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이드 이펙트 (2013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드 이펙트》는 스티븐 소더버그가 감독하고, 루니 마라, 주드 로, 채닝 테이텀 등이 출연한 2013년 개봉한 심리 스릴러 영화이다. 영화는 내부자 거래로 수감되었다 출소한 남편 마틴의 아내 에밀리가 자살 시도로 보이는 행동을 하면서 시작된다. 에밀리의 정신과 의사 조나단은 새로운 약물 아블릭사를 처방하지만, 부작용으로 몽유병 증세가 나타나고, 몽유병 상태에서 남편을 살해하게 된다. 이후 조나단은 에밀리의 무죄를 주장하지만,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반전을 맞이한다. 영화는 약물 부작용, 정신 질환, 사회적 낙인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면 장애를 소재로 한 영화 - 인썸니아 (영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인썸니아》는 알래스카 백야 속 10대 소녀 살인사건을 수사하는 형사 윌 도머가 수면 장애와 죄책감에 시달리며 파트너 살해 은폐 시도 중 진실이 드러나는 심리 스릴러로, 알 파치노, 로빈 윌리엄스, 힐러리 스웽크 등이 출연했다.
  • 수면 장애를 소재로 한 영화 - 파이트 클럽 (영화)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영화 《파이트 클럽》은 척 팔라닉의 소설을 원작으로, 소비 문화와 사회 비판을 담고 있으며, 불면증에 시달리는 주인공이 타일러 더든을 만나 비밀 조직 '파이트 클럽'을 결성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 영화 - 더 리포트
    《더 리포트》는 CIA의 강화된 심문 기법에 대한 상원 정보위원회의 보고서를 다룬 2019년 미국 정치 스릴러 영화로, 상원 조사팀의 조사 과정, CIA의 고문 행위와 은폐 시도, 보고서 발표 과정의 권력 갈등을 묘사하며, CIA의 고문 실태 폭로와 정부의 책임 회피 문제를 다룬다.
  •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 영화 - 쇼를 사랑한 남자
    2013년 HBO 영화 《쇼를 사랑한 남자》는 리베라체와 스콧 손슨의 관계를 그린 작품으로, 마이클 더글러스와 맷 데이먼이 주연을 맡았으며, 스콧 손슨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마약을 소재로 한 영화 - 베테랑 2
    영화 《베테랑 2》는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 형사 서도철과 박선우가 연쇄살인사건을 수사하며 정의, 가족, 개인의 고뇌를 다루는 범죄 스릴러로, 국내외 영화제에 초청되어 흥행과 함께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 마약을 소재로 한 영화 - 끝까지 간다
    2014년 개봉한 김성훈 감독의 스릴러 영화 《끝까지 간다》는 부패한 형사가 뺑소니 사고를 은폐하려다 더 큰 범죄에 휘말리는 예측 불허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칸 영화제 감독 주간 초청 및 흥행 성공, 여러 영화 시상식 수상, 다양한 국가에서의 리메이크 등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사이드 이펙트 (2013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극장 개봉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원제Side Effects
감독스티븐 소더버그
각본스콧 Z. 번스
제작로렌초 디 보나벤투라
그레고리 제이콥스
스콧 Z. 번스
출연주드 로
루니 마라
캐서린 제타존스
채닝 테이텀
촬영피터 앤드루스
편집메리 앤 버나드
음악토머스 뉴먼
제작사엔드게임 엔터테인먼트, 필름네이션 엔터테인먼트, 디 보나벤투라 픽처스
배급사오픈 로드 필름스, 프레시디오 (일본)
개봉일2013년 2월 8일 (미국), 2013년 9월 6일 (일본), 2013년 7월 11일 (대한민국)
상영 시간106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장르사이코 스릴러
제작비
예산3천만 달러
흥행
흥행 수입6670만 달러

2. 줄거리

남편 마틴이 내부자 거래 혐의로 4년의 징역을 마치고 출소한 후, 뉴욕주 베드퍼드의 사교계 명사 에밀리 테일러는 자살 시도로 보이는 행동으로 차를 벽에 들이받는다. 그녀의 담당 정신과 의사인 조나단 뱅크스는 여러 항우울제를 처방하지만 효과가 없자, 에밀리의 이전 정신과 의사인 빅토리아 시버트에게 연락한다. 빅토리아는 실험적인 신약 아블릭사를 제안하고, 이 약은 에밀리에게 효과가 있는 듯 보였으나 부작용으로 몽유병 증세를 유발한다.

어느 날 밤, 에밀리는 몽유병 상태에서 마틴을 칼로 찔러 살해한다. 조나단은 법정에서 에밀리의 무죄를 뒷받침하는 증언을 한다. 에밀리는 심신 미약을 주장하여 무죄 판결을 받지만, 조나단의 승인 없이는 정신 병원에 계속 입원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이 사건으로 조나단의 의사로서의 평판은 크게 손상되고 동료들은 그의 과실을 의심하며 진료에서 배제시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조나단은 에밀리가 우울증을 앓지 않았으며 자살 시도 또한 꾸며낸 것이라는 증거를 발견한다. 그는 또한 누군가가 아블릭사의 주가 하락을 통해 이익을 얻었을 가능성을 인지한다. 조나단은 에밀리에게 진실의 혈청이라고 속여 생리 식염수를 투여한 후 인터뷰를 진행하는데, 에밀리가 졸린 척 연기함으로써 조나단의 의심은 확신으로 바뀐다.

조나단이 자신이 알아낸 사실을 빅토리아에게 이야기하자, 빅토리아는 조나단의 아내 디어드리에게 조나단과 에밀리의 불륜을 암시하는 사진을 보내고, 디어드리는 아들과 함께 집을 나간다.

조나단은 에밀리가 음모에 대해 털어놓았다고 말하며 빅토리아를 압박한다. 그는 에밀리에게 전기 충격 요법을 시행할 것처럼 위협하고, 빅토리아가 에밀리를 계속 감금시켜 더 많은 돈을 얻기 위해 자신에게 돈을 지불하고 있다고 밝힌다.

결국 에밀리는 호화로운 생활을 잃게 만든 마틴에 대한 증오심으로 살해 음모를 꾸몄다고 고백한다. 상담을 통해 만난 빅토리아와 연인 관계가 되었고, 에밀리는 빅토리아에게 금융 지식을, 빅토리아는 에밀리에게 정신 질환 위장법을 가르쳤다. 그들은 마틴을 살해하고 아블릭사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이용해 주가를 조작할 계획을 세웠던 것이다. 조나단은 에밀리에게서 돈을 받는 대가로 그녀의 병동 석방을 돕겠다고 제안하는 척한다.

에밀리는 도청 장치를 착용한 채 빅토리아를 만나 음모의 세부 사항에 대한 대화를 유도한다. 이 대화 내용이 증거가 되어 빅토리아는 살인 공모 및 증권 사기 혐의로 체포된다. 에밀리는 일사부재리 원칙에 따라 마틴 살해 혐의로는 처벌받지 않는다.

그러나 에밀리의 사건을 여전히 감독하고 있는 조나단은 그녀의 음모에 대한 보복으로 클로르프로마진과 데파코트를 처방하며 그 약들의 불쾌한 부작용을 설명한다. 에밀리가 치료를 거부하자 그녀는 다시 정신 병동으로 보내진다. 조나단은 잃었던 가족과 사회적 평판을 되찾고, 에밀리는 정신 병원에 남겨진 채 영화는 끝난다.

3. 등장인물

wikitext

배우배역
주드 로조너선 뱅크스 박사(Dr. Jonathan Banks)
루니 마라에밀리 테일러(Emily Taylor)
캐서린 제타존스빅토리아 시버트 박사(Dr. Victoria Siebert)
채닝 테이텀마틴 테일러(Martin Taylor)
비네사 쇼[31]디어드리 뱅크스(Deirdre Banks)
앤 다우드마틴의 어머니
폴리 드래퍼에밀리의 상사
데이비드 코스타빌칼 밀뱅크(Carl Millbank)
메이미 거머케일라 밀뱅크(Kayla Millbank)


3. 1. 주요 인물


  • 주드 로 - 조너선 뱅크스 박사(Dr. Jonathan Banks) 역: 에밀리의 담당 정신과 의사. 내부자 거래 혐의로 복역 후 출소한 남편 마틴과 재회한 에밀리가 우울증 증세를 보이자 여러 약을 처방하지만 효과가 없자, 이전 담당의였던 시버트 박사의 추천으로 신약 '아블릭사'를 처방한다. 그러나 에밀리가 몽유병 부작용으로 남편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심신 미약을 주장하여 에밀리의 무죄 판결을 돕는다. 이 사건으로 인해 사회적 평판이 실추되고 어려움을 겪지만,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기 시작하며 에밀리와 시버트 박사의 음모를 밝혀낸다.
  • 루니 마라 - 에밀리 테일러(Emily Taylor) 역: 내부자 거래 혐의로 수감되었던 남편 마틴의 출소 후 우울증을 겪는 여성. 뱅크스 박사가 처방한 신약 '아블릭사' 복용 후 몽유병 증세로 남편 마틴을 살해한다. 심신 미약으로 무죄 판결을 받지만, 실제로는 이전 담당의였던 시버트 박사와 공모하여 남편을 살해하고 약의 부작용을 이용해 주가를 조작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모든 계획이 밝혀진 후 정신 병원에 수감된다.
  • 캐서린 제타존스 - 빅토리아 시버트 박사(Dr. Victoria Siebert) 역: 에밀리의 이전 정신과 의사. 뱅크스 박사에게 신약 '아블릭사' 사용을 권유한다. 에밀리와 연인 관계였으며, 에밀리에게 정신 질환을 위장하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남편 살해 및 주가 조작 음모를 함께 계획했다. 뱅크스 박사에 의해 음모가 밝혀져 살인 공모 및 증권 사기 혐의로 체포된다.
  • 채닝 테이텀 - 마틴 테일러(Martin Taylor) 역: 에밀리의 남편. 내부자 거래 혐의로 4년간 복역 후 출소한다. 출소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아내 에밀리에게 살해당한다.

3. 2. 조연

4. 제작 과정

영화 제작은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과 스콧 Z. 번스 각본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주요 촬영은 2012년 4월 뉴욕 시에서 시작되었다.[5][35][11][38]

4. 1. 기획 및 각본

영화의 원래 제목은 ''The Bitter Pill''이었으며, 스티븐 소더버그가 감독을 맡고 스콧 Z. 번스가 각본을 썼다.[5][35] 제작에는 로렌조 디 보나벤투라, 그레고리 제이콥스, 그리고 각본을 쓴 번스가 함께 참여했다.[5]

2012년 1월, 애나푸르나 픽처스(Annapurna Pictures)가 제작을 맡을 것으로 보도되었으나,[6][36] 몇 주 후 프로젝트에서 하차했고, 대신 엔드게임 엔터테인먼트(Endgame Entertainment)가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7][37]

주인공 역에는 원래 블레이크 라이블리가 캐스팅되었으나,[8] 이후 루니 마라로 교체되었다.[9] 2012년 3월에는 비네사 쇼주드 로가 맡은 역할의 아내 역으로 출연을 논의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10]

4. 2. 캐스팅

배역배우
조나단 뱅크스 박사주드 로
에밀리 테일러루니 마라
빅토리아 시버트 박사캐서린 제타 존스
마틴 테일러채닝 테이텀
디어드리 뱅크스비네사 쇼[31]
마틴의 어머니앤 다우드
에밀리의 상사폴리 드레이퍼
칼 밀뱅크데이비드 코스타빌
케일라 밀뱅크메이미 거머



당초 에밀리 테일러 역에는 블레이크 라이블리가 캐스팅되었으나[32], 이후 루니 마라로 변경되었다.[33] 빅토리아 시버트 박사 역의 캐서린 제타 존스는 이 영화를 통해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과 『트래픽』(2000), 『오션스 트웰브』(2004)에 이어 세 번째로 함께 작업했다.[34]

4. 3. 촬영

원래 영화 제목은 'The Bitter Pill'이었으며, 스티븐 소더버그가 감독, 스콧 Z. 번스가 각본을 맡았고, 로렌조 디 보나벤투라와 그레고리 제이콥스, 번스가 프로듀서로 참여했다.[35] 2012년 1월에는 아나푸르나 픽처스가 제작한다는 보도가 있었으나,[36] 몇 주 후 아나푸르나는 프로젝트에서 물러났고, 엔드게임 엔터테인먼트가 출자하게 되었다.[37]

주요 촬영은 2012년 4월 5일 뉴욕 시에서 시작되었다.[11] 세트장의 첫 번째 사진은 2012년 4월 10일에 공개되었다.[12][13]

5. 음악

토마스 뉴먼이 영화 ''사이드 이펙트''의 음악을 작곡하고 프로듀싱했다. 영화 음악은 토마스 뉴먼이 작곡했으며, 2013년 3월 5일에 바레즈 사라반드 레코드에서 스코어반이 발매되었다.[14]

#제목작곡가길이
1급성 수면 장애토마스 뉴먼0:41
2매우 아픈 소녀 (메인 타이틀)토마스 뉴먼2:25
3휴스턴 무료 의약품토마스 뉴먼2:22
4상대성토마스 뉴먼1:22
5과거의 행동토마스 뉴먼1:28
6또 다른 무죄토마스 뉴먼3:27
7토마스 뉴먼1:20
8절망토마스 뉴먼1:22
9앨리슨 핀토마스 뉴먼2:27
10어둡고 폭풍우 치는 날토마스 뉴먼1:10
11유독한 안개토마스 뉴먼2:29
12소금물토마스 뉴먼2:00
13행동 검토토마스 뉴먼2:09
14이중 위험토마스 뉴먼0:46
15꾀병토마스 뉴먼5:42
16세인트 루크토마스 뉴먼1:23
17내일을 되찾아 (엔드 타이틀)토마스 뉴먼2:21
18잊혀진 사람들 (노래: 시프리 코퍼레이션)토마스 뉴먼3:12


6. 평가

이 영화는 비평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주요 영화 평점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메타크리틱 등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호평을 받았다.[17][18] 여러 매체의 비평가들 역시 영화의 완성도,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의 연출, 배우들의 연기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시네마스코어에서 조사한 관객 평점은 평균 "B" 등급으로 나타나, 비평가들의 반응과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19]

6. 1. 비평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223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81%의 신선도 지수를 얻었으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7.3점을 기록했다. 로튼 토마토의 비평가 합의 내용은 "똑똑하고 영리하며 불안감을 자극하는 많은 반전이 있는 스릴러로, ''사이드 이펙트''는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의 또 다른 확실한 작품이다"이다.[17] 메타크리틱에서는 40명의 평론가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75점을 받아 "전반적으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18] 시네마스코어에서 조사한 관객들은 A+부터 F까지의 등급 중 평균 "B" 등급을 주었다.[19]

''Honey Cutts Hollywood''의 커크 허니컷은 이 영화를 "포스트모던 히치콕 스릴러"라고 부르며 "믿을 수 없는" 스토리 소재를 칭찬했다.[21] ''타임''지의 리처드 코리스는 긍정적인 리뷰를 통해 감독과 각본가를 칭찬했다. 그는 이 영화가 ''스펠바운드'', ''잘못된 남자'', ''현기증'', ''마니''와 같은 히치콕 영화들, 그리고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의 ''옵세션'', ''드레스드 투 킬'', ''레이징 케인'', ''패션''과 유사하다고 언급하며, "영감보다는 효율성에 가깝지만, 소더버그는 스타일만으로는 거의 성공하지 못한다. 그러나 ''사이드 이펙트''와 같은 날카로운 각본이 주어지면 훌륭한 영화를 만들 수 있다. 만약 이것이 그의 마지막 작품이라면, 기억에 남을 만한 작품이다"라고 평가했다.[22]

영국의 ''가디언''지의 피터 브래드쇼는 이 영화에 최고 점수인 별 5개를 주며, "거대 제약 회사와 정신 건강 문제를 다룬 긴장감 넘치는 심리 스릴러로, 마지막 한 번의 처방을 더 갈망하게 만든다"고 평했다. 그는 루니 마라의 주연 연기를 "매력적"이라고 칭찬하며, "그녀는 자신의 존재감으로 영화의 분위기를 주도한다. 공포심과 연민을 동시에 자아내는 강력한 히치콕적인 조합을 보여주며, 소더버그의 영화는 교활하고 거의 정맥 주사와 같은 방식으로 그 효과를 전달하는 데 성공한다"고 덧붙였다.[23] ''A.V. 클럽''의 스콧 토비아스는 마라를 "이 분열된 심리적 퍼즐을 하나로 묶는 접착제로서 훌륭하다"고 평가하며 소더버그의 세련된 연출을 칭찬했다. 그는 "''사이드 이펙트''는 구조적인 허세와 영리한 속임수를 통해 스릴러의 틀 안에서 움직이며, 관객을 마치 바이올린처럼 다룬다. 그의 경력에서 이 시점에 이른 소더버그는 노련한 거장의 솜씨로 이를 해낸다"고 말했다.[24] ''데일리 텔레그래프''의 로비 콜린 역시 별 5개 만점을 부여하며, 이전의 심리 스릴러에 대한 경의를 표했다. 그는 "알프레드 히치콕의 영향이 크지만, 앙리 조르주 클루조의 영향은 더욱 크다. 소더버그의 영화는 클루조의 고전 공포 영화 ''악마들'' (1954)과 유사한 유독한 분위기를 공유한다"고 적었다.[25]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영화의 연기, 각본, 연출을 높이 평가하며 "소더버그는 기분 변화 약물이 소셜 미디어만큼이나 만연하고 불안하게 느껴지는 세상에 대한 심리적 통찰력을 담아낸 긴장감 넘치는 서스펜스를 제공한다"고 썼다.[26] 피터 소브친스키는 별 4개 중 2개 반을 주었다.[20]

6. 2. 수상

wikitext

부문대상결과
베를린 국제 영화제황금곰상스티븐 소더버그후보
국제 온라인 영화상최우수 각본상스콧 Z. 번스후보
여우주연상루니 마라후보
월드 사운드트랙 아카데미상올해의 영화 작곡가토마스 뉴먼후보


7. 흥행

《사이드 이펙트》는 2013년 2월 8일 미국 전역에 개봉했다.[16] 개봉 첫 주말 박스 오피스에서 930.0000000000001만달러의 수익을 올려, 같은 주에 개봉한 《아이덴티티 씨프》(3460만달러)와 《웜 바디스》(1140만달러)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16][42] 이 영화는 최종적으로 미국에서 3220.0000000000005만달러, 기타 지역에서 3120만달러의 수익을 올려 전 세계적으로 총 6340만달러의 흥행 수익을 기록했다.[16]

8. 주제 및 해석

영화 《사이드 이펙트》는 신약의 위험성과 정신 질환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다루는 심리 스릴러이다. 영화는 항우울제 '아블릭사'의 부작용으로 알려진 몽유병 증상으로 인해 남편을 살해한 혐의를 받는 에밀리 테일러와 그녀를 치료하는 정신과 의사 조나단 뱅크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영화는 표면적으로 신약 개발과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부작용의 위험성과 그 책임 소재를 묻는다. 특히, 환자에게 약물을 처방하는 의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사건 발생 시 의사가 겪게 되는 사회적 비난 및 직업적 위기를 현실적으로 묘사한다. 이는 제약 산업의 이윤 추구 논리와 환자의 안전 사이의 긴장 관계를 드러낸다.

더 나아가 영화는 정신 질환의 진단과 치료 과정의 불확실성, 그리고 이를 악용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에밀리와 그녀의 전 담당 의사 빅토리아 시버트의 공모는 정신 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동정심, 의료 시스템의 허점을 이용한 범죄 계획이었다. 그들의 목표는 개인적인 복수와 주가 조작을 통한 경제적 이익이었으며, 이는 인간의 탐욕이 어떻게 윤리적, 법적 경계를 넘어서는지를 보여준다.

결국 영화는 약물 부작용, 정신 질환과 사회적 낙인, 의료 윤리, 사법 시스템의 맹점(일사부재리) 등 여러 층위의 주제를 엮어내며 관객에게 복합적인 질문을 던진다. 진실을 밝히려는 개인의 노력이 또 다른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는 결말은, 문제 해결의 복잡성과 현대 사회 시스템의 아이러니를 시사한다.

8. 1. 약물 부작용과 윤리적 문제

영화는 신약 '아블릭사'의 심각한 부작용몽유병 증상과 이로 인해 벌어지는 비극적인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주인공 에밀리 테일러는 항우울제 아블릭사 복용 후 나타난 몽유병 상태에서 남편 마틴을 살해한다. 그녀는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심신 미약 상태를 주장하여 무죄 판결을 받지만, 정신 병원에 수감된다.

이 사건은 에밀리에게 약을 처방했던 정신과 의사 조나단 뱅크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에밀리의 무죄 주장을 뒷받침했지만, 결과적으로 환자 관리 소홀 및 오진 가능성에 대한 의심을 받으며 사회적 신뢰를 잃고 동료들에게 외면당하며 직업적, 경제적 위기에 처했다. 이는 신약 처방과 그 부작용 관리에 따르는 의사의 책임과 윤리적 딜레마를 보여준다.

그러나 조나단은 에밀리의 행동과 진술에서 의심스러운 점을 발견하고 독자적으로 진실을 추적하기 시작한다. 그는 에밀리가 실제로는 우울증을 앓고 있지 않았으며, 자살 시도와 몽유병 증상 모두 의도적으로 연기했다는 증거를 찾아낸다. 이 과정에서 그는 에밀리가 복용한 아블릭사의 주가 하락으로 누군가 이익을 보았을 가능성에도 주목한다.

조사 결과, 이 모든 사건은 에밀리와 그녀의 전 담당 의사이자 연인이었던 빅토리아 시버트가 공모한 범죄임이 드러난다. 에밀리는 내부자 거래로 수감되었던 남편 마틴 때문에 사교계에서의 명성과 부를 잃은 것에 대한 증오심으로 복수를 계획했다. 그녀는 정신과 상담을 통해 만난 빅토리아와 연인 관계로 발전했고, 빅토리아는 에밀리에게 정신 질환 증상을 위장하는 방법을, 에밀리는 빅토리아에게 금융 사기 수법을 가르쳐 주었다. 그들은 아블릭사의 부작용을 이용해 마틴을 살해하고, 약물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형성하여 주가를 조작함으로써 막대한 이익을 얻으려 했다. 이는 개인적인 복수심과 탐욕을 위해 신약의 부작용을 악용하고 진실을 은폐·조작하는 비윤리적인 행태를 보여준다.

결국 조나단은 도청 장치 등을 이용해 에밀리와 빅토리아의 살인 공모 및 증권 사기 혐의를 입증한다. 빅토리아는 체포되지만, 에밀리는 일사부재리 원칙에 따라 남편 살해 혐의에 대해서는 법적 처벌을 피하게 된다. 이에 조나단은 여전히 에밀리의 담당 의사로서의 권한을 이용하여, 그녀에게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다른 정신과 약물(클로르프로마진, 데파코트)을 처방함으로써 복수한다. 이 결말은 진실을 밝혀낸 의사가 또 다른 윤리적 문제에 직면하는 복잡한 상황을 보여주며, 약물 사용과 처방에 대한 책임과 윤리의 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영화는 신약 개발 경쟁과 그 이면에 숨겨진 제약 회사 및 의료계의 윤리적 문제, 그리고 약물 부작용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8. 2. 정신 질환과 사회적 낙인

영화는 우울증을 앓는 것으로 보이는 여성 에밀리 테일러와 그녀를 치료하는 정신과 의사 조나단 뱅크스를 중심으로, 정신 질환 진단 및 치료 과정의 문제와 그 사회적 파장을 다룬다. 남편 마틴이 내부자 거래 혐의로 복역 후 출소하자 에밀리는 자살 시도를 위장하고, 조나단은 여러 항우울제가 효과를 보이지 않자 이전 담당의 빅토리아 시버트의 조언에 따라 신약 '아블릭사'를 처방한다.

아블릭사는 에밀리의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는 듯 보였으나, 몽유병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결국 에밀리는 몽유병 상태에서 남편 마틴을 살해하게 되고, 법정에서는 심신 미약을 인정받아 무죄 판결을 받지만, 정신 병원에 수용된다. 이 사건은 정신 질환이 범죄 행위의 법적 책임 판단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의 논란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편, 에밀리에게 아블릭사를 처방한 조나단은 이 사건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큰 비난에 직면한다. 환자의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위험한 약물을 처방했다는 의혹을 받으며, 동료 의사들 사이에서도 신뢰를 잃고 결국 직업적,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정신 질환 관련 사건에 연루된 의료 전문가가 겪을 수 있는 사회적 낙인과 불신을 보여준다.

그러나 조나단은 자신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사건의 진상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충격적인 사실을 발견한다. 에밀리는 실제로는 우울증을 앓고 있지 않았으며, 자살 시도, 우울증 증상, 몽유병 등 모든 것을 의도적으로 연기했다는 점이다. 그녀는 이전 담당 의사이자 연인이었던 빅토리아와 공모하여, 남편에 대한 복수심과 아블릭사 주가 조작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목적으로 범죄를 계획했다. 빅토리아는 정신과 의사로서의 지식을 이용해 에밀리에게 정신 질환 증상을 위장하는 방법을 가르쳤다.

이들의 범죄 계획은 정신 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동정심, 정신과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의 허점, 그리고 신약의 부작용 가능성 등을 교묘하게 악용한 사례이다. 영화는 정신 질환 자체보다 이를 둘러싼 사회적 인식과 제도의 악용 가능성, 그리고 그 과정의 윤리적, 법적 딜레마를 스릴러 장르로 보여준다.

결국 조나단이 모든 진실을 밝혀내면서 빅토리아는 살인 공모 및 증권 사기 혐의로 체포된다. 에밀리는 일사부재리 원칙 덕분에 살인죄 처벌은 면하지만, 조나단의 의학적 판단 아래 다시 정신 병원에 보내진다. 조나단은 잃었던 사회적 신뢰와 평판을 되찾는다. 영화는 정신 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지원의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동시에, 정신 질환을 둘러싼 사회 시스템의 허점과 악용 가능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다.

참조

[1] 웹사이트 "''SIDE EFFECTS'' (15)" https://www.bbfc.co.[...] 2013-02-05
[2] 뉴스 "'Identity Thief' will easily steal No. 1 from 'Side Effects'" https://www.latimes.[...] 2013-06-01
[3] 웹사이트 " Side Effects(2013)" https://www.the-numb[...] 2013-05-18
[4] 웹사이트 "Open Road Sets Steven Soderbergh's 'Bitter Pill' For February 8, 2013 Release" https://web.archive.[...] 2012-07-14
[5] 웹사이트 "Steven Soderbergh's New Project Is Thriller 'The Bitter Pill' (Exclusive)" https://www.hollywoo[...] 2012-01-19
[6] 웹사이트 "Soderbergh Not Ready to Retire Yet; Open Road and Annapurna Releasing 'Side Effects'" https://www.reuters.[...] 2012-01-19
[7] 웹사이트 "Endgame to Finance Steven Soderbergh's 'Bitter Pill'" https://www.hollywoo[...] 2012-02-04
[8] 웹사이트 "Exclusive: Blake Lively, Jude Law & Channing Tatum Will Lead Steven Soderbergh's 'The Side Effects'" https://web.archive.[...] 2012-01-19
[9] 웹사이트 "Rooney Mara Takes Lead In Steven Soderbergh's 'Side Effects'" https://deadline.com[...] 2012-02-04
[10] 웹사이트 "Vinessa Shaw In Talks To Join Steven Soderbergh's 'Bitter Pill'" https://web.archive.[...] 2012-04-12
[11] 웹사이트 "'Bitter Pill', starring Channing Tatum and Jude Law, filming underway in NYC!" https://web.archive.[...] 2012-04-12
[12] 웹사이트 "[First Look] Rooney Mara Goes Piercing Free On Steven Soderbergh's 'Bitter Pill' Set" http://thefilmstage.[...] 2012-04-12
[13] 웹사이트 "Rooney Mara, Jude Law in 'The Bitter Pill' – First Look Pictures" http://www.digitalsp[...] 2012-04-12
[14] 웹사이트 Side Effects http://www.soundtrac[...] soundtrack.net 2015-07-01
[15] 웹사이트 Berlinale Competition 2013: Another Nine Films Confirmed https://web.archive.[...] 2013-01-11
[16] 웹사이트 Side Effects https://www.boxoffic[...]
[17] 웹사이트 Side Effects https://www.rottento[...] 2013-06-01
[18] 웹사이트 Side Effects https://www.metacrit[...]
[19] 웹사이트 "Melissa McCarthy leads 'Identity Thief' to biggest opening of 2013" https://www.latimes.[...] 2020-06-06
[20] 웹사이트 "Side Effects Movie Review & Film Summary (2013)" https://www.rogerebe[...] 2013-06-01
[21] 웹사이트 "Side Effects is Steven Soderbergh's post-modern Hitchcock thriller" http://honeycuttshol[...] 2013-06-01
[22] 간행물 "''Side Effects'': One Pill Makes You Murder" https://entertainmen[...] 2013-06-01
[23] 뉴스 "Side Effects – review" https://www.theguard[...] 2013-06-01
[24] 웹사이트 Side Effects https://www.avclub.c[...] 2015-11-17
[25] 뉴스 Side Effects, review https://www.telegrap[...] 2013-06-01
[26] 간행물 Side Effects https://www.rollings[...] 2013-06-01
[27] 웹사이트 "Thomas Newman to Score Steven Soderbergh's 'The Bitter Pill'" http://filmmusicrepo[...] 2012-07-14
[28] 웹사이트 "''SIDE EFFECTS'' (15)" http://www.bbfc.co.u[...] 2013-02-05
[29] 뉴스 "'Identity Thief' will easily steal No. 1 from 'Side Effects'" http://www.latimes.c[...] 2013-06-01
[30] 웹사이트 " Side Effects(2013)" http://www.the-numbe[...] 2013-05-18
[31] 웹사이트 "Vinessa Shaw In Talks To Join Steven Soderbergh's 'Bitter Pill'" http://www.deadline.[...] 2012-04-12
[32] 웹사이트 "Exclusive: Blake Lively, Jude Law & Channing Tatum Will Lead Steven Soderbergh's 'The Side Effects'" http://blogs.indiewi[...] 2012-01-19
[33] 웹사이트 "Rooney Mara Takes Lead In Steven Soderbergh's 'Side Effects'" http://www.deadline.[...] 2012-02-04
[34] 웹사이트 "Catherine Zeta-Jones Joins Steven Soderbergh's 'Side Effects'" http://www.deadline.[...] 2012-02-04
[35] 웹사이트 "Steven Soderbergh's New Project Is Thriller 'The Bitter Pill' (Exclusive)" http://www.hollywood[...] 2012-01-19
[36] 웹사이트 Soderbergh Not Ready to Retire Yet; Open Road and Annapurna Releasing 'Side Effects' http://www.reuters.c[...] ロイター 2011-01-18
[37] 웹사이트 Endgame to Finance Steven Soderbergh's 'Bitter Pill' http://www.hollywood[...] 2012-01-31
[38] 웹사이트 'Bitter Pill', starring Channing Tatum and Jude Law, filming underway in NYC! http://www.onlocatio[...] 2012-04-05
[39] 웹사이트 "[First Look] Rooney Mara Goes Piercing Free On Steven Soderbergh's 'Bitter Pill' Set" http://thefilmstage.[...] 2012-04-10
[40] 웹사이트 Rooney Mara, Jude Law in 'The Bitter Pill' - First Look Pictures http://www.digitalsp[...] 2012-04-11
[41] 웹사이트 Berlinale Competition 2013: Another Nine Films Confirmed http://www.berlinale[...] 2013-01-11
[42] 웹사이트 Box office report: 'Identity Thief' wins the weekend, beats 'Bridesmaids' https://edition.cnn.[...] 2013-02-11
[43] 웹사이트 Side Effects https://www.rottento[...] 2014-12-03
[44] 웹사이트 Side Effects http://www.metacriti[...] 2013-06-13
[45] 웹사이트 Side Effects is Steven Soderbergh's post-modern Hitchcock thriller http://honeycuttshol[...] 2013-01-29
[46] 간행물 "Side Effects': One Pill Makes You Murder" http://entertainment[...] 2013-02-08
[47] 웹인용 "SIDE EFFECTS'' (15)" http://www.bbfc.co.u[...] 2013-02-05
[48] 뉴스 "'Identity Thief' will easily steal No. 1 from 'Side Effects'" http://www.latimes.c[...] 2013-02-07
[49] 웹인용 " Side Effects(2013)" http://www.the-numbe[...] 2013-05-18
[50] Deadline Open Road Sets Steven Soderbergh's 'Bitter Pill' For February 8, 2013 Release http://www.deadline.[...] 2012-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