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법권의 독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법권의 독립은 행정부와 입법부로부터 사법부의 독립을 의미하며, 법치주의와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로 여겨진다. 1701년 왕위 계승법은 사법부 독립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으며, 영국의 사법권 독립 개념은 국제적으로 확산되어 다른 국가의 국내법에 영향을 미쳤다. 사법권 독립은 제한된 정부로부터 권리를 보호하고, 법의 효능과 경제 성장을 촉진하며, 정치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판사의 권력 남용과 책임성 부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국제적으로는 사법 독립 국제 협회가 기준을 제정했으며, 호주, 캐나다, 홍콩, 싱가포르, 미국 등 각국은 헌법 또는 법률을 통해 사법부의 독립을 보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설명책임 - 불신
    불신은 정부 시스템, 선거, 외교, 기업,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사회학적으로는 부정적이지만은 않으며, 각 영역에서 신뢰 구축을 위한 제도 개선과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고, 특히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지도층의 도덕성 향상과 투명성 확보가 중요하다.
  • 설명책임 - 비난
    비난은 도덕적 책임 추궁이나 가치 폄하 행위로, 반응적 태도의 일종이며 뇌 활동과 관련 있고, 자기 비난, 피해자 비난, 비난 전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조직 건전성 지표나 정치적 선전, 사회 통제 기법으로 활용되며, 책임성과 투명성 요구 증가에 따라 회피 행동이 늘고 있다.
  • 사법부 - 배심제
    배심제는 법정에서 시민들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증거를 심리하고 평결을 내리는 제도로, 대배심과 소배심으로 나뉘며, 영미법 체계 국가에서 주로 시행되고, 한국에서는 국민참여재판 제도가 시행된다.
  • 사법부 - 오스트리아의 사법부
    오스트리아의 사법부는 민사 및 형사 사건을 다루는 일반법원, 행정 행위를 심사하는 행정법원, 법률의 위헌 여부를 판단하는 헌법재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헌법재판소는 중앙 집중식 사법심사 시스템의 핵심 기관으로서 법률에 대한 사법심사 권한을 독점한다.
  • 주권 - 탈식민지화
    탈식민지화는 식민지 지배로부터의 해방과 독립을 쟁취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60년 결의안을 통해 식민지화된 국가들에게 자결권을 부여하였다.
  • 주권 - 독립기념일
    독립기념일은 한 국가가 다른 국가로부터 정치적 독립을 쟁취한 것을 기념하는 날로, 이 문서는 전 세계 국가들의 독립 연도, 날짜, 이전 지배 국가 등의 정보를 대륙별 표로 정리하여 제공하며, 일부 국가의 역사적 배경 설명과 독립기념일이 없는 국가 목록도 포함한다.
사법권의 독립
사법권 독립
정의의 상징
정의의 상징
개요
유형기관적 독립
개인적 독립
관련 개념삼권분립
법치주의
사법 적극주의
사법 소극주의
추가 정보
관련 서적《사법부 독립》, 편집: 스테판 그레이너, 프랑크 슈트라스부르크, 실케 슈타이너 (2011)

2. 역사

사법권 독립의 개념은 서구 근대 민주주의 발전 과정에서 확립되었으며, 특히 1701년 왕위 계승법(Act of Settlement 1701)은 사법부 독립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9] 사법권의 독립 발달은 국제법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법의 순환, 그리고 그 다음 국제법이 국가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8]

이러한 순환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예시는 영국이다. 1701년 왕위 계승법으로 사법권 독립이 처음 개념화되면서, 잉글랜드의 사법권 독립에 대한 개념은 국제적으로 확산되어 다른 국가의 국내법에 채택되었다.[8][9] 예를 들어, 잉글랜드는 몽테스키외의 삼권 분립 이론의 모델이 되었고,[10] 미국 헌법의 건국 아버지들은 헌법 제3조를 제정하는 데 있어 잉글랜드를 주요 모델로 삼았는데, 이는 미국의 사법권 독립의 기초가 되었다.[11]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등 다른 영미법 국가들 또한 영국의 사법권 독립 모델을 채택했다.[12]

최근 수십 년 동안, 국제 인권 헌법 문서에서 발전된 사법권 독립 원칙의 영향을 크게 받은영국에서는, 유럽 인권 재판소(ECtHR)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사법권 독립 개념 분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13] 이 과정은 1990년대에 ECtHR이 영국 사건을 심리하면서 시작되었고, 더 중요하게는 1998년 인권법(Human Rights Act 1998)을 통해 영국 법에 유럽 인권 협약을 적용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이는 2000년에 영국에서 발효되었다.[14]

이전에 영국 국내법이 사법권 독립의 국제적 발전에 영향을 미쳤던 것과는 달리, 영국의 2005년 헌법 개혁법(Constitutional Reform Act 2005)은 국제법이 이제 영국 국내법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를 나타냈다.[15] 헌법 개혁법은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사법 행정에 대한 정부의 통제를 획기적으로 개혁했다. 중요한 점은 입법, 행정, 사법 권한을 모두 위임받았던,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헌법상 직책 중 하나인 대법관(Lord Chancellor) 직을 폐지했다는 것이다.[16] 역사적으로, 상소 기능은 일반적으로 심리되는 사건의 유형 – 탄핵 및 귀족에 대한 중죄 혐의 심리 – 때문에 행정부와 연관되어 있었다.[17]

헌법 개혁법은 대법관과 사법부 사이에 새로운 경계선을 설정하여 모든 사법 기능을 사법부로 이전하고 대법관에게 행정 및 행정적 문제만 위임했다. 또한, 헌법 개혁법은 사법부의 수장으로서 대법관을 잉글랜드 및 웨일스 대법원장(Lord Chief Justice of England and Wales)으로 교체하고, 입법부에서 사법부의 귀족원 상소 위원회(Appellate Committee of the House of Lords)를 분리하여 영국 대법원(Supreme Court)으로 개편하고, 사법 임명 위원회를 창설했다.[16] 영국 대법원의 창설은 중요했는데, 그것이 마침내 최고 항소 법원을 귀족원으로부터 분리했기 때문이다.[18]

따라서 300년 이상 전에 사법권 독립이 시작된 영국은, 사법권 독립 분야에서 국가법과 국제법, 그리고 사법(jurisprudence)의 시간적 상호 작용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개념과 아이디어는 연속적인 사법 및 정치 시스템에서 구현되면서 풍부해졌으며, 각 시스템은 실현된 개념과 아이디어를 강화하고 심화시켰다. 영국 외에도, 개념적 교차 수분의 유사한 발전은 유럽 연합 법(European Union law),[19] 오스트리아와 같은 대륙법(civil law) 국가, 그리고 캐나다를 포함한 다른 영미법 관할 구역에서도 볼 수 있다.[20]

최근 몇 년 동안, 사법권 독립의 원칙은 사법 제도의 핵심 가치 중 하나로 묘사되어 왔다.[21]

2. 1. 한국의 사법부 독립 역사

2. 2.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사법부 독립 역사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사법부도 참조

중세 시대 잉글랜드 왕국의 노르만 왕조 하에서 국왕과 그의 왕립 법정이 사법권을 행사했다. 사법 독립은 근세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더 많은 법원이 설립되고 사법 전문직이 성장하면서 15세기 무렵에는 정부의 이러한 특징에서 국왕의 역할이 줄어들었다.[32]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왕은 여전히 법원에 영향을 미치고 판사를 해임할 수 있었다. 스튜어트 왕조는 잉글랜드 의회를 제압하기 위해 이러한 권한을 자주 사용했다. 명예 혁명(1688년)으로 스튜어트 왕조가 축출된 후, 일부는 국왕의 사법부 조작에 대한 방어를 옹호했다. 잉글랜드의 윌리엄 3세 국왕은 1701년 왕위 계승법을 승인하여 의회가 해임하지 않는 한 판사의 임기를 보장했다.[33][34]

2. 3. 국제적 발전

사법권의 독립 발달은 국제법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법의 순환, 그리고 그 다음 국제법이 국가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8] 이는 세 단계로 발생한다고 한다. 첫 번째 단계는 사법권 독립 개념의 국내 발달로 특징지어지고, 두 번째 단계는 이러한 개념들이 국제적으로 확산되어 국제법에 구현되는 것이며, 세 번째 단계는 새롭게 제정된 사법권 독립의 국제 원칙들을 국가법에 구현하는 것이다.[8]

이러한 순환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예시는 영국이다. 잉글랜드에서 1701년 왕위 계승법으로 사법권 독립이 처음 개념화되면서 첫 번째 단계가 발생했다.[9] 두 번째 단계는 잉글랜드의 사법권 독립에 대한 개념이 국제적으로 확산되어 다른 국가의 국내법에 채택되었을 때 나타났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는 몽테스키외의 삼권 분립 이론의 모델이 되었고,[10] 미국 헌법의 건국 아버지들은 헌법 제3조를 제정하는 데 있어 잉글랜드를 주요 모델로 삼았는데, 이는 미국의 사법권 독립의 기초가 되었다.[11] 캐나다, 호주, 인도 등 다른 영미법 국가들 또한 영국의 사법권 독립 모델을 채택했다.[12]

최근 수십 년 동안, 세 번째 단계의 사법권 독립은 영국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는데,[13] 국제 인권 헌법 문서에서 발전된 사법권 독립 원칙의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이다. 유럽 인권 재판소(ECtHR)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사법권 독립 개념 분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 과정은 1990년대에 ECtHR이 영국 사건을 심리하면서 시작되었고, 더 중요하게는 1998년 인권법을 통해 영국 법에 유럽 인권 협약을 적용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이는 2000년에 영국에서 발효되었다.[14]

이전에 영국 국내법이 사법권 독립의 국제적 발전에 영향을 미쳤던 것과는 달리, 영국의 2005년 헌법 개혁법[15]은 국제법이 이제 영국 국내법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를 나타냈다. 헌법 개혁법은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사법 행정에 대한 정부의 통제를 획기적으로 개혁했다. 중요한 점은 입법, 행정, 사법 권한을 모두 위임받았던,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헌법상 직책 중 하나인 대법관 직을 폐지했다는 것이다.[16] 대법관은 상원인 귀족원의 의장, 행정부의 일원이자 선임 각료회의의 구성원, 그리고 사법부의 수장 역할을 했다. 역사적으로, 상소 기능은 일반적으로 심리되는 사건의 유형 – 탄핵 및 귀족에 대한 중죄 혐의 심리 – 때문에 행정부와 연관되어 있었다.[17] 헌법 개혁법은 대법관과 사법부 사이에 새로운 경계선을 설정하여 모든 사법 기능을 사법부로 이전하고 대법관에게 행정 및 행정적 문제만 위임했다. 또한, 헌법 개혁법은 사법부의 수장으로서 대법관을 잉글랜드 및 웨일스 대법원장으로 교체하고, 입법부에서 사법부의 귀족원 상소 위원회를 분리하여 영국 대법원으로 개편하고, 사법 임명 위원회를 창설했다.[16] 영국 대법원의 창설은 중요했는데, 그것이 마침내 최고 항소 법원을 귀족원으로부터 분리했기 때문이다.[18]

따라서 300년 이상 전에 사법권 독립이 시작된 영국은, 사법권 독립 분야에서 국가법과 국제법, 그리고 사법(jurisprudence)의 시간적 상호 작용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개념과 아이디어는 연속적인 사법 및 정치 시스템에서 구현되면서 풍부해졌으며, 각 시스템은 실현된 개념과 아이디어를 강화하고 심화시켰다. 영국 외에도, 개념적 교차 수분의 유사한 발전은 유럽 연합 법,[19] 오스트리아와 같은 대륙법 국가, 그리고 캐나다를 포함한 다른 영미법 관할 구역에서도 볼 수 있다.[20]

최근 몇 년 동안, 사법권 독립의 원칙은 사법 제도의 핵심 가치 중 하나로 묘사되어 왔다.[21]

3. 장점

사법권의 독립은 제한된 정부로부터 권리와 특권을 보호하고, 이러한 권리에 대한 행정부와 입법부의 침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1] 이는 법치주의민주주의의 기반이 된다. 법치주의는 모든 권위와 권력이 궁극적인 법의 근원에서 나와야 함을 의미한다. 독립적인 사법 제도 하에서 법원과 그 관계자들은 사법부의 업무에 대한 부적절한 간섭으로부터 자유롭다. 이러한 독립성을 통해 사법부는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보호를 보장하는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할 수 있다.[2]

법의 효능과 법을 제정하는 정부에 대한 국민의 존경은 사법부의 공정한 결정을 내리는 독립성에 달려 있다. 또한, 이는 경제 성장의 기둥이 되는데, 다국적 기업과 투자자들은 간섭으로부터 독립된 강력하고 안정적인 사법부를 가진 국가의 경제에 투자할 자신감을 갖게 된다.[3] 대통령 및 의회 선거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사법부의 역할 또한 사법부의 독립성을 필요로 한다.[4]

3. 1.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강화

사법권의 독립은 제한된 정부로부터 권리와 특권을 보호하고, 이러한 권리에 대한 행정부와 입법부의 침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1] 이는 법치주의민주주의의 기반이 된다. 법치주의는 모든 권위와 권력이 궁극적인 법의 근원에서 나와야 함을 의미한다.[2] 독립적인 사법 제도는 사법부의 업무에 대한 부적절한 간섭으로부터 자유를 보장하여, 사법부가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보호를 보장하는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수호할 수 있게 한다.[2]

법의 효능과 법을 제정하는 정부에 대한 국민의 존경은 사법부의 공정한 결정을 내리는 독립성에 달려 있다.[3] 또한, 이는 경제 성장의 기둥이 되는데, 다국적 기업과 투자자들은 간섭으로부터 독립된 강력하고 안정적인 사법부를 가진 국가의 경제에 투자할 자신감을 갖게 된다.[3]

3. 2. 경제 성장 촉진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사법부는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제공하여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5] 특히, 다국적 기업들은 사법부가 정치적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운 국가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한다. 헌법 경제학은 사법부에 대한 정부 지출을 포함하여 국가 부의 적절한 분배와 같은 문제를 연구한다.[5] 과도기적 및 개발도상국에서는 사법부에 대한 지출이 행정부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5] 이는 사법부가 행정부에 재정적으로 의존하게 되므로 사법권의 독립 원칙을 훼손한다.[5] 사법부 부패는 국가(예산 계획 및 특권을 통해)가 가장 위험하며, 사적인 방법으로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5] 사법부에 대한 국가 부패는 기업이 시장 경제의 성장과 발전을 최적으로 촉진하는 능력을 저해할 수 있다.[5] 일부 국가에서는 헌법이 입법부가 재직 판사의 급여를 삭감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3. 3. 정치적 안정성 확보

4. 비판과 과제

사법부 독립은 판사의 권력 남용과 책임성 부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사법부가 지나치게 독립적이면 판사가 권력을 남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사법부가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면 이러한 권력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견제와 균형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리사욕, 이념적 헌신, 심지어 부패가 판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6] 사법부와 행정부의 관계는 서로를 견제하는 복잡한 의존 및 상호 의존의 연속으로, 신중하게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해 지나치게 독립적일 수 있다.[6] 로저 K. 워렌은 사법부와 행정부가 끊임없이 다투면 어떤 정부도 제대로 기능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6]

극도로 독립적인 사법부는 사법적 책임성이 부족할 수 있는데, 이는 공적 의사 결정자가 결정을 설명하고 정당화하며, 결정으로 인해 부당함이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수정해야 할 의무를 말한다. 판사는 결정의 근거에 대한 전체 설명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대중의 감시로부터 보호받고 법적 불이익으로부터 보호받는다. 그러나 사법적 책임성은 판사가 특정 결정에 도달한 적절한 이유와 근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으므로, 사법부의 독립성을 강화할 수 있다. 워렌은 선출되지 않은 판사가 국민에게 민주적으로 책임을 지지 않지만, 정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판사가 책임성과 독립성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6] 사법 지상주의는 잠재적으로 엘리트 독재를 조장할 수 있지만, 이는 민주주의를 통해 균형을 이룰 수 있다.[6]

4. 1. 판사의 권력 남용 가능성

사법부가 지나치게 독립적이면 판사가 권력을 남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사법부가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면 이러한 권력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견제와 균형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리사욕, 이념적 헌신, 심지어 부패가 판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6] 사법부와 행정부의 관계는 서로를 견제하는 복잡한 의존 및 상호 의존의 연속으로, 신중하게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해 지나치게 독립적일 수 있다.[6]

극도로 독립적인 사법부는 사법적 책임성이 부족할 수 있다. 판사는 결정의 근거에 대한 전체 설명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대중의 감시로부터 보호받고 법적 불이익으로부터 보호받는다. 그러나 사법적 책임성은 판사가 특정 결정에 도달한 적절한 이유와 근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으므로, 사법부의 독립성을 강화할 수 있다.[6] 사법 지상주의는 잠재적으로 엘리트 독재를 조장할 수 있지만, 이는 민주주의를 통해 균형을 이룰 수 있다.[6]

4. 2. 책임성 부족 문제

사법부가 지나치게 독립적이면 판사의 권력 남용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사법부가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면 이러한 권력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견제와 균형이 없기 때문에, 사리사욕, 이념적 헌신, 심지어 부패가 판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6] 판사는 결정의 근거에 대한 전체 설명을 제공할 필요가 없고, 대중의 감시로부터 보호받고 법적 불이익으로부터 보호받는다.[6]

그러나 사법적 책임성은 판사가 특정 결정에 도달한 적절한 이유와 근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으므로, 사법부의 독립성을 강화할 수 있다.[6]

4. 3. 한국 사법부의 과제

5. 국제 기준

사법 독립 국제 협회는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사법 독립에 관한 Mt. Scopus 국제 표준을 제정했다. 이 표준은 1982년에 채택된 동 협회의 뉴델리 사법 독립 최소 기준과 1983년에 발표된 몬트리올 정의 독립에 관한 세계 선언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1985년의 UN 사법 독립 기본 원칙, 국제 사법을 위한 국제법상 사법 독립에 관한 버그 하우스 원칙, 도쿄 로 아시아 원칙, 유럽 평의회의 사법 독립에 관한 성명(특히, 사법부의 독립, 효율성 및 역할에 관한 각료 위원회의 회원국에 대한 권고), 2002년의 방갈로르 사법 행동 원칙, 그리고 미국 변호사 협회의 판사에 대한 윤리 기준 개정 등이 이 표준에 영향을 미쳤다.

6. 국가별 사법부 독립 현황

6. 1. 호주

호주 식민지 시대에는 사법 독립을 확립하기 위한 투쟁이 있었다.[24] 1901년 호주 헌법에는 사법권 분립이 명시되었고, 2004년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은 연방 사법권을 행사할 수 있는 모든 법원은 독립적이고 공정해야 하며 그렇게 보여야 한다고 판결했다.[25] 2007년 호주 대법원장 머레이 글리슨은 호주인들이 사법 독립을 대체로 당연하게 여기며 세부 사항은 광범위한 관심사가 아니라고 언급했다.[26]

1901년 이후 부적절한 행위로 해임된 연방 판사는 없으며, 최고 법원 판사는 단 한 명뿐이다.[27] 사법 행위에 대한 소송 면제, 임기 보장, 고정된 보수는 모두 호주의 사법 독립의 확립된 부분이다. 판사 임명은 여전히 행정부의 전적인 재량에 달려 있으며, 이는 사법 임명이 정치적이며 정치적 이득을 위해 이루어진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28] 제거를 보증하지 않는 사법 비위와 판사의 무능력과 관련된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2013년 뉴사우스웨일스 주 대법원장 톰 배서스트는 사법 및 법원 성과가 측정되는 방식이 호주에서 권력 분립에 가장 실질적인 위험 중 하나라고 밝혔다.[29]

6. 2. 캐나다

캐나다는 헌법에 사법권 독립의 수준을 명시하고 있으며, 1867년 ''헌법법, 1867''의 96조에서 100조에 따라 상위 법원 판사에게 독립을 보장한다. 여기에는 종신 재임 권한(하지만 헌법이 개정되어 75세에 정년퇴직이 도입됨)과 캐나다 의회가 결정하는 급여를 받을 권리가 포함된다(행정부가 아닌). 1982년에는 ''캐나다 권리 및 자유 헌장''의 제11조에 의해 형법을 전문으로 하는 하위 법원에 사법 독립의 측면이 확대되었다.

1997년 캐나다 대법원은 모든 판사에게 사법 독립을 보장하는 명시되지 않은 헌법적 규범을 발견했다. 이 명시되지 않은 규범은 ''헌법법, 1867''의 전문에 의해 암시된다고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사법 보상 및 혜택 위원회와 같은 사법 보상 위원회는 현재 캐나다의 사법 급여를 권고한다.

사법 독립에는 제도적 독립과 결정 독립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제도적 독립은 사법부가 행정부 및 입법부와 독립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결정 독립은 판사가 미디어, 정치 또는 기타 우려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결정에 대한 직업적 불이익을 두려워하지 않고, 오직 법과 사실에 근거하여 사건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6. 3. 홍콩

홍콩에서 사법권의 독립은 1842년 이 지역이 영국 왕실 식민지가 된 이후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30] 1997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홍콩의 주권이 이양된 후, 중영공동선언에 따라 국제 연합에 등록된 국제 조약인 사법권의 독립은 영국 관습법의 유지와 함께 홍콩의 헌법 문서인 홍콩 기본법에 명시되었다.[30][31]

6. 4. 싱가포르

싱가포르의 사법 독립은 싱가포르 헌법, 국가 법원법 및 고등 법원 법과 같은 법률 및 관습법에 의해 보호된다. 사법 독립을 보호하기 위해, 싱가포르 법은 고등 법원의 사법관의 행동에 대해 국회에서 논의하기 전 특별 절차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비위 행위로 인해 그들을 해임하는 절차를 규정하며, 재임 기간 동안 그들의 보수를 삭감할 수 없도록 규정한다. 법률에 의해, 국가 법원의 사법관과 고등 법원의 서기, 부서기 및 보조 서기는 민사 소송으로부터 면제되며,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는 사건을 심리하고 결정하는 것이 금지된다. 관습법은 고등 법원 판사에게 유사한 보호와 제약을 제공한다.

수석 재판관 및 기타 고등 법원 판사는 싱가포르 대통령이 싱가포르 내각의 자문에 따라 임명한다. 대통령은 다른 판사를 임명할 때 수석 재판관과 협의해야 하며, 내각의 자문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임명을 거부할 수 있는 개인적인 재량권을 행사할 수 있다. 고등 법원 판사는 65세까지 임기 보장을 받으며, 이후에는 직에서 물러난다. 그러나 헌법은 그러한 판사를 임기제로 재임명하는 것을 허용한다.

6. 5. 미국

미국 헌법 제3조는 연방 정부의 일부로서 연방 법원을 설립한다. 헌법은 연방 판사, 연방 대법원 판사를 포함하여, 대통령이 상원의 조언과 동의를 받아 임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단 임명된 연방 판사는 "훌륭한 행위를 하는 동안" 직무를 수행하며, 정해진 시간에 봉사에 대한 보수를 받고, 재임 기간 동안 감액되지 않는다.

연방 판사는 사망, 사임, 또는 의회에 의한 의회의 탄핵과 해임에 의해서만 직무를 사임하며, 지금까지 단 13명의 연방 판사만이 탄핵되었다. "훌륭한 행위를 하는 동안"이라는 문구는 존 애덤스가 1773년 1월 11일 발행된 보스턴 가제트에 보낸 편지에서 언급했을 정도로 독립 선언보다 먼저 사용되었다.[37] 그는 이 문구를 영국에서 1701년 왕위 계승법 제3조에 처음 등장한 ''quamdiu se bene gesserint''와 동일시했다.[37]

대통령은 누구든지 연방 법원에 임명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미국 변호사 협회와 협의하며, 연방 사법부에 관한 상임 위원회는 각 지명자를 "적격", "자격", 또는 "자격 없음"으로 평가한다. 주 법원은 사법부 독립 문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며, 여러 형태의 사법부 선출 방식이 지방법원고등법원 (주 대법원 포함) 모두에 사용되며, 이는 주마다, 때로는 주 내에서도 다르다. 일부 주에서는 판사가 선출되며 (때로는 정당 투표로, 때로는 무당파 투표로), 다른 주에서는 주지사 또는 주의회가 임명한다.

2000년의 부시 대 고어 사건에서, 일부 조지 H. W. 부시 대통령 임명자를 포함한 대법원 다수가 플로리다 주 대법원에 계류 중이던 조지 W. 부시 선거에 대한 이의 제기를 뒤집었는데, 플로리다 주 대법원의 구성원들은 모두 민주당 주지사에 의해 임명되었다. 이 사건은 플로리다 주 대법원과 미국 대법원 모두에 대해 사법 독립의 필요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사건은 전통적으로 판사의 자격에 초점을 맞추던 것에서 판결 결과에 대한 초점과 관심을 증가시켰다.

참조

[1] 간행물 The Federalist https://books.google[...] Wesleyan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Asian Discourses of Rule of Law: Theories and Implementation of Rule of Law in Twelve Asian Countries, France and the U.S. Routledge
[3] 간행물 The Importance of Judicial Independence and Accountability https://ncsc.content[...] National Center for State Courts 2003-01
[4] 문서 Constitution, Art. 93A,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s Act, ss. 71–80; and the Parliamentary Elections Act, ss. 92–101. Singapore legislation
[5] 뉴스 Defining the rules The European Lawyer 2009-10
[6] 논문 Democracy, Legitimacy and the Rule of Law: Linkages 2000
[7] 서적 Litigating Judicial Selection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
[8] 논문 'The Normative Cycle of Shaping Judicial Independenc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w: The Mutual Impact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Jurisprudence and Contemporary Practical and Conceptual Challenges’' 2009
[9] 서적 Judges on Trial
[10] 서적 The Spirit of the Laws Hafner
[11] 문서 Article III of the US Constitution provides that “the judges, both of the supreme and inferior courts, shall hold their offices during good behavior, and shall, at stated times, receive for their services, a compensation which shall not be diminished during their continuance in office.”
[12] 서적 Judicial Independence
[13] 법률 UK Human Rights Act 1998
[14] 웹사이트 Human Rights Act 1998 (C. 42) http://www.opsi.gov.[...] 2013-01-02
[15] 법률 Constitutional Reform Act (2005), ch 4 (UK)
[16] 서적 Blair's Britain, 1997-200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Law and Politics: The House of Lords as a Judicial Body, 1800-1976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8] 서적 Blair's Britain, 1997-200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문서 Treaty on European Union 1992-07-29
[20] 판례 Valente v The Queen 1985
[21] 논문 Fundamental Values of the Justice System
[22] 웹사이트 Mt. Scopus Approved Revised International Standards of Judicial Independence Approved March 19, 2008 http://www.jiwp.org/[...]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Judicial Independence and World Peace - International Project of judicial independence 2014-11-09
[23] 논문 The V-Dem measurement model: latent variable analysis for cross-national and cross-temporal expert-coded data. https://papers.ssrn.[...]
[24] 웹사이트 The struggle for judicial independence http://www.law.mq.ed[...] 2019-01-07
[25] AustLII
[26] 웹사이트 Public Confidence in the Courts http://www.hcourt.go[...] 2007-02-09
[27] 웹사이트 Discipline of judicial officers in Australia http://www.hcourt.go[...] 2001-02
[28] 서적 The Australian Federal Judicial System 1990
[29] 웹사이트 Separation of Powers: Reality or Desirable Fiction? http://www.austlii.e[...] 2019-01-07
[30] 웹사이트 "The Basic Law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hapter 1 http://www.basiclaw.[...] basiclaw.gov.HK 2016-07-14
[31] 웹사이트 "The Basic Law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hapter 4, Section 4 http://www.basiclaw.[...] basiclaw.gov.HK 2016-07-14
[32] 판례 Provincial Judges Reference
[33] 웹사이트 Independence http://www.judiciary[...] Courts and Tribunals Judiciary 2014-11-09
[34] 판례 Provincial Judges Reference
[35] 웹사이트 Constitutional reform http://www.judiciary[...] Courts and Tribunals Judiciary 2014-11-09
[36] act
[37] 서적 The Works of John Adams, Vol 3 Little and Brown
[38] 글로벌 사법권의 독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