 통해 백제와 고구려에 대응하다 654년에 사망했다.
사도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박사도(朴思道)
직업진흥왕의 왕후, 불교 비구니 승려
법명묘법(妙法)
사망일614년 음력 2월
사망지구미(龜尾)
배우자진흥왕(眞興王)
자녀동륜태자(銅輪太子)
진지왕(眞智王)
김구륜(金仇輪)
태양공주(太陽公主)
아양공주(阿陽公主)
은륜공주(銀輪公主)
월륜공주(月輪公主)
친인척태원공(太元公)
호원공(好元公)
김서현(金舒玄)
효종(孝宗)
하희낭주(夏姬朗州)
월희(月姬)
아버지박영실(朴英失)
어머니옥진궁주 김씨(玉珍宮主 金氏)
가문박씨
종교불교(佛敎)
왕후로서의 정보
존호사도왕후
박씨
재위 시작540년
전임자보도부인(保道夫人, 保刀夫人)
후임자지도부인 박씨(知道夫人 朴氏)
시호백숭부인(白崇婦人)

2. 생애

사도왕후 박씨는 모량리 각간 박영실과 위화랑의 딸 옥진의 딸로 진흥왕과 혼인하였다. 진흥왕과의 사이에서 김동륜, 김사륜, 김구륜을 낳았다. 진흥왕이 말년에 출가하여 영흥사에서 불도를 닦았는데, 사도왕후도 이를 본받아 출가하였다. 법명은 묘법으로, 진흥왕 사후에도 계속 영흥사에 머물렀으며, 614년(진평왕 36년) 2월에 영흥사에서 사망하였다.

위서 논란이 있는 《화랑세기》에 따르면, 사도왕후는 영실과 옥진궁주의 딸로, 7세에 진흥왕과 결혼하여 금슬이 매우 좋았다. 지소태후숙명공주진흥왕과 결혼시켜 정숙을 낳고 태자로 삼았으나, 숙명공주가 이화랑과 결혼하여 궁을 나가자 정숙은 폐위되고 사도왕후의 아들 동륜이 태자가 되었다. 사도왕후는 대원신통으로 왕위를 잇기 위해 아들 동륜에게 조카 미실을 몰래 짝지어 주었으나, 미실진흥왕을 받들게 되면서 실패하였다.

진평왕 즉위 초, 사도왕후는 태상태후로서 579년부터 584년까지 섭정을 하였다. 미실은 새주가 되었으며, 이찬이었던 노리부상대등에 임명되었다. 진평왕은 국내 정치와 국제 관계에서 왕국을 공고히 하기 위해 노리부와 후직 등 최고 관료에게 크게 의존했고, 형제 백반과 국반에게 갈문왕 지위를 부여하여 조정에서의 권력을 강화했다.

2. 1. 진지왕 폐위 사건

576년, 진흥왕이 사망하자 사도왕후는 이를 감추고 둘째 아들 진지왕을 즉위시켜 미실을 왕후로 삼아 대원신통을 이으려 하였다. 그러나 진지왕이 신라 백성을 위해 노력하고 불순한 무리들을 경계하자, 미실과 사도태후는 노리부, 세종, 설원, 미생, 문노와 낭도들을 통하여 무력으로 왕궁을 점령하여 진지왕을 폐위시켰다.화랑세기》에 따르면, 진지왕은 왕이 되면 미실과 결혼하여 왕비로 삼겠다고 약속했지만, 왕위에 오르자 마음이 바뀌었다. 그는 다른 여인과 사랑에 빠져 미실에게 관심을 잃었다. 이에 미실과 사도왕후는 하늘이 부도덕한 왕을 가진 신라를 버렸다는 소문을 퍼뜨렸고, 그 결과 백제에 영토를 빼앗기게 되었다고 한다. 그들은 진지왕에게 하늘을 달래기 위해 왕위를 물려주라고 요청했고, 진지왕은 연금되었으며 3개월 후에 사망했다.

3. 가족관계

사도왕후의 가족관계는 다음과 같다.


  • 형제자매
  • 이복 언니: 황화공주
  • 이복 언니: 송화공주
  • 언니: 묘도부인 - 미진후의 첫 번째 부인
  • 여동생: 흥도부인

3. 1. 선대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박영실기오공
어머니옥진궁주 김씨
계모지소태후
외조부법흥왕
외조모오도부인 김씨
조부수지 박씨
조모보현공주 김씨


3. 2. 남편과 후손

구 분내용
남편진흥왕 (신라 제24대 왕)
아들동륜태자
며느리만호부인
손자진평왕 (신라 제26대 왕)
증손녀선덕여왕 (신라 제27대 왕)
손자진정 갈문왕
손자진안 갈문왕
며느리미실
손녀애송공주
아들진지왕 (신라 제25대 왕)
며느리지도부인 박씨
손자김용춘
손자며느리천명공주
증손자무열왕 (신라 제29대 왕)
며느리보명궁주
아들김구륜
손자김선품 (문무왕의 비 자의왕후의 아버지)
장녀태양공주
외손태원공
외손호원공
차녀아양공주
외손김서현
삼녀은륜공주
외손효종
외손하희
외손월희
사녀월륜공주


4. 사도왕후가 등장하는 작품

4. 1. TV 드라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