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토크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토크롬은 헴기를 포함하는 단백질로, 1884년 호흡 색소로 처음 발견되었으며 1920년대에 명명되었다. 헴 철의 산화 또는 환원을 통해 전자 전달 반응과 촉매 작용을 수행하며, 세포 내 위치와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사이토크롬은 산화적 인산화, 광합성, 해독 등 다양한 생화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분자 시계 가설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이토크롬 |
---|
2. 역사
1884년, 찰스 알렉산더 맥먼이 사이토크롬을 호흡 색소(미오헤마틴 또는 히스토헤마틴)로 처음 기술했다.[21] 1920년대에 데이비드 케일린은 사이토크롬을 재발견하고 "세포 색소(cellular pigment)"라고 명명했다.[22] 케일린은 환원 상태에서 가장 낮은 에너지 흡수 밴드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이토크롬을 ''a''(605 nm), ''b''(≈565 nm), ''c''(550 nm)로 분류했다. 헴의 가시적 분광 서명은 환원된 비스-피리딘 결찰 상태, 즉 피리딘 혈색소 방법에서 헴 유형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각 부류(사이토크롬 ''a'', ''b'', ''c'') 내에서 초기 사이토크롬은 cyt ''c'', cyt ''c1'', cyt ''c2''와 같이 연속적으로 번호가 지정되었고, 최근에는 cyt ''c559''와 같이 환원된 상태의 R 밴드의 최대값으로 지정된다.[23]
헴기는 철 이온을 둘러싸고 있는 고도로 컨주게이트된 고리 시스템(전자의 이동성이 매우 높음)이다. 사이토크롬의 철은 일반적으로 제일철(Fe2+) 및 제이철(Fe3+) 상태로 존재하며, 페록소(Fe4+) 상태는 촉매 중간생성물에서 발견된다.[18] 따라서 사이토크롬은 헴 철의 환원 또는 산화를 통해 전자전달 반응과 촉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사이토크롬의 세포 내 위치는 기능에 따라 다르며, 구상 단백질과 막 단백질로 발견될 수 있다.
사이토크롬은 분광학, 헴기의 구조, 저해제 민감도, 환원 전위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별된다.[26] 보결분자단인 헴(heme)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3. 구조 및 기능
산화적 인산화 과정에서 구상 사이토크롬 ''c''는 막 결합 복합체 III에서 복합체 IV로의 전자 전달에 관여한다. 복합체 III 자체는 여러 소단위체로 구성되며, 그 중 하나는 b형 사이토크롬이고, 다른 하나는 c형 사이토크롬이다. 두 도메인 모두 복합체 내에서 전자 전달에 관여한다. 복합체 IV에는 전자를 전달하고 산소를 물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사이토크롬 ''a''/''a''3 도메인이 포함되어 있다. 광계 II는 산소 발생 광합성의 광의존적 반응에서 첫 번째 단백질 복합체로 사이토크롬 ''b'' 소단위체를 포함한다. 염증에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제네이스-2는 사이토크롬 ''b'' 단백질이다.
4. 유형
식물의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에서 발견되는 사이토크롬 ''f''는 c형 사이토크롬의 일종이다.[29]
사이토크롬 P450 계열은 헴 철이 환원되고 일산화 탄소와 복합체를 형성할 때 450 nm 부근 파장에서 빛을 흡수하여 특징적인 소레 피크를 나타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아다이싸이온산 나트륨은 사이토크롬 P450의 환원에 관여하며, 이들은 주로 스테로이드 생성 및 해독에 관여한다.[31][26]
4. 1. 세부 유형 (일본어 위키 참고)
여러 종류의 사이토크롬이 존재하며 분광학, 헴기의 정확한 구조, 저해제 민감도 및 환원 전위로 구별할 수 있다.[26]
4가지 유형의 사이토크롬은 보결분자단으로 구별된다.
식물의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에서 발견되는 사이토크롬 ''f''는 c형 사이토크롬이다.[29]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에서 이러한 사이토크롬은 종종 전자 전달 및 관련 대사 경로에서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30]
사이토크롬 | 결합물 |
---|---|
사이토크롬 a 및 사이토크롬 a3 | 가용성 사이토크롬 c에 의해 복합체로 전자가 전달되는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 (복합체 IV) |
사이토크롬 b 및 사이토크롬 c1 | 유비퀴논:사이토크롬 c 산화환원효소 (복합체 III) |
사이토크롬 b6 및 사이토크롬 f |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 |
사이토크롬 P450 계열은 헴 철이 환원되고 일산화 탄소와 복합체를 형성할 때 450 nm 부근의 파장에서 빛의 흡광도에 의해 형성되는 특징적인 소레 피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아다이싸이온산 나트륨은 사이토크롬 P450의 환원에 관여한다. 사이토크롬 P450은 주로 스테로이드 생성 및 해독에 관여한다.[31][26]
5. 세포 내 위치
막 결합형 사이토크롬은 진핵생물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내막, 세포질내막계 등 막에 존재한다. 원핵생물에서는 세포막에 존재한다. 식물 등 광합성을 하는 생물에서는 엽록체, 색소체에도 존재한다. 가용성 사이토크롬은 세포질에 존재한다.[31]
6. 역할
헴기는 철 이온을 둘러싸고 있는 고도로 컨주게이트된 고리 시스템(전자의 이동성이 매우 높음)이다. 사이토크롬의 철은 일반적으로 제일철(Fe2+) 및 제이철(Fe3+) 상태로 존재하며, 페록소(Fe4+) 상태는 촉매 중간생성물에서 발견된다.[18] 따라서 사이토크롬은 헴 철의 환원 또는 산화를 통해 전자전달 반응과 촉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사이토크롬의 세포에서의 위치는 기능에 따라 다르다. 사이토크롬은 구상 단백질과 막 단백질로 발견될 수 있다.
산화적 인산화 과정에서 구상 사이토크롬 ''c''는 막 결합 복합체 III에서 복합체 IV로의 전자 전달에 관여한다. 복합체 III 자체는 여러 소단위체로 구성되며, 그 중 하나는 b형 사이토크롬이고, 다른 하나는 c형 사이토크롬이다. 두 도메인 모두 복합체 내에서 전자 전달에 관여한다. 복합체 IV에는 전자를 전달하고 산소를 물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사이토크롬 ''a''/''a''3 도메인이 포함되어 있다. 광계 II는 산소 발생 광합성의 광의존적 반응에서 첫 번째 단백질 복합체로 사이토크롬 ''b'' 소단위체를 포함한다. 염증에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제네이스-2는 사이토크롬 ''b'' 단백질이다.
헴 철에는 Fe2+(환원형)와 Fe3+(산화형)이 존재하며, 이들이 가역적으로 변환됨으로써 전자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미토콘드리아의 사이토크롬 c는 세포 자멸사에 관여한다.
참조
[1]
논문
Nomenclature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Biochemistry (NC-IUB). Nomenclature of electron-transfer proteins. Recommendations 1989.
http://www.jbc.org/c[...]
1992-01-05
[2]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orth Publishers
2000
[3]
논문
The heme groups of cytochrome o from Escherichia coli
1991-07-15
[4]
논문
Researches on Myohaematin and the Histohaematins
[5]
논문
On cytochrome, a respiratory pigment, common to animals, yeast, and higher plants
1925-08-01
[6]
논문
Heme protein assemblies
2004-02
[7]
논문
Primary Structure and Evolution of Cytochrome C
1963
[8]
논문
Molecular clocks: four decades of evolution
2005
[9]
웹사이트
Investigation of biological oxidation, oxidative phosphorylation and ATP synthesis. Inhibitor and Uncouplers of oxidative phosphorylation.
http://intranet.tdmu[...]
2020-02-02
[10]
MeshName
Cytochrome+c+Group
[11]
논문
Structure of the heme ''d'' of ''Penicillium vitale'' and ''Escherichia coli'' catalases
[12]
논문
The Unfinished Story of Cytochrome f
2004
[13]
서적
The brain's way of healing : remarkable discoveries and recoveries from the frontiers of neuroplasticity
Penguin Group
2015
[14]
인용
Disorders in the Initial Steps in Steroidogenesis
Elsevier
2014
[15]
문서
"[[アメリカ英語]]発音:"
[16]
문서
"[[イギリス英語]]発音:"
[17]
문서
"[[ドイツ語]]発音:"
[18]
논문
Nomenclature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Biochemistry (NC-IUB). Nomenclature of electron-transfer proteins. Recommendations 1989.
http://www.jbc.org/c[...]
1992-01-05
[19]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orth Publishers
2000
[20]
논문
The heme groups of cytochrome o from Escherichia coli
1991-07-15
[21]
논문
Researches on Myohaematin and the Histohaematins
[22]
논문
On cytochrome, a respiratory pigment, common to animals, yeast, and higher plants
1925-08-01
[23]
논문
Heme protein assemblies
2004-02
[24]
논문
Primary Structure and Evolution of Cytochrome C
1963
[25]
논문
Molecular clocks: four decades of evolution
2005
[26]
웹인용
Investigation of biological oxidation, oxidative phosphorylation and ATP synthesis. Inhibitor and Uncouplers of oxidative phosphorylation.
http://intranet.tdmu[...]
2020-02-02
[27]
MeshName
Cytochrome+c+Group
[28]
논문
Structure of the heme ''d'' of ''Penicillium vitale'' and ''Escherichia coli'' catalases
[29]
논문
The Unfinished Story of Cytochrome f
2004
[30]
서적
The brain's way of healing : remarkable discoveries and recoveries from the frontiers of neuroplasticity
Penguin Group
2015
[31]
인용
Disorders in the Initial Steps in Steroidogenesis
Elsevier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