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바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바트는 19세기 초 프랑스에서 발전한 격투 스타일로, 발차기와 펀치를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17세기 프랑스 선원들이 개발한 기술에서 유래되었으며, 미셸 카소와 샤를르 르쿠르를 거치면서 현대 스포츠 형태로 발전했다. 사바트는 1924년 파리 올림픽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국제 사바트 연맹을 통해 국제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현재는 콩바(풀 컨택트)와 아소(라이트 컨택트) 두 가지 경기 방식으로 진행되며, 캉 드 콩바와 같은 파생 종목도 존재한다. 사바트는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하며, 절권도, 종합격투기 등 다른 무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에서 시작된 스포츠 - 파쿠르
파쿠르는 프랑스 군사 훈련에서 시작되어 레이몽 벨과 데이비드 벨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트레이서들이 도시 환경에서 장애물을 효율적으로 극복하는 움직임 훈련이자 삶의 태도로, 국가 공식 스포츠 지정 및 국제 체조 연맹 공식 종목 채택에도 불구하고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은 무산되었지만,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 프랑스에서 시작된 스포츠 - 페탕크
페탕크는 프랑스 남부 프로방스에서 유래하여 두 발을 고정하고 쇠구슬을 던져 목표물에 가장 가깝게 놓는 구기 스포츠로, 1907년 현대적인 규칙 정립 후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이 유력하다. - 기원별 무술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기원별 무술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 무술에 관한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무술에 관한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사바트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프랑스 복싱 프랑스 풋파이팅 |
초점 | 발차기 |
강도 | 풀 컨택트 |
국가 | 프랑스 |
창시자 | 미셸 카세 샤를 레쿠르 |
계보 | 권투 고대 풋파이팅 |
올림픽 | 1924년 하계 올림픽 (단 한 번) |
영향 | |
파생 무술 | 킥복싱 절권도 종합격투기 |
2. 역사
사바트는 19세기 초 프랑스 거리 싸움 기술이 혼합되어 현대적이고 공식화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당시 파리와 프랑스 북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거리 싸움의 한 종류였다.[10][11][12]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시대에는 군인들이 포로들의 엉덩이를 발로 차는 방식으로 "재능"을 과시했는데, 이는 "낡은 신발"을 뜻하는 "사바트"라고 불렸다.[13]
사바트는 스포츠가 아닌 파리와 마르세유 거리에서 가르쳐진 호신술로 시작되었다. '''사바트 드 뤼'''(Savate de Rue, 거리 사바트)는 발차기와 펀치 외에도 무릎 및 팔꿈치 공격, 관절 꺾기, 쓸어차기, 던지기, 머리 치기, 테이크다운 등을 포함했다.
1800년대부터 영국식 복싱 기술을 도입하고 공식 규칙을 제정하면서, 사바트는 호신술에서 스포츠 경기로 변화했다. 1985년 3월 23일에는 파리에서 11개국이 참여한 국제 사바트 연맹이 설립되었고, 캉 드 콩바를 총괄하는 단체도 합류했다.
18세기 파리의 불량배들이 거리 싸움에서 사용하던 기술은 미셸 카수에 의해 "사바트"로 체계화되어 파리에서 체육관이 개설되었다. 샤를몽 르쿠르는 카수의 문하생으로, 사바트를 단순한 싸움 기술이 아닌 신사의 호신술로 판매하기 위해 지팡이술 "라 칸"을 도입했다. 르쿠르의 동생 앙리는 사바트 시합에서 착용하는 코스튬을 고안하여 홍보 효과를 노렸다. 이러한 노력으로 사바트는 실용적인 호신술로 널리 보급되었다.
회차 | 연도 | 개최 도시 | 개최 국가 | 세부 종목 |
---|---|---|---|---|
4 | 2007 | 프랑스 | 프랑스 | |
5 | 2009 | 노비사드 | 세르비아 | |
6 | 2011 | 밀라노 | 이탈리아 | |
7 | 2013 | 클레르몽페랑 | 프랑스 | |
8 | 2015 | 라로슈쉬르욘 | 프랑스 | |
9 | 2017 | 바라주딘 | 크로아티아 | |
10 | 2019 | 함마메트 | 튀니지 | |
11 | 2021 | 바라주딘 | 오스트리아 | |
12 | 2023 | 바라주딘 | 크로아티아 |
2. 1. 기원과 초기 발전 (17세기 ~ 19세기 초)
현대적이고 공식화된 형태의 사바트는 19세기 초 프랑스 거리 싸움 기술이 혼합된 것이다. 당시 파리와 프랑스 북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거리 싸움의 한 종류였다.[10][11][12]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시대에 그의 군인들이 포로들의 엉덩이를 발로 차는 방식으로 그들의 "재능"을 공개적으로 과시했는데, 이 처벌은 "낡은 신발"로 번역될 수 있는 "사바트"라고 불렸다.[13]
17세기에 프랑스에서 시작된 사바트는 프랑스 남부 마르세유 항구의 일부 선원들이 수련했다. 역사가들에 따르면, 인도양과 중국해로 항해하는 동안 선원들이 배 위에서 개발하고 배웠다고 한다.[13] 그 후, 프랑스 항구의 술집 싸움에서 사바트 발차기를 보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선원들은 이 격투를 배에서 흔히 신는 슬리퍼를 언급하며 "쇼송"이라고 불렀다.[13]


프랑스 남부, 특히 마르세유 항구에서 선원들은 높은 발차기와 손바닥으로 때리는 기술을 포함하는 격투 스타일을 개발했다. 이 발차기 스타일은 흔들리는 배의 갑판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 손을 사용하여 무언가를 잡을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육지에서는 주먹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법적 처벌을 피하기 위해 발차기와 손바닥 공격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주먹은 법적으로 위험한 무기로 간주되었다. 이 기술은 ''jeu marseillais''(마르세유의 게임)로 알려졌으며, 이후 선원들이 신었던 신발의 종류를 따서 ''chausson''(슬리퍼)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전통적인 사바트는 프랑스 북부, 특히 파리의 빈민가에서 발전했으며 잠재적인 군사적 기원에서 파생된 무거운 신발과 부츠를 항상 사용했다. 거리 싸움 사바트는 chausson과 달리 발차기를 낮게 유지했으며, 거의 사타구니 위를 타격하지 않았고, 뼈를 부러뜨릴 의도로 격렬하게 가해졌다. 파리 사바트는 또한 찌르거나 쳐서 손바닥으로 공격(la baffe)하거나 얼굴 신경을 노리는 기절시키는 손바닥 공격을 특징으로 했다. 이 시기에 사바트 또는 chausson의 기술은 이탈리아 북서부와 스페인 북동부의 항구에서도 개발되었다. 그래서 "이탈리아 발차기"(''chassé italien'')라고 불리는 사바트 발차기가 생겨났다.
사바트는 스포츠로 시작된 것이 아니라 파리와 마르세유 거리에서 가르쳐진 호신술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사바트는 '''사바트 드 뤼'''(Savate de Rue, 거리 사바트)로 알려졌다. 발차기와 펀치 외에도 사바트 드 뤼는 무릎 및 팔꿈치 공격, 관절 꺾기, 쓸어차기, 던지기, 머리 치기 및 테이크다운을 포함한다.
사바트의 원형은 18세기의 파리에 있던 불량배들이 거리 싸움에서 사용하던 기술이다. 이것을 미셸 카수가 "사바트"로 체계화하여 파리에서 체육관을 개설했다. 카수의 문하생인 샤를몽 르쿠르는 보급을 위해 사바트를 단순한 싸움 기술이 아닌, 신사의 호신술로 판매하기 위해, 소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지팡이를 이용한 지팡이술 "라 칸"을 도입했다. 또한 사바트 시합에서 착용하는 코스튬은 르쿠르의 동생 앙리가 선전 효과를 노리고 고안한 것이다. 르쿠르 형제의 의도는 적중하여, 사바트는 실용적인 호신술로서 보급되어 갔다.
1800년대부터 영국식 복싱의 기술을 도입한 것과 공식 룰의 제정으로, 호신술에서 경기(스포츠)로 변화해 갔다.
2. 2. 근대화와 스포츠화 (19세기 초 ~ 20세기 초)
19세기 초, 현대적이고 공식화된 형태의 사바트는 프랑스 거리 싸움 기술의 혼합체였다. 당시 파리와 프랑스 북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거리 싸움의 한 종류였다.[10][11][12]프랑스 남부, 특히 마르세유 항구에서 선원들은 높은 발차기와 손바닥으로 때리는 기술을 포함하는 격투 스타일을 개발했다. 이 발차기 스타일은 흔들리는 배의 갑판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 손을 사용하여 무언가를 잡을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육지에서는 주먹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법적 처벌을 피하기 위해 발차기와 손바닥 공격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주먹은 법적으로 위험한 무기로 간주되었다. 이 기술은 ''jeu marseillais''(마르세유의 게임)로 알려졌으며, 이후 선원들이 신었던 신발의 종류를 따서 ''chausson''(슬리퍼)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전통적인 사바트는 북부 프랑스, 특히 파리의 빈민가에서 발전했으며 잠재적인 군사적 기원에서 파생된 무거운 신발과 부츠를 항상 사용했다. 거리 싸움 사바트는 chausson과 달리 발차기를 낮게 유지했으며, 거의 사타구니 위를 타격하지 않았고, 뼈를 부러뜨릴 의도로 격렬하게 가해졌다. 파리 사바트는 또한 찌르거나 쳐서 손바닥으로 공격(la baffe)하거나 얼굴 신경을 노리는 기절시키는 손바닥 공격을 특징으로 했다.
사바트가 거리 싸움에서 현대 스포츠로 전환되는 역사에서 두 명의 핵심 인물은 미셸 카소(Michel Casseux)(1794–1869)[14]와 샤를르 르쿠르(Charles Lecour) (1808–1894)이다. 카소는 1825년에 쇠송과 사바트의 규정된 버전을 연습하고 홍보하기 위한 최초의 시설을 열었다(머리 박치기, 눈 찌르기, 그래플링 등을 금지).
샤를르 르쿠르는 1830년까지 이 무술의 현대적인 버전을 만들었다. 그는 사바트를 스포츠이자 자기 방어 시스템으로 모두 간주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샤를르 르쿠르는 이 무술에 영국의 복싱 글러브를 추가하여 그의 학생들이 손을 다치지 않고 펀치를 연습할 수 있도록 했다.[15] 르쿠르는 1838년 프랑스에서 영국 복서 오웬 스위프트(Owen Swift)와의 영국 복싱 경기를 목격하면서 영국의 복싱 기술을 접하게 되었다.[16] 그는 복싱을 훈련한 후 쇠송과 사바트를 결합하여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사바트(또는 ''복스 프랑세즈'') 스포츠를 만들었다. 어느 시점에서 캉 드 콩바(Canne de combat)와 바통 프랑세(Bâton français) (스틱 파이팅)가 추가되었고, ''라 캉''과 같은 일종의 스틱 펜싱이 일반적으로 사바트 훈련의 일부가 되었다.
사바트는 르쿠르의 제자인 조제프 샤를르몽(Joseph Charlemont)과 그의 아들 샤를르 샤를르몽(Charles Charlemont)에 의해 전문적으로 발전했다. 샤를르는 아버지의 업적을 이어받아 1899년 제리 드리콜(Jerry Driscoll (boxer))이라는 영국 복서와 시합을 벌였다. 그는 8라운드에서 라운드킥(''푸에테 메디안'')으로 승리했지만 영국 측에서는 이것이 급소에 대한 발차기라고 말했다.
사바트의 원형은 18세기의 파리에 있던 불량배들이 거리 싸움에서 사용하던 기술이다. 이것을 미셸 카수가 "사바트"로 체계화하여 파리에서 체육관을 개설했다. 카수의 문하생인 샤를르 르쿠르는 보급을 위해 사바트를 단순한 싸움 기술이 아닌, 신사의 호신술로 판매하기 위해, 소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지팡이를 이용한 지팡이술 "라 칸"을 도입했다. 또한 사바트 시합에서 착용하는 코스튬은 르쿠르의 동생 앙리가 선전 효과를 노리고 고안한 것이다. 르쿠르 형제의 의도는 적중하여, 사바트는 실용적인 호신술로서 보급되어 갔다.
1800년대부터 영국식 복싱의 기술을 도입한 것과 공식 룰의 제정으로, 호신술에서 경기(스포츠)로 변화해 갔다.
1985년 3월 23일에, 파리에서 11개국에 의한 국제 사바트 연맹이 설립되었다.
2. 3. 현대 사바트 (20세기 초 ~ 현재)
미셸 카소(Michel Casseux)(일명 ''르 피세'')[14] (1794–1869)와 샤를르 르쿠르(Charles Lecour) (1808–1894)는 사바트가 거리 싸움에서 현대 스포츠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1825년, 카소는 쇠송과 사바트의 규칙을 정립하고 보급하기 위해 최초의 시설을 열었으며, 머리 박치기, 눈 찌르기, 그래플링 등을 금지했다.[14]그러나 사바트는 거리 싸움 기술이라는 평판을 완전히 떨쳐내지 못했다. 1830년, 샤를르 르쿠르는 사바트의 현대적인 버전을 만들었다. 그는 발차기 기술에 복싱 기술을 통합하고, 이 둘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사바트를 스포츠이자 자기 방어 시스템으로 간주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또한, 르쿠르는 영국의 복싱 글러브를 도입하여 선수들이 손 부상 없이 펀치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했다.[15]
1838년, 르쿠르는 프랑스에서 영국 복서 오웬 스위프트(Owen Swift)와 잭 아담스 간의 복싱 경기를 관람하면서 영국의 복싱 기술을 접하게 되었다.[16] 그 해 말, 르쿠르는 스위프트와 친선 스파링 경기를 가졌는데, 펀치 대신 손으로 상대의 주먹을 쳐내는 데만 집중하여 불리함을 느꼈다. 이후 그는 복싱 훈련을 통해 쇠송과 사바트를 결합하여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사바트(또는 ''복스 프랑세즈'')를 만들었다. 캉 드 콩바(Canne de combat)와 바통 프랑세(Bâton français) 같은 스틱 파이팅도 추가되었으며, ''라 캉''과 같은 스틱 펜싱은 사바트 훈련의 일부가 되었다. 경쟁만을 위한 훈련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생략되기도 했다.
사바트는 르쿠르의 제자인 조제프 샤를르몽(Joseph Charlemont)과 그의 아들 샤를르 샤를르몽(Charles Charlemont)에 의해 전문적으로 발전했다. 샤를르 샤를몽은 아버지의 업적을 이어받아 1899년 영국 복서 제리 드리콜(Jerry Driscoll (boxer))과의 시합에서 8라운드 라운드킥(''푸에테 메디안'')으로 승리했다. 그러나 영국 측에서는 이 공격이 급소를 향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사바트는 샤를 샤를몽의 제자 피에르 바루지 백작(일명 바로치)에 의해 성문화되었다. 그는 현대 사바트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첫 링 전투와 타이틀을 포함하여 프랑스와 식민지 챔피언을 11번이나 차지했다. ''Savate de Défense'', ''Défense Savate'' 또는 ''Savate de Rue''("거리 사바트")는 사바트 경기에서 제외된 전투 방식을 지칭한다. 국제 사바트 연맹(FIS)은 사바트의 공식적인 전 세계 관리 기구이다.[17]
사바트는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그 위상을 인정받았다. 2008년에는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FISU)에 의해 인정받아 2010년 프랑스 낭트에서 첫 번째 공식 대학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2010년 3월, 국제 사바트 연맹 창립 25주년 기념 행사에서는 로잔을 방문하여 국제 올림픽 위원회 회장 자크 로게를 만났다. 2010년 4월, 국제 사바트 연맹은 SportAccord (이전 명칭: AGFIS)의 회원으로 받아들여지면서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을 위한 큰 진전을 이루었다.
3. 기술
사바트는 19세기 초 프랑스에서 발전한 격투 스포츠이다. 초창기 사바트는 남부 마르세유 항구의 선원들이 개발한 ''jeu marseillais''(마르세유의 게임)와 파리 빈민가에서 발전한 거리 싸움 기술이 결합된 형태였다.
마르세유의 선원들은 흔들리는 배 위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 손을 사용해야 했고, 육지에서는 주먹 사용에 대한 법적 처벌을 피하기 위해 발차기와 손바닥 공격을 사용했다. 당시 주먹은 법적으로 위험한 무기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이 기술은 ''jeu marseillais''로 알려졌으며, 이후 선원들이 신었던 신발 종류를 따서 ''chausson''(슬리퍼)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반면, 파리의 빈민가에서는 무거운 신발과 부츠를 사용한 거리 싸움 형태의 사바트가 발전했다. 이 사바트는 발차기를 낮게 유지하고 뼈를 부러뜨릴 의도로 격렬하게 가했으며, 손바닥 공격(la baffe)을 특징으로 했다.
이후 미셸 카소(Michel Casseux)와 샤를르 르쿠르(Charles Lecour)라는 두 인물이 사바트를 현대 스포츠로 전환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카소는 1825년에 사바트의 규정된 버전을 연습하고 홍보하기 위한 최초의 시설을 열었고, 르쿠르는 1830년까지 복싱 기술을 발차기 기술과 통합하여 사바트의 현대적인 버전을 만들었다. 그는 영국의 복싱 글러브를 추가하여 학생들이 손을 다치지 않고 펀치를 연습할 수 있도록 했다.[15]
샤를르 르쿠르는 1838년 오웬 스위프트(Owen Swift)와의 친선 스파링 경기를 통해 복싱의 유용성을 인지하고, 이를 사바트에 접목하여 ''복스 프랑세즈''(프랑스 복싱)를 만들었다. 이후 캉 드 콩바(Canne de combat)와 바통 프랑세(Bâton français) 같은 스틱 파이팅이 추가되기도 했다.
사바트는 조제프 샤를르몽(Joseph Charlemont)과 그의 아들 샤를르 샤를르몽(Charles Charlemont)에 의해 더욱 발전했다. 샤를르는 1899년 제리 드리콜(Jerry Driscoll (boxer))과의 시합에서 라운드킥(''푸에테 메디안'')으로 승리하며 사바트의 위력을 알렸다.
오늘날 사바트는 전 세계적으로 수련되고 있으며, ''아소'', ''프리 콩바'', ''콩바''의 세 가지 수준의 경기가 있다.
3. 1. 발차기 기술
사바트의 발차기 기술은 남부, 특히 마르세유 항구의 선원들이 발전시킨 ''jeu marseillais''(마르세유의 게임)에서 기원했다. 흔들리는 배 위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 손을 사용해야 했고, 육지에서는 주먹 사용에 대한 법적 처벌을 피하기 위해 발차기와 손바닥 공격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주먹은 법적으로 위험한 무기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jeu marseillais''는 이후 선원들이 신었던 신발 종류를 따서 ''chausson''(슬리퍼)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반면, 복싱과 퀸즈베리 규칙의 본고장인 영국에서는 발차기가 비신사적인 행위로 여겨졌다.
전통적인 사바트는 파리 빈민가에서 발전했으며, 무거운 신발과 부츠를 사용했다. 거리 싸움 사바트는 chausson과 달리 발차기를 낮게 유지했으며, 뼈를 부러뜨릴 의도로 격렬하게 가했다. 파리 사바트는 또한 찌르거나 쳐서 손바닥으로 공격(la baffe)하거나 얼굴 신경을 노리는 기절시키는 손바닥 공격을 특징으로 했다.
사바트의 주요 발차기 기술은 다음과 같다.
- 푸에테(fouetté): 발가락으로 타격을 가하는 라운드하우스 킥.
- 차세(chassé): 사이드(chassé lateral) 또는 프론트(chassé frontal) 피스톤 액션 킥.
- 레베르(revers): 신발 밑창으로 타격하는 "리버스" 또는 훅 킥.
- 쿠 드 피에 바(coup de pied bas): 신발 안쪽 가장자리로 타격을 가하는 정면 또는 스윕 킥.
사바트는 발가락을 사용한 발차기 기술이 많다. 신고 있는 신발은 복싱화처럼 부드럽지 않고 밑창 등이 튼튼하게 만들어져 단단하며, 실질적으로 이 신발을 무기로 사용한다. 당시 프랑스에서는 신발에 나이프를 숨기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킥복싱처럼 정강이로 발차기를 막으면 포인트를 잃는다.[50] 사용되는 글러브는 복싱용과 약간 달라서 손바닥 부분과 갑피에 쿠션이 들어가 있어 공격을 막는 방어구 역할도 겸한다.
현대 복스 프랑세즈에서는 무릎차기와 팔꿈치 치기를 사용할 수 없고, 다른 근거리 발 기술도 2가지 있지만 기술적으로 어려워서 인파이팅에서는 거의 손 기술만으로 대응한다. 너클 파트 이외의 공격도 금지되어 있어, 접근하면 복싱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원래 사바트는 폭한이 가진 칼에 찔리지 않도록 지팡이로 견제하고, 상대가 발이 닿는 거리에 들어오면 발차기를 날리고, 붙잡혔을 경우에는 상대를 던져버리거나 관절기로 데미지를 입히고, 틈이 있으면 도망가는 전략이었다.
킥복싱의 로우킥보다 사바트의 로우킥이 더 멀리 있는 상대에게 맞출 수 있다. 또한 킥복싱이나 무에타이에서는 발차기는 기본적으로 정강이를 맞히는 것이기 때문에, 발가락으로 차는 기술도 사용하는 사바트의 킥은 정강이로 차는 것보다 더 멀리 닿는다. 발차기의 주가 되는 것은 "샤세"[51]라는 사이드 킥이다.
사바트와 유사한 격투기로는 킥복싱과 무에타이가 있지만, 그 규칙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신발이 무기인 사바트에서는 정강이로 차기를 받지 않는다. 킥복싱이나 무에타이에서는 정강이를 대고 차지만, 사바트에서는 신발의 발끝을 댄다. 또한, 사바트는 무릎 차기가 금지되어 있다. 반대로 다른 격투기에서는 금지되는 경우가 많은 관절 부위 공격은 유효하다.
형제 무술로, 발레의 바 레슨처럼 손잡이에 잡힌 채로 발차기를 하는 "쇼송"이 있다. 이는 마르세유의 해적들이 흔들리는 배 위에서 싸우기 위해 고안한 격투술이다.
3. 2. 펀치 기술
사바트의 펀치 기술은 다음과 같다:- ''앞손 잽''(Jab, 리드 핸드)
- ''뒷손 스트레이트''(Cross, 리어 핸드)
- ''훅''(Hook, 굽힌 팔로 어느 손으로든)
- 어퍼컷 (어느 손으로든)
킥복싱, 무에타이와 유사하지만, 몇가지 규칙에 차이가 있다. 사바트는 무릎, 팔꿈치 공격, 너클 파트 이외의 팔을 사용한 공격(백 블로우 등), 신발 이외의 발 공격(정강이 부분으로 차는 등), 뒤꿈치 찍기가 금지된다. 사바트에서는 신발을 착용하기 때문에 정강이로 차기를 받지 않고 신발의 발끝을 사용하며, 무릎 차기가 금지된다. 반면, 다른 격투기에서는 금지되는 경우가 많은 관절 부위 공격은 허용된다.
3. 3. 복장 및 장비
공식 경기에서 선수들은 '엥테그랄'(intégrale)이라는 조끼와 사바트 바지를 착용한다. 복싱 글러브(손바닥 패드 유무는 선택 사항)와 사바트 부츠를 착용한다. 사바트는 컴뱃 호팍 외에 신발을 사용하는 유일한 킥복싱 스타일이며, 슛 파이팅 및 일부 형태의 종합격투기에서도 때때로 그래플링 스타일의 신발/부츠를 착용하기도 한다. 사바트 부츠는 발바닥, 발등, 발가락 또는 뒤꿈치로 타격을 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17] 주니어 경기나 콤바(풀 컨택트) 경기 초반에는 헤드기어를 착용할 수 있다.사바트화는 복싱화처럼 부드럽지 않고 밑창 등이 튼튼하게 만들어져 단단하며, 실질적으로 이 신발을 무기로 사용한다. 발가락을 사용한 발차기 기술이 많다. 당시 프랑스에서는 신발에 나이프를 숨기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킥복싱처럼 정강이로 발차기를 막으면 포인트를 잃는다.[17] 사용되는 글러브는 복싱용과 약간 달라서 손바닥 부분과 갑피에 쿠션이 들어가 있어, 공격을 막는 방어구 역할도 겸한다.
현대식 복스 프랑세즈에서는 무릎차기와 팔꿈치 치기를 사용할 수 없고, 다른 근거리 발 기술도 2가지 있지만 기술적으로 어려워서 인파이팅에서는 거의 손 기술만으로 대응하게 되며, 너클 파트 이외의 공격도 금지되어 있어, 접근하면 복싱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는 사바트가 남성이 외출할 때의 모습(수트를 입고 신발을 신고, 손에 지팡이를 든 상태)을 상정하여, 밀착 시에는 때리는 것보다 던지기 기술을 우선하는 호신술이며, 손 기술은 복싱의 기술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의 경기화된 사바트에서는 풋워크를 사용하여 멀리서 킥으로 거리를 재면서 견제하면서 상대의 움직임을 살피고, 타이밍을 보아 먼 거리에서 한 번에 뛰어들어 펀치로 마무리하는 싸움 방식이 정석이 되었다.
원래 사바트는 폭한이 가진 칼에 찔리지 않도록 지팡이로 견제하고, 상대가 발이 닿는 거리에 들어오면 발차기를 날리고, 붙잡혔을 경우에는 상대를 던져버리거나 관절기로 데미지를 입히고, 틈이 있으면 도망가는 전략이었다.
킥복싱의 경우 로우킥을 칠 때 축발을 돌리지 않기 때문에[50] 근거리에서밖에 칠 수 없지만, 사바트의 경우 로우킥을 칠 때에도 축발을 돌리기 때문에 킥복싱의 로우킥보다 더 멀리 있는 상대에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킥복싱이나 무에타이에서는 발차기는 기본적으로 정강이를 맞히는 것이기 때문에, 발가락으로 차는 기술도 사용하는 사바트의 킥은 정강이로 차는 것보다 더 멀리 닿는다. 발차기의 주가 되는 것은 "샤세"[51]라는 사이드 킥이다.
사바트와 유사한 격투기로는 킥복싱과 무에타이가 있지만, 무릎, 팔꿈치 공격, 너클 파트 이외의 팔을 사용한 공격(백 블로우 등), 신발 이외의 발 공격(정강이 부분으로 차는 등), 뒤꿈치 찍기가 금지되는 등, 그 규칙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신발이 무기인 사바트에서는 정강이로 차기를 받지 않는다. 킥복싱이나 무에타이에서는 정강이를 대고 차지만, 사바트에서는 신발의 발끝을 댄다. 또한, 사바트는 무릎 차기가 금지되어 있다. 반대로 다른 격투기에서는 금지되는 경우가 많은 관절 부위 공격은 유효하다.
4. 경기 방식
사바트 경기는 크게 '아소(Assauts)'와 '콤바(Combats)'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아소는 기술과 스피드를 중시하며 가벼운 접촉으로 포인트를 얻는 방식이고, 콤바는 풀 컨택트 방식이다. 실력에 따라 클래스 구분도 이루어진다.
사바트의 주요 기술은 발차기와 주먹 기술이다. 발차기 기술은 다음과 같다:
- 푸에테(fouetté): 발가락으로 타격하는 라운드하우스 킥으로, 높이에 따라 하이, 미디엄, 로우로 나뉜다. 튼튼한 고무 앞코 신발을 착용한다.[14]
- 차세(chassé): 사이드 또는 프론트 피스톤 액션 킥으로, 높이에 따라 하이, 미디엄, 로우로 나뉜다.
- 레베르(revers): 신발 밑창으로 타격하는 "리버스" 또는 훅 킥으로, 높이에 따라 하이, 미디엄, 로우로 나뉜다.
- 쿠 드 피에 바(coup de pied bas): 신발 안쪽 가장자리로 타격하는 정면 또는 스윕 킥으로, 로우 킥만 가능하다.[22][23]
주먹 기술은 복싱과 유사하며, 앞손 잽(Jab), 뒷손 스트레이트(Cross), 훅(Hook), 어퍼컷(Uppercut)이 있다.
국제 사바트 연맹(FIS)은 사바트 아소, 사바트 콩바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다. 세계 사바트 콩바 선수권 대회는 시니어(21세 이상) 및 주니어(18세~21세)를 대상으로 한다.[28][29]
세계 사바트 선수권 대회는 다음과 같이 개최되었다:
회차 | 연도 | 개최 도시 | 개최 국가 | 세부 종목 |
---|---|---|---|---|
4 | 2007 | 프랑스 | align="left"| | |
5 | 2009 | 노비사드 | align="left"| | |
6 | 2011 | 밀라노 | align="left"| | |
7 | 2013 | 클레르몽페랑 | align="left"| | |
8 | 2015 | 라로슈쉬르욘 | align="left"| | |
9 | 2017 | 바라주딘 | align="left"| | |
10 | 2019 | 함마메트 | align="left"| | |
11 | 2021 | 바라주딘 | align="left"| | |
12 | 2023 | 바라주딘 | align="left"| |
회차 | 연도 | 개최 도시 | 개최국 | 경기 수 |
---|---|---|---|---|
1 | 2002 | 프랑스 | align="left"| | |
2 | 2004 | 플로브디프 | align="left"| | |
3 | 2006 | 빌본쉬르예베트 | align="left"| | |
4 | 2008 | 파리 | align="left"| | 15 |
5 | 2010 | 파리 | align="left"| | |
6 | 2012 | 플로브디프 | align="left"| | |
7 | 2014 | 로마 | align="left"| | |
8 | 2016 | 바라주딘 | align="left"| | |
9 | 2018 | 플로브디프 | align="left"| | |
10 | 2022 | 밀라노 | align="left"| |
회차 | 연도 | 개최 도시 | 개최 국가 | 경기 수 |
---|---|---|---|---|
1 | 2007 | 프랑스 | align="left"| | |
2 | 2009 | 노비사드 | align="left"| | |
3 | 2011 | 밀라노 | align="left"| | |
4 | 2013 | 클레르몽페랑 | align="left"| | |
5 | 2015 | 라로슈쉬르욘 | align="left"| | |
6 | 2017 | 바라주딘 | align="left"| | |
7 | 2019 | 함마메트 | align="left"| | |
8 | 2021 | 바이스 | align="left"| | |
9 | 2023 | 바라주딘 | align="left"| |
회차 | 연도 | 개최 도시 | 개최 국가 | 경기 수 |
---|---|---|---|---|
1 | 2011 | 빌레트-당통 | align="left"| | |
2 | 2013 | 클라토보 | align="left"| | |
3 | 2015 | 플로브디프 | align="left"| | |
4 | 2017 | 바라주딘 | align="left"| | |
5 | 2019 | 부다페스트 | align="left"| | |
6 | 2021 | 루마 | align="left"| | |
7 | 2023 | 포체트르텍 | align="left"| |
제랄드 고르도(Gérard Gordeau)와 어네스트 호스트(Ernesto Hoost)는 사바트 챔피언 출신이다. 일본에서도 박스 프랑세즈 형식의 사바트 대회가 열리고 있다.
4. 1. 캉 드 콩바 (Canne de combat)
국제 사바트 연맹은 사바트 아소, 사바트 콩바 및 캉 드 콩바 세 종목에서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다. 세계 사바트 콩바 선수권 대회는 시니어(21세 이상) 및 주니어(18세~21세)를 대상으로 열린다.[28][29]스위스인 피에르 비니(Pierre Vigny)가 창시한 지팡이나 우산을 사용한 호신술 "라 캉"을 기반으로 한다. 현재는 독립된 경기 "캉 드 콩바"가 되었다.
기본적으로 95cm 길이의 지팡이를 한 개 가지고 펜싱처럼 한 손으로 찌르거나, 쳐서 포인트를 얻는 형식이다. 손과 발을 사용한 타격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도류 부문도 있다. 펜싱처럼 유효 부위가 정해져 있다. 쿼터스태프를 사용하는 부문도 있으며, 이쪽도 이도류 부문이 있다. 배턴을 양손에 잡는다.
공식 시합에서는 안전을 위해 펜싱용 마스크에 더해, 유도복에 쿠션이 들어간 듯한 두꺼운 옷을 입는다. 숙련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나뉜다.
5. 랭킹 시스템
미셸 카소(Michel Casseux)와 샤를르 르쿠르(Charles Lecour)는 사바트가 거리 싸움에서 현대 스포츠로 전환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카소는 1825년에 쇠송과 사바트의 규정된 버전을 연습하고 홍보하기 위한 최초의 시설을 열었고, 르쿠르는 1830년까지 이 무술의 현대적인 버전을 만들었다. 그는 영국의 복싱 글러브를 도입하여 훈련 중 부상을 방지했다.[15]
르쿠르는 1838년 영국 복서 오웬 스위프트(Owen Swift)와의 경기를 통해 영국 복싱 기술을 접하고,[16] 이를 사바트에 접목하여 ''복스 프랑세즈''(오늘날의 사바트)를 만들었다. 캉 드 콩바(Canne de combat)와 바통 프랑세(Bâton français) 같은 스틱 파이팅도 사바트 훈련에 추가되었다.
조제프 샤를르몽(Joseph Charlemont)과 그의 아들 샤를르 샤를르몽(Charles Charlemont)은 사바트를 전문적으로 발전시켰다. 샤를르는 1899년 영국 복서 제리 드리콜(Jerry Driscoll (boxer))과의 시합에서 라운드킥으로 승리했지만, 영국 측에서는 급소에 대한 발차기라고 주장했다.[17]
이후 피에르 바루지 백작의 지도하에 사바트는 성문화되었다. 그는 현대 사바트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프랑스 챔피언을 11번 차지했다.
사바트는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포함되었고, 2008년에는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FISU)에 의해 인정받았다. 2010년에는 국제 사바트 연맹이 SportAccord의 회원이 되면서 올림픽 종목 채택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6. 현대적 응용 및 파생
19세기 초, 프랑스 거리 싸움 기술이 혼합되어 현대적이고 공식화된 형태의 사바트가 나타났다. 당시 사바트는 파리와 프랑스 북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거리 싸움의 한 종류였다.[10][11][12]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시대에 그의 군인들이 포로들의 엉덩이를 발로 차는 방식으로 그들의 "재능"을 공개적으로 과시했는데, 이 처벌은 "낡은 신발"로 번역될 수 있는 "사바트"라고 불렸다.[13]
마르세유 항구의 선원들은 높은 발차기와 손바닥으로 때리는 기술을 포함하는 격투 스타일을 개발했다. 이 발차기 스타일은 흔들리는 배의 갑판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 손을 사용하고, 육지에서는 주먹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법적 처벌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주먹은 법적으로 위험한 무기로 간주되었다. 이 기술은 ''jeu marseillais''(마르세유의 게임)로 알려졌으며, 이후 ''chausson''(슬리퍼)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반대로, 영국에서는 발차기가 비신사적인 행위로 여겨졌다.
전통적인 사바트는 북부 프랑스, 특히 파리의 빈민가에서 발전했으며 무거운 신발과 부츠를 항상 사용했다. 거리 싸움 사바트는 발차기를 낮게 유지했으며, 거의 사타구니 위를 타격하지 않았고, 뼈를 부러뜨릴 의도로 격렬하게 가해졌다. 파리 사바트는 또한 찌르거나 쳐서 손바닥으로 공격(la baffe)하거나 얼굴 신경을 노리는 기절시키는 손바닥 공격을 특징으로 했다. 이 시기에 사바트 또는 chausson의 기술은 이탈리아 북서부와 스페인 북동부의 항구에서도 개발되었다. 그래서 "이탈리아 발차기"(''chassé italien'')라고 불리는 사바트 발차기가 생겨났다.
사바트가 거리 싸움에서 현대 스포츠로 전환되는 역사에서 두 명의 핵심 인물은 미셸 카소(1794–1869)[14]와 샤를르 르쿠르(1808–1894)이다. 카소는 1825년에 쇠송과 사바트의 규정된 버전을 연습하고 홍보하기 위한 최초의 시설을 열었다(머리 박치기, 눈 찌르기, 그래플링 등을 금지).
그러나 이 스포츠는 거리 싸움 기술로서의 명성을 떨치지 못했다. 샤를르 르쿠르는 1830년까지 이 무술의 현대적인 버전을 만들었다. 그는 복싱 기술을 발차기 기술과 통합하여 이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주었다. 그는 사바트를 스포츠이자 자기 방어 시스템으로 모두 간주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샤를르 르쿠르는 이 무술에 영국의 복싱 글러브를 추가하여 그의 학생들이 손을 다치지 않고 펀치를 연습할 수 있도록 했다.[15]
샤를르 르쿠르는 1838년 프랑스에서 영국 복서 오웬 스위프트와 잭 아담스 간의 영국 복싱 경기를 목격하면서 영국의 복싱 기술을 접하게 되었다.[16] 르쿠르는 그해 말에 스위프트와 친선 스파링 경기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복싱을 훈련한 후 쇠송과 사바트를 결합하여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사바트(또는 ''복스 프랑세즈'') 스포츠를 만들었다. 어느 시점에서 ''캉 드 콩바''와 ''바통 프랑세'', 스틱 파이팅이 추가되었고, ''라 캉''과 같은 일종의 스틱 펜싱이 일반적으로 사바트 훈련의 일부가 되었다. 순수하게 경쟁을 위해 훈련하는 사람들은 이를 생략할 수도 있다. 사바트는 르쿠르의 제자인 조제프 샤를르몽과 그의 아들 샤를르 샤를르몽에 의해 전문적으로 발전했다. 샤를르는 아버지의 업적을 이어받아 1899년 제리 드리콜이라는 영국 복서와 시합을 벌였다. 그는 8라운드에서 라운드킥(''푸에테 메디안'')으로 승리했지만 영국 측에서는 이것이 급소에 대한 발차기라고 말했다.
사바트는 이후 샤를 샤를몽의 제자 피에르 바루지(일명 바로치)의 지도하에 위원회 National de Boxe Française에서 성문화되었다. 백작은 현대 사바트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첫 링 전투와 타이틀을 포함하여 프랑스와 식민지 챔피언을 11번이나 차지했다. ''Savate de Défense'', ''Défense Savate'' 또는 ''Savate de Rue''("거리 사바트")는 사바트 경기에서 제외된 전투 방식에 주어진 이름이다. 국제 사바트 연맹(FIS)은 사바트의 공식적인 전 세계 관리 기구이다.[17]
사바트의 존경받는 지위는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포함되면서 궁극적으로 인정받았다. 2008년, 사바트는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FISU)에 의해 인정받았으며, 2010년 프랑스 낭트에서 첫 번째 공식 대학 세계 선수권 대회가 열렸다.
미국에서 장-노엘 에이나르는 사바트 복싱-프랑세즈 & 캉 드 콤바(FFBFSDA)를 동부 해안에 도입했다. 다니엘 뒤비는 남부 캘리포니아의 서부 해안에 사바트(FNBF)를 도입했다고 한다. 최초의 진정한 FFBFSDA/FIS 사바트 복싱 클럽은 1983년 필라델피아의 세인트 조셉 대학교에서 열렸다.
사바트는 스포츠로 시작된 것이 아니라 파리와 마르세유 거리에서 가르쳐진 호신술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사바트는 '''사바트 드 뤼'''(Savate de Rue, 거리 사바트)로 알려졌다. 발차기와 펀치 외에도 사바트 드 뤼는 무릎 및 팔꿈치 공격, 관절 꺾기, 쓸어차기, 던지기, 머리 치기 및 테이크다운을 포함한다.
현대 사바트는 시합용으로 특화되는 경향이 있어, 최근에는 본래의 모습인 호신술로서의 사바트를 "사바트 디펜스"로 다시 체계화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격투기로서가 아닌 피트니스로서 사바트를 이용하는 움직임도 있다. 이것은 복싱 에어로빅처럼 겨루기를 하지 않고 형(폼)을 반복하는 스타일이다.
7. 다른 무술과의 관계 및 영향
사바트는 19세기 초 프랑스 거리 싸움 기술의 혼합체에서 유래되었으며, 당시 파리와 프랑스 북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거리 싸움의 한 종류였다.[10][11][12]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시대에는 군인들이 포로들의 엉덩이를 발로 차는 방식으로 "재능"을 과시했는데, 이는 "낡은 신발"을 의미하는 "사바트"라고 불렸다.[13]
사바트가 거리 싸움에서 현대 스포츠로 전환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미셸 카소(1794–1869)와 샤를르 르쿠르(1808–1894)였다. 카소는 1825년에 쇠송과 사바트의 규정된 버전을 연습하고 홍보하기 위한 최초의 시설을 열었으며, 머리 박치기, 눈 찌르기, 그래플링 등을 금지했다.
샤를르 르쿠르는 1830년까지 이 무술의 현대적인 버전을 만들었다. 그는 1838년 영국 복서 오웬 스위프트와의 경기를 통해 영국의 복싱 기술을 접하고, 이를 쇠송과 사바트에 결합하여 오늘날의 사바트(''복스 프랑세즈'')를 만들었다.[15][16] 또한, 캉 드 콩바와 바통 프랑세 같은 스틱 파이팅도 사바트 훈련의 일부가 되었다.
조제프 샤를르몽과 그의 아들 샤를르 샤를르몽은 사바트를 전문적으로 발전시켰다. 샤를르 샤를몽은 1899년 영국 복서 제리 드리콜과의 시합에서 8라운드 라운드킥으로 승리했다.
이후 사바트는 피에르 바루지 백작에 의해 성문화되었으며, 그는 현대 사바트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프랑스와 식민지 챔피언을 11번 차지했다.
사바트는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포함되었고, 2008년 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FISU)에 의해 인정받았다. 2010년에는 첫 번째 공식 대학 세계 선수권 대회가 프랑스 낭트에서 개최되었다.
사바트는 스포츠뿐만 아니라 파리와 마르세유 거리에서 가르쳐진 호신술로 시작되었으며, 이를 '''사바트 드 뤼'''(Savate de Rue, 거리 사바트)라고 불렀다. 사바트 드 뤼는 발차기와 펀치 외에도 무릎 및 팔꿈치 공격, 관절 꺾기, 쓸어차기, 던지기, 머리 치기 및 테이크다운을 포함한다.
이소룡은 사바트를 연구하여 자신의 절권도 스타일에 많은 기술을 포함시켰다.[44] 종합격투기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UFC 1의 세계 챔피언 사바티스트 제라르 고르도가 참가하여 결승까지 진출했다.[45][46]
사바트의 발차기 기술은 발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많으며, 신발은 복싱화처럼 부드럽지 않고 밑창 등이 튼튼하게 만들어져 무기로 사용된다. 당시 프랑스에서는 신발에 나이프를 숨기는 경우가 많아 킥복싱처럼 정강이로 발차기를 막으면 포인트를 잃게 된다. 글러브는 복싱용과 약간 달라 손바닥 부분과 갑피에 쿠션이 있어 공격을 막는 방어구 역할도 한다.
현대 복스 프랑세즈에서는 무릎차기와 팔꿈치 치기를 사용할 수 없고, 접근전에서는 복싱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는 사바트가 남성이 외출할 때의 모습(수트를 입고 신발을 신고, 손에 지팡이를 든 상태)을 상정하여, 밀착 시에는 때리는 것보다 던지기 기술을 우선하는 호신술이며, 손 기술은 복싱의 기술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 경기화된 사바트에서는 풋워크를 사용하여 멀리서 킥으로 거리를 재면서 상대의 움직임을 살피고, 타이밍을 보아 먼 거리에서 뛰어들어 펀치로 마무리하는 방식이 정석이다.
원래 사바트는 폭한이 가진 칼에 찔리지 않도록 지팡이로 견제하고, 상대가 발이 닿는 거리에 들어오면 발차기를 날리고, 붙잡혔을 경우에는 상대를 던져버리거나 관절기로 제압하고, 틈이 있으면 도망가는 전략이었다.
사바트의 로우킥은 축발을 돌리기 때문에 킥복싱의 로우킥보다 더 멀리 있는 상대에게 맞출 수 있다. 또한, 킥복싱이나 무에타이에서는 발차기가 기본적으로 정강이를 맞히는 것이지만, 사바트는 발가락으로 차는 기술도 사용하기 때문에 더 멀리 닿는다. 발차기의 주가 되는 것은 "샤세"[51]라는 사이드 킥이다.
사바트는 킥복싱, 무에타이와 유사하지만, 규칙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무릎, 팔꿈치 공격, 너클 파트 이외의 팔을 사용한 공격, 신발 이외의 발 공격, 뒤꿈치 찍기 등이 금지된다.
사바트에서는 신발이 무기이므로 정강이로 차기를 받지 않고, 신발의 발끝을 댄다. 또한, 무릎 차기가 금지되는 반면, 다른 격투기에서는 금지되는 경우가 많은 관절 부위 공격은 유효하다.
원래는 스틱을 병용하는 종합 무술이었다.
형제 무술로는 발레의 바 레슨처럼 손잡이에 잡힌 채로 발차기를 하는 "쇼송"이 있다. 이는 마르세유의 해적들이 흔들리는 배 위에서 싸우기 위해 고안한 격투술이다.
8. 대중문화 속 사바트
19세기 초 프랑스 거리 싸움 기술의 혼합체인 사바트는 당시 파리와 프랑스 북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거리 싸움의 한 종류였다.[10][11][12] 현대에 와서 사바트는 대중문화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
- 육백만 불의 사나이: 1974년 방영된 에피소드 "웰스 박사는 실종"에서 피에르라는 사바트 고수가 스티브 오스틴과 싸우며 사바트 고유의 발차기 기술만을 사용한다.
- 마블 코믹스: 악당 용병 배트로크 더 리퍼는 캡틴 아메리카의 적이자 웬풀의 스승이며, 사바트의 고수로서 웬풀을 훈련시킨다. 엑스맨의 등장인물 갬빗은 사바트 훈련을 받았다.
- 땡땡의 모험: ''714편의 비행기''에서 칼큘러스 교수는 젊은 시절 사바트를 능숙하게 구사했다고 말한다. ''검은 섬''에서 땡땡은 악당을 발로 차며 사바트 기술이라고 말한다.
- 로건의 질주: 1967년 소설에서 주인공 로건 3은 자기 방어를 위해 종종 사바트 발차기를 사용한다.
- DC 코믹스: 캐릭터 나이트윙은 무술 전문가이며 그의 많은 기술 중에는 사바트도 포함된다.
- 메다카 박스: 히토요시 젠키치는 사바트의 달인이며, 그의 "변경된 신 모드: 모델 젠키치"를 통해 맨손을 칼날처럼 날카롭게 만들며 개방된 손 기술을 강조한다.
- 켄간 오메가: 니콜라스 르 배너는 펜싱, 사바트, 가라테 기술을 통합하여 만든 '사하트'라는 무술을 사용한다.
- 원피스: 상디는 "흑족" 스타일이라고 불리는 정교한 발차기만을 사용하는 무술을 사용한다. 문자적으로 사바트에 기반을 두지 않지만, 개별 기술의 이름은 프랑스어로 되어 있으며, 캐릭터의 다른 관심사는 주류 프랑스 문화(예: 요리 및 와인)에서 비롯되었다.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애쉬 크림슨은 자신의 녹색 불꽃을 사용하는 기본적인 사바트 스타일로 싸운다.
- 스트리트 파이터 III: 3rd Strike: 레미는 발차기 기본기의 대부분에서 사바트를 사용한다.
- 아트 오브 파이팅과 ''더 킹 오브 파이터즈''의 존 크롤리는 그의 무술 스타일에 사바트를 사용한다.
- 철권: 브라질 캐릭터 카타리나 아르베스는 사바트를 격투 스타일로 사용한다.
- WWF 해설자 고릴라 몬순은 프랑스계 캐나다인인 루조 형제가 사용하는 뒤차기를 종종 "사바트 킥"이라고 언급했다.
- 코드 리오코: 울리히 슈테른은 친구인 유미 이시야마와 함께 프랑스 무술을 수련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 얼론 인 더 다크: 초창기 얼론 인 더 다크 생존 호러 게임 시리즈에서 주인공 에드워드 카비는 비무장 전투 방식으로 사바트를 사용했다.
- 아르센 뤼팽 시리즈(1905년-): 아르센 뤼팽은 체육 교사인 아버지로부터 사바트를 전수받았다는 설정이지만, 복싱으로 번역되는 경우도 있다.
- 가라데 바카 이치다이(1971년): 제40화 "사파데와 일기토!"에서 사파데의 달인인 보몽과 대결한다.
- 라 세느의 별(1975년): 제21화 "국경에 불탄 사파데"에서 사파데의 달인인 알비가 등장하여 발차기 기술을 선보인다.
- 메다카 박스(2009년): 제34화 "네 생명은 죽일 수 없어"에서 처음으로 히토요시 젠키치가 어머니에게서 배운 사바트를 선보인다.
- 루팡 (2004년): 소년 시절의 아르센 뤼팽이 아버지로부터 지도를 받아 체술과 스틱술을 선보인다. 검술 지도는 현역 트레이너가 담당했다.
-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극중에서는 설명되지 않지만, 오프닝 장면에서 스티브와 일대일 대결을 펼치는 해적 두목 조르주 바트록은 사바트의 사용자이다.
- 철권 7 (2015년): 등장인물 중 한 명인 카타리나 아우베스가 사바트의 사용자이다.
참조
[1]
뉴스
French Boxers in England.; Attempt to Popularise Self-Defense by a New Style of Kicking.
https://www.nytimes.[...]
2010-08-10
[2]
뉴스
The Nobel Art."; Self-Defense by Kicking Exemplified by French Artists in London.
https://www.nytimes.[...]
2010-08-10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Olympic Movement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08-11
[4]
서적
Bruce Lee - Between Wing Chun and Jeet Kune Do
Glover Publications
1976-01-01
[5]
뉴스
Getting Your Kicks With French Boxing Lomita Fighting, Fitness Academy Teaches the Sweet Science of Savate
https://www.latimes.[...]
2010-11-25
[6]
웹사이트
Savate: The French Manly Art of Self-Defense (Part 2)
http://www.blackbelt[...]
Blackbeltmag.com
2015-01-10
[7]
웹사이트
Savate: The French Manly Art of Self-Defense
http://www.blackbelt[...]
Blackbeltmag.com
2015-01-10
[8]
서적
The Way of the Warrior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Limited
2008-10
[9]
뉴스
FITNESS BOUND; Holiday pounds? Give 'em a swift kick
https://www.latimes.[...]
2010-11-25
[10]
서적
Martial Arts of the World: R-Z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5-01-10
[11]
웹사이트
Black Belt September 1997
https://books.google[...]
2015-01-10
[12]
웹사이트
Black Belt November 2004
https://books.google[...]
2015-01-10
[13]
웹사이트
Crônica da capoeira (GEM). O 'Chausson/Savate' influenciou a capoeira?
https://www.efdeport[...]
[14]
서적
Martial Arts of the World
ABC-CLIO
[15]
간행물
The Fighting Sport of France
1982-02
[16]
문서
Savate – Canne – Baton au fil des siècle: la vérifiable histoire de la boxe française and Swift's own biography in The Handbook To Boxing
[17]
웹사이트
Black Belt
https://books.google[...]
1997-09
[18]
웹사이트
USSavate
http://www.ussavate.[...]
2011-02-02
[19]
웹사이트
Prof. Eynard's easy guide to savate Copyright Record
https://uspto.report[...]
2023-04-20
[20]
저널
Les effets de l'expérience et de l'expertise dans les pratiques d'enseignement en éducation physique et sportive: analyse de deux profils asymétriques en savate boxe française.
https://www.cairn.in[...]
2022-04-07
[21]
웹사이트
American Registry Of Savate Instructors And Clubs-International - Broomall - Company Information
https://pennsylvania[...]
2022-04-07
[22]
웹사이트
Black Belt March 1967
https://books.google[...]
2015-01-10
[23]
웹사이트
Black Belt April 2004
https://books.google[...]
2015-01-10
[24]
웹사이트
Black Belt September 1994
https://books.google[...]
2015-01-10
[25]
웹사이트
Black Belt March 1988
https://books.google[...]
2015-01-10
[26]
웹사이트
Black Belt June 1987
https://books.google[...]
2015-01-10
[27]
웹사이트
Black Belt February 1982
https://books.google[...]
2015-01-10
[28]
웹사이트
Qualifying Tournament of the World Savate Combat Championships 2015 | AIMS
http://aimsisf.org/n[...]
2017-12-17
[29]
웹사이트
International federation of Savate - Championship Results
http://fisavate.org/[...]
[30]
웹사이트
Savate
https://www.usadojo.[...]
2013-08-14
[31]
웹사이트
The Baron of Castleshort
https://www.arrse.co[...]
[32]
웹사이트
Savate: From the Back Alleys of France to the Martial Arts World
https://blackbeltmag[...]
2014-05-19
[33]
서적
Bruce Lee - Between Wing Chun and Jeet Kune Do
Glover Publications
1976-01-01
[34]
웹사이트
Silvia La Notte: "Ho vinto tutto ma Bellator è l'apice della mia carriera"
http://www.fightnews[...]
2020-06-06
[35]
웹사이트
Titoli
https://www.silviala[...]
2020-06-06
[36]
웹사이트
Vitor Miranda - Official UFC Fighter Profile
http://www.ufc.com/f[...]
UFC.com
2014-12-19
[37]
웹사이트
AWA #25 Page #2
https://www.kayfabem[...]
2022-12-22
[38]
간행물
Gambit vol 3 #16
Marvel Comics
2000-05
[39]
웹사이트
Nightwing
https://thedcdunce.t[...]
2019-02-22
[40]
웹사이트
Manga 'Medaka Box'
https://i.imgur.com/[...]
2022-01-26
[41]
웹사이트
One Piece: Sanji's powers explained - Anime Everything
https://anime-everyt[...]
2024-07-06
[42]
웹사이트
Justin Wong 3rd Strike Tier List
https://toptier.gg/j[...]
2022-03-14
[43]
웹사이트
John Crawley (Character)
https://www.giantbom[...]
[44]
서적
Bruce Lee - Between Wing Chun and Jeet Kune Do
Glover Publications
1976-01-01
[45]
간행물
Kaminoge Vol.85
Toho Publishing
[46]
뉴스
O Melhor do Mundo
Trip magazine
1994-10
[47]
문서
스위스인 피에르 비니가 창설한 지팡이를 이용한 호신술
[48]
문서
Boxe française (프랑스식 복싱)
[49]
문서
파리지앵 레슬링
[50]
문서
軸足を返す種類のローキック
[51]
문서
chassé (追いかける、すり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